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12B1 -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12B1
KR101058812B1 KR1020110009355A KR20110009355A KR101058812B1 KR 101058812 B1 KR101058812 B1 KR 101058812B1 KR 1020110009355 A KR1020110009355 A KR 1020110009355A KR 20110009355 A KR20110009355 A KR 20110009355A KR 101058812 B1 KR101058812 B1 KR 101058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unit
display module
unit
main unit
tes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준
Original Assignee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생성하고, 제1면에는 상기 신호 패턴을 전송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된 메인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의 제1면에 접촉되는 제2면 및 상기 제2면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또 다른 제2면에 접촉되는 제3면을 가지며,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 패턴을 수신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면에는 선택에 따라 또 다른 제2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패턴을 전송하는 제3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패턴 중 선택된 신호 패턴을 별도의 지그에 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송출하도록 상기 메인유닛에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Test Apparatus of Display Module Having Expansion Units in Serie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신호 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신호 패턴을 생성하는 메인유닛의 일측에 상기 신호 패턴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선택적으로 송출하는 확장유닛이 직렬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생산하는 과정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발현을 검사하고,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에이징 테스트(Aging Test) 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할 수 있는 지그(Jig)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위치시키고, 상기 지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신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테스트 장치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는 테스트 장치의 경우, 테스트 장치 하나 당 하나의 지그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따라서 테스트 작업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테스트 장치를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테스트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어 사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나열한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번에 복수의 지그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복수의 지그를 동시에 연결 가능하면서도,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생성하고, 제1면에는 상기 신호 패턴을 전송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된 메인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의 제1면에 접촉되는 제2면 및 상기 제2면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또 다른 제2면에 접촉되는 제3면을 가지며,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 패턴을 수신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면에는 선택에 따라 또 다른 제2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패턴을 전송하는 제3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패턴 중 선택된 신호 패턴을 별도의 지그에 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송출하도록 상기 메인유닛에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 각각의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어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확장유닛, 또는 상기 확장유닛 및 다른 확장유닛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감싸는 고정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가 상기 후크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 중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연결부는, 어느 하나가 복수의 핀을 가지는 돌출된 플러그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핀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홈을 가지는 함몰된 소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소켓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유닛에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된 확장유닛 중 가장 외측에 연결된 확장유닛의 제3연결부에는, 상기 제3연결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유닛에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된 확장유닛 중 가장 외측에 연결된 확장유닛의 제3면에는, 상기 제3면이 지면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경우 상기 제3면이 지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유닛의 상기 제1면 반대측에 형성된 제4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의 지그를 한 번에 연결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를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동시에 전송 가능하므로, 테스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선택에 따라 확장유닛을 메인유닛의 일측에 원하는 개수만큼 직렬 연결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가 필요보다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복수의 확장유닛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서로 다른 신호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확장유닛은 메인유닛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전체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를 일체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고정부 및 연결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확장유닛은 메인유닛 또는 다른 확장유닛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연결부에 의해 직렬 연결되므로, 상호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선 등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미려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메인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메인유닛의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의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첫 번째 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두 번째 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세 번째 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가장 외측에 연결된 확장유닛의 제3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플러그 및 소켓 형태로 서로 대응되는 연결부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첫 번째 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 확장유닛 간을 고정시키는 두 번째 단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의 전체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는 전체적으로 메인유닛(100)과, 상기 메인유닛(100)의 일측에 직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유닛(20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메인유닛(100)은 별도의 지그에 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확장유닛(200)은 메인유닛(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 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지그에 송출한다. 이때, 상기 신호 패턴,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 방법 및 상기 지그 등에 전반적인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확장유닛(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확장유닛(200)은 동시에 서로 다른 지그에 상기 신호 패턴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확장유닛(200)은 메인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신호 패턴을 송출할 수도 있는 바, 서로 다른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확장유닛(200)이 총 4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유닛(20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더 적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4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메인유닛(100) 및 확장유닛(200)의 세부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메인유닛(10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유닛(1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비되며, 장치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조작 버튼(115)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조작 버튼(115)은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그 개수가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메인유닛(100)의 후면에는 메인유닛(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가 구비되고, 기타 부가적인 용도의 다양한 연결단자가 구비된다.
한편, 전면을 바라볼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유닛(100)의 오른쪽에는 제1면(101)이 형성되고, 왼쪽에는 제4면(104)이 형성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1면(101)에는 이후 확장유닛(200)을 연결하여 생성된 신호 패턴을 전송하기 위한 제1연결부(310)가 구비되며, 제4면(104)에는 사용자가 본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를 측 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0)가 구비된다.
즉, 확장유닛(200)은 제1면(101) 측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관적이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유닛(200)이 상기와 같이 제1면(101) 측으로 직렬 연결되나, 이와 달리 제4면(104) 측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10)는 제1면(101)에 형성된 개구홀(140) 내측에 형성되며, 또한 제1면(101)의 둘레 부분에는 제1고정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310) 및 제1고정부(410)에 대해서는 이후 확장유닛(200)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확장유닛(20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유닛(2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거치된 별도의 지그와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의 접속 단자(210)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확장유닛(200)의 전면을 바라볼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왼쪽에는 제2면(202)이 형성되고, 오른쪽에는 제3면(203)이 형성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2면(202)에는 전술한 메인유닛(100)과 연결되어 생성된 신호 패턴을 전송받기 위한 제2연결부(320)가 구비되며, 제3면(203)에는 개구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240) 내측에는 또 다른 확장유닛의 제2면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3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사항을 정리하면, 메인유닛(100)의 제1면(101) 측에는 확장유닛(200)의 제2면(202)이 접촉되고,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확장유닛(200)이 더 구비될 경우에는, 기 설치된 확장유닛(200)의 제3면(203)에 또 다른 확장유닛의 제2면이 접촉되고, 기 설치된 확장유닛(200)의 제3연결부(330)와 또 다른 확장유닛의 제2연결부(3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유닛(200)이 총 4개 구비되며, 도 6을 참조하면 메인유닛(100) 및 각 확장유닛(200a, 200b, 200c, 200d)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는 메인유닛(100) 및 하나 이상의 확장유닛(200)이 직접 접촉되어 연결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며, 연결 부분이 노출되지 않아 연결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연결된 확장유닛(200)은 메인유닛(1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연결된 확장유닛(200)에 각각 상기 지그를 연결시킬 수 있어, 동시에 다수의 지그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각 확장유닛(200)은 할당된 지그에 동일한 신호 패턴을 동시 송출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신호 패턴을 송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종류에 관계 없이 동일한 검사를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검사를 동시 실시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확장유닛(200)은 테스트 작업 물량에 따라 추가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상황에 따라 확장유닛(200)의 개수를 조절하여 더욱 빠른 테스트를 실시하거나 확장유닛(200)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메인유닛(100) 및 확장유닛(200)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들의 연결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유닛(100)과 확장유닛(200)은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확장유닛(200)과 또 다른 확장유닛은 제3연결부(330) 및 또 다른 확장유닛의 제2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연결부만으로는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메인유닛(100)과 확장유닛(200)에 물리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메인유닛(100)의 제1면(101), 확장유닛의 제2면(202) 및 제3면(203)의 일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 간이 서로 대응된다.
즉, 고정부는 한 쌍이 서로 대응되어 체결 구조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체결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어느 한 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는 제1면(101), 제2면(202) 및 제3면(203)에 각각 3개소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유닛(100)의 제1면(101) 둘레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제1고정부(410)라 하고, 확장유닛(200)의 제2면(202) 둘레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제2고정부(420)라 하며, 제3면(203) 둘레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제3고정부(430)라 칭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가 순서에 따라 자세히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네 개의 확장유닛(200a, 200b, 200c, 200d) 중 세 번째로 연결된 제3확장유닛(200c)과 네 번째로 결합된 제4확장유닛(200d)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3확장유닛(200c)과 제4확장유닛(200d)이 일정 거리 이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3확장유닛(200c)의 제3면(203c)과,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제4확장유닛(200d)의 제2면은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고정부는 각 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3확장유닛(200c)의 제3면(203c)과 제4확장유닛(200d)의 제2면이 서로 접촉됨에 따라, 제3확장유닛(200c)의 제3고정부(430c)와 제4확장유닛(200d)의 제2고정부(420d)는 서로 겹쳐진다. 그리고, 제3확장유닛(200c)의 제3고정부(430c)와 제4확장유닛(200d)의 제2고정부(420d)에 형성된 체결홀은 서로 연통된다.
이때, 서로 겹쳐진 제3확장유닛(200c)의 제3고정부(430c)와 제4확장유닛(200d)의 제2고정부(420d)를 감싸도록 고정커버(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커버(460)는 일종의 커플러(Coupler)와 같은 역할을 하여 각 고정부를 1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형성한다. 이와 더불어, 고정커버(460) 역시 각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더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부재(450)가 상기 고정커버(460), 제3확장유닛(200c)의 제3고정부(430c) 및 제4확장유닛(200d)의 제2고정부(420d)의 각 체결홀을 관통하여 결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체결부재(450)는 각 고정부를 2차적으로 고정하여, 보다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유닛(100) 및 확장유닛(200)의 각 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므로,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고정부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450) 및 고정커버(460)가 모두 사용되었으나,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고정커버(460) 없이 체결부재(450)만으로 직접 체결할 수도 있으며, 또는 고정커버(460)가 겹쳐진 한 쌍의 고정부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고정부는 본 실시예와 같이 각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나, 제3확장유닛(200c) 및 제4확장유닛(200d)의 제3면에서 연장 형성된 제3고정부(430c, 430d)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다르다. 즉, 제4확장유닛(200d)의 제2고정부(420d)는 제3확장유닛(200c)의 제3고정부(430c)의 후크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는 다양한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체결 방식과 같은 원터치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커플러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등 그 제한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는 메인유닛(100)과 확장유닛(200)에 물리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메인유닛(100)과 확장유닛(200)에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연결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인유닛(100)은 제1연결부(310)를 가지며, 확장유닛(200)은 제2연결부(320) 및 제3연결부(330)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310)는 제2연결부(320)와 연결되며, 제3연결부(330)는 또 다른 제2연결부와 연결된다. 이때 각 확장유닛(200)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2연결부(32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310) 및 제3연결부(3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연결부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320)는 복수의 핀을 가지도록 돌출된 플러그로 형성되고, 제1연결부(310) 및 제3연결부(330)는 상기 핀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홈을 가지도록 개구부 내에 함몰된 소켓 형태로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유닛(100)의 제1연결부(310) 및 제1확장유닛(200a)의 제2연결부(320a)의 연결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320a)는 함몰된 제1연결부(310)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메인유닛(100)의 제1면(101)과 제1확장유닛(200a)의 제2면(202a)은 서로 접촉된다. 따라서, 각 연결부의 연결 부분이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연결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플러그 및 소켓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각 연결부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로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소켓 형태의 제1연결부(310)에 가이드부재(350)가 힌지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350)는 제1연결부(310)에 힌지 결합되어 제1연결부(310)의 연결 부분을 개폐할 수 있으며, 양측에는 가이드돌기(355a, 355b)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각 가이드돌기(355a, 355b)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2연결부(320)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평소에는 제1연결부(310)의 연결 부분을 폐쇄하고, 메인유닛(100) 및 확장유닛(200)을 연결할 시에는 제1연결부(310)의 연결 부분을 개방하여 제2연결부(320)와 제1연결부(310)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유닛(100)과 확장유닛(200)을 결합할 경우 각 연결부가 메인유닛(100) 또는 확장유닛(200)의 몸체에 가려지더라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메인유닛(100)의 일측에 연결된 확장유닛(200) 중 가장 외측에 연결된 확장유닛의 제3면(203)에는, 보호커버(340) 또는 지지부재(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340)는 개구된 제3연결부(330)에 부착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3연결부(330)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250)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전체를 측 방향으로 세울 경우, 가장 외측에 위치된 확장유닛(200)의 제3면(203)이 지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확장유닛(200)은 제3연결부(330) 및 제3면(203) 전체가 파손되거나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보호커버(340) 또는 지지부재(25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서(340) 및 지지부재(25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의 전체 모습 및 세부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는 메인유닛(100)의 일측에 확장유닛(200)이 하나 이상 접촉되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메인유닛(100)과 확장유닛(200), 또는 확장유닛(200)과 또 다른 확장유닛(200)은 각 면에 구비된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정부에 의해 물리적으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는 어느 하나의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메인유닛
101: 제1면
104: 제4면
110: 디스플레이부
115: 조작 버튼
120: 손잡이
130: 전원부
140, 240: 개구홀
200: 확장유닛
202: 제2면
203: 제3면
210: 접속 단자
250: 지지부재
310: 제1연결부
320: 제2연결부
330: 제3연결부
340: 보호커버
410: 제1고정부
420: 제2고정부
430: 제3고정부
450: 체결부재
460: 고정커버

Claims (11)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생성하는 메인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연결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닛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양한 신호 패턴 중 선택된 신호 패턴을 별도의 지그에 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송출하는 확장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유닛의 양 측면 중 상기 확장유닛이 접촉 연결되는 면인 제1면에는, 상기 메인유닛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상기 확장유닛에 전송하며,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유닛의 양 측면 중 상기 메인유닛의 상기 제1면에 접촉 연결되는 면인 제2면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닛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수신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유닛의 양 측면 중 상기 제2면의 반대측 면인 제3면에는, 다른 확장유닛이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신호 패턴을 상기 다른 확장유닛에 전송하는 제3연결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 각각의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어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확장유닛, 또는 상기 확장유닛 및 다른 확장유닛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각각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고정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감싸는 고정커버가 더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가 상기 후크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 중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연결부는, 어느 하나가 복수의 핀을 가지는 돌출된 플러그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핀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홈을 가지는 함몰된 소켓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소켓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에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된 확장유닛 중 가장 외측에 연결된 확장유닛의 제3연결부에는, 상기 제3연결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에 하나 이상 직렬 연결된 확장유닛 중 가장 외측에 연결된 확장유닛의 제3면에는, 상기 제3면이 지면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경우 상기 제3면이 지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의 상기 제1면 반대측에 형성된 제4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KR1020110009355A 2011-01-31 2011-01-31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058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55A KR101058812B1 (ko) 2011-01-31 2011-01-31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55A KR101058812B1 (ko) 2011-01-31 2011-01-31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812B1 true KR101058812B1 (ko) 2011-08-23

Family

ID=4493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55A KR101058812B1 (ko) 2011-01-31 2011-01-31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261A (ko) * 2013-03-21 2014-10-07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구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34B1 (ko) 2010-06-18 2011-01-26 (주)케이디티 계측회로의 케이스를 모듈화한 모듈형 계측기 통합 시스템
KR101016770B1 (ko) 2010-06-18 2011-02-25 (주)케이디티 병렬방식의 데이터 버스를 이용한 모듈형 계측기 통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34B1 (ko) 2010-06-18 2011-01-26 (주)케이디티 계측회로의 케이스를 모듈화한 모듈형 계측기 통합 시스템
KR101016770B1 (ko) 2010-06-18 2011-02-25 (주)케이디티 병렬방식의 데이터 버스를 이용한 모듈형 계측기 통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261A (ko) * 2013-03-21 2014-10-07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구동 장치
KR101715993B1 (ko) 2013-03-21 2017-03-1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6378B2 (ja) 照明装置
CN201904477U (zh) 电连接器组件
KR102080771B1 (ko) 안테나 장치
CN101636708A (zh) 电子设备和框架
US9519168B2 (en) Display apparatus
ATE511025T1 (de) Steckhalterung
JP6591269B2 (ja) 照明装置
KR101058812B1 (ko) 직렬 연결되는 확장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 테스트 장치
CN101088018A (zh) 测试装置
US7320625B2 (en) Control device for electrohydraulic support controller
US9493078B2 (en)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CN102279366A (zh) 电动工具电量显示
CN103457111A (zh) 发光连接器及电子产品和检测设备
JP6317917B2 (ja) 導通検査ユニット
KR102159330B1 (ko) 엘이디 어댑터가 구비된 패치 코드
KR20120006468U (ko) 휴대용 기기의 젠더
JP2009009806A (ja) 配線システム
RU2011131060A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2017116863A (ja) 通信光可視化パッチパネル
KR20130096612A (ko)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JP6690231B2 (ja) 通信光可視化パッチパネル
CN105099818A (zh) 网口测试装置
CN219676044U (zh) 运行内存芯片测试板和运行内存芯片测试装置
KR10266614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02103248U (zh) 一种导航仪接插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