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213B1 - 케이블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213B1
KR101622213B1 KR1020140127065A KR20140127065A KR101622213B1 KR 101622213 B1 KR101622213 B1 KR 101622213B1 KR 1020140127065 A KR1020140127065 A KR 1020140127065A KR 20140127065 A KR20140127065 A KR 20140127065A KR 101622213 B1 KR101622213 B1 KR 10162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outer tube
pin terminal
ca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445A (ko
Inventor
김강민
임승남
Original Assignee
(주)영도시큐리티
임승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도시큐리티, 임승남 filed Critical (주)영도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14012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동축케이블 등 케이블과 편리하게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가 제공된다. 케이블커넥터는, 암커넥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부와, 연결부와 연통되며 2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 수용홈에 삽입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부재, 일단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수용홈에 위치하며, 타단부에 동축케이블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된 핀단자, 및 중앙에 핀단자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고정부의 내측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커넥터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 등 케이블과 편리하게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전기 전자신호나 데이터, 전력 등을 송수신하고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특히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은 전도성 와이어(wire)가 내부 중심에 삽입되어 있고 그 둘레로 절연체나 각종 보호필름 등이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도록 되어있다. 서로 다른 기기나 장치 등을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내부 와이어를 케이블의 단부로 노출시켜 기기나 장치 등의 접속단자에 연결시켜야 한다.
케이블커넥터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통전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고 있어 보다 손쉽게 케이블을 연결 또는 접속할 수 있다. 즉, 케이블의 단부에 케이블커넥터를 결합하고 케이블 내부의 와이어를 타 기기의 접속단자 등에 직접 연결하는 대신 케이블커넥터의 단자에 연결하여,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케이블커넥터에 포함된 단자는 기기나 장치 등의 접속단자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와 짝이 맞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커넥터의 단자와 와이어를 서로 연결하는 데 납땜을 이용한 접합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결합작업이 불편하였다.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연결부위가 헐거워 납땜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케이블에 단선 등이 발생하기 쉬웠으며, 따라서 커넥터를 결합할 때마다 일일이 납땜을 함으로서 설치가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불량률이 증감하는 등 애로사항이 많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32375호, (2012.04.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축케이블 등 케이블과 편리하게 결합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커넥터는, 암커넥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며 2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부재;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며, 타단부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된 핀단자; 및 중앙에 상기 핀단자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측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측관의 내부에 압착되어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상기 핀단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관의 내면과 접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측관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측관의 내측면에 상기 내측관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축케이블은 피복부분이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외측관은 외주면이 외측으로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커넥터를 납땜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매우 간편하게 동축케이블 등의 케이블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하게 결합되면서도 커넥터의 단자, 케이블의 와이어, 커넥터의 몸체 등 각 구성부가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어, 케이블의 설치 및 연결 등의 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를 동축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커넥터의 핀단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케이블커넥터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케이블커넥터와 동축케이블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를 동축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커넥터 및 동축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커넥터의 핀단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케이블커넥터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1)는 수용홈(101)에 암커넥터가 수용되고 수용홈(101) 내부의 핀단자(200)로 상기 암커넥터와 결합하는 수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케이블커넥터(1)는 동축케이블(A)을 고정하는 고정부(100b)가 내측관(도 2의 110참조)과 외측관(도 2의 120참조)을 포함하는 2중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관(110)에 고정부재(300)가 삽입되어 핀단자(200)를 견고히 고정한다. 또한, 결합시 동축케이블(A)의 피복(A4)부분이 내측관(110)과 외측관(120)의 사이에 삽입되고 외측관(120)이 이를 압박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커넥터(1)는, 암커넥터(미도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101)이 형성된 연결부(100a)와, 연결부(100a)와 연통되며 2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A)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100b)를 포함하는 몸체(100), 수용홈(101)에 삽입되며 중앙에 관통공(도 2의 131참조)이 형성된 절연부재(130),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131)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101)에 위치하며, 타단부에 동축케이블(A)의 와이어(A1)가 삽입되는 삽입홈(도 2 및 도 3의 201참조)이 형성되고 삽입홈(201)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210)가 형성된 핀단자(200), 및 중앙에 핀단자(20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301)이 형성되고 몸체(100) 고정부(100b)의 내측관(도 2의 110참조)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이하, 케이블커넥터(1)의 각 구성부와 특징에 대해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0)는 동축케이블(A)의 끝단부에 결합된다. 몸체(100)는 연결부(100a), 고정부(100b), 및 결합커버(100c) 등을 주요한 부분으로 포함하며, 연결부(100a) 내측에 암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수용홈(101)이 형성된다. 수용홈(101)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130)가 삽입되어 동축케이블(A)의 양 극(와이어(A1)와 전도체(A2))이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분리할 수 있다. 절연부재(130)의 중앙에는 관통공(도 2 및 도 5의 131참조)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단자(200)의 일단부가 통과되어 수용홈(10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00a)와 고정부(100b)는 관통공(131)을 통해서 서로 연통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핀단자(200)는 일단부가 관통공(131)을 통해 수용홈(101) 내부에 위치하는 반면 타단부는 고정부(100b)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핀단자(200)는 고정부(100b) 측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부가 관통공(131)을 통과하도록 결합된다. 연결부(100a)와 고정부(100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별도로 제조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부(100b)는 2중관 구조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b)는 내측관(110)과 외측관(120)으로 이루어진 2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관(110)과 외측관(12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관(110)과 외측관(120)의 이격된 사이로 동축케이블(A)의 피복(A4)이 삽입될 수 있다. 후술하여 다시 설명하겠지만, 외부에서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외측관(120)을 가압하게 되면 외측관(120)이 내측관(110)을 향해 변형되어 동축케이블(A)의 피복(A4)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된다. 내측관(110)과 외측관(120) 역시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별도로 제조된 후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00b)는 외측관(120)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21)를 포함하고, 내측관(1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측관(120)의 내측면에는 내측관(110)을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21)로 보다 용이하게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고정돌기(122)로 피복(A4)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상태에서 고정부(100b)는, 연결부(100a)로부터 멀어질수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내측관(110)과 외측관(12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동축케이블(A)을 잡아당기거나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빠지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외측관(120)에 바깥쪽으로 굴절된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1)가 외력에 의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동축케이블(A)이 케이블커넥터(1)로부터 이탈되기 매우 어려운 견고한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결합커버(100c)는 몸체(100) 외측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커버(100c)는 내측에 스프링구조 등이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전술한 암커넥터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커버(100c)는 또 다른 커넥터와 체결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커버(100c)는 홈 구조 등을 포함하여 다른 커넥터의 돌기 등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핀단자(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관통공(131)을 관통하여 연결부(100a)의 수용홈(101)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고정부(100b)에 위치한다. 핀단자(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01)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반면, 반대편 타단부는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뾰족한 부분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단자(200)의 타단부에는 삽입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01)을 통해 동축케이블(A)의 와이어(A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201)은 핀단자(2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충분한 길이의 와이어(A1)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핀단자(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01)의 일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210)를 포함한다. 절개부(210)로 인해 삽입홈(201)의 직경이 용이하게 확장되거나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즉, 와이어(도 1 및 도 2의 A1참조)는 절개부(도 1 및 도 3의 210참조)가 형성된 삽입홈(201)을 확장시키면서 용이하게 핀단자(200) 내측으로 삽입되고, 핀단자(200)의 외주면이 가압되면 삽입홈(201)이 수축되어 핀단자(200) 내측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핀단자(200)는 고정부재(3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홀(301)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31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310)가 내측관(11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110)에 삽입되어 내측관(110)과 접하면서 관통홀(301)을 통해 핀단자(200)를 내부로 관통시켜 고정한다. 핀단자(2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홈(201)이 수축되어 와이어(A1)가 핀단자(200) 내부에 밀착된다.
특히, 고정부재(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내측관(110)의 내부에 압착되어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핀단자(2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관(120)에 압력을 가하여 변형시키는 결합과정에서 2중구조로 형성된 내측관(110)에 압력이 전달되고, 내측관(110)과 접촉된 고정부재(300)가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310)는 내측관(110)의 내면에 접하여 가압되면서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300)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가압돌기(310)의 직경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가압돌기(310)의 중앙(직경방향의 중심을 말한다)에 위치한 관통홀(301)에 압력이 전달되어 관통홀(301)에 삽입된 핀단자(도 2의 200참조)가 견고히 고정된다.
고정부재(300)는 핀단자(200)를 내부로 통과시키고, 내측관(110)과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 형상의 고정부재(300)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단면이 원형이 아닌 비원형(非圓形)이거나 비정형적인 다양한 형상이 되도록 고정부재(30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가압돌기(310) 역시 예를 들어, 점 형상 등으로 복수 개를 분포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부재(30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케이블커넥터와 동축케이블의 결합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를 준비한다. 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00a) 반대편에 고정부(100b)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100b)는 내측관(110) 및 외측관(120)을 포함하는 2중관 형태이다. 몸체(100)는 내측관(110) 및 외측관(120)의 개방된 부분이 노출되도록 정렬시켜 준비한다.
정렬된 몸체(10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단자(200), 고정부재(300), 및 동축케이블(A)을 결합한다. 이 때, 동축케이블(A)의 와이어(A1)를 삽입홈(도 3의 201참조)을 통해 핀단자(200)에 삽입하고, 다시 핀단자(200)를 관통홀(도 4의 301참조)을 통해 고정부재(300)에 삽입한다. 따라서, 핀단자(200), 고정부재(300), 및 동축케이블(A)을 연결하여 몸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300)는 내측관(110)에 삽입되어 핀단자(200)와 내측관(110)의 사이에 개재되고, 동축케이블(A)의 피복(A4)은 내측관(110)과 외측관(120)의 사이로 삽입되어 내측관(110)과 외측관(120)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간편하게 삽입하여 일차적으로 케이블커넥터(1)를 동축케이블(A)의 단부에 연결한다. 동축케이블(A)의 절연부(A3) 일부는 고정부재(300)와 함께 내측관(110)에 삽입될 수 있고 전도체(A2)의 일부는 내측관(110)과 피복(A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후 연결된 케이블커넥터(1)의 외주면, 특히, 고정부(100b)의 외측관(120)에 외력을 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커넥터(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동축케이블(A)의 절연부(A3)와 전도체(A2)는 내측관(110) 밖으로 피복(A4) 안쪽 사이에 삽입되고, 외측관(120)을 내측관(110)을 향해 가압하여 외측관(120)과 내측관(110) 사이에 피복(A4)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이와 동시에 내측관(110)에도 압력이 전달되어 고정부재(300)를 핀단자(2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관(12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굴절된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어 외측관(120)은 돌출부(121)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외측관(120) 내측의 고정돌기(122)가 피복(A4)을 압박하여 피복(A4)이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외측관(120)은 돌출부(121)의 굴절된 부분을 통해 압력을 전달받아 비대칭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1)가 굴절되어 있어 가해지는 압력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고, 돌출부(121)의 굴절된 부분이 가압되어 변형되면 가압기구와의 접촉점이 자연스럽게 변동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b)는 연결부(100a)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측관(110)과 외측관(12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끝단부가 더 많이 굴절될 수 있다. 돌출부(121)의 돌출된 정도, 굴절된 형상, 돌출부(121)의 위치 등에 따라서 외측관(120)이 변형된 형상이나 외측관(120)과 내측관(110)사이의 간격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관(110)과 외측관(120) 사이의 간격이 연결부(100a)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므로, 동축케이블(A)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거나 갑자기 잡아당겨지는 경우에도, 동축케이블(A)의 피복(A4)과 고정돌기(122)의 사이가 오히려 밀착되어 케이블커넥터(1)가 동축케이블(A)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매우 견고하게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핀단자(200)와 내측관(110) 사이에 개재되어 내측관(110)을 통해 압력을 전달받고 핀단자(200)에 밀착되므로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핀단자(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핀단자(200)는 고정부재(300)의 관통홀(301) 내측에서 핀단자(200)를 압박하는 고정부재(300)에 의해 압박되어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케이블커넥터(1)를 동축케이블(A)과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또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케이블커넥터 100: 몸체
100a: 연결부 100b: 고정부
100c: 결합커버 101: 수용홈
110: 내측관 120: 외측관
121: 돌출부 122: 고정돌기
130: 절연부재 131: 관통공
200: 핀단자 201: 삽입홈
210: 절개부 300: 고정부재
301: 관통홀 310: 가압돌기
A: 동축케이블 A1: 와이어
A2: 전도체 A3: 절연부
A4: 피복

Claims (6)

  1. 암커넥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며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을 둘러싸며 바깥쪽으로 굴절된 돌출부가 형성된 외측관으로 이루어진 2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부재;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며, 타단부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된 핀단자;
    중앙에 상기 핀단자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에 삽입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관의 내면과 접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의 내부에 압착되어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상기 핀단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외측관의 내측면에 상기 내측관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관은 상기 돌출부의 굴절된 부분을 통해 압력을 전달받아 변형되며, 상기 외측관에 압력을 가하여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관에 압력이 전달되고, 상기 내측관과 접촉된 상기 고정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케이블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은 피복부분이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케이블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은 외주면이 외측으로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케이블커넥터.
KR1020140127065A 2014-09-23 2014-09-23 케이블커넥터 KR10162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65A KR101622213B1 (ko) 2014-09-23 2014-09-23 케이블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65A KR101622213B1 (ko) 2014-09-23 2014-09-23 케이블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45A KR20160035445A (ko) 2016-03-31
KR101622213B1 true KR101622213B1 (ko) 2016-05-18

Family

ID=5565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065A KR101622213B1 (ko) 2014-09-23 2014-09-23 케이블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4B1 (ko)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72B1 (ko) * 2020-07-0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CN114815079A (zh) * 2022-05-05 2022-07-29 通天电子科技(东莞市)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555A (ja) 2009-01-15 2010-07-29 Kimura Denki Kogyo:Kk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555A (ja) 2009-01-15 2010-07-29 Kimura Denki Kogyo:Kk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4B1 (ko)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45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5095B2 (en)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US7674132B1 (en) Electrical connector ensuring effective grounding contact
KR101622213B1 (ko) 케이블커넥터
US4515427A (en) Coaxial cable with a connector
US8702456B1 (en) Coaxial cable adaptor
JP2006508626A (ja) 可撓性相互接続ケーブル歪み解放設備
US9660353B2 (en) Small-sized elastic inner conductor right-angled elbow conductor connector
CN108574145A (zh) 波纹电缆同轴连接器
KR10080887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US9748710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CA2904434C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KR101622212B1 (ko) 케이블커넥터
US10128586B2 (en) Plug connector for making solder-free contact with a coaxial cable
US2968691A (en) Electrical conductors and connectors therefor
KR100981624B1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KR101630684B1 (ko)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US9246244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US20170353022A1 (en) Connector
KR101233308B1 (ko) 접지 연결부가 부가된 동축케이블 컨넥터
EP3206266B1 (en) Push on connector
KR102144522B1 (ko) 체결상태를 확인가능한 케이블 커넥터
US2161606A (en) Electrical connector
US3024438A (en) Test connector
US20020134571A1 (en) Elastic electrical contact with axial pressure, comprising adjustable connection terminal
TWI338422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