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482A -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482A
KR20140125482A KR1020130043269A KR20130043269A KR20140125482A KR 20140125482 A KR20140125482 A KR 20140125482A KR 1020130043269 A KR1020130043269 A KR 1020130043269A KR 20130043269 A KR20130043269 A KR 20130043269A KR 20140125482 A KR20140125482 A KR 2014012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vehicle
vehicle
information
spee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544B1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3004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544B1/ko
Priority to US14/252,904 priority patent/US9286798B2/en
Priority to DE102014005693.7A priority patent/DE102014005693A1/de
Publication of KR2014012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은, 검지구간에 위치된 기지국에서 대상차량의 통신부로부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대상차량의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SPEEDING ENFORCEMENT METHOD OF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과속을 단속하는 과속 단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과속을 단속하는 과속 단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의 차량 과속 단속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과속 측정을 위한 방법 역시 꾸준히 고안되고 있다.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루프 검지기, 카메라 검지기, 레이더 검지기가 대표적이다. 루프 검지기는 아스팔트 노면에 차선당 2개의 루프 코일센서를 매설하고, 이를 연결하여 루프 코일 센서 위를 통과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한 유도용량의 변화량을 검지 및 증폭하여 차량의 존재 및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가진다. 그리고 카메라 검지기는 비디오 카메라 등으로 도로 상에 주행하는 차량의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는 방식을 가진다. 또한 레이더 검지기는 레이더를 이용해 차량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기후조건과 무관하게 차량의 속도, 차종, 교통량 등을 수집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과속 단속방법은, 특정 구간에서만 단속이 이루어지므로 운전자들이 검지구간에서만 제한속도를 유지하고, 비검지구간에서는 제한속도를 초과하여 달리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과속 방지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운전자가 비검지구간에서 급격히 속도를 줄이는 경향이 있어 사고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과속 단속방법에 사용되는 루프검지기 등의 장비가 매우 고가이므로 초기 설치비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96221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47924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은 차량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과속 단속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은, 검지구간에 위치된 기지국에서 대상차량의 통신부로부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대상차량의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 시 상기 검지구간에 구비된 촬영시스템으로 상기 대상차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대상차량에 과속경보를 전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에 벗어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비검지구간 도로변의 구조물에 구비된 보조기지국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지국이 구비된 구조물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비검지구간의 일정 거리마다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에 벗어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대상차량과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된 매개차량의 통신부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는, 복수의 매개차량이 순차적으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상호 전달하여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타 기관에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은 차량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비검지구간 외에서도 차량의 과속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속 단속에 이용되는 장비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통신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도 멀티 후프(MULTI HOP)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과속 단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 및 검지구간을 각각 주행하고 있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를 벗어난 위치를 주행하고 있을 경우 매개차량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를 벗어난 위치를 주행하고 있을 경우 도로변의 구조물에 구비된 보조기지국을 이용하여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과속을 단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과속 단속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종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과속 단속방법이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면 차량(100)이 비검지구간(R1)을 주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속도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차량(100)이 검지구간(R2)을 통과할 경우에는 도로의 하부에 매설되어 있는 루프검지기(10)가 차량의 진입시점 및 통과시점을 파악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촬영시스템(5)이 차량을 촬영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대상차량(100)이 비검지구간(R1) 및 검지구간(R2)을 각각 주행하고 있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과속 단속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대상차량(100)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검지구간(R2)에 위치된 기지국(7)에서 대상차량(100)에 구비된 통신부로부터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이때 대상차량(100)의 통신부와 기지국(7)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상차량(100)의 정보는 차량의 속도를 비롯하여 차량 고유 정보, GPS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이와 같이 수신된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차량(100)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통해, 현재 대상차량(100)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대상차량(100)의 속도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의 기준제한속도 이하일 경우에는 후속 조치를 시행하지 않도록 하며, 대상차량(100)의 속도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의 기준제한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속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대상차량(100)이 검지구간(R2)에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대상차량(100)에 과속경보를 전달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자신의 과속 상태를 인지하게 되고, 사전에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대상차량(100)이 검지구간(R2)에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대상차량(100)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7)에서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도중 대상차량(100)이 검지구간(R22)에 도달할 경우, 도달 시점의 속도를 검출하고, 이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를 경우 대상차량(100)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단계에서, 상기 대상차량(100)이 검지구간(R2)에 진입 시 상기 검지구간(R2)에 구비된 촬영시스템(5)으로 상기 대상차량(100)의 사진을 촬영하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과속차량으로 설정된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이를 경찰서, 보험사, 교통관제센터 등 타 기관에 송신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단속방법은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차량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비검지구간 외에서도 차량의 과속 여부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과속 단속에 이용되는 장비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를 벗어난 위치를 주행하고 있을 경우 매개차량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비검지구간(R1)은 전체 도로의 길이 등 상황에 따라 이후 도달할 기지국(7a)과의 통신범위 내인 제1비검지구간(R3)과, 이미 지나친 기지국(7b)과의 통신범위 내인 제3비검지구간(R5)과, 양측 기지국(7a, 7b)과의 통신범위를 이탈한 제2비검지구간(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비검지구간(R3)과 제3비검지구간(R5)은 각각 인접한 기지국(7a, 7b)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이므로, 해당 구간에서는 각 기지국(7a, 7b)에서 과속차량의 검지가 가능하다.
다만, 대상차량(100)이 제2비검지구간(R4)에 위치된 경우에는, 어느 기지국(7a, 7b) 측에서도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대상차량(100)과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의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한 매개차량(200)의 통신부에서 상기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7a, 7b)에 전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차량 간 통신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복수 대의 매개차량(200)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의 매개차량(200)이 순차적으로 상기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상호 전달하여 이를 상기 기지국(7a, 7b)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대상차량(100)이 비검지구간(R1)의 통신범위를 벗어난 제2비검지구간(R4)를 주행하고 있을 경우 도로변의 구조물(5c)에 구비된 보조기지국을 이용하여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 매개차량(200)을 이용하여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수신한 것에 비해, 본 실시예의 경우 도로변의 구조물(5c)에 미리 보조기지국을 설치하여, 대상차량(100)과 통신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7a, 7b)에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5c)은 가로등, 분리대 등 도로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보조기지국이 구비된 구조물(5c)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비검지구간(R1)의 일정 거리마다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통신이 불가한 제2비검지구간(R4)의 길이가 길 경우에도 구조물(5c)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대상차량(100)의 정보를 기지국(7a)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은 대상차량이 통신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멀티 후프(MULTI HOP)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 단속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과속을 단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차량 과속 단속방법의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기지국에서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고, 거리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대상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단속 시점이 아니므로 일단 과속 유무를 판단하고, 과속 시 소리 또는 영상 등으로 운전자에게 과속을 경고할 수 있다.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하였을 경우, 먼저 과속 유무를 판단하고, 과속 시에는 과속 경고를 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과속 경고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소리 및 영상으로 운전자에게 과속을 경고할 수 있다.
과속 경고가 이미 이루어졌을 경우, 대상차량은 검지구간에 진입 및 과속경고를 무시한 상태이므로 과속 차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기 수신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경찰서, 교통관제센터, 보험사 등 타 기관에 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차량의 과속 단속이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촬영시스템 5c: 구조물
7, 7a, 7b: 기지국 100: 대상차량
200: 매개차량

Claims (10)

  1. 검지구간에 위치된 기지국에서 대상차량의 통신부로부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대상차량의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한 시점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차량이 검지구간에 진입 시 상기 검지구간에 구비된 촬영시스템으로 상기 대상차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대상차량의 속도가 기준제한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대상차량에 과속경보를 전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에 벗어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비검지구간 도로변의 구조물에 구비된 보조기지국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지국이 구비된 구조물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비검지구간의 일정 거리마다 위치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차량이 비검지구간의 통신범위에 벗어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대상차량과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된 매개차량의 통신부에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단계는,
    복수의 매개차량이 순차적으로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상호 전달하여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을 과속차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타 기관에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차량간 무선통신 규약에 따라 상기 대상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KR20130043269A 2013-04-19 2013-04-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KR10149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269A KR101496544B1 (ko) 2013-04-19 2013-04-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US14/252,904 US9286798B2 (en) 2013-04-19 2014-04-15 Speeding enforcement method of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102014005693.7A DE102014005693A1 (de) 2013-04-19 2014-04-16 Geschwindigkeitsüberwachungsverfahren für ein fahrzeug unter verwendung von drahtloskommunik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269A KR101496544B1 (ko) 2013-04-19 2013-04-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482A true KR20140125482A (ko) 2014-10-29
KR101496544B1 KR101496544B1 (ko) 2015-02-26

Family

ID=5162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269A KR101496544B1 (ko) 2013-04-19 2013-04-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86798B2 (ko)
KR (1) KR101496544B1 (ko)
DE (1) DE1020140056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75A (ko) * 2018-02-22 2019-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선박 접안 시 항만 시설의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7598B1 (en) * 2015-08-26 2019-01-08 Mehdi Mozafari Energy storage system
US10008119B2 (en) * 2016-05-09 2018-06-26 Slow Ride LLC Slow moving object road warning system
US10574940B2 (en) 2017-10-31 2020-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ffic stop communications system
US10732640B2 (en) * 2018-04-13 2020-08-0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eforming differential analysis of vehicles
US11148670B2 (en) * 2019-03-15 2021-10-1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type of vehicle occupant based on locations of a portable device
KR102484688B1 (ko) * 2021-03-15 2023-01-04 주식회사 바이다 카메라와 레이더를 이용한 구간 단속 방법 및 구간 단속 시스템
KR102607710B1 (ko) 2023-07-31 2023-11-30 (주)웨이텍 차량 번호 인식에 기초한 과속여부 판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1195B1 (en) * 2000-03-22 2004-01-20 Laser Technology, Inc. Compact speed measurement system with onsite digital image capture, processing, and portable display
US6864784B1 (en) * 2002-07-19 2005-03-08 Barry Loeb Vehicle speed and safety warning system
KR20040106711A (ko) * 2003-06-11 2004-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한 속도위반 단속 시스템
KR20080047924A (ko)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시스템 및 그 교통정보 처리방법
JP5092774B2 (ja) * 2008-02-05 2012-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制限速度報知装置および制限速度報知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100962414B1 (ko) * 2008-06-24 2010-06-09 전자부품연구원 차량 상태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6221A (ko) 2010-02-22 2011-08-30 (주) 씨테크놀로지시스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87278A1 (en) * 2011-05-15 2012-11-15 Robert Danis Traffic Violation Photo Enforcement System
KR20130007157A (ko) * 2011-06-29 2013-01-18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무선식별장치를 이용한 구간단속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251961B1 (ko) 2011-12-29 2013-04-08 전자부품연구원 과속 단속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단말장치
US9493143B2 (en) * 2012-06-01 2016-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locity of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75A (ko) * 2018-02-22 2019-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선박 접안 시 항만 시설의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1888A1 (en) 2015-06-11
US9286798B2 (en) 2016-03-15
DE102014005693A1 (de) 2014-10-23
KR101496544B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544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과속 단속방법
US8519868B2 (en) Estimation of travel times using bluetooth
US10422649B2 (en) Autonomous driving sensing system and method
US7986247B2 (en) Advisory system for previewing local conditions on a highway
US8412446B2 (en) Travel history collection system and terminal side device used for it
JP4923736B2 (ja) 道路通信システムおよび道路通信方法
RU201714508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датчик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446546B1 (ko) 위치기반 실시간 차량정보 표시시스템
KR101602171B1 (ko) 이동형 도로 기상정보 수집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13662A (zh) 一种高速公路智能雾区引导系统
CN216110866U (zh) 一种基于rssi的隧道车辆事故检测及预警装置
KR20140119471A (ko)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집 및 주의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4921A (ko) 수신신호강도지수를 이용한 구간 검지기 및 이를 구비한 통행시간 산출 시스템과 방법
CN113112817A (zh) 一种基于车联网和跟驰行为的隧道车辆定位和预警系统及其方法
KR102247207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감지를 통한 교통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TW202222087A (zh) 用於交通相關的實體測距訊號的基於幾何的先聽後說(lbt)感測
KR20210032758A (ko) 터널 내 교통 흐름 정보에 기초한 교통 안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67746B1 (ko) 도로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55278A (ko) 차량용 레이더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7924A (ko) 교통정보 시스템 및 그 교통정보 처리방법
KR101430071B1 (ko) 도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2160126A (ja) 情報処理装置、運転支援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JP2019020910A (ja) 車線変更支援方法
KR101720861B1 (ko) 구간별 차량 속도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7902A (ko) 교통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