KR101475465B1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65B1
KR101475465B1 KR20130082004A KR20130082004A KR101475465B1 KR 101475465 B1 KR101475465 B1 KR 101475465B1 KR 20130082004 A KR20130082004 A KR 20130082004A KR 20130082004 A KR20130082004 A KR 20130082004A KR 101475465 B1 KR101475465 B1 KR 10147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inner liner
sheet
outer circumferential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2013008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Abstract

컨테이너백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구성과 수납량이 향상되며, 원자재 소비량 절감으로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수용부의 상하부에 각각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외곽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시트층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에 적층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층이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 내측 단면에 대응하여 각 측면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층이 열융착되어 상호 접합되며, 상기 절곡되어 상호 접합된 상기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중첩된 결합모서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백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구성과 수납량이 향상되며, 원자재 소비량 절감으로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특히, 이차전지의 소재로 사용되는 양극재, 음극재, 나노분말소재 등은 미세한 입자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는 소형 파우치 포장이나 50kg이하의 소형포장용기에서 사용량의 확대에 따라 100kg~1000kg 중형용기포장으로 사용되고 있어 내용물의 수납량과 보관 및 보관 품질을 유지하여 손실이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이너라이너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상기 컨테이너 백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내부에 원통형 라이너(110) 혹은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21), 상기 투입구(121)와 연결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부(122), 그리고 수납부(122)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123)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PE(polyethylene) 및 PA(polyamide) 라이너(120)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종래의 원통형 라이너(110) 혹은 PE 및 PA 라이너(120)는 블로우 압출성형을 통해 형성되어 표면에 발생된 핀홀로 인해 나노분말 소재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이너라이너(110,120)는 상기 컨테이너백(100)의 크기(A)보다 여유있는 크기(B,C)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상기 이너라이너(110,120)를 만드는데 필요한 자재가 낭비되는 경향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이너라이너(110,120)는 외부 형태가 컨테이너 백(100)의 형상과 합치되지 않아, 내용물이 수납될 때 발생하는 내부압력이나 내용물이 수납된 후의 외부 충격이 상기 이너라이너(110,120)로 전달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내용물이 수납될 때 컨테이너백(100)의 공간만큼 내용물이 수납되지 못하고 빈공간이 발생되어 수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컨테이너백(100)과 상기 이너라이너(110,120) 사이의 빈공간은 상기 이너라이너(120)의 수납부(122)로 내용물이 빠른 속도로 유입되거나 상기 수납부(122)에서 내용물이 빠른 속도로 배출될 때 형성되는 진공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이너라이너(120)에 집중되도록 하여 상기 이너라이너(120)의 파손을 유발함에 따라 내용물이 쉽게 누출되고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백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구성과 수납량이 향상되며, 원자재 소비량 절감으로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수용부의 상하부에 각각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외곽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시트층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에 적층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층이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 내측 단면에 대응하여 각 측면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층이 열융착되어 상호 접합되며, 상기 절곡되어 상호 접합된 상기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중첩된 결합모서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중앙부에 연결홀부가 형성되며 테두리가 사각인 사각연결부가 연결되되, 상기 사각연결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여유결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 내측 단면에 대응하여 각 측면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에 결합되면 빈공간 없이 밀착될 수 있어 상기 컨테이너백의 최대용량에 대응하여 내용물을 수납하여 수납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급속하게 충진 및 배출할 때 형성되는 진공압이 상기 빈공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용부의 손상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내면에 구비된 상기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이 상호 열봉합되어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으므로 밀폐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보관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접힌 상태의 이너라이너를 적층 보관시 내면의 접합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되어 장시간 보관에도 밀폐성이 유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절곡되어 접합된 부분이 결합모서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편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다층시트는 다양한 성질을 가진 복수개의 시트층을 적층하여 형성되므로 내마모성 향상과 함께 인장력에 대항 강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층시트를 형성하는 각각의 시트층이 다양한 부식성 분말재료에 대응하여 내부식성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분말재료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통상적인 컨테이너백의 입구부 내지 출구부와 수용부 간의 연결부분 형상에 대응하여 형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상단 혹은 하단에 상기 사각연결부가 연결되어 블록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므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형합되어 밀착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사각연결부의 여유결합부가 절곡되어 결합되므로 각 모서리부에서 만나는 각각의 상기 절곡된 여유결합부가 상호 지지력을 형상하여 상기 사각 단면 형태의 구조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다층시트를 나타낸 부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다층시트를 나타낸 부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20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수용부(10)와 상기 수용부(1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입구부(20) 및 출구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해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수납하도록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되며, 주로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200)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원료의 품질을 유지하고,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도록, 내용물을 상기 컨테이너 백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라이너(200)는 알루미늄 시트층(42)을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층(41,42,43)이 적층된 다층시트(4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층시트(40)는 외곽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층(43)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43)에 적층되는 알루미늄(aluminum) 시트층(42)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42)에 적층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이 상호 접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43)은 인체에 무해하며 투습 방지에 효과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습기가 내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42)은 투습 및 공기 투과를 방지하는 층으로 연성과 전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이너라이너(200)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다층시트(40)는 다양한 성질을 가진 복수개의 시트층(41,42,43)을 적층하여 형성되므로 내마모성 향상과 함께 인장력에 대항 강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층시트(40)를 형성하는 각각의 시트층이 다양한 부식성 분말재료에 대응하여 내부식성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분말재료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인장강도, 신도율 및 강성이 뛰어나, 가해진 인장력에 대응하여 파손되지 않고 늘어나고 줄어드는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열봉합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이 상기 다층시트(40)의 내면을 이루어, 상기 테두리부(11,35)가 상호 결합될 때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다층시트(40)는 각각의 시트층(41,42,43)에 형성될 수 있는 핀홀 등의 미세한 구멍이 상호 접착된 시트층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므로 나노분말소재 등의 분체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보관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은 열용착 또는 초음파로 접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density polyethylene) 혹은 폴라아마이드(polyamide)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층시트(40)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43), 알루미늄 시트층(42), 그리고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 각각의 두께는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다층시트(40)는 복수개의 얇은 시트층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므로 상호 간의 결합으로 인해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되, 유연성이 유지되므로 제품을 접어 보관하고 펴서 내용물을 수납하는 변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42)과 접착대상 시트층(41,43)은 증착방법이나 코팅방법을 통해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대상 시트층(41,43)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43)과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증착방법은 아크릴 접착제 등을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42)에 도포한 뒤 건조후드에서 접착제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접착대상 시트층(41,43)을 압착 접합하는 방법이며, 코팅방법은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42)의 표면에 접착대상 시트층(41,43)의 원재료를 녹여 붙이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대상 시트층(41,43)은 블로우(blow) 압출성형으로 원형필름을 만들고 T-다이스 등의 평판 압축기로 압출 연신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라이너(200)는 상기 다층시트(40)의 테두리부(11,35)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0)를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15)는 각각의 양측단부를 이루는 테두리부(11)가 상호 결합하여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의 각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15)의 상측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상기 분체류가 유입되는 입구부(20)와 연결되며, 상기 다층시트의 하측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분체류가 유출되는 출구부(5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0)와 상기 입구부(20) 사이에는 덮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10)와 상기 출구부(50) 사이에는 바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덮개부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부(10)의 측면을 형성하는 각 다층시트(15)의 상측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양측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입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부(10)의 측면을 형성하는 각 다층시트(15)의 하측단부가 하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양측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덮개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부는 상기 수용부(10)의 각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15)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부는 상기 수용부(10)의 각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15)의 하측단부에 형성된 테두리부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 내측 단면에 대응하여 각 측면(15)의 테두리(11)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에 상기 이너라이너(200)가 결합되고, 상기 이너라이너(200)의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될 때 상기 컨테이너백의 외부 형상이 사각 기둥의 형태를 유지하여 적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200)의 수용부(10)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로 형성된 내부 공간의 프로파일에 형합되어 배치되도록 사각 단면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라는 말은 상기 내부 공간의 내면에 상기 이너라이너(200)의 수용부(10)가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내면과 상기 수용부(10)의 외면이 결합되면 상기 내면과 상기 외면이 밀착됨과 아울러 폭과 길이는 내용물의 수납 후 적재하여 사용시 적합한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에 결합되면 빈공간 없이 밀착할 수 있어, 상기 컨테이너백의 최대용량에 대응하여 내용물을 수납하므로 수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내용물을 급속하게 충진하거나 배출할 때 형성되는 진공압이 상기 빈공간으로 집중됨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수용부(10)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200)는 상기 수용부(10)를 형성하는 각각의 다층시트(15)가 상기 컨테이너백의 동일한 폭과 길이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백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되므로 소모되는 원자재를 절감하여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는 각 측면의 테두리(11)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15)의 테두리부(11)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내면이 상호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다층시트(15) 간의 접합은 초음파나 열융착을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11)의 상호 접하는 내면은 상기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41)으로 형성되므로 뛰어난 열봉합성으로 인해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0)의 사각단면을 이루는 모서리부분의 밀폐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보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접힌 상태의 상기 이너라이너(200)가 적층되어 보관될 때, 상기 내면이 접합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봉합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고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되어 상호 접합된 상기 다층시트(15)의 테두리부(11)는 중첩된 결합모서리부(12)를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10)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중첩된 결합모서리부(12)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모서리부(12)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에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편리하게 결합되어 제품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의 내용물이 수납되는 부분이 아니라 중첩된 결합모서리부(12)로 상기 컨테이너백과 결합되므로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용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첩된 형태로 인해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층시트(40)는 상기 테두리부(11,35)를 따라 여유결합부(12,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각연결부(30)의 테두리부(35)를 따라 여유결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0)의 각 측면을 이루는 다층시트(15)의 테두리부(11)를 따라 여유결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층시트(40)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므로, 각각의 다층시트(40)의 테두리부(11,35)를 따라 형성된 상기 여유결합부(12,32)가 중첩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0)가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형합되는 형태를 유지하되, 상기 여유결합부(12,32)의 중첩을 통해 각각의 다층시트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유결합부(12,32)는 상기 다층시트의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양측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여유결합부는 상호 간의 내면, 즉 상기 선형 고분자계열 수지 시트층이 서로 접하여 봉합되므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중앙부에 연결홀부(31)가 형성되며 테두리가 사각인 사각연결부(3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사각연결부(30)는 상기 수용부(10) 사각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연결부(30)는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및 하단 양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측에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각연결부(30)는 상기 다층시트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각연결부(30)의 테두리부(35)를 따라 상기 여유결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각연결부(30)는 상기 수용부(1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덮개부의 역할을 하며, 상기 수용부(1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사각연결부(30)가 상기 덮개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여유결합부(32)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은 상기 수용부 외측면을 이루는 각각의 다층시트(15) 상단 테두리의 여유결합부(12)와 중첩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컨테이너백의 입구부 내지 출구부와 수용부 간의 연결부분 형상에 대응하여 형합되도록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혹은 하단에 상기 사각연결부(30)가 연결되어 블록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므로 상기 수용부(10)가 펼쳐져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수용부(10)의 외면이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의 최대용량에 대응하여 내용물을 수납하므로 수납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이 상기 빈공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용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연결부(30)의 테두리부(35)에 형성된 상기 여유결합부(32)가 절곡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사각연결부(30)의 각 모서리부(14)에서 만나는 각각의 상기 절곡된 여유결합부(32)가 상호 지지력을 형상하여 상기 수용부(10)의 사각 단면 구조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각연결부(30)가 상기 바닥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여유결합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은 상기 수용부 외측면을 이루는 각각의 다층시트 하단 테두리의 여유결합부와 중첩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홀부(31)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입구부(20) 및 상기 출구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상기 다층시트의 양측단부를 접합하여 형성된 원통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각연결부(30)가 상기 바닥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통부재는 상기 출구부의 역할을 하게되며, 상기 사각연결부(30)가 상기 덮개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통부재는 상기 입구부의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상기 원통부재가 상기 출구부(50)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상기 출구부(50)는 외주면 일측과 상기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접혀 하단부 테두리가 접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면 상기 입구부를 봉합하여 간편하게 진공포장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포장된 수용부를 운반하여 내용물을 인출할 때는 상기 출구부(50)의 하단을 절개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연결부(30)와 상기 원통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원통부재가 입구부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수납될 때의 마찰 저항을 감소하고, 상기 원통부재가 출구부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배출될 때의 마찰 저항을 감소하여 마모로 인한 손상 혹은 찢어짐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의 외측면을 이루는 상기 다층시트(15)의 전면과 후면에는 접힘가이드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접힘가이드부(13)는 상기 이너라이너(200)의 접힘 형상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전면과 후면의 중심부에 마주 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힘가이드부(13)는 상기 이너라이너(200)가 보관될 때 내측으로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상기 수용부(10)의 양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힙 상태와 상기 펴짐 상태가 상기 수용부(10)의 찌그러짐 등의 손상 없이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접힌 상태의 상기 이너라이너(200)가 적층되어 보관될 때, 상기 수용부(10)의 외측면 모서리(11)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접합된 상기 여유결합부(12)의 내면이 접합된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에 봉합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고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다층시트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됨에 따라 출구부를 형성함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10)의 측면을 형상하는 각 다층시트는 하측단부가 하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부(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11)의 하측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312)이 상호 접합되어 출구부(350)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용부(31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 상기 출구부(350)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품의 생산공정이 단순해짐에 따라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11)에서 좁게 형성된 부분(312)이 연장되는 연결부분에는 만곡부(3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313)는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310)의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출구부(350)로 배출될 때, 상기 만곡부(313)는 배출되는 내용물과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연결부(330)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덮개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각연결부(330)는 상기 수용부(310)의 상측에서 사각 단면 구조를 유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하여, 상기 수용부(310)가 펼쳐져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수용부(310)의 외면이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연결부(33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상기 여유결합부(332)가 절곡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사각연결부(330)의 각 모서리부(331)에서 만나는 각각의 상기 절곡된 여유결합부(332)가 상호 지지력을 형상하여 상기 수용부(310)의 사각 단면 구조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다층시트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됨에 따라 입구부를 형성함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410)의 측면을 형상하는 각 다층시트는 상측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부(4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1)의 상측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412)이 상호 접합되어 입구부(420)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용부(41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 상기 입구부(420)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품의 생산공정이 단순해짐에 따라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1)에서 좁게 형성된 부분(412)이 연장되는 연결부분에는 만곡부(4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413)는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부(420)를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이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에 수용될 때, 상기 만곡부(413)는 곡선의 형태로 인해 수납되는 내용물과 마찰저항이 감소되므로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연결부(430)는 상기 수용부(41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각연결부(430)는 상기 수용부(410)의 하측에서 사각 단면 구조를 유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하여, 상기 수용부(410)가 펼쳐져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수용부(410)의 외면이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부 공간에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연결부(43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상기 여유결합부(432)가 절곡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사각연결부(430)의 각 모서리부(431)에서 만나는 각각의 상기 절곡된 여유결합부(432)가 상호 지지력을 형상하여 상기 수용부의 사각 단면 구조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120,200,300,400: 이너라이너 100: 컨테이너백
121: 투입부 122: 수납부
123: 배출부 10,310,410: 수용부
12,32: 여유결합부 20,320,420: 입구부
30,330,430: 사각연결부 31: 연결홀부
311,411: 경사부 40: 다층시트
50: 출구부

Claims (5)

  1.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수용부의 상하부에 각각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외곽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층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시트층과, 상기 알루미늄 시트층에 적층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층이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수용부 내측 단면에 대응하여 각 측면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내면을 이루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층이 열융착되어 상호 접합되며, 상기 절곡되어 상호 접합된 상기 다층시트의 테두리부는 중첩된 결합모서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중앙부에 연결홀부가 형성되며 테두리가 사각인 사각연결부가 연결되되,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내면이 상호 접합됨
    상기 사각연결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여유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5. 삭제
KR20130082004A 2013-07-12 2013-07-12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47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004A KR101475465B1 (ko) 2013-07-12 2013-07-12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004A KR101475465B1 (ko) 2013-07-12 2013-07-12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465B1 true KR101475465B1 (ko) 2014-12-23

Family

ID=5267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004A KR101475465B1 (ko) 2013-07-12 2013-07-12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634A (ja) * 2016-10-09 2018-04-12 日豊製袋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KR102144570B1 (ko) * 2019-12-24 2020-08-13 민인순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EP3778431A1 (en) * 2019-08-16 2021-02-17 Lincoln Global, Inc. Liner bag for a bulk container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2377427B1 (ko)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WO2024033575A1 (fr) * 2022-08-08 2024-02-15 Arkema France Emballage, conditionnement avec un tel emballage, utilisation d'un tel emballage, équipement de malaxage et procédé de chargement et/ou déchar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337A (ko) * 2007-07-25 2009-02-02 김재찬 다층 라미네이트 튜브 쉬트
KR20120134992A (ko) * 2011-10-06 2012-12-12 유규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337A (ko) * 2007-07-25 2009-02-02 김재찬 다층 라미네이트 튜브 쉬트
KR20120134992A (ko) * 2011-10-06 2012-12-12 유규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634A (ja) * 2016-10-09 2018-04-12 日豊製袋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EP3778431A1 (en) * 2019-08-16 2021-02-17 Lincoln Global, Inc. Liner bag for a bulk container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2389840A (zh) * 2019-08-16 2021-02-23 林肯环球股份有限公司 散装焊剂袋混合衬里袋
US11767158B2 (en) 2019-08-16 2023-09-26 Lincoln Global, Inc. Bulk flux bag hybrid liner bag
KR102144570B1 (ko) * 2019-12-24 2020-08-13 민인순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KR102377427B1 (ko)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WO2024033575A1 (fr) * 2022-08-08 2024-02-15 Arkema France Emballage, conditionnement avec un tel emballage, utilisation d'un tel emballage, équipement de malaxage et procédé de chargement et/ou déchar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465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RU2507136C2 (ru) Пакет с устойчивым дном из термосваривающейся синтетической пленки
US20030059130A1 (en) Bag-in-box inner bag
US9211995B2 (en) Pouch and valve assembly package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fluent substance
US20100172600A1 (en) Flexi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220258928A1 (en) Ophthalmic solution container
KR102431254B1 (ko) 내측 라이닝을 갖는 플라스틱 라이너
CN209601137U (zh) 一种高强度抗拉伸包装袋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JP5012114B2 (ja) ディスペンサー付き包装袋
CN209796311U (zh) 一种多层复合气泡包装袋
JP2006290427A (ja) 収納箱、収納体
JP4993884B2 (ja) 自立袋
JP2000085789A (ja) 補助板体付き合成樹脂製袋
JP7198719B2 (ja) 筒状部材、容器、及び筒状部材の製造方法
CN202864118U (zh) 一种新型结构的复合吨袋
US20200071049A1 (en) Gusset bag and bag-in-box
KR102377427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CN214877175U (zh) 一种防潮防漏复合集装袋
JP4932139B2 (ja) 包装袋
JP2014037259A (ja) ドラム缶用内袋、内袋ユニット及び充填方法
JP3223620U (ja) スタンディング広口形態の包装袋
JP2008068913A (ja) ガセット袋
JP6913472B2 (ja) パウチ、該パウチを用いた包装体、及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1328675A (ja) 金属缶用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