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81B1 -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81B1
KR101778181B1 KR1020150103072A KR20150103072A KR101778181B1 KR 101778181 B1 KR101778181 B1 KR 101778181B1 KR 1020150103072 A KR1020150103072 A KR 1020150103072A KR 20150103072 A KR20150103072 A KR 20150103072A KR 101778181 B1 KR101778181 B1 KR 10177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terminal portion
port
termi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098A (ko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5010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포트와 상기 포트 주위에 배치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트랜시버에 결합되는 제1 커넥팅부; 및 상기 제1 커넥팅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부에 의해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팅부는, 상기 포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팅부를 제1 및 제2 커넥팅부의 이중으로 구비하여, 어느 하나를 트랜시버에 항시 결합시켜 놓으며, 다른 하나를 어느 하나의 커넥팅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므로, 트랜시버로부터 연결된 커넥팅부를 분리시키는 수고가 경감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트랜시버와 결합한다.
최근에는 커넥터의 일부에 래치를 구비하고, 래치를 누름으로써 트랜시버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래치를 사용하는 커넥터는 트랜시버와의 결합이 용이하지만, 커넥터가 트랜시버 내부로 삽입되어 래치 해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짧아 사용자가 래치 해제부를 가압하기 어려워 분리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팅부를 제1 및 제2 커넥팅부의 이중으로 구비하고, 어느 하나를 트랜시버에 항시 결합시켜 놓으며, 다른 하나를 어느 하나의 커넥팅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트랜시버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커넥팅부만을 트랜시버에 결합시키고, 시중에서 통용되는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팅부와의 결합이 가능한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은, 트랜시버의 포트에 일단이 삽입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타단에 다른 단자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수용부;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포트에 결합되는 래치; 및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와 상기 포트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끝단 상방에는 상기 래치 해제부의 끝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포트와 상기 포트 주위에 배치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트랜시버에 결합되는 제1 커넥팅부; 및 상기 제1 커넥팅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부에 의해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팅부는, 상기 포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팅부는, 일단이 상기 포트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면에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해제부가 위치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1 단자부의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부가 상기 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제1 단자부의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래치의 끝단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며, 외면에 나선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와 체결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팅부는, 양단이 개구된 플렉시블한 튜브; 상기 튜브 일단에 배치되고, 내면에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돌부가 돌출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체결너트; 및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는 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면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되는 주름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지지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팅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수용부에 삽입되고 타측에 또 다른 단자부가 삽입되도록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팅부를 제1 및 제2 커넥팅부의 이중으로 구비하여, 어느 하나를 트랜시버에 항시 결합시켜 놓으며, 다른 하나를 어느 하나의 커넥팅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므로, 트랜시버로부터 연결된 커넥팅부를 분리시키는 수고가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중에서 통용되는 커넥터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이 트랜시버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튜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체결너트와 몸체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이 트랜시버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은 트랜시버(1)와 결합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트랜시버(1)는 전자 부품들이 수용된 케이스(미도시)의 일부에 설치되며, 어댑터(4)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은 단자부(10)를 포함한다. 단자부(10)는 트랜시버(1)의 포트(2)에 일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부(10)의 타단에는 다른 단자부(1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게 수용부(11)가 형성된다. 단자부(10´)의 타단에는 또 다른 단자부(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부호)이 삽입되도록 수용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단자부(10, 1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단자부(10, 10´)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단자부(10, 10´)는 3개가 연결될 수 있고 그 이상이 연결가능하며, 그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자부(10, 10´)는 전기적인 신호 또는 광신호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전선 또는 광섬유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느 한 단자부(10)의 수용부(11)에 다른 단자부(10´)가 삽입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고, 만약 전기적인 연결이 어렵거나 다른 단자부(10´)가 삽입이 어려울 경우, 어느 한 단자부(10)와 다른 단자부(10´) 사이에 별도의 부재(미도시)를 수용부(11)에 삽입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어느 한 단자부(10)의 수용부(11)에 상기 별도의 부재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별도의 부재에 형성된 수용부(미도시)에 다른 단자부(10´)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다.
단자부(10)는 래치(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12)는 단자부(10)의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트랜시버(1)의 포트(2)에 탄성적으로 결합가능하다. 트랜시버(1)의 포트(2)에는 결합홈(3)이 형성되고, 래치(12)에는 결합홈(3)에 대응하도록 결합돌부(13)가 래치(12)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포트(2)에 단자부(10)의 일단이 삽입될 때, 래치(12)는 포트(2)의 일부에 의해 단자부(10)를 향하여 가압되고, 결합돌부(13)가 결합홈(3)의 위치에 도달하여 삽입되면, 래치(12)가 단자부(10)의 외측으로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포트(2)와 단자부(10)는 결합된다.
단자부(10)는 래치(12)를 가압하는 래치 해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14)는 래치(12)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래치 해제부(14)는 단자부(10)의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래치(12)의 끝단이 단자부(10)와 래치 해제부(14)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래치 해제부(14)의 타단이 래치(12)의 타단을 단자부(1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14)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래치(12)의 끝단을 가압하여 결합돌부(13)가 포트(2)의 결합홈(3)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사용자는 단자부(10)를 트랜시버(1)와의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 단자부(10)와 트랜시버(1)의 분리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래치 해제부(14)의 가압을 중단하면, 래치 해제부(14)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구되어 래치(12)를 가압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자부(10)의 수용부(11)에 다른 단자부(10´)가 삽입될 수 있고, 이때 단자부(10´) 역시 래치(12)와 래치 해제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만약 단자부(10´)에 래치(12)가 마련되는 경우, 단자부(10)의 수용부(11)에는 결합홈(3)이 마련되고, 결합홈(3)과 대응하는 결합돌부(13)가 래치에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트랜시버(1)와 결합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트랜시버(1)는 전자 부품들이 수용된 케이스(미도시)의 일부에 설치되며, 어댑터(4)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1)와 직접 결합된다. 제1 커넥팅부(100)는 제1 단자부(110)와 몸체(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단자부(110)는 포트(2)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111)와, 래치(111)를 가압하여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커넥터 연결 유닛을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부(10)와 래치(12) 및 래치 해제부(14)를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래치(111)와 결합돌부(111a), 래치 해제부(112) 및 체결홈(121)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단자부(110)는 일단이 포트(2)에 삽입되고, 타단에 제1 수용부(11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 단자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몸체(120)는 제1 단자부(110)를 둘러싸며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몸체(120)는 제1 단자부(110)가 수용되도록 제1 단자부(110)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미부호)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단자부(110)를 커버하며 보호한다. 몸체(120)의 외면에는 나선방향으로 체결홈(12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너트(220)와 결합한다.
체결부재(130)는 몸체(120)의 외주면에 배치되되 몸체(1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즉,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체결부재(130)와 몸체(120)는 턱(미도시)과 홈(미도시) 등의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어댑터(4)와 체결된다. 자세히 말하면, 체결부재(130)의 내주면과 어댑터(4)의 외주면이 서로 접하게 되는데, 체결부재(130)는 내주면에, 어댑터(4)는 외주면에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30)와 어댑터(4)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제2 커넥팅부(200)는 제1 커넥팅부(100)에 의해 트랜시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제2 커넥팅부(200)는 포트(2)와 결합한 제1 커넥팅부(100)의 반대측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팅부(2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2 단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자부(230)는 제1 커넥팅부(100)의 제1 단자부(110)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단자부(230)는 일측이 제1 단자부(110)의 제1 수용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부(230)는 타측에 또 다른 단자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수용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수용부(231)를 관통하는 케이블(미도시)가 배치되어 제1 단자부(110)와 연결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2 커넥팅부(2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3 단자부(미도시)와 제4 단자부(미도시) 등이 계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팅부(200)는 튜브(210)와 체결너트(220) 및 마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튜브(210)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튜브(210)는 제2 단자부(230)를 수용하고 양단이 개구된 기둥형상이며 방수가 가능한 재질이다. 튜브(210)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는데, 탄성이 있는 물질로도 형성가능하며,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10)는 외면이 돌출부(211)와 함몰부(212)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주름구조로 형성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튜브(210)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레탄(Urethane)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튜브(210)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부(211)를 관통하는 지지심(213)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심(213)은 튜브(210)가 사용자에 의해 심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튜브(210)를 사용자의 힘으로부터 지탱해준다. 도면에는 지지심(213)이 튜브(210)의 외측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돌출부(211)와 함몰부(212)가 형성된 튜브(210)의 어느 일부에 삽입되는 것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체결너트(220)와 몸체(120)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너트(220)는 튜브(210)의 일단에 마련되고, 제2 단자부(230)를 수용한다. 따라서 체결너트(220)는 제1 커넥팅부(100)의 몸체(120)와 결합함으로써,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는 결합할 수 있다. 체결너트(220)와 몸체(120)의 결합은 바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체결너트(220)의 내주면에는 몸체(120)의 체결홈(121)에 대응하는 체결돌부(221)가 마련되어,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의 결합시 체결돌부(221)는 체결홈(1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의 결합방식을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나사결합방식을 채택할 수 있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결합방식의 선택이 가능하다.
튜브(210)의 타단에는 마개부(300)가 배치되어 결합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개부(300)의 어느 일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 단자부(110) 또는 제2 단자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전자기기의 케이스(미도시)에 마련된 트랜시버(1)와 제1 커넥팅부(100)를 결합시킨다. 즉, 트랜시버(1)의 포트(2)에 제1 커넥팅부(100)의 제1 단자부(110)를 삽입한다. 제1 단자부(110)의 일면의 일측에 래치(111)의 일단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래치(111)는 트랜시버(1)에 제1 커넥팅부(100)가 결합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결합돌부(1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포트(2)에는 결합돌부(111a)와 대응하는 결합홈(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단자부(110)가 포트(2)에 삽입되면서 래치(111)가 제1 단자부(110) 측으로 가압되고, 포트(2)에 형성된 결합홈(3)에 래치(111)의 결합돌부(111a)가 삽입된다. 그리고 래치(111)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돌부(111a)는 결합홈(3)을 제1 단자부(110)의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제1 단자부(110)는 포트(2)에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1 단자부(110)의 외측을 둘러싼 몸체(120)의 외주면에 배치된 체결부재(130)를 트랜시버(1)의 어댑터(4)와 나사결합시킨다. 즉, 체결부재(130)의 내주면과 어댑터(4)의 외주면에는 서로 접하게 되고,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므로 나사결합 가능하다.
이후, 제2 커넥팅부(200)를 준비하고, 제2 커넥팅부(200)의 제2 단자부(230)의 일단을 제1 단자부(110)의 제1 수용부(113)에 삽입시킨다.
이후, 제2 커넥팅부(200)의 튜브(210)의 일단에 배치된 체결너트(220)를 제1 커넥팅부(100)의 몸체(120)에 바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너트(220)의 내주면에는 체결돌부(2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몸체(120)의 외주면에는 체결돌부(221)에 대응하는 체결홈(121)이 나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돌부(221)가 체결홈(121)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체결너트(221)는 몸체(120)의 외주면상에서 일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는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커넥팅부(100)와 제2 커넥팅부(20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체결너트(220)를 타방으로 회전시키고, 제2 단자부(230)를 제1 단자부(110)로부터 잡아당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 및 제2 단자부(110, 230) 외에도 제3 단자부(미도시) 등 복수 개의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1)에 결합된 제1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래치 해제부(112)를 가압하여야 하지만, 제1 단자부(110)의 길이와 몸체(120)에 의해 래치 해제부(112)를 가압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제1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1)로부터 분리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제1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 커넥팅부(100)를 분리시키지 않은 채 사용하며, 제2 커넥팅부(200)를 제1 커넥팅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커넥팅부(100)는 트랜시버(1)와 제2 커넥팅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중간체의 역할을 하며, 사용자는 제2 커넥팅부(200)만을 가지고 트랜시버(1)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커넥팅부(1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성들은 서로 연결 또는 결합하면서 방수 효과를 위해 상기 구성들 사이에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LC(Lucent Connector) 타입의 듀플렉스(Duplex) 커넥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트랜시버 2 : 포트
3 : 결합홈 4 : 어댑터
10, 10´ : 단자부 11, 11´ : 수용부
12 : 래치 13 : 결합돌부
14 : 래치 해제부
100 : 제1 커넥팅부 110 : 제1 단자부
111 : 래치 111a : 결합돌부
112 : 래치 해제부 113 : 제1 수용부
120 : 몸체 121 : 체결홈
130 : 체결부재 200 : 제2 커넥팅부
210 : 튜브 211 : 돌출부
212 : 함몰부 213 : 지지심
220 : 체결너트 221 : 체결돌부
230 : 제2 단자부 231 : 제2 수용부
300 : 마개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포트와 상기 포트 주위에 배치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트랜시버에 결합되는 제1 커넥팅부; 및
    상기 제1 커넥팅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부에 의해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팅부는,
    상기 포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
    상기 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와 상기 포트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래치 해제부;
    일단이 상기 포트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단자부;
    상기 제1 단자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며, 외면에 나선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와 체결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팅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수용부에 삽입되고 타측에 또 다른 단자부가 삽입되도록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제2 단자부;
    내면에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돌부가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체결너트;
    상기 체결너트와 결합하고,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공에 상기 제2 단자부를 수용하고, 플렉시블하도록 외면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되는 주름구조를 가지며, 외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지지심을 포함하는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에 배치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면에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해제부가 위치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1 단자부의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부가 상기 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 해제부는 상기 제1 단자부의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래치의 끝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03072A 2015-07-21 2015-07-21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KR101778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72A KR101778181B1 (ko) 2015-07-21 2015-07-21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72A KR101778181B1 (ko) 2015-07-21 2015-07-21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98A KR20170011098A (ko) 2017-02-02
KR101778181B1 true KR101778181B1 (ko) 2017-09-14

Family

ID=5815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072A KR101778181B1 (ko) 2015-07-21 2015-07-21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91B1 (ko) * 2019-08-13 2024-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575A1 (en) * 2004-08-26 2006-03-02 George Allen Adaptor for making broken connectors serviceable
JP2006126845A (ja) * 2004-10-27 2006-05-18 Panduit Corp 産業用光ファイバ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575A1 (en) * 2004-08-26 2006-03-02 George Allen Adaptor for making broken connectors serviceable
JP2006126845A (ja) * 2004-10-27 2006-05-18 Panduit Corp 産業用光ファイ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98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135B2 (ja) コネクタ用エンクロージャ組立体、ストレインリリーフ部材、及び封止方法
US7857523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movable connector member and waterproof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KR101083543B1 (ko) 소형 원형 커넥터 시스템
JP5391137B2 (ja)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US10422966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CN107430249A (zh) 插头侧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系统
EP2206458B1 (en) Plug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endoscope provided therewith
KR101778181B1 (ko)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JP2017041435A (ja) ワンタッチプッシュプル型コネクター
KR101728411B1 (ko) 스크류형 슬라이딩 구조의 커넥터
CN218770386U (zh) 连接器
JP3276324B2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KR101448031B1 (ko) 와이어하네스의 커넥터 체결구조
JP6390019B2 (ja) 防水プラグ及びレセプタクル
US20220043230A1 (en) Plug connector part for an optical and/or electrical plug connection
KR101909458B1 (ko) 옥외용 광커넥터
KR100981624B1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CN208226181U (zh) 一种有线电视电缆连接器及运用该连接器的有线电视电缆
KR102173220B1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1821043B1 (ko) 복합 커넥터
US20200217692A1 (en)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to measurement device
JP2006344490A (ja) 同軸コネクタ
KR101523039B1 (ko) 커넥터
JP3834714B2 (ja) 防水栓押し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