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440A -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440A
KR20140125440A KR1020147025950A KR20147025950A KR20140125440A KR 20140125440 A KR20140125440 A KR 20140125440A KR 1020147025950 A KR1020147025950 A KR 1020147025950A KR 20147025950 A KR20147025950 A KR 20147025950A KR 20140125440 A KR20140125440 A KR 20140125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put
data
processing apparatus
soun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루미 타가와
카츠미 이시카와
토시유키 하타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되어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음향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Description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ACOUSTIC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ACOUSTIC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노래방 장치를 포함하고, 각 노래방 장치에서는 동일한 악곡이 동시에 재생되어 각 노래방 장치에 입력된 가창음에 대하여 어떠한 신호 처리를 행하고, 그 신호 처리를 각 노래방 장치에서 독립으로 제어 가능한 통신 노래방 시스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원격 듀엣을 목적으로 해서 다거점간을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하여 영상이나 음성을 주고 받는 노래방 시스템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가창자의 ID나 가창 희망의 악곡 정보, 또는 파트 정보, 또는 키 컨트롤 등의 연주 정보를 서버에 등록해서 조건에 매치하는 듀엣 희망자의 응모를 접수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또는 특허문헌 3). 이 시스템에서는 듀엣 상대가 나타난 경우에는 그 악곡에 한해서 원격 듀엣을 부탁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통신망의 경로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5-77485호 공보 일본 특허 제 4062328 호 일본 특허 제 4100424 호
그러나, 특허문헌 1∼3의 시스템은 악곡 단위로 엔트리를 행하여 듀엣 상대를 찾아서 가창하는 시스템이며, 가창음의 키를 변경하거나, 가창음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한다는 조작을 각각의 거점에서 독립적으로 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공간에 있어서 노래방의 듀엣을 행하는 경우에는 서로의 취향에 맞는 노래방의 키를 설정할 수 없고, 어느 한 명의 가창자의 취향의 키에 맞추는 수밖에 없다. 또한, 동일한 공간에 있어서 개개의 가창음에 각각의 신호 처리를 실시해 버리면 서로 노래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상의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다른 거점에 있어서의 키나 신호 처리를 신경쓰지 않고, 각각의 거점에 있어서 취향의 키 설정이나 신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향 처리 장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되어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음향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하나의 음향 처리 장치에서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는 다른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함께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다. 또한, 제 1 입력음 데이터는 송신 수단에 의해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되고,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서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함께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다. 이때,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음향 처리 수단에 의해 음향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음색을 가공하는 음색 가공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음고를 변경하는 음고 변경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음향 처리 장치와 다른 음향 처리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독립해서 음고가 변경된 입력음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지고, 각 거점에서 어떠한 음향 처리를 행했는지에 상관없이 각각의 거점에서 원하는 처리 후의 입력음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각 거점에서 어떠한 음고로 변경했는지에 상관없이, 또는 어떠한 음색으로 가공했는지에 상관없이 각각의 거점에서 원하는 음고 또는 음색에 의한 입력음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서 지정된 제 2 지정에 따라서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상기 음향 처리 장치에서 지정된 제 1 지정에 따라서 변경하는 수단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는 제 1 지정에 따라서 음고의 변경이 행해지고,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함께 상기 하나의 음향 처리 장치에서 재생된다. 또한,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지정에 따라서 음고가 변경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지고, 이 재생에 맞추어 입력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각각의 지정에 따른 음고의 변경이 행해지고 재생이 행해진다. 그 결과, 각각의 지정에 따른 음고가 상이한 경우에도 위화감 없이 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기준이 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한 관계를 갖도록 변경하는 수단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적절하게 변경해서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상대방에게 알리지 않고 상대방의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적절하게 변경해서 즐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입력음 데이터의 키를 변경하는 수단, 또는 입력음 데이터가 기준이 되는 음 데이터에 대하여 하모니를 구성하도록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수단, 또는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가 기준이 되는 음 데이터의 음고에 대하여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입력음 데이터의 키를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입력음 데이터를 하모니를 구성하도록 변경하거나, 또는 자기 자신의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음 데이터의 피치를 적정하게 변경하거나 하는 것을 상대방에게 알리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을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및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추가해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으로 하고,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및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가창 데이터로 하고,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을 상기 가창 데이터 또는 상기 악곡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노래방 등의 입력음 데이터인 가창 데이터의 음고를 적절하게 변경해서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상대방에게 알리지 않고 상대방의 가창 데이터나 악곡 데이터의 음고를 적절하게 변경해서 즐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색을 가공하는 음색 가공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대에게 알리지 않고 상대의 입력음 데이터의 음색을 가공해서 즐길 수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각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입력음이 서로 통신되어서 재생되는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 재생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1의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 재생 수단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1 음향 처리 수단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2 음향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서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는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함께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 1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다. 또한, 제 1 입력음 데이터는 제 1 송신 수단에 의해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되고,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서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함께 제 2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다. 이때, 제 1 입력음 데이터는 제 1 음고 변경 수단에 의해 음향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입력음 데이터도 제 2 음고 변경 수단에 의해 음향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독립하여 음향 처리가 행해진 입력음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지고, 각 거점에서 어떠한 음향 처리가 행해졌는가에 상관없이 각각의 거점에서 원하는 처리 후의 입력음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음색을 가공하는 제 1 음색 가공 수단이며, 상기 제 2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색을 가공하는 제 2 음색 가공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제 1 음고 변경 수단이며, 상기 제 2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제 2 음고 변경 수단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통신 음향 처리 방법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입력음이 서로 통신되어서 재생되는 통신 음향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를 제어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 재생 스텝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송신 스텝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 재생 스텝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송신 스텝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1 음향 처리 스텝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2 음향 처리 스텝을 실행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노래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노래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노래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노래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음향 처리 장치(노래방 장치)의 블록도이다.
<A: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노래방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노래방 시스템(100)은 거점A에 설치된 노래방 장치(10A)와 거점B에 설치된 노래방 장치(10B)를 구비한다.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는 인터넷이나 LAN 등의 네트워크(20)를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노래방 장치(10A)는 유저 인터페이스(1A), CPU(2A), 키 컨트롤러(3A), 통신 인터페이스(4A), 곡 데이터베이스(5A), 믹서(6A), 앰프(7A)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A)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노래방 곡의 곡목 번호나 타이틀을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이고, 예를 들면 거점A에 있는 유저(30A)가 이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해서 원하는 노래방 곡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래방 곡의 키를 변경하는 조작도 이 유저 인터페이스(1A)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CPU(2A)는 노래방 장치(10A)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고, 노래방 장치(10A)를 구성하는 요소와 접속되어 있다.
키 컨트롤러(3A)는 유저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키를 설정한 경우에, 노래방 곡의 원곡의 키를 그 설정된 키로 변경하는 신호 처리 수단이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A)는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곡 데이터베이스(5A)는 노래방 곡의 곡 데이터가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이며, 유저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노래방 곡을 믹서(6A)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믹서(6A)는 거점A의 유저(30A)의 가창음과, 노래방 곡의 반주음과, 노래방 장치(10B)로부터 송신되어 온 유저(30B)의 가창음을 믹스해서 앰프(7A)에 출력하는 수단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30A)의 가창음과 노래방 곡의 반주음을 믹스해서 통신 인터페이스(4A)에 출력한다.
앰프(7A)는 믹서(6A)로부터 출력되는 유저(30A)의 가창음과, 노래방 곡의 반주음과, 노래방 장치(10B)로부터 송신되어 온 유저(30B)의 가창음이 믹스된 음을 증폭해서 이 앰프(7A)에 접속된 스피커(8A)로부터 출력한다.
거점A에 있어서는, 유저(30A)의 가창음은 노래방 장치(10A)에 접속된 마이크(9A)에 의해 수음(收音)되어 믹서(6A)에 입력된다.
한편, 노래방 장치(10B)는 유저 인터페이스(1B), CPU(2B), 키 컨트롤러(3B), 통신 인터페이스(4B), 믹서(6B), 앰프(7B)를 구비하고 있다. 곡 데이터베이스(5A)에 상당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노래방 장치(10B)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B)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노래방 곡의 키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CPU(2B)는 노래방 장치(10B)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며, 노래방 장치(10B)를 구성하는 요소와 접속되어 있다.
키 컨트롤러(3B)는 유저가 유저 인터페이스(1B)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키를 설정한 경우에,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송신되어 온 유저(30A)의 가창음과 노래방 곡의 키를 그 설정된 키로 변경하는 신호 처리 수단이다. 또한, 거점B의 유저(30B)의 가창음을 노래방 장치(10A)에 송신할 때에는 유저(30B)의 가창음의 키를 노래방 장치(10A)에서 설정된 키로 변경하는 것도 행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B)는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믹서(6B)는 거점B의 유저(30B)의 가창음과,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송신되어 온 노래방 곡의 반주음 및 유저(30A)의 가창음을 믹스해서 앰프(7B)에 출력하는 수단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30B)의 가창음을 통신 인터페이스(4B)에 출력한다.
앰프(7B)는 믹서(6B)로부터 출력되는 유저(30B)의 가창음과, 노래방 곡의 반주음과, 유저(30A)의 가창음이 믹스된 소리를 증폭해서 이 앰프(7B)에 접속된 스피커(8B)로부터 출력한다.
거점B에 있어서는, 유저(30B)의 가창음은 노래방 장치(10B)에 접속된 마이크(9B)에 의해 수음되어 믹서(6B)에 입력된다.
[키 컨트롤 처리]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의 각각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행하여지는 키 컨트롤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거점A의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해서 노래방 장치(10A)에 구비된 곡 데이터베이스(5A) 중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노래방 곡으로 거점B의 유저(30B)와 원격지 듀엣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거점A의 유저(30A)가 노래방 곡을 선택한 후,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해서 노래방 곡의 키를 오리지널 키(n)를, 이 키보다 높은 지정 키(n+p)로 변경했다고 한다.
그 결과, CPU(2A)를 통해서 키 컨트롤러(3A)가 제어되어, 곡 데이터베이스(5A)로부터 출력되는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는 오리지널 키(n)에서 지정 키(n+p)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지정 키(n+p)로 키가 변경된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는 믹서(6A) 및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반주음으로서 출력되고, 유저(30A)는 이 출력된 음을 들으면서 변경된 지정 키(n+p)에 맞추어 마이크(9A)를 사용하여 가창한다.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는 지정 키(n+p)로 키가 변경된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와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가창음 및 반주음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반주음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는 통신 인터페이스(4A)에 출력되고, 통신 인터페이스(4A)는 CPU(2A)에 의해 제어되어 이 가창 데이터(Vo. A)와 반주음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를 노래방 장치(10B)에 송신한다.
또한, 노래방 장치(10B)로부터 송신되는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노래방 장치(10B)에 있어서 키가 지정 키(n+p)로 변경되어 있다. 이 가창 데이터(Vo. B')가 통신 인터페이스(4A)를 통해서 믹서(6A)에 입력된다. 따라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유저(30B)의 지정 키(n+p)로 키가 변경된 가창 데이터(Vo. B')와, 지정 키(n+p)로 키가 변경된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는 믹서(6A)에 있어서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각각의 가창음과 키가 변경된 노래방 곡의 반주음으로서 출력되게 된다.
한편, 거점B에 있어서는 통신 인터페이스(4B)에 입력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반주음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는 통신 인터페이스(4B)가 CPU(2B)로 제어됨으로써 노래방 장치(10B)에 수신된다.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반주음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는 유저(30A)에 의해 그 키가 오리지널 키(n)에서 이것보다 높은 지정 키(n+p)로 변경되어 있다. 유저(30B)는 이 지정 키(n+p)가 자신의 키에 맞지 않다고 느낀 경우에는 믹스된 데이터(Vo. A+MI)의 키를 이 지정 키(n+p)보다 낮은 키(n+p+q)로 변경한다.
이 처리는 유저(30B)가 유저 인터페이스(1B)를 조작함으로써 낮은 키(n+p+q)로의 지정을 행하면, CPU(2B)가 키 컨트롤러(3B)를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해서, 낮은 키(n+p+q)로 변경된 믹스된 데이터(Vo. A+MI)와 마이크(9B)를 통해서 수음된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믹서(6B)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B)를 통해서 스피커(8B)로부터 유저(30A)의 가창음, 노래방 곡의 반주음, 그리고 유저(30B)의 가창음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동시에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믹서(6B)를 통해서 통신 인터페이스(4B)에 출력되지만, 이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유저(30A)가 변경한 높은 지정 키(n+p)보다 낮은 키(n+p+q)로 변경된 반주 데이터에 맞추어 가창한 가창 데이터이므로, 역시 그 키는 유저(30A)가 변경한 높은 지정 키(n+p)보다 낮은 키(n+p+q)로 되어 있다.
그래서, 노래방 장치(10B)의 CPU(2B)가 키 컨트롤러(3B)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낮은 키(n+p+q)로 되어 있는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의 키는 유저(30A)가 변경한 높은 지정 키(n+p)의 가창 데이터(Vo. B')가 되도록 변경된다.
이와 같이, 지정 키(n+p)로 키가 변경된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노래방 장치(10A)의 통신 인터페이스(4A)에 입력되어 노래방 장치(10A)에 수신된다.
따라서, 거점A에 있어서는 노래방 곡의 반주음은 유저(30A)가 지정한 지정 키(n+p)로 재생되고, 유저(30A)도 이 지정 키(n+p)에 맞추어 가창한다. 그리고, 노래방 장치(10B)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유저(30B)의 가창음도 그 키가 지정 키(n+p)가 되도록 변경되어 있으므로, 유저(30A)는 같은 지정 키(n+p)로 유저(30B)와 듀엣할 수 있다.
또한, 거점B에 있어서는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유저(30A)의 가창음과 노래방 곡의 반주음은 상기 낮은 키(n+p+q)로 변경되므로, 유저(30B)도 자신에게 맞는 키(n+p+q)로 유저(30A)와 듀엣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를 믹스해서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노래방 장치(10B)에 송신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를 각각의 데이터로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노래방 장치(10B)에 송신하는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는 오리지널의 키(n)인 채로도 좋다. 노래방 장치(10B)에 있어서는,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의 키를 오리지널의 키(n)에서 유저(30B)가 지정한 키(n+p+q)로 변경함과 아울러,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의 키(n+p)를 유저(30B)가 지정한 키(n+p+q)로 변경하면 좋다.
또한, 노래방 장치(10B) 내에서 실행한 키의 변경 처리는 노래방 장치(10A) 내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유저(30B)가 유저 인터페이스(1B)를 조작함으로써 지정한 키의 정보가 노래방 장치(10B)로부터 노래방 장치(10A)에 송신되어, 노래방 장치(10A)에 있어서 키의 변경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노래방 장치(10B) 내에서 실행한 키의 변경 처리는 양 거점을 접속하는 네트워크(20) 상의 장치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노래방 장치(10A)에 있어서도, 또한 노래방 장치(10B)에 있어서도 앰프에 의해 재생되기 직전에 각각의 거점에서 설정한 키로의 변경 처리가 행해져 있으면 좋고, 그 변경 처리를 행하는 장소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격지 듀엣을 행하는 경우에 각각의 거점에 있어서 각각의 취향의 키로 듀엣을 즐길 수 있다.
<B: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의 공통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하모니 재생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통신 노래방 시스템(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는 각각 하모니 데이터베이스(11A)와 하모니 데이터베이스(11B)가 구비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 및 노래방 장치(10B)와 같은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거점A의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해서 노래방 장치(10A)에 구비된 곡 데이터베이스(5A) 중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노래방 곡으로 거점B의 유저(30B)와 원격지 듀엣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는 각각 하모니 데이터베이스(11A)와 하모니 데이터베이스(11B)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하모니 데이터베이스는 하모니용의 보면(譜面)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어, 소정의 키에 대한 키를 선택하면 하모니가 구성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와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는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노래방 장치(10B)로부터는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가 송신되어 오지만, 이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노래방 장치(10A)에 있어서는 CPU(2A)가 키 컨트롤러(3A)를 제어함으로써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로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키 컨트롤러(3A)는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의 진행 정보와 하모니 데이터베이스(11A)에 기록된 보면 데이터를 조합해서, 수신된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를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의 가창 데이터(Vo. B')로 하도록 리얼타임으로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이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로 변경된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는 믹서(6A)에 의해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와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와 함께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유저(30B)는 통상의 키로 가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점A에 있어서는 유저(30A)의 가창음과 유저(30B)의 가창음이 하모니를 구성하여 재생되게 된다.
한편, 거점B에 있어서는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가 송신되어 온다. 이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는 노래방 장치(10B)에 있어서는 CPU(2B)가 키 컨트롤러(3B)를 제어함으로써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로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키 컨트롤러(3B)는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의 진행 정보와 하모니 데이터베이스(11B)에 기록된 보면 데이터를 조합해서, 수신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를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의 가창 데이터(Vo. A')로 하도록 리얼타임으로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이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로 변경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는 믹서(6B)에 의해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와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와 함께 믹스되어 앰프(7B)를 통해서 스피커(8B)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유저(30A)는 통상의 키로 가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점B에 있어서는 유저(30B)의 가창음과 유저(30A)의 가창음이 하모니를 구성하여 재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각의 거점의 유저는 보통의 키로 가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거점의 유저의 가창음이 하모니를 구성하는 키로 변경되어서 재생되므로 각각의 거점에 있어서 하모니를 구성하는 듀엣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가창 데이터를 다른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서 하모니를 구성하도록 신호 처리를 행했지만, 한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로부터 송신하기 전에 이와 같은 신호 처리를 행하고, 그 신호 처리를 행한 가창 데이터를 다른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송신 전에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한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의 유저의 가창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 데이터와, 노래방용의 반주음 데이터를 믹스해서 다른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하모니를 구성하도록 가창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공정은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를 접속하는 네트워크(20) 상의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거점에서는 보통으로 노래방 곡의 반주음에 맞추어 가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거점의 가창을 하모니 효과가 있는 가창으로 해서 즐길 수 있다.
<C: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의 공통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가창 데이터의 음고를 선택한 악곡 데이터의 메인 멜로디의 음고에 근접시키는 보정을 행하는 통신 노래방 시스템(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는 각각 피치 보정 수단(12A)과 피치 보정 수단(12B)이 구비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 및 노래방 장치(10B)와 같은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거점A의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해서 노래방 장치(10A)에 구비된 곡 데이터베이스(5A) 중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노래방 곡으로 거점B의 유저(30B)와 원격지 듀엣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함으로써 피치 보정을 행하는 레벨을 지정하면, 피치 보정 수단(12A)은 마이크(9A)에 의해 입력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의 음고를 선택한 악곡 데이터의 메인 멜로디의 음고에 근접하도록 보정해서 보정 가창 데이터(Vo. A')를 생성한다.
이 유저(30A)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는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노래방 장치(10B)로부터는 유저(30B)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B')가 송신되어 오지만, 이 유저(30B)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B')도 유저(30A)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와 함께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유저(30A)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는 통신 인터페이스(4A)를 통해서 노래방 장치(10B)에 송신된다.
한편, 거점B에 있어서는 유저(30B)가 유저 인터페이스(1B)를 조작함으로써 피치 보정을 행하는 레벨을 지정하면, 피치 보정 수단(12B)은 마이크(9B)에 의해 입력된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의 음고를 선택한 악곡 데이터의 메인 멜로디의 음고에 근접하도록 보정하여 보정 가창 데이터(Vo. B')를 생성한다.
이 유저(30B)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B')는 믹서(6B)에 입력되어 앰프(7B)를 통해서 스피커(8B)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노래방 장치(10A)로부터는 유저(30A)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가 송신되어 오지만, 이 데이터도 유저(30B)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B')와 함께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B)를 통해서 스피커(8B)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유저(30B)의 보정 가창 데이터(Vo. B')는 통신 인터페이스(4B)를 통해서 노래방 장치(10A)에 송신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신의 가창의 음고를 악곡 데이터의 메인 멜로디의 음고에 근접하도록 보정한 후에 다른 거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를 보정 가창 데이터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를 믹스한 데이터로 했지만, 이들은 각각의 데이터로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노래방 장치(10A)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에 대한 피치 보정 처리는 노래방 장치(10B)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거점A에 있어서는 보정되어 있지 않은 유저(30A)의 가창을 듣고, 거점B에 있어서는 피치 보정된 유저(30A)의 가창을 듣게 된다.
반대로, 노래방 장치(10B)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에 대한 피치 보정 처리는 노래방 장치(10A)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거점B에 있어서는 보정되어 있지 않은 유저(30B)의 가창을 듣고, 거점A에 있어서는 피치 보정된 유저(30B)의 가창을 듣게 된다.
이와 같이, 한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가창 데이터를 다른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 있어서 피치 보정하도록 해도 좋고, 한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보정 가창 데이터를 다른쪽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 있어서 더 피치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과 같은 피치 보정의 처리 공정은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를 접속하는 네트워크(20) 상의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신의 가창의 음고를 선택한 악곡 데이터의 메인 멜로디의 음고에 근접하도록 보정한 후에, 상대의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 송신해서 피치 보정된 가창을 상대에게 들려줄 수 있다. 또한, 다른 거점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가창 데이터를 상대에게 알리지 않고 피치 보정해서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명의 유저 또는 양쪽 유저의 가창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적정한 피치에서의 듀엣을 즐길 수 있다.
<D: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대의 가창 데이터에 대하여 보이스 체인지 처리를 행하는 통신 노래방 시스템(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는 각각 보이스 체인지 수단(13A)과 보이스 체인지 수단(13B)이 구비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의 노래방 장치(10A) 및 노래방 장치(10B)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보이스 체인지란 남성의 목소리를 여성의 목소리로 바꾸거나, 전자적인 소리로 바꾸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거점A의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해서 노래방 장치(10A)에 구비된 곡 데이터베이스(5A) 중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노래방 곡으로 거점B의 유저(30B)와 원격지 듀엣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30A)가 유저 인터페이스(1A)를 조작함으로써 보이스 체인지 처리를 행하는 것을 지정하면, 보이스 체인지 수단(13A)은 마이크(9A)에 의해 입력된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Vo. A)에 대하여 보이스 체인지 처리를 행해서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A')를 생성한다.
이 유저(30A)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는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노래방 장치(10B)로부터는 유저(30B)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B')가 송신되어 오지만, 이 유저(30B)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B')도 유저(30A)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와 함께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A)를 통해서 스피커(8A)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유저(30A)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는 통신 인터페이스(4A)를 통해서 노래방 장치(10B)에 송신된다.
한편, 거점B에 있어서는 유저(30B)가 유저 인터페이스(1B)를 조작함으로써 보이스 체인지 처리를 행하는 것을 지정하면, 보이스 체인지 수단(13B)은 마이크(9B)에 의해 입력된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Vo. B)에 대하여 보이스 체인지 처리를 행해서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B')를 생성한다.
이 유저(30B)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B')는 믹서(6B)에 입력되어 앰프(7B)를 통해서 스피커(8B)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노래방 장치(10A)로부터는 유저(30A)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A')와 노래방 곡의 반주 데이터(MI)가 믹스된 데이터(Vo. A'+MI)가 송신되어 오지만, 이 데이터도 유저(30B)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B')와 함께 믹서(6A)에 의해 믹스되어 앰프(7B)를 통해서 스피커(8B)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유저(30B)의 보이스 체인지 가창 데이터(Vo. B')는 통신 인터페이스(4B)를 통해서 노래방 장치(10A)에 송신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신의 가창을 보이스 체인지해서 다른 거점에 들려주어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래방 장치(10A)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를 보이스 체인지 데이터와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를 믹스한 데이터로 했지만, 이들은 각각의 데이터로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노래방 장치(10A)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저(30A)의 가창 데이터에 대한 보이스 체인지 처리는 노래방 장치(10B)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거점A에 있어서는 보이스 체인지되어 있지 않은 유저(30A)의 가창을 듣고, 거점B에 있어서는 유저(30A)에게 알리지 않고 보이스 체인지된 유저(30A)의 가창을 듣게 된다.
반대로, 노래방 장치(10B)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저(30B)의 가창 데이터에 대한 보이스 체인지 처리는 노래방 장치(10A)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거점B에 있어서는 보이스 체인지되어 있지 않은 유저(30B)의 가창을 듣고, 거점A에 있어서는 유저(30B)에게 알리지 않고 보이스 체인지된 유저(30B)의 가창을 듣게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보이스 체인지의 처리 공정은 노래방 장치(10A)와 노래방 장치(10B)를 접속하는 네트워크(20) 상의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의 각 노래방 장치에 본 실시형태의 보이스 체인지 수단을 구비하고,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키 컨트롤 처리, 하모니 처리, 또는 피치 보정 처리와 보이스 체인지 처리를 조합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신의 가창을 보이스 체인지해서 다른 거점에 들려주어 즐길 수 있다. 또한, 다른 거점의 가창을 상대에게 알리지 않고 보이스 체인지해서 들으며 즐길 수 있다.
<E: 응용>
또한, 상술한 모든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노래방 장치를 접속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2개 이상의 복수의 노래방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각 신호 처리는 각각의 노래방 장치 내에서 행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노래방 장치를 접속하는 네트워크 상에 제어용의 장치를 설치하여 그 장치로 신호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각 거점에 있어서의 노래방 장치의 처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든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거점의 노래방 장치에 장착된 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를 출력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노래방 곡의 반주음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를 다른 장치로 해서 네트워크 상에 배치하여 원격 조작으로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통신 노래방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로 원격지에 있으면서 생연주의 세션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세션의 경우에는 각각의 장치로부터 가창 데이터 이외에 악기의 연주를 마이크 등으로 입력하면 좋다. 또한, 세션에 참가하는 멤버가 각각 자신이 연주하는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 악곡 데이터인, 소위 마이너스 원 형식의 반주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피아노의 생연주로 합창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피아노의 생연주와 합창의 가창 데이터를 마이크로 입력하면 좋다. 또한, 서로 원격지에 있으면서 연주 없는 아카펠라로 합창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파트의 가창 데이터를 마이크로 입력하면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노래방 시스템 및 통신 노래방 시스템에 포함되는 노래방 장치로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시스템 또는 장치로서 실현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컴퓨터인 범용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또는 장치의 동작을 행해도 좋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격납해서 배포하거나,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이용해서 배포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음 데이터에 행하는 음향 처리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키 설정이나 신호 처리 등의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음향 처리 장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되어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음향 처리 수단(120A)을 구비한 장치로 해서 표현되며, 예를 들면 거점A에서는 도 5에 도시되는 장치가 된다. 다른 요소의 유무나 다른 요소의 구체적인 형태는 임의이다.
본 출원은 2012년 4월 4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일본 특허 출원 2012-085510에 의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거점에 있어서 독립하여 음향 처리가 행해지고, 각각의 거점에서 원하는 음향 처리가 실시된 음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 통신 노래방 시스템 1A, 1B : 유저 인터페이스
2A, 2B : CPU 3A, 3B : 키 컨트롤러
4A, 4B : 통신 인터페이스 5A : 곡 데이터베이스
6A, 6B : 믹서 7A, 7B : 앰프
8A, 8B : 스피커 9A, 9B : 마이크
10A, 10B : 노래방 장치 20 : 네트워크

Claims (12)

  1.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되어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음향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음색을 가공하는 음색 가공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음고를 변경하는 음고 변경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상기 다른 음향 처리 장치에서 지정된 제 2 지정에 따라서 변경 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상기 음향 처리 장치에서 지정된 제 1 지정에 따라서 변경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제 1 입력음 데이터 또는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기준이 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한 관계를 갖도록 변경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입력음 데이터의 키를 변경하는 수단, 또는 입력음 데이터가 기준이 되는 음 데이터에 대하여 하모니를 구성하도록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수단, 또는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가 기준이 되는 음 데이터의 음고에 대하여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및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추가해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 및 제 2 입력음 데이터는 가창 데이터이고,
    상기 음고 변경 수단은 상기 가창 데이터 또는 상기 악곡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8.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각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입력음이 서로 통신되어서 재생되는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 재생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 재생 수단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송신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1 음향 처리 수단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2 음향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음색을 가공하는 제 1 음색 가공 수단이고,
    상기 제 2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색을 가공하는 제 2 음색 가공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제 1 음고 변경 수단이고,
    상기 제 2 음향 처리 수단은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의 음고를 변경하는 제 2 음고 변경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처리 장치.
  11.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입력음이 서로 통신되어서 재생되는 통신 음향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향 처리 방법.
  12.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음향 처리 장치와 제 2 음향 처리 장치를 제어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1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 재생 스텝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송신 스텝과,
    상기 제 2 음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음향 처리 장치에 입력된 제 2 입력음 데이터와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 1 입력음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 재생 스텝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를 상기 제 1 음향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송신 스텝과,
    상기 제 1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1 음향 처리 스텝과,
    상기 제 2 입력음 데이터에 음향 처리를 행하는 제 2 음향 처리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7025950A 2012-04-04 2013-04-04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 KR20140125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5510A JP2013217953A (ja) 2012-04-04 2012-04-04 音響処理装置および通信音響処理システム
JPJP-P-2012-085510 2012-04-04
PCT/JP2013/060366 WO2013151140A1 (ja) 2012-04-04 2013-04-04 音響処理装置および通信音響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440A true KR20140125440A (ko) 2014-10-28

Family

ID=4930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950A KR20140125440A (ko) 2012-04-04 2013-04-04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3217953A (ko)
KR (1) KR20140125440A (ko)
CN (1) CN104170005A (ko)
TW (1) TWI496136B (ko)
WO (1) WO2013151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8439B2 (ja) * 2013-02-28 2017-10-04 株式会社第一興商 ネットワーク合唱における演奏キー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6415341B2 (ja) * 2015-01-30 2018-10-31 株式会社第一興商 ハーモニー歌唱のためのピッチシフト機能を備えたカラオ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977B2 (ja) * 1995-01-17 1998-12-1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937070B2 (ja) * 1995-04-12 1999-08-23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848286B2 (ja) * 1995-09-29 1999-01-2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952523B2 (ja) * 1996-08-09 2007-08-01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709631B2 (ja) * 1996-11-20 2005-10-2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KR100274046B1 (ko) * 1998-10-19 2000-12-15 구자홍 다기능 네트워크 노래방 장치
JP3729772B2 (ja) * 2001-11-30 2005-12-21 株式会社第一興商 楽曲の音階に基づいて歌声をピッチシフトするカラオケ装置
JP4188013B2 (ja) * 2002-07-17 2008-11-26 株式会社第一興商 ファイル保管サーバに預託した歌唱トラック録音ファイルをカラオケ演奏装置に取り寄せて合唱することができ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演奏装置
JP2004093975A (ja) * 2002-08-30 2004-03-25 Casio Comput Co Ltd 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4219234B2 (ja) * 2003-08-28 2009-02-0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ラオケシステム、音楽演奏通信装置、及び演奏同期方法
JP2008083201A (ja) * 2006-09-26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
JP5380109B2 (ja) * 2009-02-23 2014-01-08 株式会社タイトー カラオケサービスシステム、配信サーバ、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70005A (zh) 2014-11-26
TWI496136B (zh) 2015-08-11
TW201346885A (zh) 2013-11-16
JP2013217953A (ja) 2013-10-24
WO2013151140A1 (ja)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7326B2 (ja) 歌唱音声の伝送遅延に対応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410336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
KR20140125440A (ko) 음향 처리 장치 및 통신 음향 처리 시스템
JP5459331B2 (ja) 投稿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71226A (ja) 音楽再生システム、音楽再生方法
JP5454530B2 (ja) カラオケ装置
JP6220576B2 (ja) 複数人による通信デュエットに特徴を有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5037846A (ja)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及び情報設定方法
JP656555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サーバ、カラオケ装置
JP2006154777A (ja) 音楽生成システム
JP2015225302A (ja) カラオケ装置
JP2019040167A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08439B2 (ja) ネットワーク合唱における演奏キー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10256720A (ja) オーディオデータ作成システム、オーディオ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24119B2 (ja) カラオケ装置
JP5510435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34398B2 (ja) 音処理装置、音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19236B2 (ja) 音処理装置、音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00578A (ja) 音楽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14071214A (ja) 音楽再生装置、音楽再生システム、音楽再生方法
JP2014048471A (ja) サーバ、音楽再生システム
JP6003861B2 (ja) 音響データ作成装置、プログラム
WO2018092286A1 (ja) 音処理装置、音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14309A (ja) オンラインセッションサーバ装置
JP6182011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