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521A - 케이블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521A
KR20220138521A KR1020210043840A KR20210043840A KR20220138521A KR 20220138521 A KR20220138521 A KR 20220138521A KR 1020210043840 A KR1020210043840 A KR 1020210043840A KR 20210043840 A KR20210043840 A KR 20210043840A KR 20220138521 A KR20220138521 A KR 2022013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connector
wing
cabl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443B1 (ko
Inventor
전상도
Original Assignee
(주)서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브테크 filed Critical (주)서브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4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외부 둘레에 단차가 형성된 수 커넥터, 상기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단차에 걸려 있는 기밀부재, 제2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내부로 상기 수 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기밀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암 커넥터 및 상기 암 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된 클램핑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이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될수록 상기 일단부는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방수 커넥터{Cable 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Cable)은 유선상으로 전기신호를 교환하거나, 전력, 정보 등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케이블은 구리, 광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진 배선과 배선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으로 되어있다.
케이블은 전력생산설비와 같은 원거리의 전기시설과 전력을 수급하는 건물 사이, 또는 건물과 건물 사이 등 각 종의 기기나 시설 및 설비들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통상 커넥터(Connector)로 불리는 연결장치가 마련된다. 커넥터는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의 배선과 연결된 암/수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으며, 접속된 후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밀폐, 고정된다.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의 특성상 케이블 내부의 배선으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수구조는 커넥터 설계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아울러, 수심이 깊은 수중에서 각종의 기기 및 설비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인 방수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암/수 접속단자의 내부에 오링(O-ring)을 적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오일을 단순히 배치한 방수구조는 깊은 수심에서 고 수압을 견디지 못하여 만족스러운 방수효과를 얻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0132호 (2019.01.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9712호 (2008.05.07.)
본 발명은 암/수 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며 암/수 커넥터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 수심이 깊은 수중에서도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수 커넥터는 제1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외부 둘레에 단차가 형성된 수 커넥터, 상기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단차에 걸려 있는 기밀부재, 제2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내부로 상기 수 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기밀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암 커넥터 및 상기 암 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된 클램핑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이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될수록 상기 일단부는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의 외부 둘레 일부분은 상기 단차와 직각을 이루고 있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서 점진적으로 경사져 상기 평면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경사홈부와 연결되어 상기 경사홈부, 상기 단차와 마주하고 있는 수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는 내부 둘레가 상기 평면부와 접하고 일측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고 있는 기밀몸체, 상기 기밀몸체의 타측면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경사홈부 및 상기 수직부와 접하고 있는 제1 기밀날개 및 상기 제1 기밀날개와 떨어져 상기 기밀몸체의 타측면 상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의 내부 둘레와 접하는 제2 기밀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날개와 상기 제2 기밀날개의 사이에는 상기 암 커넥터의 일단부가 유입되는 가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삽입홈은 상기 제1 기밀날개와 상기 제2 기밀날개의 단부에서 내부로 유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이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될수록 상기 제1 기밀날개와 상기 제2 기밀날개의 사이는 벌어지고 상기 기밀몸체는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기밀몸체, 상기 제1 기밀날개 및 상기 제2 기밀날개의 내부는 빈 곳이 없이 꽉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날개는 상기 클램핑의 내부 둘레와 접하고 있으며 상기 기밀몸체의 외부 둘레는 상기 클램핑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차와 상기 기밀몸체가 서로 접하는 면은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방수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의 외부 둘레와 상기 암 커넥터의 내부 둘레 사이에 배치된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방수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 및 상기 암 커넥터와 접하는 상기 기밀부재의 외부 둘레 부분에 형성된 변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되면 기밀부재는 단차의 표면과 가압 삽입돌기의 사이에서 눌리어 밀착되고, 가압 삽입돌기가 가압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제1 기밀날개와 제2 기밀날개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1 기밀날개는 경사홈부에 밀착되며 제2 기밀날개는 클램핑의 내부둘레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한다. 밀착성이 높아진 기밀부재에 의해 암/수 커넥터의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수심이 깊은 수중에서도 케이블 방수 커넥터의 방수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밀날개와 제2 기밀날개 그리고 기밀몸체에 의해 기밀부재가 다방향으로 밀착되어 기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밀부재에 의해 1차 방수되고 오링에 의해 2차 방수되어 케이블 방수 커넥터의 외부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어 방수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부재와 단차의 표면이 접하고 있는 부분이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기밀부재와 단차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방수 효율은 더욱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밀부재의 외부 둘레에 일부분에 형성된 변색층은 물이 접하면 변색된다. 이에 변색층의 변색으로 케이블 방수 커넥터의 외부 물이 내부로 유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케이블 방수 커넥터의 유지관리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수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수 커넥터, 암 커넥터 및 클램핑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의 기밀부재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3의 기밀부재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수 커넥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수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수 커넥터(100)는 수 커넥터(10), 기밀부재(30), 암 커넥터(50) 및 클램핑(60)을 포함하며 제1 케이블(도시하지 않음)과 제2 케이블(2)을 연결하며 암/수 커넥터(10)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 수심이 깊은 수중에서도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2)은 전원, 통신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2)을 전원, 통신용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수 커넥터(10)는 수몸체(11), 그리고 접속단자(12)를 포함한다.
수몸체(11)에는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한 단자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홀(111)은 수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중심선(11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수몸체(11)의 외부 둘레에는 기밀부재 안치부(113) 및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수몸체(11)의 외부 둘레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밀부재 안치부(113)는 수몸체(11)의 일측과 타측의 구획 기준이 될 수 있다. 기밀부재 안치부(113)를 기준으로 수몸체(11)의 일측 외부 둘레 지름은 타측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다. 수몸체(11)의 일측 외부 둘레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오링(20)이 배치된 오링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12)는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자홀(111)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단자(12)에는 제1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기밀부재 안치부(113)는 단차(113a), 평면부(113b), 경사홈부(113c) 및 수직부(113d)를 포함한다.
단차(113a)는 수몸체(11)의 일측과 타측의 지름 차이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113a)의 표면은 타측 외부 둘레와 직각을 이루고 있다.
평면부(113b)는 단차(113a)와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수몸체(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113b)의 외부 둘레 지름이 일측의 지름보다 작다. 지름의 차이(G)로 일측 외부 둘레와 단차(113a)의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홈부(113c)는 평면부(113b)와 연결되어 있다. 경사홈부(113c)는 평면부(113b)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한다. 여기서 평면부(113b)의 길이(L1)와 경사홈부(113c)의 수평 길이(L2)는 1:1 비율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홈부(113c)의 경사 길이(LD2)는 평면부(113b)의 길이(L1) 보다 길다.
수직부(113d)는 내측이 경사홈부(113c)와 연결되어 있다. 수직부(113d)는 일부분이 경사홈부(113c)의 경사면과 마주하며 타부분은 단차(113a)와 마주하고 있다. 단차(113a)의 외측은 일측 외부 둘레와 연결되어 있다.
수몸체(11)는 제1 케이블 또는 단자함 등의 대상물과 볼트 따위의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수몸체(11)의 외부 둘레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상물과 접하는 수몸체(11)의 타측 일부분은 체결수단의 배치로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몸체(11)의 타측과 대상물의 사이에는 실링패드(13)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홈(114)은 수몸체(11)의 타측 외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14)은 단차(113a)의 표면과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홈(114)은 직선부(114a)와 걸림홈부(114b)로 이루어져 있으며 걸림홈부(114b)는 직선부(114a)의 끝에서 수몸체(11)의 외부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홈부(114b)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이드홈(114)은 생략되고 수몸체(11)의 타측 외부 둘레에 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기밀부재(30)는 기밀몸체(31), 제1 기밀날개(32) 및 제2 기밀날개(33)를 포함하며 기밀부재 안치부(113)에 배치되어 있다.
기밀몸체(31)는 외부 일측면이 단차(113a)의 표면과 밀착되어 있으며 내부 둘레는 평면부(113b)와 밀착되어 있다. 기밀몸체(31)의 외부 둘레 지름은 수몸체(11)의 일측 외부 둘레 지름보다 크다. 하지만 기밀몸체(31)의 외부 둘레 지름은 수몸체(11)의 타측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다. 기밀몸체(31)는 가이드홈(114)의 직선부(114a)와 간섭되지 않는다.
제1 기밀날개(32)는 기밀몸체(31)의 타측면 하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1 기밀날개(32)의 내부 둘레는 경사홈부(113c)와 접하고 있으며 일부분은 수직부(113d)와 접하고 있다. 제1 기밀날개(32)와 기밀몸체(31)는 수직부(113d)와 단차(113a)의 표면 사이에서 홈에 끼워져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밀날개(32)와 기밀몸체(31)는 단차(113a)의 표면과 수직부(113d)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기밀날개(33)는 제1 기밀날개(32)와 떨어져 있으며 기밀몸체(31)의 타측면 상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2 기밀날개(33)는 수 커넥터(10)와 접하고 있지 않다.
한편, 제1 기밀날개(32)와 제2 기밀날개(33)의 사이에는 가압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삽입홈(34)은 제1 기밀날개(32)와 제2 기밀날개(33)의 단부에서 내부로 유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가압 삽입홈(34)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기밀부재(30)의 기밀몸체(31), 제1 기밀날개(32) 및 제2 기밀날개(33)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는 빈 곳이 없이 꽉 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밀부재(30)는 외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암 커넥터(50)는 암몸체(51) 및 접속단자(52)를 포함하며 수 커넥터(10)와 결합되어 있다.
암몸체(51)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암몸체(51)의 일측을 통해 제2 케이블(2)이 암몸체(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암몸체(51)의 일측 내부에는 제2 케이블(2)이 유입되는 케이블 유입홈(5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내부에는 수삽입홈(5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유입홈(511)과 수삽입홈(512)은 단자홀(513)로 연결되어 있다. 단자홀(513)은 암몸체(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중심선(51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수삽입홈(512)에는 수몸체(11)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다. 이때 오링(20)은 수삽입홈(512)의 내부 둘레와 접하며 수삽입홈(512)의 둘레와 수몸체(11)의 외부 둘레 사이의 기밀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삽입홈(512)에 수몸체(11)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암몸체(51)의 타측은 단차(113a)의 표면과 마주한다. 암몸체(51)의 타측 외부 둘레와 내부 둘레의 일부분은 가압 삽입홈(34)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수몸체(11)의 타측에는 가압 삽입홈(34)으로 삽입되는 가압 삽입돌기(514)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삽입돌기(514)의 외측 둘레와 내측 둘레는 가압 삽입홈(34)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와 같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다. 가압 삽입돌기(514)의 둘레 경사 각도(D1)는 가압 삽입홈(34)의 둘레 경사 각도(D2)보다 크다. 가압 삽입홈(34)은 가압 삽입돌기(514)의 삽입으로 벌어진다. 제1 기밀날개(32)는 가압 삽입돌기(514)와 경사홈부(113c)의 사이에서 눌릴 수 있다. 이때 기밀몸체(31)는 가압 삽입돌기(514)와 단차(113a)의 표면 사이에서 눌릴 수 있다.
한편, 가압 삽입돌기(514)의 외측 둘레와 암몸체(51)의 외부 둘레 타측의 경계 지점에는 걸림턱(515)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515)은 외부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암몸체(51)의 타측 외부 둘레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접속단자(52)는 단자홀(513)에 배치되어 있으며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단자(52)는 제2 케이블(2)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부분은 단자홀(513)에서 수삽입홈(512)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몸체(11)의 일부분이 수삽입홈(512)으로 삽입될 때 수 커넥터(10)의 접속단자(12)는 암 커넥터(50)의 접속단자(52)와 접속된다. 이에 접속단자(12)의 암부재와 접속단자(52)의 수부재가 접속되고, 접속단자(12)의 수부재와 접속단자(52)의 암부재가 접속된다.
클램핑(60)은 클램핑몸체(61) 및 당김턱(62)을 포함하며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50)를 서로 연결하면서 암 커넥터(50)가 기밀부재(30)를 가압하도록 한다.
클램핑몸체(61)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클램핑몸체(61)는 일측이 수몸체(11)의 타측 외부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일측 내부 둘레에는 걸림턱(515)의 일측면과 접하는 당김턱(62)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몸체(61)의 타측 내부 둘레에는 가이드홈(114)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0)가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돌기(70)가 가이드홈(114)에 삽입될수록 당김턱(62)은 걸림턱(515)을 수몸체(11)의 방향으로 당기어 가압 삽입돌기(514)가 기밀부재(30)를 점진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가이드돌기(70)는 생략되고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몸체(61)와 수몸체(11)는 서로 나사결합 될 수 있다.
한편, 클램핑몸체(61)의 내부 둘레는 기밀몸체(31)의 외부 둘레와 간격을 두고 있다. 가압 삽입돌기(514)에 의해 눌리는 기밀몸체(31)는 폭 방향으로 눌리면서 외측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에 기밀몸체(31)와 클램핑몸체(61)의 내부 둘레가 떨어져 있어 기밀몸체(31)의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케이블 방수 커넥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수 커넥터, 암 커넥터 및 클램핑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로, (a)는 수 커넥터, 암 커넥터 및 클램핑이 분리된 상태이고, (b)는 기밀부재,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이며, (c)는 클램핑에 의해 암 커넥터가 기밀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고하면 수 커넥터(10), 암 커넥터(50) 및 클램핑(60)이 분리된 상태에서 기밀부재 안치부(113)에 기밀부재(30)를 배치한다. 기밀부재(30)의 기밀몸체(31)는 단차(113a)의 표면과 평면부(113b)에 접하며 제1 기밀날개(32)는 경사홈부(113c) 및 수직부(113d)와 접한다. 기밀부재(30)는 수직부(113d)와 단차(113a)의 표면 사이의 홈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50)를 결합한다. 이때 오링(20)은 암몸체(51)과 수몸체(11)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50)가 결합될수록 가압 삽입돌기(514)는 가압 삽입홈(34)에 삽입된다. 이때 가압 삽입돌기(514)와 가압 삽입홈(34)의 각도 차이로 제1 기밀날개(32)와 제2 기밀날개(33)의 사이는 벌어질 수 있으며 제1 기밀날개(32)는 가압 삽입돌기(514)의 내측 둘레와 경사홈부(113c)의 사이에 눌리며 그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도 4의 (c) 및 도 5를 참고하면, 클램핑(60)을 수 커넥터(10)와 결합하면 가이드돌기(70)가 가이드홈(114)을 따라 이동하면서 클램핑(60)이 수 커넥터(10)와 결합된다. 가이드돌기(70)가 가이드홈(114)의 걸림홈부(114b)를 따라 이동할수록 당김턱(62)은 걸림턱(515)을 수 커넥터(10)의 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가압 삽입돌기(514)는 기밀부재(30)를 단차(113a)의 표면 방향으로 누르게 되며 기밀몸체(31)는 단차(113a)의 표면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압 삽입돌기(514)와 가압 삽입홈(34)의 경사 각도 차이로 인하여 제1 기밀날개(32)와 제2 기밀날개(33)의 사이가 벌어지며 제2 기밀날개(33)의 외측은 클램핑(60)의 내부 둘레와 접한다. 그리고 제1 기밀날개(32)는 경사홈부(113c)에 밀착되어 수 커넥터(10)와 기밀부재(30)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케이블 방수 커넥터(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밀몸체(31)와 단차(113a) 표면이 접하는 부분(40)이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기밀몸체(31)와 단차(113a) 표면의 접촉면적 증가로 기밀성이 더욱 유지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는 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밀부재(30)의 외부 둘레에는 물과 접촉하면 색상이 변경되는 변색층(80)이 형성되어 있다. 변색층(80)은 기밀몸체(31)와 단차(113a)의 표면 사이, 기밀몸체(31)와 평면부(113b), 경사홈부(113c), 수직부(113d)의 사이 그리고 가압 삽입홈(3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변색층(80)은 염화코발트(CoCl2), 무수황산구리(CuSO4), 페놀프탈레인 따위일 수 있다. 변색층(80)의 종류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100)의 설치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변색층(80)의 변색으로 케이블 방수 커넥터(100)의 외부 물이 내부로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케이블 방수 커넥터(100)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케이블 방수 커넥터가 수심이 깊은 수중에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케이블 방수 커넥터는 지중, 지면, 지상 등에서도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 제2 케이블 100: 케이블 방수 커넥터
10: 수 커넥터 11: 수몸체
11c: 수몸체 가상의 중심선 111: 단자홀
112: 오링홈 113: 기밀부재 안치부
113a: 단차 113b: 평면부
113c: 경사홈부 113d: 수직부
114: 가이드홈 114a: 직선부
114b: 걸림홈부 12, 512: 접속단자
13: 실링패드 20: 오링
30: 기밀부재 31: 기밀몸체
32: 제1 기밀날개 33: 제2 기밀날개
34: 가압 삽입홈 40: 웨이브 부분
50: 암 커넥터 51: 암몸체
51c: 암몸체 가상의 중심선 511: 케이블 유입홈
512: 수삽입홈 513: 단자홀
514: 가압 삽입돌기 515: 걸림턱
52: 접속단자 60: 클램핑
61: 클램핑몸체 62: 당김턱
70: 가이드돌기 80: 변색층

Claims (8)

  1. 제1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외부 둘레에 단차가 형성된 수 커넥터,
    상기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단차에 걸려 있는 기밀부재,
    제2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내부로 상기 수 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기밀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암 커넥터 및
    상기 암 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된 클램핑
    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이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될수록 상기 일단부는 상기 기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서,
    상기 수 커넥터의 외부 둘레 일부분은 상기 단차와 직각을 이루고 있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서 점진적으로 경사져 상기 평면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경사홈부와 연결되어 상기 경사홈부, 상기 단차와 마주하고 있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케이블 방수 커넥터.
  3. 제2항에서,
    상기 기밀부재는
    내부 둘레가 상기 평면부와 접하고 일측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고 있는 기밀몸체,
    상기 기밀몸체의 타측면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경사홈부 및 상기 수직부와 접하고 있는 제1 기밀날개 및
    상기 제1 기밀날개와 떨어져 상기 기밀몸체의 타측면 상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의 내부 둘레와 접하는 제2 기밀날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밀날개와 상기 제2 기밀날개의 사이에는 상기 암 커넥터의 일단부가 유입되는 가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삽입홈은 상기 제1 기밀날개와 상기 제2 기밀날개의 단부에서 내부로 유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며,
    상기 클램핑이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될수록 상기 제1 기밀날개와 상기 제2 기밀날개의 사이는 벌어지고 상기 기밀몸체는 압축되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
  4. 제3항에서,
    상기 기밀몸체, 상기 제1 기밀날개 및 상기 제2 기밀날개의 내부는 빈 곳이 없이 꽉 찬 상태인 케이블 방수 커넥터.
  5. 제3항에서,
    상기 제2 기밀날개는 상기 클램핑의 내부 둘레와 접하고 있으며 상기 기밀몸체의 외부 둘레는 상기 클램핑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
  6. 제3항에서,
    상기 단차와 상기 기밀몸체가 서로 접하는 면은 내측에서 외측의 방향으로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
  7. 제1항에서,
    상기 수 커넥터의 외부 둘레와 상기 암 커넥터의 내부 둘레 사이에 배치된 오링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
  8. 제1항에서,
    상기 수 커넥터 및 상기 암 커넥터와 접하는 상기 기밀부재의 외부 둘레 부분에 형성된 변색층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방수 커넥터.
KR1020210043840A 2021-04-05 2021-04-05 케이블 방수 커넥터 KR10251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40A KR102512443B1 (ko) 2021-04-05 2021-04-05 케이블 방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40A KR102512443B1 (ko) 2021-04-05 2021-04-05 케이블 방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521A true KR20220138521A (ko) 2022-10-13
KR102512443B1 KR102512443B1 (ko) 2023-03-23

Family

ID=8359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40A KR102512443B1 (ko) 2021-04-05 2021-04-05 케이블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44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280U (ja) * 1994-02-22 1994-08-23 株式会社オリエントマイクロウェーブ 同軸コネクタ
JP2566530Y2 (ja) * 1989-06-06 1998-03-30 九州日立マクセル 株式会社 電気接続子の保護具
JP2004164901A (ja) * 2002-11-11 2004-06-10 East Japan Railway Co 防水コネクタ
KR100829712B1 (ko) 2008-04-02 2008-05-14 조한대 방수광커넥터 모듈
KR20100057188A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 피플웍스 다면 패킹구조 방수 커넥터
JP2014170669A (ja) * 2013-03-04 2014-09-18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KR101940132B1 (ko) 2018-08-30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방수 커넥터
KR102003263B1 (ko) * 2018-06-20 2019-07-24 (주)티에이치엔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280B2 (ja) * 1991-03-04 2000-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導波型光検出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530Y2 (ja) * 1989-06-06 1998-03-30 九州日立マクセル 株式会社 電気接続子の保護具
JP3001280U (ja) * 1994-02-22 1994-08-23 株式会社オリエントマイクロウェーブ 同軸コネクタ
JP2004164901A (ja) * 2002-11-11 2004-06-10 East Japan Railway Co 防水コネクタ
KR100829712B1 (ko) 2008-04-02 2008-05-14 조한대 방수광커넥터 모듈
KR20100057188A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 피플웍스 다면 패킹구조 방수 커넥터
JP2014170669A (ja) * 2013-03-04 2014-09-18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KR102003263B1 (ko) * 2018-06-20 2019-07-24 (주)티에이치엔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101940132B1 (ko) 2018-08-30 2019-01-18 주식회사 경신 방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443B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458B2 (en) Water resistant connector and connection connector
US7419397B2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3945700A (en) Connector with fluid-resistant sleeve assembly
US20100258157A1 (en) Watertight connecto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20120085040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8809680B2 (en) Grounding bridge
CA2727124A1 (en) Combination grounding rod bridge assembly
CN103851559A (zh) 防水灯具及其电缆线接头结构
WO2009052469A3 (en) Electrical junction assembly for wiring harness
US20230086292A1 (en) Couplings and connectors for cables
EP1710867B1 (en) Watertight connector for cables
KR20220138521A (ko) 케이블 방수 커넥터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CN101832427B (zh) 密封光电分壁连接装置及密封舱装置
KR20000076339A (ko) 케이블 접속 폐쇄장치용 외부 접지 절연 커넥터
CN220934468U (zh) 一种防水堵头结构
KR100613270B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US20160363731A1 (en) Device for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KR200394079Y1 (ko) 케이블 연결부재
CN220628414U (zh) 一种前插电缆接头
CN112467416B (zh) 一种多功能的弱电线缆连接头
KR100795507B1 (ko) 콘넥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단자함
CN215646126U (zh) 一种密封组件、电缆连接结构及振冲桩施工设备
CN217956610U (zh) 一种防水接线盒
CN219607022U (zh) 一种便于安装的灯具防水结构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