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133Y1 -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133Y1
KR200386133Y1 KR20-2005-0006970U KR20050006970U KR200386133Y1 KR 200386133 Y1 KR200386133 Y1 KR 200386133Y1 KR 20050006970 U KR20050006970 U KR 20050006970U KR 200386133 Y1 KR200386133 Y1 KR 200386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plug
tension spr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유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유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유니콤
Priority to KR20-2005-0006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컨넥터 본체의 개구부에 텐션스프링을 수납하여, 이 텐션스프링이 삽입된 플러그 외주면을 밀착하여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는, 관통된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절연체에 상기 본체와 접촉되지 않게 핀이 양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핀의 일단부를 축으로 그 둘레에 접지편이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체결용 나사산이 형성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에 있어서,
링형상을 갖는 몸체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벽 둘레에 복수 개의 탄성편이 돌출된 텐션스프링이 상기 접지편이 돌출된 본체의 개구부 내측벽에 끼움조립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핀 및 접지편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의 개구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경을 밀착하여 본체와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Cable connecter}
본 고안은 고주파 전송시스템에 사용되는 알에프(RF) 스위치 등을 연결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과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되는 개구부에 텐션스프링을 수납하여 이 텐션스프링이 삽입된 플러그 외주면을 밀착하여 컨넥터와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전송시스템은 방송국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알에프 스위치가 검파하여 필요한 특정 주파수만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주파수를 라디오나 텔레비젼과 같은 단말기에 출력시켜 음성을 청취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는 다양한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각 수신부는 수신된 주파수를 알에프 스위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알에프 스위치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알에프 스위치는 검파된 주파수를 공급하기 위해 단말기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1)의 측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관통된 본체(2) 내부에 수납된 절연체(3)에 케이블과 접지될 수 있도록 핀(4)이 고정되고 상기 핀(4)의 우측단부를 축으로 그 둘레에는 접지편(5)이 돌출되며, 상기 본체(2)의 둘레에는 단말기(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1)는 도 2와 같이 너트(N)에 의해 본체(2)가 단말기의 기판(7)에 체결고정된 상태로 사용되는데, 본체(2)의 양측 개구부(2a)(2b) 각각에 케이블(C)과 연결된 플러그(8)(9)가 삽입되어 그와 연결된 핀(8a)(9a)이 컨넥터(1)의 핀(4) 양측에 접지된다. 따라서, 수신부에서 수신된 주파수는 케이블(C)과 각각의 핀(9a)(4)(8a)을 경유한 다음 단말기로 공급된다.
그러나, 컨넥터(1)의 좌측 개구부(2b)에 삽입된 플러그(9)는 C-링(10)에 의해 커플링(11)에 고정되고 상기 커플링(11)은 컨넥터(1)에 체결되므로 컨넥터(1)에서 빠지지 않게 되지만, 우측 개구부(2a)에 삽입된 플러그(8)는 그 내경이 접지편(5)에 접지된 상태로 단순히 삽입되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외경이 개구부(2a)에 견고하게 조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단말기 설치작업 과정에서 케이블이 움직일 때마다 플러그(8)는 개구부(2a)에서 점차 빠져나와 핀(4)과 핀(8a), 접지편(5)과 플러그(8)의 접지상태가 견고하지 않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플러그(8)가 개구부(2a)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컨넥터 본체의 개구부에 텐션스프링을 수납하여, 이 텐션스프링이 삽입된 플러그 외주면을 밀착하여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는, 관통된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절연체에 상기 본체와 접촉되지 않게 핀이 양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핀의 일단부를 축으로 그 둘레에 접지편이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체결용 나사산이 형성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에 있어서,
링형상을 갖는 몸체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벽 둘레에 복수 개의 탄성편이 돌출된 텐션스프링이 상기 접지편이 돌출된 본체의 개구부 내측벽에 끼움조립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핀 및 접지편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의 개구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경을 밀착하여 본체와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스프링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원내부를 확대해서 보인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20)는 통상과 같이, 관통된 본체(2) 내부에 수납된 절연체(3)에 상기 본체(2)와 접촉되지 않게 핀(4)이 양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핀(4)의 일단부를 축으로 그 둘레에 접지편(5)이 돌출되며, 상기 본체(2)의 둘레에는 체결용 나사산(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의 양측 개구부(2a)(2b) 각각에 케이블(C)과 연결된 플러그(8)(9)가 삽입되는데, 접지편(5)과 대향되는 개구부(2b)에 삽입된 플러그(9)는 컨넥터(20)의 본체(2)에 체결된 커플링(11)에 의해 고정되며, 접지편(5)측 개구부(2a)에 삽입되는 플러그(8)는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조립된 컨넥터(20)와 플러그(8)(9)는 각각의 핀(9a)(4)(8a)들이 서로 접지되므로, 수신부에서 수신된 주파수는 상기 핀(9a)(4)(8a)들을 통해 단말기로 공급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20)에 있어서, 본 고안은 링형상을 갖는 몸체(21a)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벽 둘레에 복수 개의 탄성편(21b)이 돌출된 텐션스프링(21)이 상기 접지편(5)이 돌출된 본체(2)의 개구부(2a) 내측벽에 끼움조립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스프링(21)은 본체(2)의 핀(4) 및 접지편(5)에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C)과 연결된 플러그(8)가 개구부(2a)에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8)의 외경을 밀착하여 컨넥터(20)의 본체(2)와 플러그(8)를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
상기 본체(2)는 공지의 컨넥터의 구조와 같기 때문에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텐션스프링(21)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링형상으로 복원 및 펼쳐질 수 있도록 양단부(21c)를 가지며, 내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각 탄성편(21b)은 탄성을 갖도록 양측단부가 폭방향으로 절개된다.
이러한 텐션스프링(21)은 양단부(21c)가 형성되므로 링형상으로 조립될 때 지름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a)의 폭방향에는 상기 탄성편(21b)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공(21d)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스프링(21)의 탄성편(21b)은 내측벽으로 오목한 형태로 만곡되게 돌출되어 그 최대의 오목한 부분이 플러그(8)의 외주면을 밀착하게 된다.
도 7은 텐션스프링(21)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면이다. 이와 같이 펼쳐진 텐션스프링(21)은 박판의 형상을 가지며 탄성편(21b) 사이에 관통공(21d)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20)는 텐션스프링(21)이 본체(2)의 개구부(2a) 내측벽에 링형상으로 끼움조립되는데, 상기 텐션스프링(21)을 수용하는 개구부(2a) 내측벽에는 텐션스프링(21)이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2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컨넥터(20)에 플러그(8)(9)를 조립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된다.
개구부(2a)에 링형상으로 조립된 텐션스프링(21)은 그 내측벽에 탄성편(21b)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2a) 내부로 플러그(8)가 삽입되면 탄성편(21b)은 도 9와 같이 플러그(8) 외주면을 강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단말기에 알에프 스위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케이블(C)이 움직이더라도 플러그(8)는 강하게 밀착되어 컨넥터(20)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는 개구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플러그를 가압하여 개구부에서 플러그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알에프 스위치 설치 공수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넥터의 핀과 각 플러그의 핀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안정된 주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컨넥터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원내부를 확대해서 보인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스프링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스프링의 전개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5의 원내부를 확대해서 보인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 2a,2b : 개구부
4,8a,9a : 핀 5 : 접지편
8,9 : 플러그 11 : 커플링
20 : 컨넥터 21 : 텐션스프링

Claims (2)

  1. 관통된 본체 내부에 수납된 절연체에 상기 본체와 접촉되지 않게 핀이 양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핀의 일단부를 축으로 그 둘레에 접지편이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체결용 나사산이 형성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에 있어서,
    링형상을 갖는 몸체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벽 둘레에 복수 개의 탄성편이 돌출된 텐션스프링이 상기 접지편이 돌출된 본체의 개구부 내측벽에 끼움조립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핀 및 접지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과 연결된 플러그가 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외경을 밀착하여 본체와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링형상으로 복원 및 펼쳐질 수 있도록 양단부를 가지며, 내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각 탄성편은 탄성을 갖도록 양측단부가 폭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KR20-2005-0006970U 2005-03-15 2005-03-15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KR200386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70U KR200386133Y1 (ko) 2005-03-15 2005-03-15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70U KR200386133Y1 (ko) 2005-03-15 2005-03-15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133Y1 true KR200386133Y1 (ko) 2005-06-07

Family

ID=4368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970U KR200386133Y1 (ko) 2005-03-15 2005-03-15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13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09B1 (ko) 2007-07-06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WO2009133972A1 (en) * 2008-04-28 2009-11-05 Sol Industry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cable
KR200451019Y1 (ko) 2008-02-29 2010-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80078662A (ko)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KR20210035406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2379197B1 (ko) 2020-09-17 2022-03-24 구예준 동축케이블용 결합수단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와 연결캡의 결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09B1 (ko) 2007-07-06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0451019Y1 (ko) 2008-02-29 2010-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WO2009133972A1 (en) * 2008-04-28 2009-11-05 Sol Industry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cable
KR20180078662A (ko)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KR20210035406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2379197B1 (ko) 2020-09-17 2022-03-24 구예준 동축케이블용 결합수단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와 연결캡의 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1102C (en) Coaxial connector with enhanced insulator member and associated methods
KR200386133Y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CA2432051C (en)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US7931499B2 (en) Connector including flexible fingers and associated methods
US3764959A (en) Universal coaxial cable connector
US7845978B1 (en) Tool-free coaxial connector
US7215291B2 (en) Antenna device
US7632143B1 (en) Connector with positive stop and compressible ring for coaxial cable and associated methods
US9142895B2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CA2756189C (en) Rf connector assembly
US5603630A (en) Adaptor system between an antenna plug and a radiotelephone socket
US7564417B2 (en) Antenna device having a non-electrical engagement during pre-lock
US7442080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segmented center contact member
US20080311788A1 (en) Coaxial connector with insulator member including elongate hollow cavities and associated methods
US8702456B1 (en) Coaxial cable adaptor
JP2004356067A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US4076367A (en) Solderless connector
US6648684B2 (en) Radio frequency cable connector
JP4856050B2 (ja) 通信用分配装置
KR101630684B1 (ko)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US7193570B2 (en) Cable antenna assembly having slots in grounding sleeve
KR20090021438A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EP3474389A1 (en) Female connector for use with different male coaxial connectors
JP4074141B2 (ja) ダミー内蔵同軸コネクタ
US20090318020A1 (en) Adapter for a coaxial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