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043B1 - 복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복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043B1
KR101821043B1 KR1020160071922A KR20160071922A KR101821043B1 KR 101821043 B1 KR101821043 B1 KR 101821043B1 KR 1020160071922 A KR1020160071922 A KR 1020160071922A KR 20160071922 A KR20160071922 A KR 20160071922A KR 101821043 B1 KR101821043 B1 KR 10182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optical
data
connector
opt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404A (ko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6007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0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원과 연결되도록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연결부; 상기 전원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부와 이격 배치되고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광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부 및 광신호 전송부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어댑터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어댑터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기만 하면,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와 전자장치 또는 전자단말기 등은 그 기능이 더욱 다양화되어 전원의 연결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과 광신호 전송까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커넥터는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위해 각 개별적으로 구비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위한 각각의 커넥터를 구비하였고, 각각 대응하는 어댑터에 접속시킴으로써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각각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용도가 다른 복수 개의 커넥터와 어댑터가 개별적으로 구비된다면, 사용자는 필요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커넥터와 어댑터의 연결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작업시간이 지체되며, 각 커넥터와 어댑터로 인해 기기 또는 장치의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528601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한 번의 동작으로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전원과 연결되도록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연결부; 상기 전원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부와 이격 배치되고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광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부 및 광신호 전송부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어댑터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원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전원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소켓부에 삽입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데이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어댑터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소켓부에 삽입되는 데이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광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신호 전송부는, 상기 어댑터와 광학적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광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 소켓부에 삽입되는 광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광 케이블은 단심 또는 다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커넥터 또는 상기 광 소켓부는 상기 광 케이블이 포함하는 광섬유에 대응하도록 단심 또는 다심 커넥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 상기 데이터 전송부 또는 상기 광신호 전송부를 수용 또는 지지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여 상기 어댑터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끝단 외면에 설치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이동이 제한되도록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이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어댑터와 밀고당기는 푸시풀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어댑터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기만 하면,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와 데이터 전송부 및 광신호 전송부를 하나의 커넥터에 집약시키고, 상기 구성들과 각각 대응하는 전원 소켓부와 데이터 소켓부 및 광 소켓부를 어댑터에 집약시킴으로써 각 커넥터 및 어댑터가 전자기기와 결합되며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와 어댑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가 결합되는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가 결합되는 어댑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너트가 제거된 복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의 너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와 어댑터(2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가 결합되는 어댑터(2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가 결합되는 어댑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는 어댑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20)는 전자기기(미도시) 등에 설치된 구성으로 상기 전자기기 등의 제품의 케이스(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 내부에 수용된 전기 또는 전자 또는 광학 부품들과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어댑터(20)는 후술하는 전원 연결부(100)와 접속 및 결합하는 전원 소켓부(21)와, 후술하는 데이터 전송부(200)와 접속 및 결합하는 데이터 소켓부(22), 및 후술하는 광신호 전송부(300)와 접속 및 결합하는 광 소켓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너트(500)가 제거된 복합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의 너트(500)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는 전원 연결부(100)와, 데이터 전송부(200) 및 광신호 전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00)는 전원과 연결되도록 어댑터(20)의 전원 소켓부(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00)는 도면에 한 쌍으로 서로 분리되어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일 뿐으로, 전원 연결부(100)의 형태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상기 한 쌍의 전원 연결부(100)는 각각 양(+)극과 음(-)극일 수 있다. 전원 연결부(100)는 전원 케이블(미도시)과 전원 커넥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원 연결부(100)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끝단에 전원 커넥터(11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00)는 어댑터(20)가 설치된 전자기기와 어댑터(2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가능하다. 데이터 전송부(200)는 어댑터(20)의 데이터 소켓부(22)에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00)는 복합 커넥터(10)에서 전원 연결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부(200)의 형태나 그 위치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00)는 데이터 케이블(미도시)과 데이터 커넥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부(200)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데이터 커넥터(21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에 배치될 수 있다.
광신호 전송부(300)는 어댑터(20)가 설치된 전자기기와 어댑터(20)를 통해 연결되어 광신호를 전송가능하다. 광신호 전송부(300)는 어댑터(20)의 광 소켓부(23)에 광신호를 전송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광신호 전송부(300)는 복합 커넥터(10)에서 전원 연결부(100) 및 데이터 전송부(20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신호 전송부(300)의 형태나 그 위치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광신호 전송부(300)는 광 케이블(미도시)과 광 커넥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신호 전송부(300)는 상기 광 케이블의 끝단에 광 커넥터(31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 케이블은 단심 또는 다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케이블은 내부에 광섬유(미도시)가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는 광 커넥터(310)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이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 커넥터(310)는 상기 광 케이블의 단심 또는 다심으로 형성된 광 섬유에 대응하여 노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 소켓부(23) 역시 상기 단심 또는 다심으로 형성된 상기 광섬유와 대응하여 접속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전원 연결부(100)와 데이터 전송부(200) 및 광신호 전송부(3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어댑터(20)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를 전자기기 등에 설치된 어댑터(20)에 결합시키면, 전원 연결부(100)와 데이터 전송부(200) 및 광신호 전송부(300)는 각각 대응하는 소켓부(21, 22, 23)에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전원 연결부(100)와 데이터 전송부(200) 및 광신호 전송부(300)는 어댑터(20)와 동시에 접속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는 하우징(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전원 연결부(100), 데이터 전송부(200) 또는 광신호 전송부(300)를 수용 또는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외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스토퍼(410)가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조). 스토퍼(410)는 후술하는 너트(5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400)의 외면에 너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너트(500)는 하우징(400)의 외주면에서 하우징(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너트(500)는 어댑터(20)와 바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다. 너트(500)와 어댑터(20)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어댑터(20)로부터 분리가 방지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너트(500)는 양단이 개구된 기둥형상으로, 내주면에 돌부(510)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어댑터(20)와 결합될 때, 너트(500)는 하우징(400)의 외면에서 어댑터(20)측으로 이동되고, 돌부(510)가 어댑터의 슬라이딩홈(24)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홈(2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너트(500)는 회전하고 복합 커넥터(10)는 어댑터(20)에 체결된다. 너트(50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수단(미부호)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너트(500)는 끝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이동방지부재(520)가 마련된다. 너트(500)가 어댑터(20)와 결합하게 되면, 하우징(400)이 어댑터(20)와 분리방향으로 잡아당겨지더라도 하우징(400)의 스토퍼(410)와 너트(500)의 이동방지부재(520)는 서로 걸림으로써 하우징(400)과 너트(500)의 상호 이동을 방지하고, 결국 너트(500)는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된다. 그리고 스토퍼(410)는 돌부(510)와 이동방지부재(520)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복합 커넥터(10)와 어댑터(20)가 분리된 상황에서도 너트(500)는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되며, 분실 염려가 없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너트(500)는 어댑터(20)와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다. 역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에 덧붙여서, 너트(500)는 어댑터(20)와 서로 대응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밀고 당기는 푸시풀(push-pull) 형태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이외에도 너트(500)와 어댑터(20)의 결합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와 어댑터(20)의 결합되는 과정 또는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10)의 하우징(400)의 외면과 너트(500)의 외면을 파지하고, 복합 커넥터(10)를 어댑터(20)에 삽입한다. 이때, 복합 커넥터(10)의 전원 연결부(100)의 전원 커넥터(110)와 데이터 전송부(200)의 데이터 커넥터(210) 및 광신호 전송부(300)의 광 커넥터(310)은, 각각 어댑터(20)의 전원 소켓부(21)와 데이터 소켓부(22) 및 광 소켓부(23)와 위치와 형상이 서로 대응하므로, 복합 커넥터(10)는 어댑터(20)에 결합되어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너트(500)를 어댑터(20)에 결합시킨다. 즉, 너트(500)의 돌부(510)가 어댑터(20) 외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4)에 끼워지도록 배치하고, 너트(500)의 외면을 잡고 너트(500)를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500)와 어댑터(200)와 결합된다. 또한, 너트(500)가 어댑터(200)와 결합방향으로 이동할 때, 너트(500)의 이동방지부재(520)가 하우징(400)의 외면에 형성된 스토퍼(410)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상기 커넥터들(110, 210, 310)은 상기 소켓부들(21, 22, 23)과 결합이 더욱 공고해진다.
이후, 복합 커넥터(10)와 어댑터(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너트(500)를 결합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너트(500)의 돌부(510)는 슬라이딩홈(24)을 따라 빠져나오게 되며, 하우징(400)을 분리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커넥터들(110, 210, 310)과 상기 소켓부들(21, 22, 23)의 결합 및 접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너트(500)는 하우징(400)의 외면에서 이동될 수 있으나, 하우징(400)의 스토퍼(410)가 돌부(510)와 이동방지부재(520) 사이에 위치하므로, 너트(500)는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실시예들은 서로 변경 또는 통합이 가능하며,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복합 커넥터 20 : 어댑터
21 : 전원 소켓부 22 : 데이터 소켓부
23 : 광 소켓부 24 : 슬라이딩홈
100 : 전원 연결부 110 : 전원 커넥터
200 : 데이터 전송부 210 : 데이터 커넥터
300 : 광신호 전송부 310 : 광 커넥터
400 : 하우징 410 : 스토퍼
500 : 너트 510 : 돌부
520 : 이동방지부재

Claims (9)

  1. 어댑터와 바요넷 방식으로 결합하는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외면에 사선방향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합 커넥터는,
    전원과 연결되도록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연결부;
    상기 전원 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부와 이격 배치되고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는 광신호 전송부;
    상기 전원 연결부, 상기 데이터 전송부 또는 상기 광신호 전송부를 수용 또는 지지하고,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둘레방향으로 스토퍼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어댑터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끝단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이동이 제한되도록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이동방지부재와, 상기 어댑터와 결합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돌부를 포함하는 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부 및 광신호 전송부는 상기 너트의 이동에 따라 돌출 또는 커버되며 상기 어댑터에 동시에 접속가능한 복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원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전원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소켓부에 삽입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복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데이터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어댑터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소켓부에 삽입되는 데이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복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광 소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신호 전송부는, 상기 어댑터와 광학적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광 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 소켓부에 삽입되는 광 커넥터를 포함하는 복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케이블은 단심 또는 다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커넥터 또는 상기 광 소켓부는 상기 광 케이블이 포함하는 광섬유에 대응하도록 단심 또는 다심 커넥터인 복합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71922A 2016-06-09 2016-06-09 복합 커넥터 KR10182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22A KR101821043B1 (ko) 2016-06-09 2016-06-09 복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22A KR101821043B1 (ko) 2016-06-09 2016-06-09 복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404A KR20170139404A (ko) 2017-12-19
KR101821043B1 true KR101821043B1 (ko) 2018-01-22

Family

ID=6092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922A KR101821043B1 (ko) 2016-06-09 2016-06-09 복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1535B4 (de) * 2020-08-17 2023-02-02 Odu Gmbh & Co. Kg Steckverbinderein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9266A (ja) * 2010-06-24 2012-01-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2138243A (ja) * 2010-12-27 2012-07-19 Sumitomo Electric Ind Ltd 複合コネクタと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9266A (ja) * 2010-06-24 2012-01-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2138243A (ja) * 2010-12-27 2012-07-19 Sumitomo Electric Ind Ltd 複合コネクタと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404A (ko)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986B2 (en) Connector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onnector modules for optical fibers, electrical conductors, or both
EP3403122B1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ies with adjustable polarity
US10168485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US8475055B2 (en) Hybrid connector
CN103645545B (zh) 用于光缆组件连接的连接器及连接方法
EP3958405A2 (en) Connector assembly
US20140179166A1 (en) Usb connector module
US10422966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US20190004261A1 (en) Connector
US9500814B2 (en) Optical adapter module with managed connectivity
CN107580687A (zh) 线缆连接器保持设计
US1132724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prefabricated optical fiber, adapter, fiber termination box,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assembly
EP3021145B1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US10371900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KR20120030376A (ko) 스플리터 모듈
KR101821043B1 (ko) 복합 커넥터
EP2423721B1 (en) Adapter for receiving a hybrid connector part and a fiber optic connector part
US884520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adapter capable of preventing dust
US10120137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KR101778181B1 (ko)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KR101669895B1 (ko) 분리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US20120251058A1 (en) Communications cable having electro-optical transceivers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30106071A (ko) 이형페룰 스터브를 이용한 단선검사용 가변 아답터의 제조
EP2680051A1 (en) Cable and connector adapt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