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03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039B1
KR101523039B1 KR1020140007470A KR20140007470A KR101523039B1 KR 101523039 B1 KR101523039 B1 KR 101523039B1 KR 1020140007470 A KR1020140007470 A KR 1020140007470A KR 20140007470 A KR20140007470 A KR 20140007470A KR 101523039 B1 KR101523039 B1 KR 10152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ug
grip
lockup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한
정원석
이건홍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로 출몰하는 락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련된 것이다.
셋탑 박스 또는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출력 신호를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의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에이치디엠아이(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HDMI 커넥터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그 플러그가 셋탑 박스 또는 컴퓨터와 같은 영상 출력 장치에 마련되는 HDMI 출력 단자에 끼워지면서 영상 출력 장치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HDMI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그의 플러그가 영상 출력 장치의 HDMI 출력 단자의 끼워져 고정되는 것만으로 영상 출력 장치에 고정되고, 별도의 고정구, 예컨대 스크류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HDMI 커넥터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영상 출력 장치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른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그 장치와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시에는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로 출몰하는 락업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형 운동 시 상기 락업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락업부를 연동시키는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업부는, 상기 플러그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업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며,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선형 운동부 및 외력을 선형 운동부로 전달하는 가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부의 선형 운동 시 외력에 상응하는 복원력을 저장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락업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선형 운동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파지부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파지부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락업부의 회전 시 상기 락업부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파지부 일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는 광 신호 변환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광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다른 장치와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다른 장치와 결합 시에는 그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락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일부만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커넥터가 다른 장치와 결합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락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일부만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1)는 본체(100), 플러그(200), 락업부(300) 파지부(400), 광 신호 변환부(500) 및 광 출력 단자(6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그 내부에 광 신호 변환부(500), 광 출력 장치(550)를 수용하며, 플러그(200), 파지부(400) 및 광 출력 단자(60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100)는 파지부(40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부(110)를 구비한다.
플러그(200)는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부의 장치에 마련된 입출력 단자에 끼워져 결합된다. 플러그(200)는 외부 장치에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특정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규격에 따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러그가 에이치디엠아이(HDMI) 단자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플러그(200)는 외부 출력 장치, 예컨대 셋탑 박스 또는 컴퓨터와 같은 영상 신호 출력 장치 등의 HDMI 출력 단자에 끼워지는 것으로, 합성 수지 재질의 내측부(210)와 그 내측부(210)의 둘레를 둘러싸는 금속 재질의 외면부(220)를 구비한다. 내측부(210)에는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에 구비된 돌출 단자가 끼워지기 위한 중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부(210)의 중공(215)의 내측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속 단자(230)가 마련된다.
플러그(200)의 하면에는 개구부(240)가 설치된다. 상세하게 외면부(220)를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부(240)를 형성하여 내측부(210)와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와 외면부(220) 사이의 공간으로 락업부(300)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 유로(250)를 형성할 수 있다.
락업부(3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절곡된 막대 형태를 가진다. 락업부(300)는 플러그(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회전에 따라 일부가 개구부(240)를 통해서 외부로 출몰할 수 있다. 락업부(300)는 회전축(310), 제1 절곡부(320) 및 제2 절곡부(330)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축(310)은 플러그(2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가이드 유로(2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제1 절곡부(320)는 회전축(3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회전축(310)의 회전 시 선택적으로 개구부(240)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절곡부(330)는 회전축(310)으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며, 파지부(400)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축(310)의 일단은 제1 절곡부(320)가 형성되고, 회전축(310)의 타단은 제2 절곡부(330)가 형성된다.
제1 절곡부(320)와 제2 절곡부(330)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평행하게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320)와 제2 절곡부(330)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축(310)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절곡부(320)와 제2 절곡부(330)는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하, 제1 절곡부(320)의 축(A)과 제2 절곡부(330)의 축(B)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와 제1 절곡부(320)의 축(A)과 제2 절곡부(330)의 축(B)이 일정 각도(θ)를 형성하면서 어긋나는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1 절곡부(320)는 90도 회전하여 개구부(240)에 출몰하는바, 제2 절곡부(330)도 제1 절곡부(320)와 같이 90도 회전한다. 또한, 제2 절곡부(330)가 파지부(400)와 연결되는바, 파지부(400)의 선형 운동에 따라 제2 절곡부(330) 회전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제2 절곡부(330)는 파지부(400)의 그루브(430)를 따라 이동해야 한다.
1) 제1 절곡부(320)의 축(A)과 제2 절곡부(330)의 축(B)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 θ는 0도 이다. 따라서 제1 절곡부(320)의 90도 회전을 위해서 제2 절곡부(330)는 원호 형태의 그루브(4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부(330)가 그루브(430)의 간섭 없이 이동하기 위해서 그루브(43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
2) 제1 절곡부(320)의 축(A)과 제2 절곡부(330)의 축(B)이 일정 각도(θ)를 형성하면서 어긋나는 경우, θ는 일정각도를 가진다. 이때 제1 절곡부(320)의 90도 회전을 위해서 제2 절곡부(330)는 직선 형태의 그루브(4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부(330)는 크기가 작은 그루브(430)를 따라 그루브(430)의 간섭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절곡부(320)와 제2 절곡부(330)가 일정 각도(θ)를 형성하면 제2 절곡부(330)가 회전 시에 제2 절곡부(330)가 그루브(430)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하여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그리하면, 파지부(400)의 선형 운동시에 제2 절곡부(330)와 파지부(400)사이의 마찰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320)와 제2 절곡부(330)가 일정 각도(θ)를 형성하면 그루브(43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면, 파지부(400)의 선형 운동시에 제2 절곡부(330)가 파지부(400)에서 이격 또는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400)는 본체(100)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형 운동 시 락업부(300)가 회전하도록 락업부(300)를 연동시킬 수 있다. 파지부(400)의 배치는 본체(100)의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100)의 어느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체(100)의 하면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파지부(400)는 본체(100)에 대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량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파지부(4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4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선형 운동부(410)와, 외력을 선형 운동부(410)로 전달하는 가력부(420) 및 락업부(300)가 삽입되는 그루브(430)를 구비할 수 있다.
선형 운동부(410)는 본체의 내부에 선형 운동할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력부(420)는 사용자가 파지부(400)에 외력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선형 운동부(41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본체(100)의 가이드부(110)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된다.
그루브(430)는 제2 절곡부(330)가 삽입되고, 선형 운동부(410)의 이동시에 제2 절곡부(330)가 그루브(4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그루브(430)는 제2 절곡부(330)가 회전하면서 선형 운동부(410)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그루브(430)의 형태는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써 그루브(430)는 제 2 절곡부(330)의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장공 형상, 호의 일부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루브(430)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부(450)는 파지부(400)에 연결되어 파지부(400)의 선형 운동 시 외력에 상응하는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탄성부(450)는 일단은 선형 운동부(410)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본체(100)에 지지되기 위해서 탄성부(450)는 본체(100)의 돌출된 엥커부(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450)는 선형 운동부(410)의 선형 운동에 의해서 압축 또는 신장 될 수 있다. 즉 탄성부(450)는 탄성부(450)의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해서 복원력을 저장 및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가력부(420)에 가압시에 탄성부(450)가 압축되어 복원력이 저장되고, 선형 운동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이 전달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45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450)는 압축스프링,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부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탄성부(450)가 압축스프링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광 신호 변환부(500)는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한다. 광 신호 변환부(500)는 신호 변환 장치(530)와 광 출력 장치(550)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변환 장치(530)는 외부 장치와 전기 접속된 플러그(20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출력을 위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광 출력 장치(550)로 전달한다. 신호 변환 장치(530)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출력 장치(550)는 신호 변환 장치(53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한다. 광 신호는 전기적 신호에 비해서 노이즈의 개입이 적고, 광 케이블로 전송시 신호 감쇠가 전기 신호에 비해서 적어 장거리 신호 전송에 유리하다.
광 출력 단자(600)는 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며, 광 신호 변환부(500)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즉, 광 출력 단자(600)에 광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면 광 출력 장치(550)에서 생성되는 광 신호가 상기 광 케이블로 전달된다. 광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되는 광 신호는 광 케이블에 연결된 다른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 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으로 전달된다. 광 케이블과 영상 출력 장치의 사이에는 광 케이블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다시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 장치(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커넥터가 외부 장치와 결합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커넥터(1)를 외부 장치(10)에 장착 및 탈착시에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외부 장치(10)는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에 형성된 중공(215)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11)를 구비한다. 또한, 외부 장치(10)는 개구부(240)를 통해서 돌출된 제1 절곡부(320)와 결합하여 커넥터(1)를 외부 장치(10)와 고정하는 홈(13)을 구비한다.
커넥터(1)를 외부 장체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가이드부(1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가력부(420)에 외력을 가하기 전에는 제1 절곡부(320)가 개구부(240)를 통해서 돌출 되어 있다. 가력부(420)에 외력을 가하면, 선형 운동부(410)가 선형 운동을 하고, 선형 운동부(410)에 연동되는 락업부(300)가 회전 운동을 한다. 락업부(300)가 회전 운동을 하면, 제1 절곡부(320)가 회전하여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와 외면부(220)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여, 개구부(240)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커넥터(1)를 외부 장치(10)에 삽입하면 돌출부(11)가 플러그(200)의 중공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력부(420)에 외력을 제거하면, 선형 운동부(410)의 운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부(450)의 복원력이 선형 운동부(410)에 전달된다. 복원력을 전달받은 선형 운동부(410)는 선형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제1 절곡부(320)는 개구부(240)를 통하여 돌출된다.
제1 절곡부(320)는 외부 장치(10)의 홈(13)에 끼움결합하여, 커넥터(1)와 외부 장치(10)의 결합력을 향상하여, 결합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커넥터(1)를 외부 장치(10)에서 탈착하는 방법은 상기의 커넥터(1)를 외부 장치(10)에 장착하는 방법의 역순으로 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110)의 파지부(40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파지부(400) 일부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가력부(42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력부(420)가 가력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가이드부(110)는 락업부(300)의 회전 시 락업부(30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파지부(400) 일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세하게, 가력부(420)에 외력을 가하기 전, 제1 절곡부(320)가 개구부(24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가력부(420)가 가이드부(110)의 일면에 부딪혀서 한 향으로만 이동할 있다. 그리하여, 제1 절곡부(320)가 홈(13)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1 절곡부(320)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가력부(420)에 외력을 가하여 제1 절곡부(320)가 개구부(24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절곡부(320)가 개구부(240)의 내부로 이동하면 가력부(420)가 개구부(240)의 타면에 부딪혀서 파지부(400)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하여, 락업부(300)의 회전 시에, 제1 절곡부(320)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또는 락업부(300)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락업부(300)와 내측부(210)의 마찰을 줄여서 커넥터(1)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의하면 커넥터(1)와 외부 장치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커넥터(1)가 외부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그들 간의 기계적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영상 신호 출력 장치에 커넥터(1)를 강제적으로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장치, 예컨대, 스크류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훨씬 간단하게 커넥터(1)의 착탈 또는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가 외부 장치의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커넥터(1)는 이와는 달리 단순히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다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넥터(1)가 HDMI 규격의 플러그(20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HDMI 규격의 플러그 외 다른 규격의 플러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커넥터 100: 본체
110: 가이드부 200: 플러그
240: 개구부 300: 락업부
310: 회전축 320: 제1 절곡부
330: 제2 절곡부 400: 파지부
410: 선형 운동부 420: 가력부
430: 그루브 450: 탄성부
500: 광 신호 변환부 530: 신호 변환 장치
550: 광 출력 장치 600: 광 출력 단자

Claims (11)

  1.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락업부; 및
    상기 락업부의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본체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본체를 따라 선형운동하면, 상기 락업부가 회전하여 상기 락업부의 타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몰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부는,
    상기 플러그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절곡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며,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된, 커넥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선형 운동부; 및
    외력을 선형 운동부로 전달하는 가력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부의 선형 운동 시 외력에 상응하는 복원력을 저장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락업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선형 운동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파지부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파지부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락업부의 회전 시 상기 락업부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파지부 일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커넥터.
  11. 제1 항 또는 제3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는 광 신호 변환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광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140007470A 2014-01-21 2014-01-21 커넥터 KR10152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70A KR101523039B1 (ko) 2014-01-21 2014-01-21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70A KR101523039B1 (ko) 2014-01-21 2014-01-21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039B1 true KR101523039B1 (ko) 2015-05-26

Family

ID=5339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470A KR101523039B1 (ko) 2014-01-21 2014-01-21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8770A (zh) * 2020-09-15 2022-03-15 安福烨翔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vga电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100A (ja) * 2011-03-29 2012-10-25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100A (ja) * 2011-03-29 2012-10-25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8770A (zh) * 2020-09-15 2022-03-15 安福烨翔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vga电连接器
CN114188770B (zh) * 2020-09-15 2023-07-18 安福烨翔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vga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135B2 (ja) コネクタ用エンクロージャ組立体、ストレインリリーフ部材、及び封止方法
US9130328B1 (en) RF pass-through connector
US7674132B1 (en) Electrical connector ensuring effective grounding contact
US20170219781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9509105B2 (en) Connector structure
US10305219B2 (en) Plug connector with damping element
CN105048164B (zh) 具有多个壳体外壳的可插拔连接器
US7641503B1 (en) Cable strain reliever
US9357281B2 (en) Receiver
US9461404B2 (en) Connector
CN203826668U (zh) 连接器、配合连接器和连接器组合
KR101523039B1 (ko) 커넥터
CN204271330U (zh) 用于连接器的壳体
US11520109B2 (en) Retrofit cover for fiber optic cable connection
US10832834B2 (en) Cable assembly
KR101723045B1 (ko) 커넥터
JP4354310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401907B1 (ko) 커넥터
US9397454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connector kit,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wo apparatus
KR20140047434A (ko) 휴대 단말기
KR101511276B1 (ko) 커넥터
JP7380217B2 (ja) コネクタ、通信線、電子機器及び光伝送システム
CN109217027B (zh) 电子设备系统及其应用的连接组件
CN117477256A (zh) 一种连接器及其组装方法
KR20200025509A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