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712B1 - 방수광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방수광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712B1
KR100829712B1 KR1020080030747A KR20080030747A KR100829712B1 KR 100829712 B1 KR100829712 B1 KR 100829712B1 KR 1020080030747 A KR1020080030747 A KR 1020080030747A KR 20080030747 A KR20080030747 A KR 20080030747A KR 100829712 B1 KR100829712 B1 KR 10082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대
Original Assignee
조한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대 filed Critical 조한대
Priority to KR102008003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6Magnetic means to align ferru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1Sealed pack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단자함을 개방하지 않고도 광커넥터를 바로 체결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갖는 방수광커넥터 모듈을 개시한다. 방수광커넥터는 벌크헤드형 내외부 네트와 방수하우징, 방수 부트를 이용하여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방수성능을 담보하여 광다자한 외부에 직접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커넥터, 방수, 광어댑터

Description

방수광커넥터 모듈 {Water Proof Optical 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광단자함을 개방하지 않고도 광커넥터를 바로 체결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갖는 방수광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에 의한 광결합은 광섬유가 삽입된 두 개의 광커넥터들을 광어댑터에 각각 결합항으로써 이루어지며, 광커넥터의 종류는 다양한데, 그중 SC, FC, ST, LC, MU 타입 광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광커넥터는 대부분 실내나 혹은 방수성능을 갖는 광단자함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광커넥터와 광어댑터 자체로 방수성능을 갖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1에는 종래의 광단자함 내에서 체결되는 광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수성능을 갖는 광단자함(10) 내에서 광케이블(11)과 광옥외선(13)을 접속하기 위하여 광단자함(10) 내부에 광어댑터에 결합되는 광커넥터(16, 18)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광단자함 및 광커넥터는 방수를 위하여 항상 광단자함(10) 내에서 체결되어야 하므로 작업시 광단자함을 개방하여 야외에서 작업하여야 하고, 또한 광옥외선의 성단작업을 협소한 광단자함 내에서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날씨에 따라서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표준형 광커넥터와 호환이 가능하면서 광단자함을 개방하지 않아도 광커넥터 접속을 할 수 있는 방수광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커넥터 모듈의 광어댑터를 이용하여 광단자함의 벽면사이에 체결되어 광단자함의 내외부에서 광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광단자함을 개방하지 아니하고 직접 광접속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공장에서 성단된 광옥외선을 바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모듈이 광단자함의 벽면(2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시하고 있다. 광커넥터 모듈의 광어댑터(33)는 광단자함의 벽면(20)사이에 체결되어 광단자함의 내외부에서 광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광 어댑터(33)는 벌크헤드 타입의 고정구를 이루는 내외부 네트(40,43)이 각각 광단자함 벽면(20)의 내외측면에 접하고 상호 나사결합을 하여 고정되게 된다. 이 때, 내외부 네트(40,43)중 일측은 볼트형상을 갖고 타측은 너트형상을 갖게 되어 광단자함 벽면(20)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여 체결된다.
이때, 내외부 네트와 광단자함 벽면(20) 사이에는 각각 내외부 오링(O-ring)(41, 42)가 개재되어 광단자함 벽면(20)과 내외부 네트 사이에 방수 밀봉을 이루게 된다.
광커넥터(32)는 광커넥터 부트(31)와 광커넥터 코드(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방수부트(46)은 광커넥터 코드(30)과 상호 밀봉되도록 밀착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거나 혹은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방수부트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부트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거나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수 하우징(45)는 방수부트(46)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외부네트(43)과 방수부트(46)사이에 개재되어 내부의 광어댑터(33)와 광커넥터(32)를 방수 보호하게 된다.
방수하우징은 더욱 확실한 방수성능을 위하여 외부네트와 결합면에 방수하우징 오 링(44)를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수하우징(45)는 대게 원통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방수하우징 오링(44)을 방수하우징(45)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방수하우징 오링(44)이 방수하우징(45) 벽면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하우징 도3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방수하우징의 외벽에 스토퍼(50)를 설치하면, 오링(51)이 방수하우징 벽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네트에는 스토퍼(50) 및 오링(51)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방수하우징(45)은 방수부트(4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외부네트(43)와 접촉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이는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수하우징(45)과 외부네트(43)는 나사결합, 스냅-핏(snap-fit), 걸쇠, 클립(회전식 클립), 자석결합, 끼워맞춤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법은 단순한 기계구조물로서 당업자에게 공지의 기술에 불과하므로 자세하게 개시하지 아니한다.
방수하우징(45)와 방수부트(46)는 서로 분리되도록 끼워 맞춤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접착제 혹은 기계결합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방수하우징(45)와 방수부트(46) 사이의 방수성을 담보하기 위한 실링부재(예 : 오링 등)을 추가적으로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부트(46)는 외력에 의하여 손쉽게 길이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방수부트(46)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주름관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방수하우징(45)을 외부네트(43)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제공된 상태라면 벨로즈, 방수천 등 다른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방수부트(46)는 광커넥터 코드(30)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모두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 모두 방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방수부트(46)가 광커넥터 코드(30)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방수부트(46)와 광커넥터 코드(30) 사이에 오링을 삽입하고 방수부트에 오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간극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부트(46)을 광커넥터 코드(30) 위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열수축튜브, 고분자 접착제, 접착테이프, 또는 방수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 고정할 수 있는데 도4에는 열수축튜브(52)로 방수부트(46)의 단부와 광커넥터 코드(30)를 감싸서 밀봉 고정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5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코드를 광어댑터로부터 이탈시키는 순서를 개 시하였는바,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가능하다.
일단, 외력을 가하여 방수부트(46)를 아래쪽으로 내린다. 방수부트(46)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방수부트(46)가 광커넥터 코드(30)에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도5와 같이 변형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후 방수하우징(45)를 아래로 이동시키는데, 방수부트(46)과 방수하우징(45)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방수부트(46)을 이동시킬 때 방수하우징(45)도 같이 이동하는 것이 당연하다.
방수하우징(45)가 아래쪽으로 충분히 이동하고 나면, 광커넥터(32)를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되므로 광어댑터(3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광단자함을 개방하지 아니하고 직접 광접속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공장에서 성단된 광옥외선을 바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광단자함 커넥터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광커넥터 모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부트 밀봉수단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광커넥터 모듈의 방수부트 이동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하우징 착탈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착탈
10. 종래의 광단자함
11. 광케이블
12. 광케이블 심선
13. 광옥외선
14. 광옥외선 고정 클램프
15. 광케이블 코드
16. 광케이블측 광커넥터
17. 광어댑터 홀더
18. 광옥외선측 광커넥터
20. 광단자함 벽면
30. 광커넥터 코드
31. 광커넥터 부트
32. 광커넥터
33. 광어댑터
40. 내부네트
41. 내부 오링(O-Ring)
42. 외부 오링(O-Ring)
43. 외부네트
44. 방수 하우징 오링
45. 방수 하우징
46. 방수 부트
50. 스토퍼

Claims (11)

  1. 광단자함의 외부에 직접 연결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로서, 광어댑터; 상기 광단자함의 벽면의 내부와 외부에서 각각 광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광어댑터를 고정시키는 광단자함 내부/외부네트와 내부/외부 오링(O-ring)으로 구성된 어댑터 고정부; 광커넥터 본체; 상기 광어댑터의 광단자함 외측 돌출부분과 광커넥터를 감싸며 설치되는 방수하우징; 상기 방수하우징과 상기 외부네트를 밀봉하는 방수하우징 오링(O-ring);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방수하우징과 광커넥터 코드 사이를 밀봉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방수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어댑터 및 광커넥터는 SC, LC, ST, FC, MU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하우징은 상기 방수하우징 오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네트에는 방수하우징과 오링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하우징과 외부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결합, 스냅-핏(snap-fit), 걸쇠, 클립, 자석결합, 끼워맞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하우징과 방수부트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방수하우징과 방수부트는 영구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트는 주름관, 벨로즈 또는 방수천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8. 제 1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광커넥터 모듈은 상기 방수부트의 광커넥터 코드측 단부와 광커넥터 코드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은 열수축튜브, 고분자 접착제, 접착테이프, 오링 또는 방수테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광커넥터 모듈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30747A 2008-04-02 2008-04-02 방수광커넥터 모듈 KR10082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47A KR100829712B1 (ko) 2008-04-02 2008-04-02 방수광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47A KR100829712B1 (ko) 2008-04-02 2008-04-02 방수광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712B1 true KR100829712B1 (ko) 2008-05-14

Family

ID=3965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747A KR100829712B1 (ko) 2008-04-02 2008-04-02 방수광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7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57B1 (ko) * 2010-06-10 2011-12-19 홍순용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101231205B1 (ko) 2011-08-01 2013-02-07 (주)용진일렉콤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20180084211A (ko)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제이티 옥외용 광커넥터
KR20220138521A (ko) 2021-04-05 2022-10-13 (주)서브테크 케이블 방수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5008A (ja) 1986-06-16 1987-12-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耐水圧用光ケ−ブル端末装置
KR19980703282A (ko) * 1995-03-31 1998-10-15 제럴드에프.체니벡 돔형의 광섬유용 폐쇄체
KR20000074785A (ko) * 1999-05-26 2000-12-15 이봉수 방수형 광 커넥터 및 어댑터
JP2007094085A (ja) * 2005-09-29 2007-04-12 Hirose Electric Co Ltd 防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5008A (ja) 1986-06-16 1987-12-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耐水圧用光ケ−ブル端末装置
KR19980703282A (ko) * 1995-03-31 1998-10-15 제럴드에프.체니벡 돔형의 광섬유용 폐쇄체
KR20000074785A (ko) * 1999-05-26 2000-12-15 이봉수 방수형 광 커넥터 및 어댑터
JP2007094085A (ja) * 2005-09-29 2007-04-12 Hirose Electric Co Ltd 防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57B1 (ko) * 2010-06-10 2011-12-19 홍순용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101231205B1 (ko) 2011-08-01 2013-02-07 (주)용진일렉콤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20180084211A (ko)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제이티 옥외용 광커넥터
KR20220138521A (ko) 2021-04-05 2022-10-13 (주)서브테크 케이블 방수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4718C2 (ru) Компоновка оптоволок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втулка для адаптера
CN104246563B (zh) 用于通信封装件的连接器
CN103185924B (zh) 防水光纤连接器及其光纤插头和光纤适配器
EP2277241B1 (en) Telecommunications cable inlet device
KR100829712B1 (ko) 방수광커넥터 모듈
CN107430249A (zh) 插头侧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系统
CN203786340U (zh) 保护帽、插芯组件、光纤连接器、牵引组件
CN101311760B (zh) 一种光纤连接器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CN105353472B (zh) 一种光纤连接器
US11977264B2 (en) Pre-connector and communications device
CN205694025U (zh) 用于电气组件的壳体及具有该壳体的电气设备
KR101471018B1 (ko) 중간 브랜칭을 위한 광 케이블의 안내 및 접속 작업에 적합한 광 케이블 접속 케이싱
US7878717B2 (en) Optical waveguide plug part
KR101245365B1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CN201269937Y (zh) 一种光纤连接器
CN108732683B (zh) 一种用于光缆熔接盒的光缆固定装置
CN201188135Y (zh) 一种光纤连接器
EP4239808A1 (en) Integrated waterproof seal assembly and use thereof
CN106154429A (zh) 光纤连接器的密封保护盒
KR200256940Y1 (ko) 전선보호관 체결구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CN209822967U (zh) 一种室外防水接头盒
KR101111718B1 (ko) 옥외용 광커넥터 모듈
KR101095057B1 (ko)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