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212B1 - 케이블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212B1
KR101622212B1 KR1020140097564A KR20140097564A KR101622212B1 KR 101622212 B1 KR101622212 B1 KR 101622212B1 KR 1020140097564 A KR1020140097564 A KR 1020140097564A KR 20140097564 A KR20140097564 A KR 20140097564A KR 101622212 B1 KR101622212 B1 KR 10162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n terminal
cable
r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078A (ko
Inventor
임승남
김강민
Original Assignee
김강민
임승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민, 임승남 filed Critical 김강민
Priority to KR102014009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보다 손쉽게 케이블과 결합되고 연결 시에 접촉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가 제공된다. 케이블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몸체, 일단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에 케이블 내부의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핀단자, 및 삽입홈 내부의 와이어 둘레에 밀착되어 와이어와 핀단자 사이에 개재되고, 와이어를 향하는 면에 와이어를 향해 돌출되어 와이어와 접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가압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커넥터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케이블의 사이 또는 케이블과 접속단자 사이 등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손쉽게 케이블과 결합되고 연결 시에 접촉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전기 전자신호나 데이터, 전력 등을 송수신하고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케이블은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와이어가 내부 중심에 삽입되어 있고 그 둘레로 절연체나 각종 보호필름 등이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서로 다른 기기나 장치 등을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내부 와이어를 케이블의 단부로 노출시켜 기기나 장치 등의 접속단자에 연결시켜야 한다.
케이블커넥터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통전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고 있어 보다 손쉽게 케이블을 연결 또는 접속할 수 있다. 즉, 케이블의 단부에 케이블커넥터를 결합하고 케이블 내부의 와이어를 타 기기의 접속단자 등에 직접 연결하는 대신 케이블커넥터의 단자에 연결하여,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케이블커넥터에 포함된 단자는 기기나 장치 등의 접속단자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와 짝이 맞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커넥터의 단자와 와이어를 서로 연결하는 데 납땜을 이용한 접합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결합작업이 불편하였다.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연결부위가 헐거워 납땜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케이블에 단선 등이 발생하기 쉬웠으며, 따라서 커넥터를 결합할 때마다 일일이 납땜을 함으로서 설치가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불량률이 증감하는 등 애로사항이 많았다.
또한, 케이블커넥터의 단자는 기기 등의 접속단자에 대개 암 수 구조로 삽입되어 연결되나, 종래 삽입부위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거나 공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기기나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32375호, (2012.04.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손쉽게 케이블과 결합되고 연결 시에 접촉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몸체; 일단부가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에 상기 케이블 내부의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핀단자; 및 상기 삽입홈 내부의 상기 와이어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핀단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와이어를 향하는 면에 상기 와이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접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가압링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끝단부가 상기 핀단자의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입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링은 탄성을 가져 상기 걸림턱을 통과할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가압링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력적으로 수축 및 확장되는 간격조절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링이 분할될 수 있다.
상기 가압링의 외주면에 상기 가압링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어 상기 걸림턱과 빗면 접촉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타단부의 직경이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핀단자의 일단부에 서로 분할되어 탄력적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핑거로 이루어진 탄성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납땜 등의 번거로운 작업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끼움 방식으로 케이블의 와이어와 커넥터의 핀을 매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케이블에 결합 및 설치하는 설치작업의 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핀을 다른 커넥터나, 장치나 기기 등의 접속단자에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접촉불량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안정적으로 기기나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를 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커넥터 및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커넥터의 가압링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압링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핀단자, 가압링, 및 케이블의 와이어 상호간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가압링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의 케이블커넥터가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케이블커넥터가 접속단자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접속단자는 케이블커넥터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말한다. 접속단자는 케이블커넥터와 결합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신호나 전력 등을 송 수신 및 교환하는 각종 기기나 장치 등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케이블커넥터가 결합되는 케이블이 아닌 타 케이블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는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된 도선이며, 케이블은 중심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고 절연물질을 사이에 두고 다시 외부 도전체가 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동축케이블일 수 있다. 와이어는 케이블의 외부 코팅층 등을 벗겨내면 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를 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커넥터 및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1)는 케이블(A)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몸체(100), 일단부가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에 케이블(A) 내부의 도전성 와이어(A1)가 삽입되는 삽입홈(도 2의 110a 참조)이 형성된 핀단자(200), 삽입홈(200a) 내부의 와이어(A1) 둘레에 밀착되어 와이어(A1)와 핀단자(200)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링(3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링(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A1)를 향하는 면에 와이어(A1)를 향해 돌출되어 와이어(A1)와 접하는 복수 개의 돌기(310)가 형성된다.
케이블커넥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단자(200) 내부로 가압링(300)을 삽입하고, 핀단자(200)는 몸체(100)에 삽입하며, 와이어(A1)는 가압링(300)이 삽입된 핀단자(200) 내측으로 삽입하여 매우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1)는 납땜과정과 같은 번거로운 접합과정 없이 매우 간편하게 결합된다.
결합이 완료되면 가압링(300)은 삽입홈(200a) 내부의 와이어(A1)와 핀단자(200)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어(A1)를 가압하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링(300)의 돌기(310)가 와이어(A1)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핀단자(200)와 와이어(A1)가 서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1)는 이와 같이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케이블커넥터(1)의 결합 및 설치작업의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블커넥터(1)의 각 구성요소 및 특징 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A1)가 노출된 케이블(A)의 끝단부에 결합된다. 몸체(100)는 내부에 핀단자(200)를 수용하고 일측에 개구부(110a)가 형성된 단자고정부(110)와, 케이블(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케이블수용부(120)를 포함한다. 단자고정부(110)의 개구부(110a)를 통해 핀단자(200)의 일단부가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고, 케이블수용부(120) 내측으로 케이블(A)이 수용되어 몸체(100) 내측에 갈무리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110)와 케이블수용부(1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110) 및 케이블수용부(120)의 적어도 두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100)는 도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A)과 핀단자(200)를 모두 용이하게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단자고정부(110)의 내주면에는 절연부(111)가 형성되어 핀단자(200)가 몸체(100)와 직접 통전되어 단락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몸체(100) 외주면에는 커버(400)가 결합된다. 커버(400)는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이동 하거나, 몸체(100) 둘레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유동 가능한 커버(400)를 이용하여 다른 케이블이나 기기 등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매우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400)와 몸체(100) 사이에는 플랜지(112) 등을 형성하여 탄성부재(420)를 개재하고 커버(400)를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으며, 커버(400) 일 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410)이 형성되어 접속단자에 형성된 고정돌기(도 9 및 도 10의 B2 참조) 등과 매우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몸체(100)와 커버(4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100)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몸체(100)의 형상은 케이블(A)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핀단자(200)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또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적절히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핀단자(200)는 일단부가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반대편 타단부가 몸체(100)에 고정된다. 핀단자(200)의 타단부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00a)이 형성되어 와이어(A1) 및 가압링(300)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수용한다. 핀단자(200)는 직경의 크기가 변화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링(300)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타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핀단자(200)는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뾰족한 첨두 부분을 포함하며 반대편 타단부는 개방되어 삽입홈(200a)과 연결된다. 즉, 핀단자(200)는 뾰족한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원통형상의 타단부를 포함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핀단자(200)의 개방된 타단부에는 삽입홈(200a)과 연결되어 삽입홈(200a)으로 진입하는 입구가 형성된다. 삽입홈(200a)의 입구에는 단차지게 돌출되는 걸림턱(200b)이 형성되어 삽입홈(200a)에 삽입된 가압링(3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가압링(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00a) 내부의 와이어(A1)와 핀단자(20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링(300)이 와이어(A1)를 향해 압박되고, 가압링(300)의 돌기(310)가 와이어(A1) 표면에 밀착되어 와이어(A1)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안정된 고정구조를 형성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가압링(300)의 구체적인 구조와 특징, 핀단자(200), 및 와이어(A1)와의 상호 결합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압링(300)은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부분과 외주면이 경사져 형성되는 원추형의 부분을 포함한다. 가압링(300)은 핀단자(200) 외측으로부터 걸림턱(도 5 내지도 도 7의 200b 참조)이 형성된 삽입홈(200a)의 입구를 통과하여 삽입홈(200a)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링(30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핀단자(200)의 걸림턱(200b)을 통과할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삽입홈(200a) 내부에서 다시 확장될 수 있다.
특히, 가압링(300)은 둘레를 따라 가압링(3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간격조절홈(301)이 형성되어 보다 유연하게 수축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링(300)의 직경이 탄력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걸림턱(200b)에 걸리지 않고 삽입홈(200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압링(300)의 외주면에는 가압링(300)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어 경사면(30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면(302)이 걸림턱(200b)과 빗면 접촉하여 보다 원활하게 삽입홈(200a)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면(302)은 서로 연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원추형의 부분을 형성한다.
간격조절홈(301)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링(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홈(301)은 와이어(도 7의 A1 참조)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링(3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간격조절홈(301) 중 어느 하나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가압링(300)이 간격조절홈(301)을 사이에 두고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링(300)이 보다 용이하게 수축되고 그에 대응하여 보다 유연하게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
돌기(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링(30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돌기(310)는 와이어(A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따라서 가압링(300)이 압박되면 각각의 돌기(310)에 물려 와이어(A1)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돌기(310)는 끝단부가 핀단자(도 5 내지 도 7의 200 참조)의 뾰족한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A1)는 삽입홈(200a)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은 가능하되 삽입된 후에는 돌기(310)에 물려 다시 빠져나가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어(A1)와 핀단자(200)를 매우 견고히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와이어의 연결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00b)이 형성된 삽입홈(200a)의 입구를 통해 가압링(300)을 삽입한다. 가압링(30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간격조절홈(301)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302)이 걸림턱(200b)과 빗면 접촉하여 가압링(300)을 삽입홈(200a) 내측으로 매우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링(300)을 핀단자(200) 내측에 매우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링(300)이 삽입된다. 가압링(300)은 핀단자(200) 타단부의 삽입홈(200a) 내측에 위치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00b)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삽입홈(200a) 내주면과 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단자(200)는 삽입홈(200a)이 형성된 타단부의 직경이 반대편 일단부의 직경보다 커 가압링(300)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타단부의 직경은 가압링(300)의 직경, 가압링(300)의 두께, 및 와이어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삽입홈(200a) 내측에서 확장된 가압링(300)은 걸림턱(200b)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A1)를 삽입한다. 와이어(A1)는 삽입홈(200a)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적당한 힘으로 밀어 넣으면 충분하다. 와이어(A1)는 가압링(300)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삽입되고 가압링(300)이 삽입홈(200a) 내측에서 핀단자(200)와 와이어(A1) 사이에 맞물려 단단히 고정된다. 가압링(300)의 외주면은 핀단자(200)와 밀착되고, 반작용에 의해 돌기(310)는 와이어(A1)에 밀착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A1)가 핀단자(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310)는 핀단자(200)의 반대편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와이어(A1)는 손쉽게 삽입되되, 역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A1)가 핀단자(200)에 연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핀단자(200)와 와이어(A1)를 매우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돌기(310)의 형상이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돌기(310)는 와이어(A1)의 밀착력 또는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10a)는 가압링(30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산 돌기(310)를 포함하는 가압링(300)에는 와이어(A1)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나사산 형상의 돌기(310) 역시 의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는 이탈이 매우 어려우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A1)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와이어(A1)를 회전시켜 삽입할 때, 돌기(310)와 접촉하면서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와이어(A1) 표면에도 형성될 수 있어 와이어(A1)를 파손시키지 않고는 이를 분리하기 매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납땜 작업과 같은 별도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간편한 끼움 결합방식으로 핀단자(200)와 와이어(A1)를 매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핀단자(200)와 와이어(A1)가 연결되면 이를 몸체(100)에 삽입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커넥터(1)를 케이블(A)에 결합한다. 이 때, 핀단자(200)는 와이어(A1)와 통전되고, 와이어(A1) 외측의 전도체(A2)는 몸체(100)와 통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110)에 절연부(111)가 마련되어 핀단자(200)와 몸체(100)를 절연시켜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A)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A)의 단부에 결합된 케이블커넥터(1)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핀단자(200)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핀단자(200)는 외부 접속단자(B)의 수용부(B1)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접속단자(B)는 예를 들어, 또 다른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된 것일 수 있으며, 기기나 장치 등의 외측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접속단자(B)는 내측으로 만입된 부분을 포함하여 핀단자(200) 및 몸체(1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케이블커넥터(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를 접속단자(B)의 내측으로 진입시켜 삽입할 수 있다. 케이블커넥터(1)가 접속단자(B)에 삽입되면, 핀단자(200)가 접속단자(B)의 수용부(B1)에 수용되고 통전된다. 따라서 전기신호나 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접속단자(B)는 외주면에 고정돌기(310)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고정돌기(310)를 전술한 고정홈(410)에 삽입한 후 커버(400)를 회전시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케이블커넥터(1)를 매우 편리하게 케이블(A)에 결합하여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밖의 사항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케이블커넥터가 접속단자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1-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단자(2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탄성결합부(210)를 포함한다. 탄성결합부(210)는 핀단자(200)의 일단부에 서로 분할되어 탄력적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핑거(211)로 이루어진다. 핑거(211)는 몸체(100)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핑거(211)로 이루어진 탄성결합부(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굴절되면서 서로 밀착되어 수용부(B1)에 삽입된다. 즉, 서로 탄력적으로 이격되는 핑거(211)의 탄성을 이용하여 수용부(B1) 내측에 지지력을 형성하고 핀단자(2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핑거(211)는 서로 이격되면서 수용부(B1)의 내벽에 밀착되므로 커넥터케이블(A)와 접속단자(B) 사이의 접촉불량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핑거(211)는 직선상의 바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되는 곡선상의 바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핑거(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가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핑거(211)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접속단자(B)의 수용부(B1)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접촉되므로 접촉불량을 보다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반면 핑거(211)의 폭이 가늘어져 탄성력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핑거(211)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케이블커넥터(1-1)를 결합하고 원활하게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케이블커넥터 100: 몸체
110: 단자고정부 110a: 개구부
111: 절연부 112: 플랜지
113: 연장부 120: 케이블수용부
200: 핀단자 200a: 삽입홈
200b: 걸림턱 210: 탄성결합부
211: 핑거 300: 가압링
310, 310a: 돌기 301: 간격조절홈
302: 경사면 400: 커버
410: 고정홈 420: 탄성부재
A: 케이블 A1: 와이어
A2: 전도체 A3: 절연체
B: 접속단자 B1: 수용부
B2: 고정돌기

Claims (10)

  1. 케이블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몸체;
    일단부가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에 상기 케이블 내부의 도전성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핀단자; 및
    상기 삽입홈 내부의 상기 와이어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핀단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와이어를 향하는 면에 상기 와이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접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가압링을 포함하여,
    상기 핀단자 내부로 상기 가압링을 삽입하고, 상기 핀단자는 상기 몸체에 삽입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압링이 삽입된 상기 핀단자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돌기는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에 끝단부가 상기 핀단자의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가압링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케이블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입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링은 탄성을 가져 상기 걸림턱을 통과할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확장되는 케이블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력적으로 수축 및 확장되는 간격조절홈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링이 분할되는 케이블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외주면에 상기 가압링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어 상기 걸림턱과 빗면 접촉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타단부의 직경이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의 직경보다 큰 케이블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의 일단부에 서로 분할되어 탄력적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핑거로 이루어진 탄성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커넥터.
KR1020140097564A 2014-07-30 2014-07-30 케이블커넥터 KR10162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64A KR101622212B1 (ko) 2014-07-30 2014-07-30 케이블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64A KR101622212B1 (ko) 2014-07-30 2014-07-30 케이블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78A KR20160015078A (ko) 2016-02-12
KR101622212B1 true KR101622212B1 (ko) 2016-05-18

Family

ID=5535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564A KR101622212B1 (ko) 2014-07-30 2014-07-30 케이블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4B1 (ko)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83Y1 (ko) * 2017-06-13 2018-11-30 주식회사 아이엠엘이디 엘이디 램프
KR102598635B1 (ko) * 2021-07-30 2023-11-0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74A (en) 1989-05-15 1990-08-28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375B1 (ko)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74A (en) 1989-05-15 1990-08-28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4B1 (ko)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78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1907B (zh) 具有可壓縮套圈之同軸纜線連接器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622212B1 (ko) 케이블커넥터
JP2012508432A (ja) 回転防止同軸コネクタ
US8702456B1 (en) Coaxial cable adaptor
US9531090B2 (en) Coaxial cable connectors with conductor retaining members
CN102005652A (zh) 用于同轴电缆的带有保持环的连接器及其方法
JP2012508431A (ja) 挿入結合同軸コネクタ
US9490582B2 (en) Insulation body of a plug-in connector
KR20040007513A (ko) 판형 가요성 케이블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15415B1 (en) Strain relief cable insert
US20190074610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ounding coupling nut
US6322390B1 (en) Coaxial connector
KR20170013392A (ko) 차폐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6594777B2 (ja) 接続装置、その組立体、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101283620B1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20160035445A (ko) 케이블커넥터
US20160294173A1 (en) Cable gland
JP2019140080A (ja) コネクタ
US7699645B1 (en) Connector for multistranded insulated conductor cable
US3611273A (en) Multiwire shielded cable connector
KR101255788B1 (ko)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200442224Y1 (ko) 전선연결장치
JP3191366U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504103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