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261A - 모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261A
KR20140117261A KR1020140014084A KR20140014084A KR20140117261A KR 20140117261 A KR20140117261 A KR 20140117261A KR 1020140014084 A KR1020140014084 A KR 1020140014084A KR 20140014084 A KR20140014084 A KR 20140014084A KR 20140117261 A KR20140117261 A KR 20140117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ive
drive unit
frame
circuit boar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993B1 (ko
Inventor
와타루 마루야마
마사야 구라모토
하지메 다카기
겐이치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모터 구동 장치가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만을 갖는 경우, 및, 모터 구동 장치가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갖는 경우 중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모터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모터 구동 유닛 (2) 을 적어도 1 개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 (1) 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2) 은, 모터의 구동 회로 및 제어 회로가 실장되는 구동 회로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프레임 (4) 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4) 의 X2 방향측에는, 구동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가 실장되는 전원 회로 기판과, 전원 회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 (7)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으로부터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 (7) 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X2 방향단과,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의 X1 방향단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장치{MOTOR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일 기능을 갖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된 다축의 모터 구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모터 구동 장치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에 더하여 1 개의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있고, 1 개의 전원 유닛으로부터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또 이 모터 구동 장치에서는, 각 모터 구동 유닛은, 제어 회로 기판과 제어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전원 유닛도, 전원 회로 기판과 전원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68293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모터 구동 장치에서는, 1 개의 전원 유닛으로부터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 유닛 각각에 전원 회로 기판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모터 구동 장치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각각에 전원 회로 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터 구동 유닛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모터 구동 장치에 의해 1 대의 모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1 개의 전원 유닛과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를 구성하면 된다. 그러나, 이 경우의 모터 구동 장치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용의 케이스와 전원 유닛용의 케이스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모터 구동 장치가 대형화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모터 구동 장치가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만을 갖는 경우 및 모터 구동 장치가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갖는 경우 중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모터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장치는, 소정 대수의 모터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유닛을 적어도 1 개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로서, 모터 구동 유닛은, 모터의 구동 회로 및 제어 회로가 실장되는 구동 회로 기판과, 방열부가 형성되고 구동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면,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일방측에는, 구동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가 실장되는 전원 회로 기판과, 전원 회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어느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일방단과, 다른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타방단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프레임에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장착되고,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모터 구동 유닛인 1 개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과,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의 제 1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이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장치에서는, 구동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전원 회로 기판과 전원 회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 전원 회로 기판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 장치가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만을 갖는 경우에, 모터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장치에서는,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모터 구동 유닛인 1 개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과,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의 제 1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이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1 개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에 형성된 전원 회로 기판으로부터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에 형성된 구동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모터 구동 유닛 각각에 전원 회로 기판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어느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일방단과 다른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타방단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과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을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제 1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유닛끼리를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각각에 전원 회로 기판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과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을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제 1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유닛끼리를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 장치가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갖는 경우라 하더라도 모터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 장치가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만을 갖는 경우 및 모터 구동 장치가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갖는 경우 중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동일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 장치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종류를 줄여, 부품의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 회로 기판에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에 형성된 전원 회로 기판과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에 형성된 구동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접속시키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구동 회로 기판에는,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로서, 입력용 커넥터 단자와 출력용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모터 구동 장치는 적어도 3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은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의 출력용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고,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은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의 입력용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정연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는, 모터 구동 장치의 저면측으로부터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 장치의 정면에 조작 버튼이나 표시기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력 공급용 케이블에 의해 조작 버튼의 조작성 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일반적으로, 모터 등에 접속되는 케이블은 모터 구동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꺼내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모터 등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권회의 지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의 내부에 진애 (塵埃) 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 회로 기판에는, 통신용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통신용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전원 회로 기판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통신용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이외의 모터 구동 유닛에서도 전원 회로 기판의 이상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신용 커넥터 단자는, 모터 구동 장치의 저면측으로부터 통신용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 장치의 정면에 조작 버튼이나 표시기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통신용 케이블에 의해 조작 버튼의 조작성 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일반적으로, 모터 등에 접속되는 케이블은 모터 구동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꺼내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통신용 케이블이 모터 등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권회의 지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통신용 커넥터 단자의 내부에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의 배면측에는, 모터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모터 구동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2 개의 삽입 통과공이 형성되고, 2 개의 삽입 통과공 각각은, 모터 구동 장치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일방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고, 프레임은, 2 개의 삽입 통과공의 일방이 형성됨과 함께 적어도 전원 회로 기판과 커버 부재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타방측에는,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의 돌출부가 배치 가능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레임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는 2 개의 삽입 통과공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에 의해 모터 구동 유닛이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대한 모터 구동 유닛의 고정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하면, 2 개의 삽입 통과공의 일방이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통과공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대한 모터 구동 유닛의 고정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 개의 삽입 통과공의 일방이 형성되는 돌출부는, 전원 회로 기판이나 커버 부재 등이 분리되면, 제 1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어 버리지만,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타방측에,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의 돌출부를 배치 가능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돌출부가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는, 프레임의 배면측의 상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돌출부에는, 환공상 (丸孔狀) 의 삽입 통과공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배면측의 하단측에는, 하단이 개구되는 U 홈상의 삽입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방향의 양측에 모터 구동 유닛이 접촉하도록 배치된 모터 구동 유닛을 분리하는 경우에, 분리되는 모터 구동 유닛의 삽입 통과공에 삽입 통과된 나사를 분리하여, 이 모터 구동 유닛을 상측으로 어긋나게 하거나, 혹은, 이 모터 구동 유닛을 상측으로 어긋나게 한 후에 정면측으로 어긋나게 하면, 이 모터 구동 유닛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 1 방향의 양측에 모터 구동 유닛이 접촉하도록 배치된 모터 구동 유닛이라 하더라도, 제 1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을 분리하지 않고 이 모터 구동 유닛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 1 방향의 양측에 모터 구동 유닛이 접촉하도록 배치된 모터 구동 유닛을 분리하는 경우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결부는,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결되도록 형성되고, 절결부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의 배면을 향함에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모터 구동 유닛의 정면측으로부터, 돌출부에 형성되는 삽입 통과공에 나사를 용이하게 삽입 통과시키거나, 삽입 통과공으로부터 나사를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은, 전원 회로 기판을 지지하고 또한 고정시키기 위한 착탈 가능한 지주를 구비하고,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이외의 모터 구동 유닛에서는, 지주가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에서는, 지주를 이용하여 전원 회로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전원 회로 기판이나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하면,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이외의 모터 구동 유닛에서는, 지주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이 지주를 구비하고 있어도,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과 나머지 모터 구동 유닛을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제 1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유닛끼리를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모터 구동 장치는,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모든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이 공통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모터 구동 장치는,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2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 중에는,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폭이 다른 모터 구동 유닛의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폭과 상이한 모터 구동 유닛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하고,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 3 방향으로 하면, 모든 프레임의 제 2 방향의 폭이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고, 모든 프레임의 제 3 방향의 폭이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모터 구동 장치의 설치 장소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프레임의 제 1 방향의 폭에 따라 프레임의 제 2 방향의 폭이나 제 3 방향의 폭이 상이하면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증가해 버리지만,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증가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구동 회로 기판의 공통화나, 구동 회로 기판의 공통화에 수반되는 커넥터 단자 위치의 공통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 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모터 구동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배선은 난잡해지지 않아 보기 좋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 장치가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만을 갖는 경우 및 모터 구동 장치가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을 갖는 경우 중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모터 구동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구동 장치로서,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모터 구동 장치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구동 장치로서,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모터 구동 장치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로부터 커버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로부터 커버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내는 2 개의 프레임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구동 장치로서,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모터 구동 장치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로부터 커버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모터 구동 장치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구동 장치 (1) 로서,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모터 구동 장치 (1) 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 (1) 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구동 장치 (1) 로서,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모터 구동 장치 (1) 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 (1) 로부터 커버 부재 (8) 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장치 (1) 로부터 커버 부재 (7) 를 분리한 상태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 (4) 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프레임 (4) 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내는 2 개의 프레임 (4) 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의 각각을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으로 한다. 또, X 방향을 좌우 방향, Y 방향을 전후 방향, Z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한, X1 방향측을 「우」측, X2 방향측을 「좌」측, Y1 방향측을 「전」측, Y2 방향측을 「후 (뒷)」측, Z1 방향측을 「상」측, Z2 방향측을 「하」측으로 한다.
본 형태의 모터 구동 장치 (1) 는, 산업용 서보 모터 (도시 생략) 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기기이고, 1 대의 서보 모터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유닛 (2) 을 적어도 1 개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터 구동 장치 (1) 는,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혹은, 모터 구동 장치 (1) 는,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모터 구동 장치 (1) 는, 모터 구동 장치 (1) 가 탑재되는 상위 (上位) 장치 (도시 생략) 의 제어반 등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구동 장치 (1) 는, 제어반 등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모터 구동 유닛 (2) 은, 서보 모터의 구동 회로 (인버터 회로) 와 제어 회로가 실장되는 구동 회로 기판 (3) 과, 구동 회로 기판 (3) 이 고정되는 프레임 (4) 과, 프레임 (4) 의 전단에 고정되는 패널 (5) 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4) 의 좌단측에는, 구동 회로 기판 (3)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가 실장되는 전원 회로 기판 (6)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을 덮는 커버 부재 (7)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프레임 (4) 의 우단측에는, 프레임 (4) 의 우측면을 덮는 커버 부재 (8)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회로 기판 (3) 및 전원 회로 기판 (6) 은,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된 리지드 기판이다.
프레임 (4) 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방열성을 갖는 방열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 (4) 은, 대략 장방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 (4a) 와, 프레임 (4) 의 배면을 구성하는 대략 평판상의 배면부 (4b) 와, 프레임 (4) 의 상단면을 구성하는 대략 평판상의 상면부 (4c) 를 구비하고 있다. 배면부 (4b) 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면부 (4c) 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배면부 (4b) 는 베이스부 (4a) 의 후단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면부 (4c) 는 베이스부 (4a) 의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4) 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장방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4a) 의 우측면에는, 방열용의 복수의 핀 (fin) 으로 이루어지는 방열부 (4e) 가 형성되어 있다. 방열부 (4e) (즉, 베이스 부재 (4a) 의 우측면) 에는,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용 팬 (11) 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 (4a) 의 좌측면은, 구동 회로 기판 (3) 이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 (4f) 로 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 (4a) 의 좌측면의 전하단에는, 블록상의 지주 장착부 (4g) 가 좌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주 장착부 (4g) 에는, 전원 회로 기판 (6) 을 지지하고 또한 고정시키기 위한 지주 (스터드 핀) (12) 가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지주 (12) 는, 예를 들어 육각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 (12) 의 우단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와 지주 장착부 (4g) 에 형성되는 암나사에 의해 지주 (12) 가 지주 장착부 (4g) 에 고정되어 있고, 지주 (12) 는 지주 장착부 (4g) 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면부 (4b) 의 상단측에는, 좌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4h) 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배면부 (4b) 의 상단측에는, 배면부 (4b) 의, 돌출부 (4h) 를 제외한 그 외의 부분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4h)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4h) 는, 대략 정방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부 (4b) 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는, 우측을 향해 절결된 절결부 (4j)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면부 (4b) 에는, 2 개의 삽입 통과공 (4k, 4m) 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 (4k, 4m) 에는, 모터 구동 장치 (1) 가 장착되는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모터 구동 유닛 (2) 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13) 가 삽입 통과된다.
2 개의 삽입 통과공 (4k, 4m) 각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장방형상이 되는 프레임 (4) 의 일방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통과공 (4k) 은 돌출부 (4h) 에 형성되어 있다. 즉, 삽입 통과공 (4k) 은 배면부 (4b) 의 좌상단측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 통과공 (4m) 은 배면부 (4b) 의 우하단측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 (4k) 은 환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 통과공 (4m) 은 하단이 개구되는 U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 (4c) 에는 방열용의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4a) 와 상면부 (4c) 의 경계 부분 (즉, 베이스부 (4a) 의 상단측) 에는 절결부 (4n)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 (4a) 의 뒤 상단측에 절결부 (4n) 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 (4n) 는 베이스부 (4a) 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 (4n) 의 저면은, 뒷측을 향함에 따라 (즉, 프레임 (4) 의 배면을 향함에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4p) 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면 (4q) 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면 (4q) 은 경사면 (4p) 의 후단에 이어져 있다.
본 형태에서는, 2 개의 프레임 (4) 중 일방의 프레임 (4) 의 지주 장착부 (4g) 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프레임 (4) 의 좌단과 타방의 프레임 (4) 의 우단이 접촉하도록 프레임 (4) 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프레임 (4) 의 지주 장착부 (4g) 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면, 일방의 프레임 (4) 의 배면부 (4b) 의 좌단면 및 상면부 (4c) 의 좌단면과 타방의 프레임 (4) 의 베이스부 (4a) 의 우측면이 밀착되도록 프레임 (4) 이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프레임 (4) 의 좌단과 타방의 프레임 (4) 의 우단이 밀착되어 있을 때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프레임 (4) 의 돌출부 (4h) 는 타방의 프레임 (4) 의 절결부 (4n) 에 배치되어 있고, 타방의 프레임 (4) 의 베이스부 (4a) 의 좌측면에 돌출부 (4h) 가 접촉되어 일방의 프레임 (4) 의 좌단과 타방의 프레임 (4) 의 우단을 밀착할 수 없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돌출부 (4h) 는,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프레임 (4)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프레임 (4) 단체 (單體) 의 상태에서는, 배면부 (4b) 의, 돌출부 (4h) 를 제외한 그 외의 부분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프레임 (4) 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 (4h) 의 좌단면과 커버 부재 (7) 의 좌측면이 대략 일치하고 있다.
구동 회로 기판 (3) 은, 그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베이스부 (4a) 의 기판 고정부 (4f) 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회로 기판 (3) 의 하단측에는, 도시를 생략하는 전력 공급용의 케이블 (전력 공급용 케이블) 이 접속 가능한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로서의 커넥터 단자 (15, 16) 가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 단자 (15) 는 구동 회로 기판 (3) 에 전력을 도입하기 위한 입력용 커넥터 단자이고, 커넥터 단자 (16) 는 구동 회로 기판 (3) 으로부터 전력을 취출하기 위한 출력용 커넥터 단자이다. 또, 구동 회로 기판 (3) 의 하단측에는, 도시를 생략하는 통신용의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이 접속 가능한 통신용 커넥터 단자로서의 2 개의 커넥터 단자 (17) 가 실장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 (X 방향) 은, 구동 회로 기판 (3) 의 두께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좌측은 제 1 방향의 일방측이고, 우측은 제 1 방향의 타방측이다.
커넥터 단자 (15 ∼ 17) 는 구동 회로 기판 (3) 의 전단측에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 단자 (15, 16) 는, 모터 구동 장치 (1) 의 저면측으로부터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에 실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 개의 커넥터 단자 (17) 는, 모터 구동 장치 (1) 의 저면측으로부터 통신용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에 실장되어 있다. 즉, 커넥터 단자 (15 ∼ 17) 의 삽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커넥터 단자 (15 ∼ 17) 는 구동 회로 기판 (3) 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구동 회로 기판 (3) 에는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또, 구동 회로 기판 (3) 의 전단측에는, 서보 모터로부터 꺼내어지는 케이블 등이 접속되는 각종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다.
전원 회로 기판 (6) 은, 나사 등에 의해 지주 (12) 의 좌단면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주 (12) 의 좌단면에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의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전원 회로 기판 (6) 에는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또, 전원 회로 기판 (6) 의 전단측에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꺼내어지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다. 본 형태의 전원 회로 기판 (6) 은, 예를 들어, 800 W 용의 것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회로 기판 (6) 의 우측면에는, 지주 (12) 의 좌단면에 장착된 전원 회로 기판 (6) 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20) 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 (20) 는, 지주 (12) 의 좌단면에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었을 때에, 베이스부 (4a) 의 좌측면에 맞닿는 다리부 (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고, 이 다리부 등이 베이스부 (4a) 에 맞닿음으로써, 전원 회로 기판 (6) 이 지지 부재 (20) 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구동 회로 기판 (3) 에는, 이 다리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 (7) 의 상면부에는, 프레임 (4) 의 상면부 (4c) 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클로부 (4s) 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공 (7a) 이 형성되고, 커버 부재 (7) 의 하면부에는, 프레임 (4) 의 베이스부 (4a) 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클로부 (4t) (도 2 참조) 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공 (7b) 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공 (7a) 에 걸어맞춤 클로부 (4s) 가 걸어 맞춰지고, 걸어맞춤공 (7b) 에 걸어맞춤 클로부 (4t) 가 걸어 맞춰지면, 커버 부재 (7) 는 프레임 (4) 에 고정된다. 프레임 (4) 에 고정된 커버 부재 (7) 는, 전원 회로 기판 (6) 을 좌측에서부터 덮고 있다.
커버 부재 (8) 는, 도시를 생략하는 나사에 의해, 베이스부 (4a) 의 좌측면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열부 (4e) 에 팬 (11) 이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커버 부재 (8) 는 팬 (11) 을 덮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 (8) 의, 팬 (11) 에 대응하는 지점에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관통공 (8a) 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 (8) 의 작용에 의해, 팬 (11) 으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방열부 (4e) 의 핀을 따라 효율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방열부 (4e) 는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패널 (5) 의 상면부에는, 프레임 (4) 의 상면부 (4c) 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클로부 (5a) 가 형성되고, 패널 (5) 의 하면부에는, 프레임 (4) 의 지주 장착부 (4g) 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클로부 (5b) (도 2 참조) 가 형성되어 있어, 걸어맞춤 클로부 (5a, 5b) 가 프레임 (4)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패널 (5) 은 프레임 (4) 에 고정된다. 패널 (5) 에는, 구동 회로 기판 (3) 의 전단측에 고정되는 커넥터 단자, 및, 전원 회로 기판 (6) 의 전단측에 고정되는 커넥터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패널 (5) 의 상단측에는 콘솔 (21)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유닛 (2) 에는,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는 모터 구동 유닛 (2)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모터 구동 유닛 (2) 이 있고,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는 모터 구동 유닛 (2) (예를 들어, 도 1 의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패널 (5)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모터 구동 유닛 (2) (예를 들어, 도 1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패널 (5) 에서는, 좌우 방향의 폭 및 콘솔 (21) 의 구성 등이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패널 (5)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모터 구동 유닛 (2) 의 패널 (5) 을 구별하여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자의 패널 (5) 을 「패널 (5A)」이라고 표기하고, 후자의 패널 (5) 을 「패널 (5B)」이라고 표기한다.
본 형태에서는,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주 장착부 (4g) 에 지주 (12) 가 고정됨과 함께,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프레임 (4) 에 장착된다. 또, 패널 (5A) 및 커버 부재 (8) 가 프레임 (4) 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 회로 기판 (3) 및 전원 회로 기판 (6) 의 발열량에 따라, 프레임 (4) 에 팬 (11) 이 장착되지 않거나 (도 4(A) 참조), 프레임 (4) 에 팬 (11) 이 장착되거나 한다 (도 4(B) 참조). 또한, 이 경우에는, 전원 회로 기판 (6) 으로부터 구동 회로 기판 (3) 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도시를 생략하는 케이블 등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 (3)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터 구동 장치 (1) 는,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프레임 (4) 에 장착된 상태의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2) 과,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분리된 상태의 나머지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2) 과 그 이외의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을 구별하여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2) 을 「모터 구동 유닛 (2A)」이라고 표기하고,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분리된 상태의 나머지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을 「모터 구동 유닛 (2B)」이라고 표기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유닛 (2A) 은, 모터 구동 장치 (1) 의 좌단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구동 유닛 (2A) 에서는, 지주 장착부 (4g) 에 지주 (12) 가 고정되어 있다. 또, 모터 구동 유닛 (2A) 에서는, 프레임 (4) 에 패널 (5A) 이 장착됨과 함께, 프레임 (4) 에 커버 부재 (8) 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은, 모터 구동 유닛 (2A) 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구동 유닛 (2B) 에서는, 지주 장착부 (4g) 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어 있다. 또, 모터 구동 유닛 (2B) 에서는, 프레임 (4) 에 패널 (5B) 이 장착됨과 함께, 프레임 (4) 에 커버 부재 (8) 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모터 구동 장치 (1) 의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에서는, 프레임 (4) 에 커버 부재 (8) 가 장착되어도 된다. 또, 모터 구동 유닛 (2A, 2B) 에서는, 프레임 (4) 에 팬 (11) 이 장착되어도 되고, 장착되지 않아도 된다.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은, 좌우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이 밀착되며, 또한,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이 밀착되도록,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에 팬 (11) 이 장착되어 있어도,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이 밀착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이나 팬 (11) 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에 팬 (11) 이 장착되어 있어도,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이 밀착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이나 팬 (11) 이 배치되어 있다.
모터 구동 유닛 (2A) 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으로부터 구동 회로 기판 (3) 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도시를 생략하는 케이블 등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 (3)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터 구동 장치 (1) 는 2 개의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구동 유닛 (2A) 의 커넥터 단자 (16) 에는, 2 개 중 1 개의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고,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커넥터 단자 (15) 에는, 이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커넥터 단자 (16) 에는, 나머지 1 개의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고,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커넥터 단자 (15) 에는, 이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즉,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5) 에 접속되고,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6) 에 접속되어 있다.
또,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터 구동 장치 (1) 는 2 개의 통신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구동 유닛 (2A) 의 커넥터 단자 (17) 에는, 2 개 중 1 개의 통신용 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고,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2 개의 커넥터 단자 (17) 의 일방의 커넥터 단자 (17) 에는, 이 통신용 케이블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타방의 커넥터 단자 (17) 에는, 나머지 1 개의 통신용 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고,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커넥터 단자 (17) 에는, 이 통신용 케이블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즉, 통신용 케이블의 일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7) 에 접속되고, 통신용 케이블의 타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7) 에 접속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전원 회로 기판 (6) 으로부터 에러 신호가 발생되게 되어 있고,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사이에서는, 통신용 케이블을 통하여 이 에러 신호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구동 회로 기판 (3) 이 고정되는 프레임 (4) 의 좌단측에 전원 회로 기판 (6) 과 커버 부재 (7)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가 프레임 (4) 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프레임 (4) 에 더하여, 전원 회로 기판 (6) 및 커버 부재 (7) 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장치 (1) 가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모터 구동 장치 (1) 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된 모터 구동 유닛 (2A)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이 좌우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모터 구동 유닛 (2A) 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은 전력 공급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고,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과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은 전력 공급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2A) 에 형성된 전원 회로 기판 (6) 으로부터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에 형성된 구동 회로 기판 (3) 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각각에 전원 회로 기판 (6) 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또, 본 형태에서는, 2 개의 프레임 (4) 중 일방의 프레임 (4) 의 지주 장착부 (4g) 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면, 일방의 프레임 (4) 의 배면부 (4b) 의 좌단면 및 상면부 (4c) 의 좌단면과 타방의 프레임 (4) 의 베이스부 (4a) 의 우측면이 밀착되도록 프레임 (4) 이 구성되어 있고,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이 밀착되며, 또한,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이 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유닛 (2) 끼리를 접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각각에 전원 회로 기판 (6) 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유닛 (2) 끼리를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모터 구동 장치 (1) 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형태에서는, 프레임 (4) 의 좌단측에 전원 회로 기판 (6) 과 커버 부재 (7)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 및,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 중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동일한 프레임 (4) 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장치 (1) 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종류를 줄여, 부품의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5) 에 접속되고,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6) 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각각이 전력 공급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터 구동 유닛 (2A) 과 우단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을 접속시키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정연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본 형태에서는, 통신용 케이블의 일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7) 에 접속되고, 통신용 케이블의 타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7) 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각각이 통신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터 구동 유닛 (2A) 과 우단의 모터 구동 유닛 (2B) 을 접속시키는 통신용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통신용 케이블을 정연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전원 회로 기판 (6) 으로부터 에러 신호가 발생되게 되어 있고,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사이에서는, 통신용 케이블을 통하여 이 에러 신호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모터 구동 유닛 (2A) 이외의 모터 구동 유닛 (2B) 에서도 전원 회로 기판 (6) 의 이상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커넥터 단자 (15 ∼ 17) 는, 그 삽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의 하단측에 실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패널 (5) 에 배치되는 콘솔 (21) 의 조작성 등이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나 통신용 케이블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나 통신용 케이블이, 모터 구동 장치 (1) 의 정면측으로부터 꺼내어지는 각종 케이블의 권회의 지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커넥터 단자 (15 ∼ 17) 의 내부에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모터 구동 유닛 (2) 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13) 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 (4k, 4m) 각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장방형상이 되는 프레임 (4) 의 일방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대한 모터 구동 유닛 (2) 의 고정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형태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4h) 에 삽입 통과공 (4k)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통과공 (4k) 과 삽입 통과공 (4m) 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대한 모터 구동 유닛 (2) 의 고정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형태에서는 프레임 (4) 에 절결부 (4n) 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부 (4h) 가, 좌측에 배치되는 다른 프레임 (4) 의 절결부 (4n) 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프레임 (4) 에 돌출부 (4h) 가 형성되어 있어도,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을 밀착시키며, 또한,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좌단을 밀착시킬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돌출부 (4h) 는 배면부 (4b) 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 구동 장치 (1) 로부터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을 분리하는 경우에, 이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삽입 통과공 (4k, 4m) 에 삽입 통과된 나사 (13) 를 분리하여, 이 모터 구동 유닛 (2B) 을 상측으로 어긋나게 하거나, 혹은, 이 모터 구동 유닛 (2B) 을 상측으로 어긋나게 한 후에 전측으로 어긋나게 하면, 모터 구동 유닛 (2A) 및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을 구동 장치 설치 부재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이 모터 구동 유닛 (2B) 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 구동 장치 (1) 로부터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을 분리하는 경우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배면부 (4b) 에 절결부 (4j)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에 팬 (11) 이 장착되어 있어도,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을 상측으로 어긋나게 한 후에 전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분리할 때에,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에 장착되어 있는 팬 (11) 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배면부 (4b) 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프레임 (4) 의 절결부 (4n) 의 저면은, 뒷측을 향함에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4p) 과, 경사면 (4p) 의 후단에 이어짐과 함께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면 (4q)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모터 구동 유닛 (2) 의 정면측으로부터 돌출부 (4h) 에 형성되는 삽입 통과공 (4k) 에 나사 (13) 를 용이하게 삽입 통과시키거나, 삽입 통과공 (4k) 으로부터 나사 (13) 를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프레임 (4) 에 지주 (12) 가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2) 에 있어서 지주 (12) 를 이용하여 구동 회로 기판 (3) 과 전원 회로 기판 (6) 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구동 회로 기판 (3) 이나 전원 회로 기판 (6) 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 모터 구동 유닛 (2B) 에 있어서는 프레임 (4) 으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4) 에 지주 (12) 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접촉시키도록 배치하였을 때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유닛 (2) 끼리를 접근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서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전원 회로 기판 (6) 은 예를 들어 800 W 용의 것이지만, 전원 회로 기판 (6) 은 800 W 보다 큰 용량에 대응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원 회로 기판 (6) 은 2 ㎾ 용의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4) 의 좌우 방향의 폭, 패널 (5) 의 좌우 방향의 폭, 커버 부재 (7, 8) 의 좌우 방향의 폭은 각각 상기 서술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4) 의 좌우 방향의 폭, 패널 (5) 의 좌우 방향의 폭, 커버 부재 (7, 8) 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어진다. 또, 프레임 (7) 에 고정되는 지주 (12) 의 고정 위치와 지주 (12) 의 개수가,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유닛 (2) 과, 상기 서술한 형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서는 상이하다.
한편,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프레임 (4) 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 패널 (5) 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 커버 부재 (7, 8) 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는 각각, 상기 서술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4) 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 패널 (5) 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 커버 부재 (7, 8) 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모터 구동 장치 (1) 의 설치 장소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 대응하는 용량에 따라 프레임 (4) 등의 전후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높이가 상이하면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증가해 버리지만, 이 경우에는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증가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 경우에는, 구동 회로 기판 (3) 의 공통화나, 구동 회로 기판 (3) 의 공통화에 수반되는 커넥터 단자 위치의 공통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넥터 단자 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모터 구동 장치 (1) 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배선은 난잡해지지 않아 보기 좋아진다. 또한, 이 경우, 전후 방향은 제 2 방향이고, 상하 방향은 제 3 방향이다.
또, 이 경우에도,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의 모터 구동 유닛 (2), 혹은,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2) (즉, 모터 구동 유닛 (2A)) 에서는, 프레임 (4) 의 배면부 (4b) 의 좌측에 배판 (背板) (25) 이 장착된다. 또, 이 경우에도,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2) 이외의 모터 구동 유닛 (2) (즉, 모터 구동 유닛 (2B)) 에서는 배판 (25) 이 분리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복수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 구동 장치 (1) 는,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어, 모터 구동 장치 (1) 는,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A) 과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1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A) 과 3 개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 (2B) 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모터 구동 장치 (1) 는, 상기 서술한 형태의 모터 구동 유닛 (2) 과,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즉, 프레임 (4) 의 좌우 방향의 폭 등이 상이한 모터 구동 유닛 (2) 의 조합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형태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프레임 (4) 과,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프레임 (4) 의 2 개의 프레임 (4) 에 있어서도, 2 개의 프레임 (4) 중 일방의 프레임 (4) 으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면, 일방의 프레임 (4) 의 좌단과 타방의 프레임 (4) 의 우단이 접촉하도록 상기 서술한 형태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프레임 (4), 및,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프레임 (4) 이 구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4) 의 좌우 방향의 폭 등이 상이한 3 종류 이상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조합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2B) 에 있어서, 지주 장착부 (4g) 로부터 지주 (12) 가 분리되어 있지만, 모터 구동 유닛 (2B) 에 있어서, 지주 장착부 (4g) 에 지주 (12) 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3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 에 의해 모터 구동 장치 (1) 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터 구동 유닛 (2A)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지주 (12) 의 좌단이 접촉되며, 또한, 정중앙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프레임 (4) 의 우단과 우단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 유닛 (2B) 의 지주 (12) 의 좌단이 접촉된다.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5) 에 접속되고,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6) 에 접속되어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어, 전원 회로 기판 (6) 을 갖는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각각이 전력 공급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통신용 케이블의 일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일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7) 에 접속되고, 통신용 케이블의 타단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터 구동 유닛 (2) 의 타방의 모터 구동 유닛 (2) 의 커넥터 단자 (17) 에 접속되어 있지만, 전원 회로 기판 (6) 을 갖는 모터 구동 유닛 (2A) 과 2 개의 모터 구동 유닛 (2B) 각각이 통신용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커넥터 단자 (15 ∼ 17) 는, 그 삽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의 하단측에 실장되어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어, 커넥터 단자 (15 ∼ 17) 는, 그 삽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구동 회로 기판 (3) 의 상단측에 실장되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돌출부 (4h) 는 배면부 (4b) 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돌출부 (4h) 는 배면부 (4b) 의 하단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배면부 (4b) 에 돌출부 (4h)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 (4) 에 절결부 (4n)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유닛 (2) 은 1 대의 서보 모터를 구동 및 제어하고 있지만, 모터 구동 유닛 (2) 은, 예를 들어, 2 대 또는 3 대 등의 복수 대의 서보 모터를 구동 및 제어해도 된다.
1 : 모터 구동 장치
2, 2B : 모터 구동 유닛
2A : 모터 구동 유닛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3 : 구동 회로 기판
4 : 프레임
4e : 방열부
4h : 돌출부
4k, 4m : 삽입 통과공
4n : 절결부
4p : 경사면
6 : 전원 회로 기판
7 : 커버 부재
12 : 지주
13 : 나사
15 : 커넥터 단자 (입력용 커넥터 단자,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
16 : 커넥터 단자 (출력용 커넥터 단자,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
17 : 커넥터 단자 (통신용 커넥터 단자)
X : 제 1 방향
Y : 제 2 방향
Z : 제 3 방향

Claims (14)

  1. 소정 대수의 모터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유닛을 적어도 1 개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로서,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 회로 및 제어 회로가 실장되는 구동 회로 기판과, 방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측에는,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가 실장되는 전원 회로 기판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을 덮는 커버 부재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어느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전원 회로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단과, 다른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방향의 타방단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1 개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원 회로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가 장착되고,
    2 개 이상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회로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인 1 개의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과, 상기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제 1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전원 회로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나머지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이 상기 제 1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는, 상기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로서, 입력용 커넥터 단자와 출력용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장치는, 3 개 이상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일방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출력용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타방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입력용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용 커넥터 단자는, 상기 모터 구동 장치의 저면측으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는, 통신용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통신용 커넥터 단자가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커넥터 단자는, 상기 모터 구동 장치의 저면측으로부터 상기 통신용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에는, 상기 모터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구동 장치 설치 부재에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2 개의 삽입 통과공이 형성되고,
    2 개의 상기 삽입 통과공 각각은, 상기 모터 구동 장치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의 일방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2 개의 상기 삽입 통과공의 일방이 형성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전원 회로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방향의 타방측에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이웃하는 다른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출부가 배치 가능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의 상단측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돌출부에는, 환공상 (丸孔狀) 의 상기 삽입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의 하단측에는, 하단이 개구되는 U 홈상의 상기 삽입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을 향함에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을 지지하고 또한 고정시키기 위한 착탈 가능한 지주를 구비하고,
    2 개 이상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모터 구동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의, 상기 전원 장착 모터 구동 유닛 이외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서는, 상기 지주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장치는, 2 개 이상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모든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프레임이 공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장치는, 2 개 이상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2 개 이상의 상기 모터 구동 유닛 중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방향의 폭이, 다른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1 방향의 폭과 상이한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 3 방향으로 하면,
    모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2 방향의 폭이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고,
    모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 3 방향의 폭이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KR1020140014084A 2013-03-21 2014-02-07 모터 구동 장치 KR101715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8418 2013-03-21
JP2013058418A JP6125287B2 (ja) 2013-03-21 2013-03-21 モータ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61A true KR20140117261A (ko) 2014-10-07
KR101715993B1 KR101715993B1 (ko) 2017-03-13

Family

ID=5047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084A KR101715993B1 (ko) 2013-03-21 2014-02-07 모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5287B2 (ko)
KR (1) KR101715993B1 (ko)
CN (2) CN104065310B (ko)
TW (1) TWI613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5287B2 (ja) * 2013-03-21 2017-05-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JP6271265B2 (ja) * 2014-01-24 2018-01-3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JP6673546B2 (ja) * 2016-02-29 2020-03-25 Smc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組立体
WO2020208725A1 (ja) * 2019-04-09 2020-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ックプレーン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ユニット
JP7411871B2 (ja) 2019-04-25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サーボアンプ装置、および多軸サーボ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293A (ja) 1994-12-15 1996-06-25 Japan Servo Co Ltd 多軸モータ駆動装置の連結方法
WO1997019396A1 (en) * 1995-11-20 1997-05-29 The Foxboro Company Expandable field controller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KR100776713B1 (ko) * 2007-05-18 2007-11-19 (주)서전기전 멀티 커넥터형 절연패널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058812B1 (ko) * 2011-01-31 2011-08-23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9391B2 (ja) * 1991-11-27 1998-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輸液ポンプのモータ制御装置
JPH08163883A (ja) * 1994-12-05 1996-06-21 Sony Corp モータ制御装置
JP3510092B2 (ja) * 1997-12-01 2004-03-22 山洋電気株式会社 ユニット型電気機器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装置
JP2001057487A (ja) * 1999-08-18 2001-02-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装置及びそのユニット
JP2001231211A (ja) * 2000-02-16 2001-08-24 Brother Ind Ltd 回路基板
DE10153748A1 (de) * 2001-10-31 2003-05-22 Siemens Ag Stromrichtereinheit in Modulbauweise
TWM297578U (en) * 2006-03-17 2006-09-11 Chi-Shin Jang Improved structure of motor controller
JP4221436B2 (ja) * 2006-12-13 2009-02-1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力変換装置
WO2008090754A1 (ja) * 2007-01-22 2008-07-31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モータ制御装置
TWM334381U (en) * 2007-12-31 2008-06-11 Antec Inc Power supply with pulse width modulation heat-dissipation apparatus
CN102007682A (zh) * 2008-04-15 2011-04-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机装置、具备该电机装置的电机驱动系统以及集成电路装置
CN202815657U (zh) * 2008-10-24 2013-03-20 孔繁忠 箱式计算机
TWM356947U (en) * 2008-11-10 2009-05-11 Advantech Co Ltd Industrial computer module structure
JP2010198807A (ja) * 2009-02-23 2010-09-09 Sharp Corp 照明装置
JP5225221B2 (ja) * 2009-07-03 2013-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TWM373605U (en) * 2009-09-30 2010-02-01 Heng-Ming Chen Motor controller
TWI457749B (zh) * 2010-06-21 2014-10-21 Acbel Polytech Inc High power density power supplies for miniaturized servers
CN202271081U (zh) * 2011-06-23 2012-06-13 王明伟 一种侧进风mosfet逆变式焊接设备
JP5803327B2 (ja) * 2011-06-27 2015-11-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の防水カバー
JP2013027282A (ja) * 2011-07-26 2013-02-04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JP6125287B2 (ja) * 2013-03-21 2017-05-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293A (ja) 1994-12-15 1996-06-25 Japan Servo Co Ltd 多軸モータ駆動装置の連結方法
WO1997019396A1 (en) * 1995-11-20 1997-05-29 The Foxboro Company Expandable field controller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KR100776713B1 (ko) * 2007-05-18 2007-11-19 (주)서전기전 멀티 커넥터형 절연패널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058812B1 (ko) * 2011-01-31 2011-08-23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65310B (zh) 2017-01-11
TWI613951B (zh) 2018-02-01
TW201440615A (zh) 2014-10-16
CN203554337U (zh) 2014-04-16
JP2014183711A (ja) 2014-09-29
JP6125287B2 (ja) 2017-05-10
KR101715993B1 (ko) 2017-03-13
CN104065310A (zh)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993B1 (ko) 모터 구동 장치
CN110876247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制造方法
CN107135630B (zh) 控制器组件
US10602611B2 (en) Robot control apparatus, robot, and robot system
JPH06284522A (ja) 制御盤
JP4792482B2 (ja) モータ制御機器の放熱器と組付け部品との固定構造
KR101999880B1 (ko) 모터 구동 장치
KR101667869B1 (ko) 모터 구동 장치
KR101718201B1 (ko) 모터 구동 장치
US20210410323A1 (en) Assembly with a heat sink core element forming a supporting structure
JP2006333591A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20036005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2642224B1 (ko) 히트 싱크 및 전자 기기 유닛
JP2023028306A (ja) コントローラ
CN115915690A (zh) 控制器
JP6657656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
JP2023028308A (ja) コントローラ
JP2004179518A (ja) 制御装置用筺体ラック及びその集合体
JP2023028307A (ja) コントローラ
KR200276881Y1 (ko) 산업용 로봇의 제어부
JP2017039183A (ja) ロボット制御装置、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
JPH04162598A (ja) サーボモータ駆動装置
JP2017077097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7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28

Effective date: 20161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