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191A -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191A
KR20110085191A KR1020100004842A KR20100004842A KR20110085191A KR 20110085191 A KR20110085191 A KR 20110085191A KR 1020100004842 A KR1020100004842 A KR 1020100004842A KR 20100004842 A KR20100004842 A KR 20100004842A KR 20110085191 A KR20110085191 A KR 20110085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heet
discharge
inner bag
ou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2010000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191A/ko
Publication of KR2011008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백 및 톤백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톤백의 구성은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하측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포대 형태로 이루어진 아웃터백(20)과,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구비된 투입 가이드부(44)와,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수용부(33)의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된 포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백(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측방부의 일부가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투입부(31)는 상기 투입 가이드부(44)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부(35)는 상기 아웃터백(20)의 상기 배출 지지부(23)에 수용된 이너백(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Ton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품을 만들기 위한 파우더형 원료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어 약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입자 상태의 파우더형 약품 원료를 수용하여 보관 운반시키기 위해 톤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톤백은 상부에 원료를 투입시키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톤백의 하측부에는 호퍼 형상으로 경사진 배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배출 가이드부의 하단 중앙부에는 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톤백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직물이나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데, 평상시에는 콤팩트하게 접혀질 수 있는 한편, 원료, 특히 알약(태블릿)을 만들기 위한 파우더형 약품 원료를 보관하기 위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부피를 갖도록 펼친 다음, 톤백 내부에 원료를 투입하고, 이러한 원료가 투입된 톤백을 대차에 걸어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필요시에 콘테이너을 약품 원료를 일정기간 숙성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톤백은 약품 원료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보관하고, 알약 등의 제조시에 약품 제조기에 보다 쉽게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사용성 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제약 회사에서 알약(태블릿)을 만들기 위해 톤백에 파우더형 약품 원료를 보관하거나 일정 기간 숙성시키고, 약품 제조시에는 보통 자동화된 약품 제조장치의 호퍼에 원료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제약 회사에서 사용되는 톤백의 경우에는 상기한 보관시의 편리성과 안전성 및 약품 제조시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톤백의 규격은 대략 250kg 내지 500kg의 중량에 버틸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무게 상한치는 적어도 300kg 정도는 되어야 하며, 약품 원료의 보관상 용이함은 물론 외부의 습기나 공기 또는 햇빛 등의 요인에 의해 원료가 변질되거나 변색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는 신뢰성 있는 톤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품을 만들기 위한 파우더형 원료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어 약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하측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포대 형태로 이루어진 아웃터백(20)과,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구비된 투입 가이드부(44)와,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수용부(33)의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된 포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백(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측방부의 일부가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투입부(31)는 상기 투입 가이드부(44)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부(35)는 상기 아웃터백(20)의 상기 배출 지지부(23)에 수용된 이너백(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에는 배출 지지부(23)가 구비된 구조의 베이스 시트지를 마련하는 과정과, 중간의 메인 수용부(33)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향하여 안쪽으로 절첩된 포대 형태의 이너백(30)을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베이스 시트지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 시트지 사이에는 상기 이너백(30)을 개재시키는 과정과, 각각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와 상기 이너백(30)의 측면 외곽부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과,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상면 커버시트(42)를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는 과정과, 플렉시블한 통자루 형상의 투입 가이드부(44) 내부에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투입부(31)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 가이드부(44)의 하단부를 상기 상면 커버시트(42)의 상기 구멍 주위에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아웃터백과 이너백을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를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으로 접어줌으로써 평상시에는 콤팩트한 시트 형태로 접어서 취급 운반하고, 원료 보관시에는 포대 형태로 다시 펼쳐져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의 톤백은 특히 제약 회사에서 알약(태블릿)을 만들기 위해 톤백에 파우더형 약품 원료를 보관하거나 일정 기간 숙성시키고, 약품 제조시에는 보통 자동화된 약품 제조장치의 호퍼에 원료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제약 회사에서 사용되는 톤백의 경우에는 상기한 보관시의 편리성과 안전성 및 약품 제조시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이너백은 흑색의 외부 시트와, 유백색의 중간 시트와, 투명의 내부 시트의 3층 구조로 구성되는데, 외부 시트는 흑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빛을 모두 흡수하여 빛의 영향을 파우더형 원료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중간 시트는 유백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빛을 모두 반사하므로, 흑색의 외부 시트와 유백색의 중간 시트의 연계 작용에 의해 외부의 빛으로 인한 적외선이나 자외선에 의한 약품 원료의 변질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내부 시트는 투명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 시트와 보관 원료와의 사이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료의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주요부인 이너백은 흑색의 외부 시트와 유백색의 중간 시트 및 투명의 내부 시트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유백색의 중간 시트는 다른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를 더 두껍게 함으로써, 외부의 빛을 보다 많이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의 빛에 의해 보관 원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이너백은 하측부에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의 거리가 호퍼 형태로 좁아지는 배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배출 가이드부의 하단부 중앙에 배출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너백의 배출 가이드부 외곽부는 서로 이웃한 베이스 시트지의 하측 시트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에 의해 고정되고, 아웃터백을 구성하기 위한 베이스 시트지의 서로 이웃한 상측 트부 사이에는 접합 테이프의 일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접합 테이프의 타측부는 이너백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 외곽부에 접합됨으로써, 이너백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구체적으로, 이너백의 메인 수용부 부분)을 아웃터백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톤백의 아웃터백과 이너백을 펼쳐서 이너백의 내부로 원료를 투입할 때에 원료의 무게에 의해 이너백의 메인 수용부가 외부로 확장되는데, 이너백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 특히 이너백의 메인 수용부 부분이 아웃터백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축성의 접합 테이프에 의해 지지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이너백이 찢어지지 않고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확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료 보관시의 신뢰성 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백은 하측 위치의 배출 가이드부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실링부가 구비되고, 이너백의 배출 가이드부는 실링부의 바깥면 부분이 서로 이웃한 베이스 시트지의 하측 시트지 사이에 개재되어 재봉선에 의해 접합되어, 이너백 자체에 재봉선으로 인한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이처럼 재봉선에 의해 이너백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너백의 외부로 파우더형 원료가 세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톤백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아웃터백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이너백의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너백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11은 도 9의 평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이너백의 제조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톤백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아웃터백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이너백의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너백의 펼쳐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11은 도 9의 평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이너백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톤백은 사각 형상의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 중앙부에는 사각 형상의 배출 지지부(23)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하측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포대 형태로 이루어진 아웃터백(20)과, 이러한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구비된 투입 가이드부(44)와,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수용부(33)의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된 포대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터백(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측방부의 일부가 아웃터백(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투입부(31)는 아웃터백(20) 상측부의 투입 가이드부(44)()에 수용되며 하측의 배출부(35)는 아웃터백(20)의 배출 지지부(23)에 수용된 이너백(30)으로 구성된다.
아웃터백(20)은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를 재봉선(JC)에 의해 포대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아웃터백(20)을 형성하는 베이스 시트지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시트지를 만들기 위한 원료를 혼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원료는 PP, PE, M/B(염료), CALPET 등을 혼합하고, 여기에 UV 코팅재(자외선 코팅재)를 혼합할 수 있다. UV 코팅재는 베이스 시트지가 햇빛 등에 의해 변색 또는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베이스 시트지 직조를 위한 원사 스트랩으로 제사(Extrusion)하는 과정을 거친다. 용해, 냉각, 연신, 수축, 와인딩 등의 과정을 거쳐서 띠형상의 원사 스트랩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제사(Extrusion) 과정에서 뽑아진 원사 스트랩을 직조하여 원단 시트지를 제작하는 제직 과정을 거친다. 즉, 복수개의 원사 스트랩을 위사 경사 방식으로 직조하여 소정 면적의 원단 시트지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원단 시트지(PP Woven Cloth)는 원형, 평직, 벨트 등의 형식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제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원단 시트지를 미리 준비된 도안에 의거하여 제단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시트지를 만든다. 다시 말해, 원단 시트지를 금형틀에 올려놓고 준비된 도안에 의거하여 컷터 기구 등을 이용하여 제단함으로써 베이스 시트지를 만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시트지는 사각 형상의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 중앙부에는 사각 형상의 배출 지지부(23)가 구비되도록 제단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단된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네 장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를 상호 재봉선(JC)을 매개로 접합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포대 형상의 아웃터백(20)을 만드는데, 이러한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이너백(30)을 수용하고, 아웃터백(20)과 이너백(30)의 측면 외곽부를 동시에 접합함으로써,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이너백(30)이 내장된 구조의 톤백을 만들게 된다.
이때, 아웃터백(20)에 내장되는 이너백(30)은 다음의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아웃터백(20)을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지 원재료(예를 들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기계에 투입(호퍼 이송)하는 과정을 거친다. 아웃터백(20)은 최종적으로 외부 시트(32)와 중간 시트(34) 및 내부 시트(36)의 삼층 구조(Three layer)를 가지므로, 외부 시트(32)용 호퍼와 중간 시트(34)용 호퍼 및 내부 시트(36)용 호퍼에 각각 수지 원재료를 투입한다. 이때, 외부 시트(32)는 흑색을 갖도록 흑색 안료를 함께 혼합하여 투입하고, 중간 시트(34)는 유백색(회색 빛깔을 약간 갖는 백색)을 갖도록 유백색 안료를 혼합하여 투입하며, 내부 시트(36)는 투명이므로 수지 원재료만을 투입한다.
이러한 원재료를 실린더에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실린더 역시 외부 시트(32)용 실린더와 중간 시트(34)용 실린더 및 내부 시트(36)용 실린더로 각각 이루어져서, 각각의 실린더에 외부 시트(32)용 원재료와 중간 시트(34)용 원재료 및 내부 시트(36)용 원재료를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이러한 실린더에 투입되어 용해된 액상 원재료를 스크린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다. 스크린 체인지 과정이라 하는데, 액상 원재료가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은 필터링되고 순수한 액상 원재료만이 후단의 삼중 다이스 내부의 필름 성형 슬롯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삼중 다이스는 내부에 세 개의 환형 필름 성형 슬롯이 형성된 것으로서, 실린더에서 용해되어 스크린에서 필터링된 액상 원재료가 삼중 다이스의 각각의 환형 필름 성형 슬롯 내부를 통과하면서 통형상 필름으로 성형된다. 다시 말해, 세 장의 통형상 필름이 중첩된 형태로 삼중 다이스의 필름 성형 슬롯으로 나오면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삼중 다이스를 통과하면서 성형된 세 장의 통형상 필름은 성형롤 등을 통과하면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필름 시트(300)로 성형된다. 전취 1차 통과 과정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최외곽부의 통형상 필름은 외부 시트(32), 중간부의 통형상 필름은 중간 시트(34), 가장 안쪽의 통형상 필름은 내부 시트(36)가 되는데, 내부 시트(36)용 통형상 필름의 내부에 스페이스를 개재시켜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지지하고, 다음단의 복수개의 상하열 성형롤 사이로 세 장의 통형상 필름을 통과시킴으로써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플랫한 필름 시트(30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세 장의 통형상 필름을 상호 접합시키도록 성형롤을 열간롤로 할 수도 있고, 각 필름 사이에 접착제 공급장치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공급한 상태에서 상하열 성형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내부에 공간부가 있고 양측단을 이어진 3층 구조의 필름 시트(300)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13a와 도 13b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시트(300)는 외부 시트(32)와 중간 시트(34) 및 내부 시트(36)의 3층 구조인데, 외부 시트(32)는 흑색, 중간 시트(34)는 유백색, 내부 시트(36)는 투명한 시트이다.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3층 구조의 필름 시트(300)를 만든 다음에는 전취 2차 통과(슬릿터 처리)시켜서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봉투 형상으로 만들게 된다. 슬릿터는 PP, PE, HDPE의 필름을 생산하는 기계로서, 필름을 완전하게 간추려서 앞으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시스템이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기계이다. 이어서, 슬릿팅 처리되는 봉투 필름 시트(300)를 와인더를 이용하여 롤형태로 감아주면 된다. 도 13a에는 봉투 필름 시트(300)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 봉투 필름 시트(300)의 양측단을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절첩시켜 양측 위치에 두 개의 상측 외피 필름(31ufo)과 하측 외피 필름(31lfo) 내부에 두 개의 상측 내피 필름(31ufi)과 하측 내피 필름(31lfi)이 중첩된 구조의 폴딩 원단(310)을 형성(이른바 M자 가공)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13b에는 폴딩 원단(310)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봉투 필름 시트(300)를 풀어주면서 좌우 한 쌍으로 된 가이드롤 그룹을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하되, 이러한 가이드롤 그룹은 좌우 가이드롤 사이의 거리를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배열하고, 이러한 점차적으로 거리가 좁아지는 좌우 가이드롤 사이로 봉투 필름 시트(300)를 통과시켜 주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 필름 시트(300)의 양측단을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양측 위치에 두 개의 상측 외피 필름(31ufo)과 하측 외피 필름(31lfo) 내부에 두 개의 상측 내피 필름(31ufi)과 하측 내피 필름(31lfi)이 중첩된 구조의 폴딩 원단(310)을 형성(이른바 M자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원단(310)을 상단 컷팅부(312), 상부 양측 컷팅부(314), 중간 컷팅부(316), 하부 경사 컷팅부(317), 하부 양측 컷팅부(318), 하단 컷팅부(319)를 갖도록 컷팅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면, 폴딩 원단(310)이 상단 컷팅부(312)와 상부 양측 컷팅부(314)를 갖는 투입부 형성 시트부와, 이러한 투입부 형성 시트부의 하단부에 일체화되며 양측단은 이어지고 상단부 양측에는 중간 컷팅부(316)를 갖는 메인 수용부 형성 시트부와, 이러한 메인 수용부 형성 시트부의 하측부에 좌우 거리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됨과 동시에 하부 경사 컷팅부(317)를 갖는 배출 가이드부 형성 시트부와, 이러한 배출 가이드 형성 시트부의 하단 중앙부에 일체화되며 양측단과 하단이 하부 양측 컷팅부(318)와 하단 컷팅부(319)에 의해 개구된 구조의 배출부 형성 시트부를 갖도록 성형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된 폴딩 원단(310)의 상측 외피 필름(31ufo)과 상측 내피 필름(31ufi)의 상단 컷팅부(312), 상부 양측 컷팅부(314), 중간 컷팅부(316), 하부 경사 컷팅부(317), 하부 양측 컷팅부(318) 및 하단 컷팅부(319)를 열간 실링처리하여 밀봉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내부에 메인 수용부(33)를 형성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외곽 둘레부는 각각 상단 실링부(31SP)와 좌우 양측 실링부(31SC)와 양측 중간 실링부(31SP)와 양측 하부 경사 실링부(33SC)와 양측 하부 실링부(35SC) 및 하단 실링부(35SP)에 의해 밀봉 처리된 비닐 봉투 형상의 상기 이너백(3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양측 하부 경사 실링부(33SC)와 양측 하부 실링부(35SC)의 상측 부분은 각각 폴딩 원단(310)의 양측 하부 경사 컷팅부(317)의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너백(30)은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수용부(33)(이 부분은 양측단이 이어진 비닐 포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임)의 상측부에 상단 실링부(31SP)에 의해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하단 실링부(35SP)에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되며, 다른 측방 둘레부도 밀봉 처리된 포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이너백(30)을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아웃터백(20)과 이너백(30)의 측면 외곽부를 상호 접합함으로써,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이너백(30)이 내장된 구조의 톤백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에는 배출 지지부(23)가 구비된 구조의 베이스 시트지를 복수개 마련한 다음, 중간의 메인 수용부(33)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향하여 안쪽으로 절첩된 포대 형태의 이너백(30)을 마련한 다음,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 사이에는 이너백(3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와 이너백(30)의 측면 외곽부를 상호 접합한다.
이때, 이너백(30)은 하측부에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의 거리가 호퍼 형태로 좁아지는 배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배출 가이드부의 하단부 중앙에 배출부(35)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의 외곽부는 서로 이웃한 베이스 시트지의 하측 시트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고정되고, 아웃터백(20)을 구성하기 위한 베이스 시트지의 서로 이웃한 상측 시트부(21) 사이에는 접합 테이프(60)의 일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접합 테이프(60)의 타측부는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 외곽부에 접합되어 이너백(30)의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을 아웃터백(20)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 구조를 만든다.
물론, 각각의 이너백(30)의 배출부(35) 부분을 베이스 시트지의 배출 지지부(23)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각 베이스 시트지의 하단 배출 지지부(23)의 측면 외곽부도 재봉선(JC)에 의해 각각 접합함으로써 이너백(30) 하단의 배출부(35)를 수용한 배출 지지부(23)를 아웃터백(20)의 하단부에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는 상면 커버시트(42)를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시킨다. 이때, 아웃터백(20)의 상단부를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펼쳐서 재봉 접합부(21b)를 만들고, 이러한 아웃터백(20)의 상단 재봉 접합부(21b)에 사각 시트 형상의 상면 커버시트(42)(이러한 상면 커버시트(42) 역시 베이스 시트지와 동일 재질로 구성되어 있음)를 올려놓고, 사각 시트를 두 장으로 마주하도록 접은 플랩(50)의 하단부측 일부를 외측으로 접어서 플랩 접합 폴딩부(51)를 만들고, 이러한 플랩(50)의 하단부측 플랩 접합 폴딩부(51)를 아웃터백(20)의 상단 재봉 접합부(21b) 위쪽 위치에서 상기 상면 커버시트(42) 위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이러한 부분을 한번에 접합함으로써, 사각 포대 형태의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상면 커버시트(42)와 플랩(50)이 동시에 접합된 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때, 아웃터백(20)의 상단부, 즉 아웃터백(20)의 상단 재봉 접합부(21b)와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께 플랩(50)의 하단 플랩 접합 폴딩부(51)를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되, 플랩(50)의 좌우 양단부를 상하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재차 접어서 중첩 폴딩부(53)(도 6에 도시됨)를 만든 상태에서 플랩(50)의 하단 플랩 접합 폴딩부(51)와 중첩 폴딩부(53)를 아웃터백(20)의 상단 접합 폴딩부 및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한다. 그러면, 플랩(50)과 상면 커버시트(42) 및 아웃터백(20) 사이의 재봉 접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플렉시블한 통자루 형상의 투입 가이드부(44) 내부에 이너백(30)의 투입부(31)를 내장한 다음, 투입 가이드부(44)의 하단부를 상면 커버시트(42)의 구멍 주위에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함으로써, 이너백(30)의 외부를 아웃터백(20)이 감싸는 구조의 톤백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톤백에서 아웃터백(20)과 이너백(3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크린룸(Clean room)에서 에어 블로잉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원료 약품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의 미설명 부호 44l은 상부 묶음로프이고, 미설명 부호 23l은 하부 묶음로프로서, 이너백(30)의 투입부(31)과 배출부(35)에 구비된 상단 실링부(31SP)와 하단 실링부(35SP)를 절단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보관시 상부 묶음로프(44l)에 의해 통자루 형상의 투입 가이드부(44)와 이너백(30)의 투입부(31)를 함께 결박하는 한편, 하부 묶음로프(23l)에 의해 아웃터백(20) 하측의 배출 지지부(23)와 이너백(30)의 배출부(35)를 함께 결박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42h는 대차에 구비된 거치용 핀이 끼워지는 핀홀인데, 이러한 핀홀(42h)에 강도 보강을 위해 금속링체(아일렛이라 칭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면 커버시트(42)의 외곽부도 강도 보강을 위하여 아래로 한번 접어준 보강 폴딩부(42a)를 만들고, 이러한 보강 폴딩부(42a)와 상면 커버시트(42)를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톤백에서 아웃터백(20)은 수지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너백(30)은 비닐 봉투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톤백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부가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절첩되어 콤팩트한 포대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아웃터백(20)의 외표면에는 배출 지지부(23)와 이너백(30)의 배출부(35) 부분을 위로 접어서 수납하도록 하단부가 개구된 절첩 지지부(70)(도 9에 도시됨)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플랫하게 접혀진 톤백을 절첩 부위를 중심으로 펼쳐주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형태의 톤백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펼쳐진 톤백을 대차(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하측에 캐스터가 달린 구조를 가짐)의 프레임 부분에 수용하고, 톤백에서 상면 커버시트(42)에 형성된 핀홀 부분을 대차(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하측에 캐스터가 달린 구조를 가짐)의 프레임 상단 부분에 구비된 복수개의 거치용 핀에 끼움으로써 톤백을 대차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한다. 물론, 톤백에서 이너백(30)의 투입부(31)에 구비된 상단 실링부(31SP)를 잘라내서 투입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투입구를 통해 약품 원료인 파우더형 원료를 투입하여 이너백(30)의 메인 수용부(33)에 약품 원료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톤백에서 상면 커버시트(42)에 구비된 핀홀(42h) 부분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금속링체(아일렛이라 칭함)가 더 구비되어, 톤백에 원료를 보관하여 대차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금속링체에 의해 거치 부분의 강도를 더욱 높여줌으로써 보관시의 안정성 등을 보다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면 커버시트(42)의 외곽부도 강도 보강을 위하여 아래로 한번 접어준 보강 폴딩부(42a)를 만들고, 이러한 보강 폴딩부(42a)와 상면 커버시트(42)를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접합함으로써, 보관시의 강도를 더욱더 높이게 된다.
한편, 알약 제조를 위해 원료를 약품 제조장치의 호퍼에 투입하려면, 톤백에서 이너백(30)의 배출부(35)의 하단 실링부(35SP)를 절단하여 배출구를 만들어주면 된다.
이때, 상기 아웃터백(20)의 외표면에는 배출 지지부(23)와 이너백(30)의 배출부(35) 부분을 위로 접어서 수납하도록 하단부가 개구된 절첩 지지부(70)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약품 제조기의 호퍼에 원료를 투입한 다음에 임시적으로 아웃터백(20)의 배출 지지부(23)와 이너백(30)의 배출부(35) 부분을 위로 접어서 절첩 지지부(70) 내부에 수납하고, 하부 묶음로프(23l)로 결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부인 아웃터백(20)과 이너백(30)을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를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으로 접어줌으로써 평상시에는 콤팩트한 시트 형태로 접어서 취급 운반하고, 원료 보관시에는 포대 형태로 다시 펼쳐져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톤백은 약품 원료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보관하고, 알약 등의 제조시에 약품 제조기에 보다 쉽게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사용성 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약 회사에서 알약(태블릿)을 만들기 위해 톤백에 파우더형 약품 원료를 보관하거나 일정 기간 숙성시키고, 약품 제조시에는 보통 자동화된 약품 제조장치의 호퍼에 원료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제약 회사에서 사용되는 톤백의 경우에는 상기한 보관시의 편리성과 안전성 및 약품 제조시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톤백의 규격은 대략 250kg 내지 500kg의 중량에 버틸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무게 상한치는 적어도 300kg 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톤백은 구조상 이러한 규격을 충분히 만족시키며, 약품 원료의 보관상 용이함은 물론 외부의 습기나 공기 또는 햇빛 등의 요인에 의해 원료가 변질되거나 변색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는 신뢰성 있는 톤백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이너백(30)은 흑색의 외부 시트(32)와, 유백색의 중간 시트(34)와, 투명의 내부 시트(36)로 구성되는데, 외부 시트(32)는 흑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빛을 모두 흡수하여 빛의 영향을 파우더형 원료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중간 시트(34)는 유백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빛을 모두 반사하므로, 흑색의 외부 시트(32)와 유백색의 중간 시트(34)의 연계 작용에 의해 외부의 빛으로 인한 적외선이나 자외선에 의한 약품 원료의 변질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내부 시트(36)는 무독성의 LDPE나 LLDPE 재질의 투명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 시트(36)와 보관 원료와의 사이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료의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내부 시트(36)와 약품 원료 사이에 만에 하나 예측하지 못한 화학반응이 일어나더면 변질이 될 수 있으므로, 내부 시트(36)만은 투명 시트로 구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약품 원료와의 사이에 화학 반응이 생길 여지를 완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이너백(30)의 내부 시트(36)를 투명 시트로 한 것에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은 아웃터백(20)은 보강용으로 기능하고, 이너백(30)은 원료 보관이 용이하고 습기나 햇빛 등의 외부 영향 요인으로부터 격리함으로써, 원료 보관의 편리성을 가지면서도 원료 보관의 안전성 등은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아웃터백(20) 자체도 UV 코팅재로 처리함으로써 빛에 의해 아웃터백(20) 자체가 삭거나 하는 등의 변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아웃터백(20)은 수지 재질의 포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아웃터백(20) 외표면에 회사 로고 등을 인쇄할 수도 있고, 그냥 라벨을 붙일 수도 있으며, 바코드도 붙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것들 대신에 언제든지 쓰거나 지울 수 있는 명판을 붙임으로써, 톤백 내부에 보관된 것이 어떠한 원료인지를 알려주는 내용 등을 쉽게 쓰거나 지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너백(30)은 상기와 같이 흑색의 외부 시트(32)와 유백색의 중간 시트(34) 및 투명의 내부 시트(36)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유백색의 중간 시트(34)는 다른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를 더 두껍게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시트(32)는 전체 두께의 30%, 내부 시트(36)는 전체 두께의 30%, 중간 시트(34)는 전체 두께의 40%로 하는데, 이처럼 유백색의 중간 시트(34)는 다른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를 더 두껍게 함으로써, 외부의 빛을 보다 많이 반사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의 빛에 의해 보관 원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너백(30)은 하측부에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의 거리가 호퍼 형태로 좁아지는 배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배출 가이드부의 하단부 중앙에 배출부(35)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의 외곽부는 서로 이웃한 베이스 시트지의 하측 시트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고정되고, 아웃터백(20)을 구성하기 위한 베이스 시트지의 서로 이웃한 상측 시트부(21)() 사이에는 접합 테이프(60)의 일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접합 테이프(60)의 타측부는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 외곽부에 접합됨으로써,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을 아웃터백(20)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톤백의 아웃터백(20)과 이너백(30)을 동시에 펼쳐서 이너백(30)의 내부로 원료를 투입할 때에 원료의 무게에 의해 이너백(30)의 메인 수용부(33)가 외부로 확장되는데,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 특히 이너백(30)의 메인 수용부(33) 부분이 아웃터백(20)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축성의 접합 테이프(60)에 의해 지지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이너백(30)이 찢어지지 않고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확장될 수 있으므로, 원료 보관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원료를 이너백(30)의 내부에 투입 보관할 때에 이너백(30)에서 무게 하중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메인 수용부(33) 부분이 접합 테이프(60)에 의해 아웃터백(20)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음으로 해서 이너백(30)이 원료 무게에 의해 무리하게 찢어지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 것이며, 이로 인해, 원료 보관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너백(30)은 하측 위치의 배출 가이드부의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실링부(구체척으로, 하부 양측 경사 실링부와 하부 양측 실링부의 상측 일부)가 구비되고, 이너백(30)의 배출 가이드부는 실링부의 바깥면 부분이 서로 이웃한 베이스 시트지의 하측 시트지 사이에 개재되어 재봉선(JC)에 의해 접합된다. 다시 말해, 이너백(30)의 실링부 안쪽 위치에 재봉선(JC) 처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너백(30)의 하측 실링부의 바깥 위치에 재봉선(JC) 처리가 됨으로써, 이너백(30) 자체에 재봉선(JC)으로 인한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이처럼 재봉선(JC)에 의한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너백(30)의 외부로 파우더형 원료가 세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는 상면 커버시트(42)가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되고, 사각 시트를 두 장으로 마주하도록 접은 플랩(50)의 하단부측을 아웃터백(20)의 상단부와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되, 플랩(50)의 좌우 양단부를 상하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재차 접어서 중첩 폴딩부(53)를 만든 상태에서 플랩(50)의 하단부측과 중첩 폴딩부(53)를 아웃터백(20)의 상단부와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함으로써, 아웃터백(20)과 상면 커버시트(42) 및 플랩(50)의 재봉선(JC) 결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랩(50)의 양단부에 너덜너덜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플랩(50) 안으로 접어 들어간 구조이므로, 플랩(50)에서 생기는 파티클(이물)이 약품 제조시에 사용되는 원료에 섞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플랩(50)의 하단 플랩(50) 폴딩부의 끝단을 열간 컷팅함으로써, 플랩(50)의 하단 플랩(50) 폴딩부가 너덜너덜해지지 않고 깔금하게 마무리되며, 이로 인해, 플랩(50)에서 생기는 파티클 등의 이물이 원료에 섞이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를 옆으로 펴고 다시 안으로 접어서 중첩 폴딩부(53)를 만들고, 이러한 중첩 폴딩부(53) 부분을 플랩(50)의 하단 플랩(50) 폴딩부 및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게 재봉선(JC)을 매개로 상호 접합함으로써, 아웃터백(20)과 플랩(50) 및 상면 커버시트(42) 사이의 접합 부분의 강도를 더욱 높여주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0. 아웃터백 21. 상측 시트부
22. 하측 시트부 23. 배출 지지부
30. 이너백 31. 투입부
33. 메인 수용부 35. 배출부

Claims (10)

  1.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복수개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하측에는 배출 지지부(23)를 갖는 포대 형태로 이루어진 아웃터백(20)과,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구비된 투입 가이드부(44)와,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수용부(33)의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된 포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아웃터백(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측방부의 일부가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투입부(31)는 상기 투입 가이드부(44)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부(35)는 상기 아웃터백(20)의 상기 배출 지지부(23)에 수용된 이너백(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백(20)과 상기 이너백(30)은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부가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절첩되어 콤팩트한 포대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는 상면 커버시트(42)가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투입 가이드부(44)는 플렉시블한 통자루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부가 상기 상면 커버시트(42)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 주위에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백(30)은 하측부에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의 거리가 호퍼 형태로 좁아지는 배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하단부 중앙에 상기 배출부(35)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외곽부는 서로 이웃한 상기 베이스 시트지의 하측 시트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아웃터백(2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시트지의 서로 이웃한 상측 시트부(21) 사이에는 접합 테이프(60)의 일측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선(JC)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상기 접합 테이프(60)의 타측부는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 외곽부에 접합되어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상부측을 상기 아웃터백(20)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백(30)은 하측 위치의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실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배출 가이드부는 상기 실링부의 바깥면 부분이 서로 이웃한 상기 베이스 시트지의 상기 하측 시트부(2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재봉선(JC)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백(20)의 외표면에는 상기 배출 지지부(23)()와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배출부(35) 부분을 위로 접어서 수납하도록 하단부가 개구된 절첩 지지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는 상면 커버시트(42)가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되고, 사각 시트를 두 장으로 마주하도록 접은 플랩(50)의 하단부측을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되, 상기 플랩(50)의 좌우 양단부를 상하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재차 접어서 중첩 폴딩부(53)를 만든 상태에서 상기 플랩(50)의 하단부측과 상기 중첩 폴딩부(53)를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 커버시트(42)와 함께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8. 상측 시트부(21) 하단에 양측단이 길이 방향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하측 시트부(22)가 일체화되며 상기 하측 시트부(22)의 하단에는 배출 지지부(23)가 구비된 구조의 베이스 시트지를 마련하는 과정과, 중간의 메인 수용부(33) 상측부에 밀봉처리된 투입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수용부(33)의 하측부에는 밀봉 처리된 배출부(35)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향하여 안쪽으로 절첩된 포대 형태의 이너백(30)을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베이스 시트지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 시트지 사이에는 상기 이너백(30)을 개재시키는 과정과, 각각의 베이스 시트지의 측면 외곽부와 상기 이너백(30)의 측면 외곽부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과,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상면 커버시트(42)를 상기 아웃터백(20)의 상단부에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는 과정과, 플렉시블한 통자루 형상의 투입 가이드부(44) 내부에 상기 이너백(30)의 상기 투입부(31)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 가이드부(44)의 하단부를 상기 상면 커버시트(42)의 상기 구멍 주위에 재봉선(JC)을 매개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지의 원료를 혼합하는 과정과, 상기 베이스 시트지의 직조를 위한 원사 스트랩을 제사하는 과정과, 상기 원사 스트랩을 직조하여 원단 시트를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원단 시트를 제단하는 과정을 거쳐서 상기 베이스 시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백(30)은 원재료를 기계에 투입하는 과정과, 상기 원재료를 실린더에 투입하여 융해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에 투입된 원재료에서 스크린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원재료를 내부에 환형의 필름 성형 슬릿이 동심원 형태로 구비된 삼중 다이스의 상기 필름 성형 슬릿에 통과시켜 삼층으로 봉투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삼중 다이스를 통과하여 성형된 봉투 필름을 플랫하게 형성하는 과정과, 플랫하게 성형된 상기 봉투 필름을 와인딩하는 과정과, 상기 봉투 필름의 양측단을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방향으로 절첩시켜 양측 위치에 두 개의 상하 외피 필름(31ufo) 내부에 두 개의 상하 내피 필름(31ufi)이 중첩된 구조의 폴딩 원단(310)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폴딩 원단(310)의 상하부를 열접하는 과정과, 상기 폴딩 원단(310)을 컷팅하여 상단 컷팅부(312)와 상부 양측 컷팅부(314), 중간 컷팅부(316), 하부 경사 컷팅부(317), 하부 양측 컷팅부(318) 및 하단 컷팅부(319)를 갖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컷팅된 폴딩 원단(310)의 상기 상측 외피 필름(31ufo)과 상측 내피 필름(31ufi)의 상단 컷팅부(312), 상부 양측 컷팅부(314), 중간 컷팅부(316), 하부 경사 컷팅부(317), 하부 양측 컷팅부(318) 및 하단 컷팅부(319)를 실링처리하여 밀봉하는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제조방법.
KR1020100004842A 2010-01-19 2010-01-19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85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42A KR20110085191A (ko) 2010-01-19 2010-01-19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42A KR20110085191A (ko) 2010-01-19 2010-01-19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91A true KR20110085191A (ko) 2011-07-27

Family

ID=4492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842A KR20110085191A (ko) 2010-01-19 2010-01-19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19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63B1 (ko) * 2013-04-19 2014-12-23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491820B1 (ko) * 2013-09-16 2015-02-11 최용덕 컨테이너백
CN110712872A (zh) * 2019-11-07 2020-01-21 常州信泰包装有限公司 液体周转吨袋
KR102272881B1 (ko) 2019-12-26 2021-07-05 주식회사 썬팩 접이식 톤백 컨테이너
KR102377427B1 (ko)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CN114313472A (zh) * 2021-12-31 2022-04-12 南京沪江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吨袋生产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63B1 (ko) * 2013-04-19 2014-12-23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491820B1 (ko) * 2013-09-16 2015-02-11 최용덕 컨테이너백
CN110712872A (zh) * 2019-11-07 2020-01-21 常州信泰包装有限公司 液体周转吨袋
KR102272881B1 (ko) 2019-12-26 2021-07-05 주식회사 썬팩 접이식 톤백 컨테이너
KR102377427B1 (ko)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CN114313472A (zh) * 2021-12-31 2022-04-12 南京沪江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吨袋生产线
CN114313472B (zh) * 2021-12-31 2023-06-23 南京沪江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吨袋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5191A (ko)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US5667071A (en) Photosensitive material package and packaging apparatus for the same
JP2019206398A (ja) シート材容器
WO2003055760A1 (fr) Sac d'emballage auto-portant, element d'emballage, rouleau de band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CN101272960A (zh) 柔性阀
JP201116832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I294395B (en) Gusseted bags
JP5340632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袋
CN109311546A (zh) 用于运送垫的袋以及相关方法
EP1877327B1 (en) Fibre web adapted for transporting sheet material
JP5327995B1 (ja) 吊り下げヘッダー付き横マチ袋の製造方法
CA2611393C (en) Protective packaging for an article
CN106414060A (zh) 包装件以及用于制造包装件的装置和方法
JP6127027B2 (ja) 二重構造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WO2008056694A1 (fr) Matériau de sac destiné à l'emballage, et corps d'emballage ayant une poignée de transport et utilisant le matériau de sac
KR200455252Y1 (ko) 포대
JPH11198990A (ja) 安定化した可撓性立方容器
JP3114706U (ja) ウエットティシュ包装体
BR112014010903B1 (pt) processo de fabricação de um recipiente flexível de grande capacidade, recipiente flexível obtido e embalagem correspondente
WO2019232602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in paper bag
JP2020063092A (ja) 逆止弁付き米袋
JP5580620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7860764U (zh) 一种纸塑复合的箱式八边封袋
EP4357271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bulk goods
KR20100011809U (ko) 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