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624B1 -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624B1
KR100981624B1 KR1020070085930A KR20070085930A KR100981624B1 KR 100981624 B1 KR100981624 B1 KR 100981624B1 KR 1020070085930 A KR1020070085930 A KR 1020070085930A KR 20070085930 A KR20070085930 A KR 20070085930A KR 100981624 B1 KR100981624 B1 KR 10098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hollow
insert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438A (ko
Inventor
박선웅
안경준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07008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6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본 하주징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는 접속핀과, 상기 접속핀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절연부재와, 본 절연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주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 전도성부재와, 본 중공형 전도성 부재를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속핀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1인서트와, 본 제1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본 지지부에 일체로 연결된 굽힘부를 포함하되 본 굽힘부는 상기 접속핀의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환형 플레이트와, 본 환형 플레이트를 상기 제1인서트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2인서트와, 상기 하우징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를 가압하기 위한 플레이트가압부 및 상기 접속핀 방향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형 안내부를 갖는 노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RF 케이블과 RF 케이블 또는 RF 케이블과 각종 장비의 연결 시 별도의 부품 없이도 커넥터에 RF 케이블을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커넥터에 대한 RF 케이블의 착탈 시 용이하고도 신속한 착탈을 구현 할 수 있으며, RF 케이블 간 또는 케이블과 장비간의 연결에 요구되어지는 부품의 갯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RF, 케이블, 커넥터

Description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RADIO FREQUENCY CABLE}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RF 케이블을 직접 착탈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에 대한 RF 케이블의 착탈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구현가능한 RF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와 잭으로 구성되어 각종 통신장비의 고주파 전송을 위한 케이블 간의 접속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통상 커넥터는 체결 방식에 따라 커플링 너트 방식과 스냅온(Snap-On) 타입으로 구별되는 바, 상기 커플링 너트 방식은 외주면에 너트가 장착된 플러그와 본 너트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잭이 상호 나사 체결되어 접속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냅온 방식의 경우 플러그의 몸체 일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잭의 몸체 내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너트 방식의 경우 나사체결방식이므로 체결력이 좋은 반면 커넥터 간의 착탈 시 너트를 회전시켜 수나사에 체결해야 하므로 체결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체결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냅온 방식의 경우 단순히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신속한 체결을 구현할 수 있으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상 살펴본 두 가지 체결 방식의 경우, 케이블과 케이블의 연결 또는 케이블과 각종 장비 간의 연결을 위해, 잭과 플러그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 고정되어야 하므로, 케이블의 연결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갯수 역시 증가 되어 케이블 포설을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품 없이 RF 케이블을 직접 착탈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에 대한 RF 케이블의 착탈 시 용이하고도 신속한 착탈을 구현 가능한 RF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 케이블 간 또는 케이블과 장비간의 연결에 요구되어지는 부품의 갯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RF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RF 케이블용 커넥터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본 하주징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는 접속핀과, 상기 접속핀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절연부재와, 본 절연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주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 전도성부재와, 본 중공형 전도성 부재를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속핀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1인서트와, 본 제1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본 지지부에 일체로 연결된 굽힘부를 포함하되 본 굽힘부는 상기 접속핀의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환형 플레이트와, 본 환형 플레이트를 상기 제1인서트 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2인서트와, 상기 하우징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를 가압하기 위한 플레이트가압부 및 상기 접속핀 방향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형 안내부를 갖는 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부재는 탄력성 있는 전도성 고무재질 또는 판 스프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의 플레이트가압부와 걸림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중공형의 절두원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의 상기 플레이트가압부가 배치된 측의 타측 단부에는 본 노브에 대한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누름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V"자 형상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접속핀이 설치된 부분에는 나사산이 가공된다.
또한,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RF 케이블과 RF 케이블 또는 RF 케이블과 각종 장비의 연결 시 별도의 부품 없이도 커넥터에 RF 케이블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에 대한 RF 케이블의 착탈 시 용이하고도 신속한 착탈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RF 케이블 간 또는 케이블과 장비간의 연결에 요구되어지는 부품의 갯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에 포함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본 하주징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는 접속핀(22)과, 본 접속핀(22)과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절연부재(20)와, 본 절연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주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 전도성부재(30)와, 상기 중공형 전도성 부재(30)를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속핀(22)으로 케 이블(80)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1인서트(40)와, 상기 제1인서트(4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52)와 본 지지부(52)에 일체로 연결된 굽힘부(54)를 포함하되, 본 굽힘부(54)는 상기 접속핀(22)의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 내에 삽입 설치되는 환형 플레이트(50)와, 본 환형 플레이트(50)를 상기 제1인서트(4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2인서트(60)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인서트(60)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72)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50)를 가압하기 위한 플레이트가압부(74) 및 상기 접속핀 방향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형 안내부(76)를 갖는 노브(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접속핀(22)과 절연부재(20), 그리고 제 1, 제 2 인서트(40, 60) 등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중공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에 상기 접속핀(22), 절연부재(20) 등을 수용할 수 있다면 중공원통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공육각기둥 또는 중공팔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핀(22)이 설치된 부분에는 타 커넥터(미도시) 또는 RF 장비 등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는 상기 나사산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며, 플렌지 타입, 직접 납땜방식, 끼워맞춤에 의한 커넥터 방식 등 결합을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스테인레스 강 또는 동 합금 등의 스프링용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접속핀(22)은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부에 삽입 설치되며, 이러한 접속핀(22)은 RF 케이블(80)의 심선과 접속되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접속핀(22)을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접속핀(22)과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부재(20)가 삽입 설치되며, 이러한 절연부재(2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부재(30)는 상기 절연부재(20)를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RF 케이블(80)을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RF 케이블(80)의 안내를 위한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부재(30)는 동축케이블인 상기 RF 케이블의 외부도체와 상기 하우징(10) 간을 접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탄력성 있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형의 제 1 인서트(40)는 상기 전도성부재(30)를 고정함과 동시에 후술할 환형플레이트(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 1 인서트(40)에는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상기 RF 케이 블(80)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플레이트(50)와 대면하는 측에는 상기 환형플레이트(50)의 굽힘부(54)가 굽혀질 경우 이를 수용하기 위해 보다 큰 직경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플레이트(50)는 지지부(52)와 굽힘부(54)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다수의 "V"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환형플레이트(50)의 굽힘부(54)는 상기 RF 케이블의 진입시 작용되는 하중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며, 스프링 제조용 합금의 금속 재질 또는 기타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52)는 상기 제 1 인서트(40) 및 후술할 제 2 인서트(6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RF 케이블(80)이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진입 시 상기 굽힘부(54)는 상기 RF 케이블(80)에 반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굽힘부(54)가 진입되는 RF 케이블에 반력을 인가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굽힘부(54)는 상기 접속핀(22)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굽힘부(54)의 최단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RF 케이블(8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인서트(60)는 상기 환형 플레이트(50)를 상기 제 1 인서트(40)에 고정하며 또한 후술할 노브(7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하우징(10) 내에 삽입 설치된다.
한편, 상기 노브(70)는 상기 제 2 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72)와 상 기 환형 플레이트(50)를 가압하기 위한 플레이트가압부(74) 및 상기 접속핀 방향으로 케이블(80)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형의 안내부(76)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72)는 상기 노브(70)를 상기 제 2 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노브(70)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가압부(74)는 상기 환형 플레이트(50)에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50) 방향으로 진입하면서 본 환형플레이트(50)의 굽힘부(54)에 압력을 작용하기 위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76)는 상기 RF 케이블(80)을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걸림부(72), 플레이트가압부(74) 및 안내부(76)는 일체로 형성되어 중공형의 절두원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브(70)의 상기 플레이트가압부(74)가 배치된 측의 타측 단부에는 본 노브(70)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누름가압부(78)가 형성된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 케이블용 커넥터의 작동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 케이블용 커넥터에 RF 케이블을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L), 상기 RF 케이블의 외피 부분은 상기 환형 플레이트(50)의 굽힘부(54)로부터 반력을 받으면서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접속 핀(22)과 RF 케이블(80)의 내부도체가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50)의 굽힘부(54)가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핀(22)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상기와 같이 RF 케이블(8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핀(2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RF 케이블을 인출하려 하여도 상기 굽힘부(54)로부터의 저항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RF 케이블을 상기 커넥터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RF 케이블(80)을 단순히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RF 케이블(80)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인출하려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노브(70)를 상기 접속핀(22) 방향(L)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노브(70)를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본 노브(70)의 플레이트가압부(74)는 상기 환형플레이트(50)의 굽힘부(54)를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굽히게 되고, 이러한 굽힘에 의해 상기 굽힘부(54)는 상기 접속핀(22) 방향을 향해 상기 RF 케이블의 외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확장된다.
상기와 같은 확장에 의해 상기 굽힘부(54)와 상기 RF 케이블(80) 간의 접촉은 해제되어, 상기 RF 케이블(80)이 상기 커넥터로부터 용이하게 인출(R)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80)이 상기 커넥터로부터 인출된 이후 상기 노브(7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상기 노브(70)는 상기 환형 플레이트(50)에 포함된 굽힘부(54)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R)하게 된다.
즉, 상기 RF 케이블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상기 접속핀(22) 방향으로 삽입하면 견고한 체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을 커넥터로부터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노브(70)를 상기 접속핀(22) 방향(L)으로 가압함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단순하고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RF 커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착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케이블에 포함된 부분단면도이다.

Claims (7)

  1.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는 접속핀과;
    상기 접속핀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주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 전도성부재와;
    상기 중공형 전도성 부재를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속핀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1인서트와;
    상기 제1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본 지지부에 일체로 연결된 굽힘부를 포함하되, 상기 굽힘부는 상기 접속핀의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환형 플레이트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를 상기 제1인서트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중공형의 제2인서트와;
    상기 하우징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인서트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를 가압하기 위한 플레이트가압부 및 상기 접속핀 방향으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형 안내부를 갖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부재는 탄력성 있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노브의 플레이트가압부와 걸림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중공형의 절두원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브의 상기 플레이트가압부가 배치된 측의 타측 단부에는 본 노브에 대한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누름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다수의 "V"자 형상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접속핀이 설치된 부분에는 나사산이 가공되며,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85930A 2007-08-27 2007-08-27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KR10098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930A KR100981624B1 (ko) 2007-08-27 2007-08-27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930A KR100981624B1 (ko) 2007-08-27 2007-08-27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438A KR20090021438A (ko) 2009-03-04
KR100981624B1 true KR100981624B1 (ko) 2010-09-14

Family

ID=4069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930A KR100981624B1 (ko) 2007-08-27 2007-08-27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313B1 (ko) * 2010-02-22 2010-08-23 이용현 내식성 rf 커넥터
CN110323623B (zh) * 2019-07-29 2024-02-20 浙江人和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电池的连接器
JP2023544424A (ja) * 2021-03-11 2023-10-2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229A (ko) * 2000-11-20 2002-05-25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경선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2005513382A (ja) * 2001-12-20 2005-05-12 フェスト アクツ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ー 流体ラインのための接合部品及びその接合部品を備えた流体動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229A (ko) * 2000-11-20 2002-05-25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경선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2005513382A (ja) * 2001-12-20 2005-05-12 フェスト アクツ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ー 流体ラインのための接合部品及びその接合部品を備えた流体動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438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832B2 (en) Adapter for attaching an insertion device to a cable fitting
KR101083543B1 (ko) 소형 원형 커넥터 시스템
US8702456B1 (en) Coaxial cable adaptor
US6299479B1 (en) F-connector assembly
US9140858B2 (en) Waterproof optical fiber connector and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US20230223725A1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981624B1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US9748710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KR101622213B1 (ko) 케이블커넥터
KR200386133Y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JP4435163B2 (ja) トライアキシャルバルクヘッドコネクタ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CN202094415U (zh)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1630684B1 (ko)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US9246244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EP3897086A1 (en) Cable bushing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EP3206266B1 (en) Push on connector
KR20100105919A (ko) 알에프케이블 커넥터
KR101127445B1 (ko) 어댑터
CN113113816B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射频同轴连接器
KR100556584B1 (ko) 접지 커넥터
KR101965234B1 (ko)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JP2005235473A (ja) 中継コネクタ
KR20170011098A (ko)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