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458B1 - 옥외용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옥외용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458B1
KR101909458B1 KR1020170006953A KR20170006953A KR101909458B1 KR 101909458 B1 KR101909458 B1 KR 101909458B1 KR 1020170006953 A KR1020170006953 A KR 1020170006953A KR 20170006953 A KR20170006953 A KR 20170006953A KR 101909458 B1 KR101909458 B1 KR 10190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guide
shroud
connecting portion
in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211A (ko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7000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4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5063 priority patent/WO2018131756A1/ko
Publication of KR2018008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6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광전환 유닛이 설치된 어댑터에 삽입되고, 케이블의 일단을 감싸며, 상기 광전환 유닛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를 고정시키고, 케이블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슈라우드; 상기 커넥팅부의 외측과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서 상기 커넥팅부와 상기 슈라우드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어댑터 내부와 대면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와 결합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댑터로부터 외측으로 단자가 돌출된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용이한 것으로, 커넥터를 어댑터에 깊숙히 삽입하지 않아도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가능하고, 구조적으로도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유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옥외용 광커넥터{OUTDOOR TYPE 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용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와 전자장치 또는 전자단말기 등은 그 기능이 더욱 다양화되어 전원의 연결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과 광신호 전송까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 커넥터는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위해 각 개별적으로 구비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위한 각각의 커넥터를 구비하였고, 각각 대응하는 어댑터에 접속시킴으로써 전원 연결과 데이터 전송 및 광신호 전송을 각각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옥외용 전자기기의 어댑터는 외부의 이물질 투입방지와 결합의 견고성 등을 이유로, 커넥터를 상기 어댑터에 깊숙히 삽입하여야만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가 상기 어댑터로부터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9712호(2008.05.07.등록)는 방수광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가 어댑터에 깊숙히 삽입되어야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가 어댑터로부터 함몰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전자기기 등의 어댑터에 커넥터를 체결함에 있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어댑터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걸림작용하는 걸림수단이 필요하여 개시된 바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넥터를 상기 어댑터에 삽입하거나 인출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상기 걸림수단이 걸림작용하거나 걸림해제되는 커넥터 구조가 개시되어, 어댑터로부터 함몰된 단자와 연결 또는 탈락시키는데 발생되는 불편함을 상쇄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커넥터의 삽입과 인출만으로 걸림작용이나 걸림해제가 된다면 상기 걸림수단은 필요가 없는 구성이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자동적인 걸림작용이나 걸림해제가 이루어지기 위한 구성은 복잡한 구조를 이루므로, 작은 공차에 의해 어긋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잦아 교체가 빈번하여 비용적인 문제와 안전적인 문제를 초래하였다.
KR 10-0829712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어댑터로부터 외측으로 단자가 돌출되고, 커넥터를 상기 어댑터에 깊숙히 삽입하지 않아도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가능한 옥외용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걸림수단의 걸림작용을 직접해제하지 않는 한 커넥터가 어댑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옥외용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 등의 어댑터에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서 실링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옥외용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는, 광전환 유닛이 설치된 어댑터에 삽입되고, 케이블의 일단을 감싸며, 상기 광전환 유닛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를 고정시키고, 케이블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슈라우드; 상기 커넥팅부의 외측과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서 상기 커넥팅부와 상기 슈라우드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어댑터 내부와 대면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와 결합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광전환 유닛은 상기 어댑터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주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는 외주면에 상기 어댑터측으로 좁아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팅부의 각 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팅부의 외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외측면과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커넥팅부의 외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팅부의 외측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외면 끝단에 내측을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광전환 유닛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광전환 유닛과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슈라우드는 외부 일측에 상기 래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전환 유닛과의 결합을 해제가능한 래치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내부하우징과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는 부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와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된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내부하우징은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상기 슈라우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에폭시의 접착면적이 커지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외면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끝단 내주면은 서로 결합가능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외주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댑터로부터 외측으로 단자가 돌출된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용이한 것으로, 커넥터를 어댑터에 깊숙히 삽입하지 않아도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가능하고, 구조적으로도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걸림수단의 걸림작용을 직접해제하지 않는 한 커넥터가 어댑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다른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의 어댑터에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서 실링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어댑터로부터 외측으로 단자가 돌출된 전자기기에 용이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가 어댑터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내부하우징과 슈라우드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슈라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가 어댑터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내부하우징과 슈라우드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슈라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어댑터(10)는 함체형상의 전자기기(미도시) 또는 광학기기(미도시)에 설치되지만,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전자기기 또는 광학기기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는 커넥팅부(100)와, 슈라우드(200), 내부하우징(300), 가이드부(400) 및 외부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10)에는 광전환 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 어댑터(10)와 광전환 유닛(20)은 모두 전자기기(미도시) 또는 광학기기(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광전환 유닛(20)은 상기 전자기기 또는 광학기기에 설치되되, 어댑터(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전환 유닛(20)은 어댑터(10)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어댑터(10)는 후술하는 외부하우징(500)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결합일 수 있으나,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어댑터(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이 형성되어 외부하우징(50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외부하우징(500)의 내주면에도 나사산(11)과 대응하는 나사산(510)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10)는 내주면이 후술하는 가이드부(40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는 가이드부(400)를 설명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커넥팅부(100)는 케이블(미도시)의 일단을 감싸며, 어댑터(10)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어댑터(10)와 결합할 때, 커넥팅부(100)가 어댑터(10)의 내측에 위치한 광전환 유닛(20)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은 광전환 유닛(20)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부(100)는 외면 일측에 래치(110)가 배치될 수 있다. 래치(110)는 일단이 커넥팅부(100)로부터 연장 또는 연결되고, 타단이 어댑터(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넥팅부(100)와 점차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커넥팅부(100)가 광전환 유닛(20)에 삽입되면, 래치(110)는 광전환 유닛(20)과 체결됨으로써 커넥팅부(100)는 광전환 유닛(20)과 결합될 수 있다.
슈라우드(200)는 커넥팅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슈라우드(200)는 상기 케이블의 외면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슈라우드(200)는 어댑터(1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후측 외주면에 어댑터(10) 방향으로 좁아지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10)을 따라 내부하우징(300)은 커넥팅부(100)와 배치가 정렬될 수 있다.
슈라우드(200)는 후술하는 내부하우징(300)과 결합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슈라우드(200)의 외주면과 내부하우징(300)의 내주면은 에폭시로 인해 접착됨으로써, 슈라우드(200)와 내부하우징(300)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슈라우드(200) 외주면 일부에 요철(230)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230)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기만 한다면 그 형상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슈라우드(200)는 외면 일측에 래치 해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해제부(220)는 일단이 슈라우드(200)의 외면과 연장 또는 연결되며, 타단이 어댑터(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슈라우드(200)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래치 해제부(220)는 래치(110)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광전환 유닛과의 결합을 해제하능하다. 슈라우드(200)와 래치 해제부(220)의 타단 사이의 공간에 래치(110)의 일단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하우징(300)은 커넥팅부(100)의 외측과 슈라우드(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커넥팅부(100)와 슈라우드(200)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내부하우징(300)은 어댑터(1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후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부(310)는 슈라우드(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10)을 따라 가이드되며, 가이드돌부(310)의 이동이 단턱(미부호)에 의해 멈추게 되면 후술하는 가이드부(400)는 커넥팅부(100)의 주위에 자리잡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했다시피, 내부하우징(300)은 내주면이 슈라우드(200)의 외주면과 접하며, 에폭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300)은 슈라우드(200)에서와 같이 내주면에 요철(23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요철(230)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경우 슈라우드(200)의 요철(230)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요철(230)은 에폭시로 인한 접착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한 접착을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내부하우징(300)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가 어댑터(10)에 결합할 때, 가이드부(400)는 어댑터(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대면하며 본 발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00)의 외주면과 어댑터(10)의 내주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400)와 내부하우징(300)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른다.
가이드부(400)는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0)는 커넥팅부(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외측면과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420)는 커넥팅부(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는 어댑터(10)에 삽입되며, 각각의 외주면은 어댑터(10)의 내주면과 서로 접면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는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된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는 커넥팅부(100) 외부에서 커넥팅부(100)를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 개의 제1가이드부(41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가이드부(4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부(400)가 어댑터(10)의 내측과 대응되어 삽입가능한 형상이라면 어떤 배치라도 무방하다.
한편, 내부하우징(300)과 슈라우드(200)가 결합할 때, 내부하우징(300)의 가이드돌부(310)가 슈라우드(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내부하우징(300)이 슈라우드(2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면, 가이드부(400)는 커넥팅부(100)의 각 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넥팅부(100)의 좌측과 우측에는 제1가이드부(410)가 위치할 수 있고, 커넥팅부(100)의 상측과 하측에는 제2가이드부(4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부(400)의 외면이 어댑터(10)의 내측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대응되며, 가이드부(400)가 어댑터(10)에 삽입될 때 커넥팅부(100)와 광전환 유닛(20)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는 각각 경사면(411, 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는 각각의 끝단이 어댑터(10)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경사면(411, 421)은 제1가이드부(410)와 제2가이드부(420)의 각각 외면 끝단에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410) 또는 제2가이드부(420)의 내측을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며 경사진다. 다시 말해,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부(410) 사이의 내측 거리는 일정하지만, 경사면(411)이 형성되므로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부(410) 사이의 외측 거리는 점차 줄어든다. 또한 제2가이드부(420) 역시 제1가이드부(410)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제2가이드부(420) 사이의 내측 거리는 일정하지만, 경사면(421)이 형성되므로 서로 마주보는 제2가이드부(420) 사이의 외측 거리는 점차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는 어댑터에 삽입될 때 경사면(411, 421)에 의해 삽입이 용이하다. 즉, 사용자에 의해 가이드부(400)의 끝단이 어댑터(10) 내측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더라도 경사면(411, 421)에 의해 가이드부(400)는 미끄러지면서 위치가 조절되며 어댑터(10)에 삽입되고, 커넥팅부(100)는 광전환 유닛(20)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외부하우징(500)은 가이드부(400)와 내부하우징(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하우징(500)은 어댑터(10)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외부하우징(500)의 어댑터(1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끝단 내주면과 어댑터(10)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하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결합일 수 있다. 도면에는 어댑터(10)의 외주면에 나사산(11)을 도시하고, 외부하우징(500)의 내측면에 나사산(510)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외부하우징(500)에 어댑터(10)의 나사산(11)과 대응되는 나사산(510)이 형성된 것으로 이해해야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결합 외에도 바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외부하우징(500)과 어댑터(10)가 결합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결합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외부하우징(500)은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수단(5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미끄럼 방지수단(520)은 요철이 마련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며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는 부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트(600)는 슈라우드(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내부하우징(300)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부트(600)는 내부하우징(300)의 끝단 중 어댑터(1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부트(600)는 케이블(미도시)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는, 어댑터(10)와 내부하우징(300) 사이, 외부하우징(500)과 내부하우징(300) 사이, 슈라우드(200)와 내부하우징(300)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탄성 재질의 오링(700)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제작자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광케이블(미도시)을 준비하고, 상기 광케이블을 외부하우징(500), 부트(600), 내부하우징(300) 및 슈라우드(200)를 순서대로 관통시킨다.
다음으로 커넥팅부(100)의 끝단에 상기 광케이블이 노출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의 끝단에 커넥팅부(100)를 설치한다.
이후, 슈라우드(200)를 상기 광케이블을 따라 이동시켜 커넥팅부(100)를 슈라우드(200)에 고정되도록 장착시킨다.
내부하우징(300)을 상기 광케이블을 따라 이동시켜 슈라우드(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슈라우드(200)의 외주면 일부 또는 내부하우징(300)의 내주면 일부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슈라우드(200)와 내부하우징(300)을 접합시킨다.
상기 에폭시가 굳기 전에 슈라우드(200)를 내부하우징(300)의 후단에 돌출되도록 배치하는데, 이때 내부하우징(300)의 가이드돌부(310)가 슈라우드(200)의 가이드홈(210)을 따라 위치가 배정되고, 내부하우징(300)에 배치된 가이드부(400)는 커넥팅부(100)의 각 면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커넥팅부(100)의 좌우측면에 대응하여 제1가이드부(410)가 대면하고, 커넥팅부(100)의 상하측면에 대응하여 제2가이드부(420)가 대면하게 된다.
이후, 제작자는 부트(600)를 상기 광케이블을 따라 이동시켜 내부하우징(300)과 접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제작자는 외부하우징(500)을 상기 광케이블을 따라 이동시켜 내부하우징(300)을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이때, 부트(600)는 외부하우징(50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며, 부트(600)에 형성된 단턱(미부호)이 외부하우징(500)의 단턱(미부호)에 걸리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조립과정에는 편의상 오링(700)의 설치를 생략하였으나, 외부하우징(500)과 내부하우징(300) 사이, 슈라우드(200)와 내부하우징(300) 사이에는 오링(70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설명하자면, 제작자는 필요에 의해 각 구성 사이에 오링(700)을 추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와 어댑터(10)의 결합되는 과정 또는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의 외부하우징(500)을 파지하여 어댑터(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리고 내부하우징(300)을 파지하여 가이드부(400)를 어댑터(10)에 삽입시킨다. 이 경우, 어댑터(10)의 내주면과 가이드부(400)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므로, 사용자는 가이드부(400)가 어댑터(10)에 삽입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내부하우징(300)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가압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가이드부(410)가 어댑터(10) 내부의 곡면부분에 위치하도록, 또는 제2가이드부(420)가 어댑터(10) 내부의 평면 부분에 위치하도록 내부하우징(300)을 가압한다. 이때, 가이드부(400)는 어댑터(10)에 삽입되는 각도 또는 방향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가이드부(400)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411, 421)에 의해 어댑터(10)의 끝단에서 미끄러지므로 가이드부(400)는 어댑터에 정확히 삽입가능하다.
가이드부(400)가 어댑터(10)에 삽입되면서, 커넥팅부(100) 역시 광전환 유닛(20)에 삽입되고, 커넥팅부(100)의 래치(110)는 광전환 유닛(20)에 마련된 걸림부(미부호)에 걸림으로써 커넥팅부(100)와 광전환 유닛(20)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이후, 외부하우징(500)을 상기 광케이블을 따라 이동시켜, 외부하우징(500)을 어댑터(10)에 결합한다. 이때, 외부하우징(500)의 내주면과 어댑터(10)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510, 11)이 각각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를 어댑터(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외부하우징(500)을 파지하여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부하우징(500)은 어댑터(10)로부터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래치 해제부(220)를 가압함으로써 광전환 유닛(20)에 결합된 래치(110)를 가압한다. 래치(110)가 가압되면서 광전환 유닛(20)의 걸림부(미도시)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내부하우징(300)을 어댑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커넥팅부(100)가 광전환 유닛(2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며, 커넥팅부(100)와 광전환 유닛(20)의 전기적 또는 광학적 연결은 단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광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실시예들은 서로 변경 또는 통합이 가능하며,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어댑터 11 : 나사산
20 : 광전환 유닛
100 : 커넥팅부 110 : 래치
200 : 슈라우드 210 : 가이드홈
220 : 래치 해제부 230 : 요철
300 : 내부하우징 310 : 가이드돌부
400 : 가이드부 410 : 제1가이드부
411 : 경사면 420 : 제2가이드부
421 : 경사면 500 : 외부하우징
510 : 나사산 520 : 미끄럼 방지수단
600 : 부트 700 : 오링

Claims (15)

  1. 광신호와 전기적인 신호를 상호 전환시키는 광전환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옥외에 설치된 어댑터에 결합되는 옥외용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광전환 유닛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어댑터에 삽입가능하고, 케이블의 일단을 감싸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를 고정시키고, 케이블의 외면 일부를 감싸며 외주면에 상기 어댑터측으로 좁아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슈라우드;
    상기 커넥팅부의 외측과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서 상기 커넥팅부와 상기 슈라우드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슈라우드와 결합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내부하우징;
    끝단이 상기 커넥팅부보다 상기 어댑터에 가깝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의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에 삽입될 때 상기 어댑터 내부와 대면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와 결합되는 외부하우징;
    을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주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옥외용 광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팅부의 각 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옥외용 광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팅부의 외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외측면과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커넥팅부의 외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팅부의 외측에서 교대로 배치된 옥외용 광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외면 끝단에 내측을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광전환 유닛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광전환 유닛과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슈라우드는 외부 일측에 상기 래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전환 유닛과의 결합을 해제가능한 래치 해제부;를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내부하우징과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는 부트;
    를 더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와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된 오링을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내부하우징은 에폭시에 의해 접착되는 옥외용 광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의 외주면 또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에폭시의 접착면적이 커지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옥외용 광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외면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끝단 내주면은 서로 결합가능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외주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옥외용 광커넥터.
KR1020170006953A 2017-01-16 2017-01-16 옥외용 광커넥터 KR10190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53A KR101909458B1 (ko) 2017-01-16 2017-01-16 옥외용 광커넥터
PCT/KR2017/005063 WO2018131756A1 (ko) 2017-01-16 2017-05-16 옥외용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53A KR101909458B1 (ko) 2017-01-16 2017-01-16 옥외용 광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11A KR20180084211A (ko) 2018-07-25
KR101909458B1 true KR101909458B1 (ko) 2018-10-18

Family

ID=6283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53A KR101909458B1 (ko) 2017-01-16 2017-01-16 옥외용 광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9458B1 (ko)
WO (1) WO2018131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184B1 (ko) * 2020-06-24 2022-12-26 주식회사 제이티 베이요넷 기능을 갖는 옥외용 푸쉬풀 광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604A (en) * 1993-02-11 1994-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fiber coupling device and optoelectronic system utilizing same
US5909526A (en) * 1998-04-08 1999-06-01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JP3756379B2 (ja) * 2000-04-26 2006-03-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US7758389B2 (en) * 2008-01-25 2010-07-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movable plug
KR100829712B1 (ko) 2008-04-02 2008-05-14 조한대 방수광커넥터 모듈
JP2013210418A (ja) * 2012-03-30 2013-10-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用雄型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光コネクタ用雌型コネクタ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11A (ko) 2018-07-25
WO2018131756A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825B1 (en) Enclosure assembly for a connector, strain relief element, and method
US9739953B2 (en) Optical connector
US7588373B1 (en) Optical connector plug
US2016001860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M576747U (zh) 電連接器組件
US9523827B2 (en) Optical-electrical composite connector
US8905649B2 (en) Optical fiber terminal fixing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connector
US20130011101A1 (en) Optical connector
KR101408429B1 (ko) 광학 도파체용 이중 플러그-인 커넥터
JP2016164600A (ja) プラグ側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
KR101909458B1 (ko) 옥외용 광커넥터
KR20080003465A (ko)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AU2013217368B2 (en) Fiber optic connector
JP2017041435A (ja) ワンタッチプッシュプル型コネクター
KR101051119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CN218770386U (zh) 连接器
JP2017027932A (ja) スクリュー型スライディング構造のコネクター
KR101778181B1 (ko) 커넥터 연결 유닛 및 커넥터
KR101075129B1 (ko) 광케이블 커넥터
KR100981624B1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KR10162636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21043B1 (ko) 복합 커넥터
KR20160148993A (ko)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TWM565312U (zh)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CN215911641U (zh) 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