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612A -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612A
KR20130096612A KR1020120018198A KR20120018198A KR20130096612A KR 20130096612 A KR20130096612 A KR 20130096612A KR 1020120018198 A KR1020120018198 A KR 1020120018198A KR 20120018198 A KR20120018198 A KR 20120018198A KR 20130096612 A KR20130096612 A KR 2013009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in
usb
cable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소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소닉스
Priority to KR102012001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612A/ko
Priority to PCT/KR2013/001446 priority patent/WO2013125903A1/ko
Publication of KR2013009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트 기기와 대응하는 주변기기에 장착되어 USB 케이블의 다른 버전에도 호환 가능하게 적용되고 호스트 기기에 USB 포트 또는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도 동시에 호환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호스트 기기에 장착된 USB 포트와, 또 다른 호스트 기기로서 아이폰에 장착된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주변기기 장착용 아이포트에 관한 것으로, USB 2.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2.0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 제 1 핀부(110); 30핀 포트에 상용되는 전용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 제 2 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기기에 대응하는 호스트 기기(아이폰)에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도 상기 아이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하는 것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400)은, 일단부에 주변기기 커넥터부(41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30핀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30핀 포트와 통신하는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420)가 구비된다.

Description

USB 포트와 아이폰용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iport for connected to USB port and 30 pin port for iphone with compatibility, and private cable for iport}
본 발명은 USB 포트와 아이폰용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호스트 기기에 접속되는 주변기기에 장착되어 USB 케이블의 다른 버전에도 호환 가능하게 적용되고, 호스트 기기(아이폰)에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도 동시에 호환 가능하게 적용되는 아이포트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트 기기(아이폰)에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도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아이포트에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 전용 케이블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현재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를 접속시키는 범용직렬버스(USB)의 규격으로 USB 2.0과 USB 3.0이 각각의 포트와 커넥터부의 규격이 상이함에도 상호 혼재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호스트 기기에 구비된 USB 포트는 버전이 상호 다른 경우에도 기구적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주변기기에 장착된 USB 포트는 버전이 다른 경우에 기구적으로 상이하다. 이로 인해, USB 3.0 버전의 포트에 USB 2.0 버전의 커넥터부를 끼우는 경우에는 USB 3.0 버전이 하방호환성(down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마치 USB 2.0 버전과 같이 동작한다.
하지만, 보통 USB 2.0 버전 포트의 소켓보다 USB 3.0 버전 포트의 소켓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USB 3.0 버전 포트에 맞게 제작된 USB 3.0 버전 커넥터부는 USB 2.0 버전의 포트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호스트 기기로서 기능하는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 등 애플 iOS 디바이스에는 30핀 포트가 장착되어 있는데, 주변기기에 장착된 기존의 포트는 이러한 30핀 포트에 대응하기 위하여 30핀 포트에 대응하는 개개의 포트를 주변기기에 장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그에 대응되는 커넥터부를 갖는 개개의 케이블이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 기기와 대응하는 주변기기에 장착되어 USB 케이블의 다른 버전에도 호환 가능하게 적용되고, 호스트 기기에 USB 포트 또는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도 동시에 호환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는 USB 포트와 아이폰용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기기에 대응하는 호스트 기기(아이폰)에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도 상기 아이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하는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스트 기기에 장착된 USB 포트와, 또 다른 호스트 기기로서 아이폰에 장착된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주변기기 장착용 아이포트에 관한 것으로, USB 2.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2.0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 제 1 핀부; 30핀 포트에 상용되는 전용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 제 2 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핀부와 제 2 핀부가 위치한 아이포트의 소켓은 USB 3.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는 소켓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아이포트에 접속되는 경우, 제 1 핀부와 제 2 핀부 중 제 1 핀부만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에 의해 인식되고 제 1 핀부는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와 하방호환성(dowmward compatibility)에 의해 USB 2.0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며,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아이포트에 접속되는 경우, 제 1 핀부와 제 2 핀부 중 제 2 핀부만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에 의해 인식되고 제 2 핀부는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와 정해진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은 일단부에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30핀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30핀 포트와 통신하는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용 케이블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는, 제 1 핀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제 1 핀부와 통신하는 제 3 핀부; 제 2 핀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제 2 핀부와 통신하는 제 4 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용 케이블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의 측벽에는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 플러그 접속용 DC 잭이 형성되며, 이 DC 잭을 통해 30핀 포트가 장착된 호스트 기기와, 아이포트가 장착된 주변기기에 외부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는 제 1 핀부와, 제 2 핀부로 구획된 상태로 주변기기에 장착됨으로써, 호스트 기기에 장착되는 포트가 USB 2.0 포트, USB 3.0 포트, 30핀 포트인 경우에도 호환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은, 주변기기에 아이포트가 탑재되고 주변기기에 대응하는 호스트 기기(아이폰)에 30핀 포트가 탑재된 경우 주변기기와 호스트 기기를 접속시키기 위해 적용됨으로써, 주변기기에 탑재된 하나의 아이포트를 통해 호스트 기기에 탑재되는 다양한 패턴의 포트에 대한 호환성을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USB 2.0 케이블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USB 3.0 케이블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USB 2.0 케이블의 적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USB 3.0 케이블의 적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의 적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가 상호 통신하도록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를 접속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USB 2.0 프로토콜 또는 USB 3.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케이블이 사용된다.
USB 케이블은 일단부에 호스트 기기와 연결되는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주변기기와 연결되는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구비된다.
또한 호스트 기기에는 USB 케이블의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가 연결되는 USB 포트가 구비되고, 주변기기에도 USB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연결되는 USB 포트가 탑재된다.
그리고, 호스트 기기 또는 주변기기에 탑재되는 각각의 USB 포트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 라인이 형성되고, 이 핀 라인이 위치한 부분은 소켓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의 커넥터부가 USB 포트의 소켓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커넥터부에 배열된 핀 라인과 포트에 형성된 핀 라인이 상호 접속되어 통신하게 된다.
그런데, USB 케이블의 양단에 형성된 커넥터부와, 호스트 기기 또는 주변기기에 탑재된 각각의 USB 포트들은 USB 버전 별로 상호 다른 핀 배열과 기구적인 차이를 갖고 있으므로 상호 호환성에 일정한 제한이 따르며, 또한 호스트 기기로서 아이폰과 같은 30핀 포트와는 전혀 호환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USB 2.0 케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USB 3.0 케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도 2],[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호스트 기기에 장착된 USB 포트와, 또 다른 호스트 기기로서 아이폰에 장착된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주변기기 장착용 아이포트에 관한 것으로, 제 1 핀부(110)와 제 2 핀부(120)로 구성된다.
제 1 핀부(110)는 USB 2.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2.0 케이블(200)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210)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다.
제 2 핀부(120)는 30핀 포트에 상용되는 전용 케이블(400)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410)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다.
제 1 핀부와 제 2 핀부는 상호 구획되어 배치되며, USB 3.0 포트와 동일한 소켓 규격을 갖도록 제 1 핀부가 제 2 핀부의 상부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아이포트(100)는 USB 3.0 포트와 기구적으로 호환성을 갖게 된다.
USB 3.0 포트의 소켓 규격은 USB 2.0 포트의 소켓 규격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므로 USB 3.0 포트는 USB 2.0 포트에 대해 호환성을 갖게 되므로 결국 아이포트(100)는 USB 3.0 포트 및 USB 2.0 포트 모두에 대해 기구적인 호환성을 갖게 된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핀부(110)와 제 2 핀부(120)가 위치한 아이포트(100)의 소켓은 USB 3.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3.0 케이블(3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310)가 접속되는 소켓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USB 3.0 케이블(3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310)가 아이포트(100)에 접속되는 경우, 제 1 핀부와 제 2 핀부 중 제 1 핀부(110)만 USB 3.0 케이블(3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310)에 의해 인식되고 제 1 핀부는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와 하방호환성에 의해 USB 2.0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전용 케이블(4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410)가 아이포트(100)에 접속되는 경우, 제 1 핀부와 제 2 핀부 중 제 2 핀부(120)만 전용 케이블(4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410)에 의해 인식되고 제 2 핀부는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와 정해진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400)은, 일단부에 주변기기 커넥터부(41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30핀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30핀 포트와 통신하는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용 케이블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410)는, 제 1 핀부(110)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제 1 핀부와 통신하는 제 3 핀부(411); 제 2 핀부(120)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제 2 핀부와 통신하는 제 4 핀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전용 케이블(400)의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420)와 주변기기 커넥터부(410)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의 와이어(W) 색상을 나타내며, 와이어(W)의 각 색상은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420)와 주변기기 커넥터부(410)의 신호 할당 핀 번호에 따라 달리 정해진다.
한편, [도 4],[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용 케이블(400)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410)의 측벽에는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 플러그 접속용 DC 잭(413)이 형성되며, 이 DC 잭을 통해 30핀 포트가 장착된 호스트 기기와, 아이포트(100)가 장착된 주변기기에 외부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전용 케이블(400)에 DC 잭(413)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DC 잭(413)에 연결할 어댑터를 구비하면,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에 각각 필요한 전원 공급용 어댑터가 없는 경우에도 DC잭(413)을 통한 전원 공급으로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 지속적인 통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호스트 기기와 주변기기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 본 발명의 전용 케이블(400)에 형성된 DC 잭(413)은 더욱 유용할 수 있다.
[도 6]은 USB 2.0 케이블의 적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호스트 기기(500)와 주변기기(600)가 USB 2.0 케이블(20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통신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세하게, 호스트 기기(500)에 탑재된 USB 2.0 포트(510)는 USB 2.0 케이블(200)의 일단에 구비된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220)와 맞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고, 주변기기(600)에 탑재된 USB 2.0 포트(610)는 USB 2.0 케이블(200)의 타단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210)와 맞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USB 2.0 케이블(200)의 일단에 형성된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220)는 USB 3.0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호스트 기기 커넥터와 기구적으로 동일하여 상호 호환될 수도 있지만, USB 2.0 케이블(200)의 타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210)는 USB 3.0 케이블의 타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와 기구적인 면만 보더라도 상이하여 상호 호환성에 일정한 제한이 있게 된다.
즉, 주변기기 제조시 주변기기(600)에 USB 2.0 포트(610)가 탑재되는 경우 USB 3.0 케이블로 호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도 7]은 USB 3.0 케이블의 적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호스트 기기(500')와 주변기기(600')가 USB 3.0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통신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세하게, 호스트 기기(500')에 탑재된 USB 3.0 포트(510')는 USB 3.0 케이블(300)의 일단에 구비된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320)와 맞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고, 주변기기(600')에 탑재된 USB 3.0 포트(610')는 USB 3.0 케이블(300)의 타단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310)와 맞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변기기(600')에 탑재된 USB 3.0 포트(610')는 핀이 배열된 핀 라인이 USB 3.0 프로토콜에 맞게 정해져 있으므로 호스트 기기(아이폰)에 탑재된 포트가 30핀 포트인 경우 상호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의 적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호스트 기기(500")와 주변기기(600")가 본 발명인 전용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통신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세하게, 호스트 기기(500")에 탑재된 30핀 포트(510")는 전용 케이블(400)의 일단에 구비된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420)와 핀 배열, 기구적 구조가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주변기기(600")에 탑재된 아이포트(100)는 전용 케이블(400)의 타단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410)와 핀 배열, 기구적 구조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핀부(110)와 제 2 핀부(120)가 위치한 아이포트(100)의 소켓은, USB 3.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3.0 케이블(3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310)가 접속되는 소켓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변기기(600")에는 아이포트(100)가 탑재된 상태에서 호스트 기기(500")에 30핀 포트(510")가 아닌 일반적인 USB 2.0 포트 또는 USB 3.0 포트가 탑재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케이블(400) 대신에 일반적인 USB 2.0 케이블 또는 USB 3.0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아이포트(100)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USB 2.0 케이블, USB 3.0 케이블, 전용 케이블(400) 모두에 호환성을 갖게 된다([도 1],[도 3] 참조).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아이포트 110 : 제 1 핀부
120 : 제 2 핀부 200 : USB 2.0 케이블
210 : 주변기기 커넥터부 220 :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
300 : USB 3.0 케이블 310 : 주변기기 커넥터부
320 :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 400 : 전용 케이블
410 : 주변기기 커넥터부 411 : 제 3 핀부
412 : 제 4 핀부 413 : DC 잭
420 :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 500 : 호스트 기기
510 : USB 2.0 포트 500' : 호스트 기기
510' : USB 3.0 포트 500" : 아이폰
510" : 30핀 포트 600 : 주변기기
610 : USB 2.0 포트 600' : 주변기기
610' : USB 3.0 포트 600" : 주변기기
L2,L3,L4 : 케이블 라인 W : 와이어

Claims (6)

  1. 호스트 기기에 장착된 USB 포트와, 또 다른 호스트 기기로서 아이폰에 장착된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주변기기 장착용 아이포트에 관한 것으로,
    USB 2.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2.0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 제 1 핀부(110);
    상기 30핀 포트에 상용되는 전용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접속되도록 복수의 핀이 배열된 제 2 핀부(120);
    를 포함하는 USB 포트와 아이폰용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부(110)와 상기 제 2 핀부(120)가 위치한 상기 아이포트(100)의 소켓은 USB 3.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USB 3.0 케이블(300)의 주변기기 커넥터부(310)가 접속되는 소켓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와 아이폰용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상기 아이포트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 1 핀부와 상기 제 2 핀부 중 상기 제 1 핀부만 상기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에 의해 인식되고 상기 제 1 핀부는 상기 USB 3.0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와 하방호환성에 의해 USB 2.0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가 상기 아이포트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 1 핀부와 상기 제 2 핀부 중 상기 제 2 핀부만 상기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에 의해 인식되고 상기 제 2 핀부는 상기 전용 케이블의 주변기기 커넥터부와 정해진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와 아이폰용 30핀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케이블(400)은,
    일단부에 상기 주변기기 커넥터부(41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상기 30핀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상기 30핀 포트와 통신하는 호스트 기기 커넥터부(4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용 케이블에 구비된 상기 주변기기 커넥터부(410)는,
    상기 제 1 핀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상기 제 1 핀부와 통신하는 제 3 핀부(411)와, 상기 제 2 핀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핀이 배열되어 상기 제 2 핀부와 통신하는 제 4 핀부(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용 케이블에 구비된 주변기기 커넥터부의 측벽에는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 플러그 접속용 DC 잭(413)이 형성되며, 이 DC 잭을 통해 상기 30핀 포트가 장착된 호스트 기기와, 상기 아이포트가 장착된 주변기기에 외부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KR1020120018198A 2012-02-22 2012-02-22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KR20130096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98A KR20130096612A (ko) 2012-02-22 2012-02-22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PCT/KR2013/001446 WO2013125903A1 (ko) 2012-02-22 2013-02-22 유에스비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98A KR20130096612A (ko) 2012-02-22 2012-02-22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612A true KR20130096612A (ko) 2013-08-30

Family

ID=4900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98A KR20130096612A (ko) 2012-02-22 2012-02-22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6612A (ko)
WO (1) WO20131259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31U (ko) * 2015-12-01 2017-06-09 썬전 노페이즈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면 겸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1256B (zh) * 2014-11-14 2018-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复用usb插座、复用usb插头、复用usb装置及usb转接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34Y1 (ko) * 2003-07-15 2003-10-10 디게이트반도체(주) 멀티 플러그를 구비한 usb 저장 장치
KR101402807B1 (ko) * 2007-12-05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커넥터와, 그를 갖는 충전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TWI334546B (en) * 2009-03-13 2010-12-11 Via Tech Inc Integrated circui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31U (ko) * 2015-12-01 2017-06-09 썬전 노페이즈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면 겸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903A1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433B2 (en) On-board diagnostic adapter
WO2008106325A3 (en) Implantable neurostimulator adapters
KR200485712Y1 (ko) 복합형 연결 소켓
KR20090058613A (ko) 멀티 커넥터와, 그를 갖는 충전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CN104466536A (zh) 一种混装连接器
US9500814B2 (en) Optical adapter module with managed connectivity
CN104882749B (zh) SATA Express连接器
JP2012142281A (ja) Usbプラグ
US9455528B1 (en) Multi-plug USB connector with swappable tip
KR20130096612A (ko)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CN103427189A (zh) 插座连接器
US9270038B1 (en) Multi-plug USB connector with swappable tip
KR20090108043A (ko) 호스트에 연결되는 주변장치
JP3180768U (ja) 多機能自在コンセント
JP3162616U (ja) 複合コネクタプラグ
CN109560419A (zh) 可盲插连接器装置
TWI514801B (zh) Capable of freely fitting the assembly of the power line network adapter
CN104184303A (zh) 带插座的电源适配器
US20170013102A1 (en) Multi ended telecom test adapter
US9577395B2 (en) Universal socket device
KR101821043B1 (ko) 복합 커넥터
CN204333527U (zh) 具有连接座的usb数据线
ES1247359U (es) Toma múltiple multifuncional
KR200463318Y1 (ko) 멀티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 케이블
CN205429309U (zh) 一种接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