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813A -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 Google Patents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813A
KR20140121813A KR20147012643A KR20147012643A KR20140121813A KR 20140121813 A KR20140121813 A KR 20140121813A KR 20147012643 A KR20147012643 A KR 20147012643A KR 20147012643 A KR20147012643 A KR 20147012643A KR 20140121813 A KR20140121813 A KR 2014012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alant
laminated film
resin composition
c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오카모토
코우스케 가시마
마사카즈 이나다
미호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08L23/082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cyclic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system;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1Organometallic coupling reactions
    • C08G2261/418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sation [ROM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내용물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에 대한 비흡착성과, 히트 시일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를 함유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그 배합비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10∼95중량%,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5∼90중량%인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RESIN COMPOSITION FOR SEALANTS, LAMINATED FILM, AND PACKAGING BAG}
본 발명은 저분자량의 유기 화합물에 대한 비흡착성 및 배리어성이 우수하며, 또한 안정적인 히트 시일이 가능한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월 1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00322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실란트로 한 포장 필름은 저분자량의 유기 화합물에 대한 비흡착성 및 배리어성이 떨어지고, 음식물이나 화장품 등의 향기 성분이 흡착되어 풍미가 변화하거나, 화장품이나 약제 등의 미량인 유효 성분이 침투 혹은 흡착되어 효능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포장 필름에 대한 영향으로는 내용품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이나 알코올류, 계면활성제 등의 유기 성분이 침투함으로써, 포장 필름 내부의 접착제층이나 앵커제층, 인쇄층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층간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켜, 디라미네이션(박리)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를 특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블렌드한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유리 전이점이 낮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A)와, 유리 전이점이 높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B)를 특정 배합 비율 범위에서 블렌드한 용융 압출용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913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31253호
특허문헌 1의 경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베이스 수지(주성분이 되는 수지)이기 때문에, 포장 필름을 백으로 했을 때 내용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기 성분이 실란트에 흡착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은 TOPAS(등록상표)사의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끼리를 블렌드하는 것으로, 포장 필름을 백으로 했을 때 내용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기 성분이 실란트에 흡착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내용물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에 대한 비흡착성과, 히트 시일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이하, COP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이하, COC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를 함유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10∼95중량%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5∼9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OP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다. 상기 COC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과 비고리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와, 적층 필름의 한 쪽 최표면이 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갖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이 상기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란트층을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에 대한 비흡착성과, 히트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형태예의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를 함유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COP 10∼95중량%와, COC 5∼90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형태예의 적층 필름은 기재와 실란트층과, 필요에 따라서 다른 중간층을 적층한 구성이다. 즉, 적층 필름의 한 쪽 최표면이 되는 실란트층과 기재와, 필요에 따라서 다른 중간층, 접착제층 또는 앵커제층 등의 복수의 층을 갖는다.
여기서, 실란트층이란 히트 시일에 사용되는 층이며, 포장 재료로서는 내용품에 접하는 최내층에 배치되는 것이다. 당해 실란트층이 본 형태예의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기재 또는 다른 중간층과 실란트층의 적층은 접착제층 또는 앵커제층을 개재해도 되고, 기재에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층으로는 보강층, 가스 배리어층, 차광층, 인쇄층 등 적절하게 한층 또는 복수층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예를 들면 고리형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혹은 2종 이상의 고리형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고, 통상 COP(Cycloolefin polymer)라고 칭해지는 것이다. 상기 COP는 바람직하게는 비결정성의 중합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세시스 등에 의한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다. 상기 COP는 COC 등에 비해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비율이 높고, 비흡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COP는 이하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인 유기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예를 들면 1종 혹은 2종 이상의 고리형 올레핀과 1종 혹은 2종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고, 통상 COC(Cycloolefin copolymer)라고 칭해지는 것이다. 상기 COC는 바람직하게는 비결정성의 중합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다.
예를 들면, COC는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인 유기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R3은 탄소수 1∼20인 유기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 및 p는 각각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20인 유기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i-펜틸, t-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t-옥틸(1,1-디메틸-3,3-디메틸부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이코실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의 시클로알킬기;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 등의 알킬시클로알킬기;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2-부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비페닐기, 페녹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술포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페네틸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의 아르알킬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COP 및 상기 COC의 구성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고리형 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3∼20인 시클로알칸을 갖는 비닐시클로알칸 및 그 유도체, 탄소 원자수가 3∼20인 모노시클로알켄 및 그 유도체, 또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이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시클로[2.2.1]-2-헵텐(노르보르넨) 및 그 유도체, 트리시클로[4.3.0.12,5]-3-데센 및 그 유도체, 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및 그 유도체,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및 그 유도체, 펜타시클로[7.4.0.12,5.19,12.08,13]-3-펜타데센 및 그 유도체, 펜타시클로[8.4.0.12,5.19,12.08,13]-3-헥사데센 및 그 유도체, 펜타시클로[6.6.1.13,6.02,7.09,14]-4-헥사데센 및 그 유도체, 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및 그 유도체, 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및 그 유도체, 헵타시클로[8.7.0.13,6.110,17.112,15.02,7.011,16]-4-에이코센 및 그 유도체, 헵타시클로[8.8.0.12,9.14,7.111,18.03,8.012,17]-5-헨에이코센 및 그 유도체, 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및 그 유도체, 노나시클로[10.9.1.14,7.113,20.115,18.02,10.03,8.012,21.014,19]-5-펜타코센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유도체로는 치환기로서 상기 탄소수 1∼20인 유기기(R1, R2)를 1개 또는 2개 이상 갖는 것이나, 노르보르나디엔과 같이 불포화 결합을 2 이상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COC의 구성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비고리형 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의 α-올레핀, 3-데센이나 3-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OP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COC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과 비고리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COP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 제오넥스, 제오노아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OC로도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아펠,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의 TOPAS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 사용되는 실란트층은 상기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당해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활제, 안티 블로킹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40℃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하인 경우, 얻어지는 실란트층의 비흡착성이 저하된다. 또한, 블렌드 전의 COP의 Tg가 50∼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COC의 Tg도 50∼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COP와 COC의 배합비는 양자의 합계를 100중량%로 하고, COP 10∼95중량%, COC 5∼90중량%이다. 이로 인해, 비흡착성은 우수하지만 시일 강도는 낮은 COP와, 시일 강도는 우수하지만 비흡착성은 COP보다 낮은 COC에 비해, 시일 강도 및 비흡착성이 모두 양호한 실란트재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배합비로 함으로써, COP나 COC가 단독으로 있는 경우에 비해 인장 신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놀라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장 신도는 값이 클수록 필름이 연신되기 쉽고 유연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층 필름의 기재로는 내열성이나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 인쇄 적성이 우수한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O-PET) 필름, 2축 연신 나일론(O-Ny) 필름,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통상 10∼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실란트층의 내측에는 실란트층을 기재 또는 다른 필름과 접착시키기 위해, 앵커제층 또는 접착제층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층을 압출 라미네이트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란트층의 내측에 접하는 앵커제층이 형성된다. 기재로서 O-PE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앵커제층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미리 단층 필름으로서 제작한 실란트층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기재 또는 다른 필름과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실란트층의 내측에 접하는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또한, 공압출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등의 접착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앵커제층을 구성하는 앵커제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알킬티타네이트(유기 티탄 화합물)계 등, 일반적으로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사용되는 앵커제를 사용할 수 있고, 적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등 일반적으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사용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적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상기 실란트층 내측의 앵커제층 또는 접착제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는, 중간층으로서 가스 배리어층이나 보강층 등이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보강층은 적층 필름의 강도 특성을 보완하는 역할이며, 보강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O-PET), 2축 연신 나일론(O-Ny),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등을 들 수 있다. 보강층의 두께는 통상 5∼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가스 배리어층은 산소나 수증기 등의 가스가 적층 필름을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가스 배리어층으로는 금속박, 알루미늄이나 무기 산화물의 증착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염화비닐리덴 등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들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을 보강층으로서 공용해도 상관없다. 이들 가스 배리어층은 기재 또는 보강층을 구성하는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기재와 실란트층 사이의 중간층으로서 형성된다. 무기 산화물 증착층의 경우는, 기재보다 외측인 최외층(적층 필름에 있어서 실란트층의 반대측의 최표층)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는 금속박 또는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에 의한 경우에는 통상 5∼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 산화물 증착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압출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공압출법 또는 이들의 병용에 의해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을 적절하게 적층하면 된다.
본 형태예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실란트층의 두께는 포장 재료의 용도에도 의존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5∼15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5∼80㎛이다.
본 형태예의 적층 필름은 히트 시일성과 가공 적성이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통상의 백 제조기나 백 제조 충전기를 이용한 백 제조에 적합하다.
본 형태예의 포장백은 상술한 적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을 히트 시일하여 얻어진다. 본 형태예의 포장백은 저분자량 성분의 비흡착성 및 배리어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음식물이나 화장품, 약제 등의 포장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포장백의 형태는 삼방백, 사방백, 버트 시임백, 가제트백, 자립백 등의 포장백(파우치) 외, 예를 들면 백 인 박스용의 내부백이나 드럼통 내장백 등의 대형백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포장백에 주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포장백을 구성하는 적층 필름의 실란트층과 접합하여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어떠한 주출구여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적층 필름의 실란트층에 히트 시일 가능한 수지로 주출구를 형성하고, 이 주출구와 적층 필름을 히트 시일을 통해 접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과 주출구를 히트 시일하는 경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고 적층 필름을 중첩시킨 사이에 주출구를 삽입하여 히트 시일해도 되고, 주출구의 일단에 플랜지부나 보트 형상의 융착 기부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부나 융착 기부를 적층 필름에 형성한 구멍의 주연이나 포장백의 개구부 내면에 히트 시일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란트재)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OP를 100∼0중량%, COC를 0∼100중량%의 범위로 배합한 조성에 의해, 실란트재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실란트재용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한 후, 압출 성형에 의해 소정 두께의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통해 실란트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사용한 COP 및 COC는 다음과 같다.
「COP」…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일본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ZEONOR(등록상표) 1020R)
「COC1」…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OPAS(등록상표) 8007F-04)
「COC2」…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펠(등록상표) APL8008T)
(적층 필름의 제조)
두께 30㎛의 실란트재와 PET 필름 및 Al박을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첩합시켜, PET 12㎛/Al박 9㎛/실란트재 30㎛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평가 방법)
상기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파우치를 제작하고, 하기에 설명하는 평가를 행하였다. 다만, (4)의 인장 특성은 실란트재로부터 제작한 시험편을 평가하였다.
(1) 히트 시일 강도
JIS Z 0238에 준하여, 파우치의 히트 시일부의 시일 강도(N/15㎜)를 인장 속도 300㎜/min, 폭 15㎜로 측정하였다. 히트 시일 조건은 140℃, 160℃, 180℃, 200℃, 220℃ 중 어느 온도에 있어서, 압력 0.2MPa로 1초간 가열 및 가압하는 것이다.
(2) 히트 시일 강도의 안정 영역
(1)에서 측정한 히트 시일 강도가 13N/mm 이상이며, 또한 각 용착 온도의 전후 20℃의 어느 시일 강도가 ±1N/15㎜ 이내의 범위에 들어가는 온도 범위를 안정 영역으로 정의하였다.
(3) 초산 α-토코페롤의 잔존율
유효 성분으로서 초산 α-토코페롤(비타민 E 아세테이트)을 포함하는 시판되는 화장수 2.5㎖를 파우치에 투입하고, 파우치의 개구부를 압력 0.2MPa, 시간 1초, 온도 180℃에서 히트 시일하여 밀봉하였다. 밀봉한 파우치를 40℃에서 1개월 내지 3개월 보관한 후에 개봉하고, 화장수 중의 초산 α-토코페롤의 잔존량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하여, 상기 잔존량을 기초로 유효 성분의 잔존율을 산출하였다.
(4) 인장 특성
실란트재의 인장 강도(N/15㎜) 및 인장 신도(%)는 JIS K 7127 「플라스틱-인장 특성의 시험 방법」에 규정된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폭은 15㎜, 인장 속도는 300㎜/min로 하였다. 인장 신도의 클램핑 척 사이는 50㎜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의 「히트 시일 강도」의 란에 있어서, 「히트 시일 강도의 안정 영역」에 포함되는 것에는 밑줄을 추가하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이상의 결과로부터, COP와 COC의 배합비(수지 조성물 전체, 즉 COP와 COC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가 COP 10∼95중량%, COC 5∼90중량%인 경우(예 4∼8 및 예 12∼21)에는 시일 강도, 비흡착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COP 단독(예 1)이나 COC 단독(예 11 및 예 23)에 비해, 인장 신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COP 단독(예 1)에서는 충분한 히트 시일 온도가 얻어지는 온도가 200℃ 이상으로 고온이며, 시일 강도의 안정 영역이 관찰되지 않았다.
COC1이 80중량% 이상(예 9∼11)에서는 인장 신도가 낮아, COC1 단독(예 11)과 동일한 정도였다. 또한, COC1 단독(예 11)에서는 180℃ 정도의 저온에서는 히트 시일 강도가 양호하지만,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히트 시일 강도가 하강하였다.
COC2가 95중량% 이상(예 22)에서는 히트 시일 강도 및 인장 신도가 낮아, COC2 단독(예 23)과 동일한 정도이거나 그보다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특히 음식물이나 화장품, 약제 등, 향료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내용품의 포장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10∼95중량%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5∼9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고,
    상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갖는 고리형 올레핀과 비고리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3. 기재와, 적층 필름의 한 쪽 최표면이 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갖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 3 항의 적층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란트층을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KR20147012643A 2012-01-11 2013-01-07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KR20140121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3221 2012-01-11
JPJP-P-2012-003221 2012-01-11
PCT/JP2013/050019 WO2013105524A1 (ja) 2012-01-11 2013-01-07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813A true KR20140121813A (ko) 2014-10-16

Family

ID=4878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12643A KR20140121813A (ko) 2012-01-11 2013-01-07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25098A1 (ko)
EP (1) EP2803713A4 (ko)
JP (1) JP6093716B2 (ko)
KR (1) KR20140121813A (ko)
CN (1) CN103958639A (ko)
CA (1) CA2857460C (ko)
WO (1) WO2013105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7620A (zh) 2012-12-07 2015-08-12 比密斯公司 多层膜
US20150225151A1 (en) 2014-02-11 2015-08-13 Christopher L. Osborn Anti-Scalping Transdermal Patch Packaging Film
US9468584B2 (en) 2014-04-02 2016-10-18 Bemis Company, Inc. Child-resistant packaging
JP6451987B2 (ja) * 2015-03-17 2019-01-16 Dic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
JP6085639B2 (ja) * 2015-06-03 2017-02-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低吸着性包装袋
JP6993554B2 (ja) * 2016-04-18 2022-01-1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WO2017183502A1 (ja) * 2016-04-18 2017-10-2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CN109476141B (zh) * 2016-07-20 2021-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剂膜、包括该密封剂膜的多层膜及包装袋
WO2018151159A1 (ja) * 2017-02-15 2018-08-23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並びに包装物品
JP7298477B2 (ja) * 2017-10-03 2023-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JP6987002B2 (ja) * 2018-03-16 2021-12-22 藤森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US10899521B2 (en) 2018-05-23 2021-01-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ackage for an ophthalmic device having a multilayer lidstock containing a cyclic olefin seal layer
JP7107028B2 (ja) * 2018-06-29 2022-07-27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CN109628012B (zh) * 2018-12-19 2021-11-09 广东莱尔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湿、耐高温、低介电常数的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4969A (en) * 1993-01-29 1996-02-27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Cycloolefin polymer composition
US6255396B1 (en) * 1999-09-09 2001-07-03 Baxter International Inc. Cycloolefin blends and method for solvent bonding polyolefins
JP2003019773A (ja) * 2001-07-09 2003-01-21 Fujimori Kogyo Co Ltd 包装用フィルム
DE10236502B4 (de) * 2002-08-09 2004-10-14 Nordenia Deutschland Gronau Gmbh Siegelfähige Folie für Aufreißverpackungen
DE10238516A1 (de) * 2002-08-21 2004-03-04 Ticona Gmbh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8668971B2 (en) * 2003-03-12 2014-03-11 Fujimori Kogyo Co., Ltd.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US7288316B2 (en) * 2003-11-21 2007-10-30 Topas Advanced Polymers, Inc. Cycloolefin copolymer heat sealable films
MX2007004642A (es) * 2004-10-18 2007-06-08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Combinaciones polimericas para producir peliculas con un numero reducido de defectos.
US7265183B2 (en) * 2004-11-01 2007-09-04 Ticona Llc High clarity, low friction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films
JP5109435B2 (ja) 2006-03-29 2012-12-26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袋
KR20090009107A (ko) * 2007-07-19 2009-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
US7879123B2 (en) * 2007-09-27 2011-02-01 Pall Corporation Inertial separator
JP5281497B2 (ja) * 2008-06-27 2013-09-0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融押出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5619378B2 (ja) 2008-06-27 2014-11-05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融押出用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US20100012708A1 (en) * 2008-07-16 2010-01-2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Oilfield tools comprising modified-soldered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JP5518377B2 (ja) * 2008-08-27 2014-06-11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フィルム及び多層フィルム、及び該多層フィルムを用いた医療用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JP5411008B2 (ja) * 2010-01-22 2014-02-1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て作製される包装容器
IN2014MN00941A (ko) * 2011-12-22 2015-05-01 Fujimori Kogyo 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8639A (zh) 2014-07-30
WO2013105524A1 (ja) 2013-07-18
CA2857460A1 (en) 2013-07-18
JP6093716B2 (ja) 2017-03-08
JPWO2013105524A1 (ja) 2015-05-11
CA2857460C (en) 2019-08-20
EP2803713A1 (en) 2014-11-19
EP2803713A4 (en) 2015-07-08
US20150125098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599B1 (ko)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KR20140121813A (ko)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JP6326797B2 (ja) 低吸着性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6427870B2 (ja) 低吸着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包装袋
JP2017013485A (ja) 低吸着性共押出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6191189B2 (ja) 電子線照射された易引裂性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086138B2 (ja)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JP5810641B2 (ja)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JP2016222332A (ja) 低吸着性包装袋
JP5677143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JP2012111182A (ja) 低吸着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包装袋
JP5411008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て作製される包装容器
JP5699325B2 (ja) 低吸着性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4488166B2 (ja) 複室包装体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6987002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6478203B2 (ja) 化粧料包装物
JP6872369B2 (ja) 注出口付き包装袋
JP7302153B2 (ja) 包装用の低吸着性樹脂フィルム
JP7268317B2 (ja) 包装用の低吸着性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
JP7238310B2 (ja) ポリエチレン成形品との接着性に優れた包装用の低吸着性樹脂フィルム
JP2019077129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2020138506A (ja)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