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057B1 -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057B1
KR101095057B1 KR1020100054956A KR20100054956A KR101095057B1 KR 101095057 B1 KR101095057 B1 KR 101095057B1 KR 1020100054956 A KR1020100054956 A KR 1020100054956A KR 20100054956 A KR20100054956 A KR 20100054956A KR 101095057 B1 KR101095057 B1 KR 10109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connection
connector assembly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191A (ko
Inventor
홍순용
김종삼
Original Assignee
홍순용
(주)용진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용, (주)용진일렉콤 filed Critical 홍순용
Priority to KR102010005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0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케이블을 광(光) 접속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그러한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광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광플러그와, 상기 광플러그가 끼워지는 접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광케이블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접속대상 측에 배치되는 광아답터와, 상기 광아답터를 잡아주면서 상기 광케이블의 광플러그와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접속대상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고정부 측에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들이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시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외부 이물질들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광(光) 통신은 전기 신호를 강한 빛과 약한 빛으로 변화시켜서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서, 이러한 광통신용 선재(線材)로는 여러 가닥의 유리섬유로 구성되는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 이하 "광케이블"이라 함.)이 사용된다.
상기한 광케이블은 예를 들어, 광단자함과 같은 접속대상과 연결 접속할 때 특히 접속 편의성 및 접속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상태로 연결 접속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로 광커넥터를 이용한 끼움 결합 방식으로 연결 접속된다.
상기 광컨넥터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광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광플러그와, 이 광플러그가 끼워지는 접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접속대상 측에 설치되는 광아답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광컨넥터는, 상기 광플러그를 상기 광아답터의 접속홈 측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접속대상 측에 광(光) 접속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광아답터와 광플러그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단순하게 연결 접속하는 구조에 한정되는 광컨넥터들은, 광케이블이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 이물질들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수분이나 먼지들이 접속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적절하게 차단할 수 없으므로 접속부의 조기 부식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 및 접속 불량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광컨넥터 구조로는 만족할 접속 신뢰도와 접속 안전성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들이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부위로 유입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한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광플러그;
상기 광플러그가 끼워지는 접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광케이블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접속대상 측에 배치되는 광아답터;
상기 광아답터를 잡아주면서 상기 광케이블의 광플러그와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접속대상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고정부 측에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들이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
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을 감싸면서 외부 이물질들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케이블을 광단자함과 같은 접속대상 측에 연결 접속한 상태에서 이들의 연결 접속 부분을 외부의 수분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연결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단순 접속 기능에 한정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컨넥터들과 비교할 때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신뢰도와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의 이물질 차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광플러그를 지칭하고, 도면 부호 4는 광아답터를 지칭한다.
상기 광플러그(2)는 도 1에서와 같이 광케이블(C)의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광아답터(4)는 상기 광케이블(C)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대상(M, 예: 광단자함) 측에서 상기 광플러그(2)와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한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는, 통상의 끼움 결합에 의해 연결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광아답터(4)는 상기 광플러그(2)가 끼워지는 접속홈(H)을 구비하여, 상기 광플러그(2)를 상기 접속홈(H) 측에 밀어 넣는 방식으로 광(光) 접속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접속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광케이블(C)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대상(M) 측에 상기 광아답터(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6)를 포함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6)는, 상기 광아답터(4)를 감싸는 상태로 지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구(A)와, 고정구(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A)는 예를 들어, 통상의 플랜지(flange)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구(A) 내측을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된 지지공간(A1)을 구비하고, 광케이블(C)들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대상(M)의 외부면 상에 도면에서와 같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A)는 예를 들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A2)를 통상의 방법으로 체결하여 상기 접속대상(M) 측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광아답터(4)를 상기 지지구(A)의 지지공간(A1) 측에 끼워서 상기 접속대상(M)의 외부면 상에 도 3에서와 같은 상태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광아답터(4)의 양쪽 단부 중에서 일측 단부는 상기 접속대상(M)의 안쪽을 향하고, 타측 단부 측의 접속홈(H)은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광아답터(4)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접속대상(M) 내부에 제공되는 접속용 플러그나 단자들과 통상의 방법으로 접속되고, 타측 단부의 접속홈(H)은 상기 광케이블(C)의 광플러그(2)와 접속이 가능하게 놓여진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구(B)는, 상기 지지구(A) 일측과 결합되면서 상기 광아답터(4)를 상기 지지구(A) 측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B)는 예를 들어, 상기 지지구(A)와 대응하는 뚜껑 타입으로 형성되고, 나사결합(또는, 끼움결합)으로 상기 지지구(A)와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B)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구(A)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B1)과, 상기 광아답터(4)의 일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가이드홀(B2)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B)의 결합홈(B1) 내측에는 결합용 암나사(S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A)의 외부면에는 결합용 수나사(S2)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구(B)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지지구(A) 측에 체결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6)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지지구(A) 측에 상기 고정구(B)를 결합할 때 이 고정구(B)로 상기 광아답터(4) 일측을 접촉력으로 눌러서 상기 지지구(A)의 지지공간(A1) 측에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고정부(6)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광아답터(4)를 접속대상(M) 측에 안정적인 상태로 잡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B)의 누름 접촉력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구(B)와 광아답터(4)의 접촉 틈새에 링부재(R)를 더 설치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접속대상(M) 측에 광케이블(C)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 접속 부분을 외부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이물질 차단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 차단부(8)는, 상기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의 접속시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 부위는 물론이거니와, 상기 광케이블(C)을 감싸는 방식으로 이물질 차단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차단부(8)는, 차단용 튜브(T)와, 이 차단용 튜브(T)의 단부를 상기 고정부(6) 측에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Q)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용 튜브(T)는, 내측에 통로(T1)를 구비한 통상의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용 튜브(T)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의 노출된 접속 부위와, 상기 광케이블(C)을 외부면으로 감쌀 수 있도록 셋팅된다.
그러면, 상기 차단용 튜브(T)의 외부면에 의해 상기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의 노출된 접속 부위 및 상기 광케이블(C)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한 차단용 튜브(T)는 특히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플렉시블 튜브를 (flexible tube)를 사용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차단용 튜브(T)를 설치할 때 상기 광케이블(C)의 연결 상태와 대응하도록 튜브를 탄력적으로 구부리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Q)는 상기 차단용 튜브(T) 단부를 상기 고정부(6) 측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나사결합(또는, 끼움결합)으로 상기 고정부(6)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구(Q)는 일면이 개방된 연결홈(Q1)을 구비하고, 이 연결홈(Q1)의 내부면에는 연결용 암나사(S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6)의 고정구(B)의 외부면에는 상기 연결용 암나사와 대응하는 연결용 수나사(S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Q)를 상기 고정구(B) 측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면서 상기 차단용 튜브(T)의 단부를 상기 고정부(6) 측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나사결합에 의한 연결 방식은, 조작이 용이하고, 상기 차단용 튜브(T)를 상기 고정부(6) 측에 연결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연결 상태가 비정상으로 해제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상기한 이물질 차단부(8)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광플러그(2)를 광아답터(4) 측에 끼워서 광케이블(C)을 접속대상(M) 측에 광(光)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용 튜브(T)를 상기 고정부(6)의 고정구(B) 측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의 접속 부위는 물론이거니와, 광케이블(C)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용 튜브(T)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감싸여지므로 수분(W1)이나 먼지(W2)와 같은 외부 이물질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의 구조에 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광케이블(C)을 접속대상(M) 측에 연결할 때 상기 고정부(6)로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의 접속부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특히, 상기 광플러그(2)와 광아답터(4)의 접속부는 물론이거니와, 광케이블(C)이 외부의 수분(W1)이나 먼지(W2)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차단부(8)를 구비하여 외부 이물질들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외부 이물질들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종래의 광컨넥터들이 갖는 문제들을 개선하여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에서도 한층 향상된 접속 신뢰도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부(6)와, 상기 이물질 차단부(8)의 시일성을 더 높이기 위한 시일부재(G)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일부재(G)들은 예를 들어, 고무링이나 가스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6) 및 상기 이물질 차단부(8)의 접촉 틈새들을 막을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부(6) 측에 배치되는 광아답터(4)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가압부재(K)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K)는 예를 들어, 셋트 스크류(set screw)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6)의 고정구(B) 외부면 측에 나사 결합으로 끼워져서 정,역 회전시 상기 고정구(B) 안쪽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압부재(K)의 단부로 상기 광아답터(4) 일측을 눌러서 상기 고정부(6) 내측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2: 광플러그 4: 광아답터 6: 고정부
8: 이물질 차단부 C: 광케이블 M: 접속대상

Claims (8)

  1. 광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광플러그;
    상기 광플러그가 끼워지는 접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광케이블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접속대상 측에 배치되는 광아답터;
    상기 광아답터를 잡아주면서 상기 광케이블의 광플러그와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접속대상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고정부 측에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들이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 접속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차단부는,
    둘레면이 차단된 통로를 구비한 차단용 튜브;
    상기 차단용 튜브의 단부를 상기 고정부 측에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광아답터를 감싸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공간이 마련된 지지구;
    상기 지지구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구와 결합 동작 중에 상기 광아답터 일측을 접촉력으로 눌러서 상기 지지공간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
    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암나사와 수나사의 나사 결합으로 상기 지지구와 결합되거나 결합 상태가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튜브는,
    플렉시블 튜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암나사와 수나사의 나사 결합으로 상기 고정부의 고정구 일측과 연결되거나 연결 상태가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와 대응하는 시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일부재는,
    고무링이나 가스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 및 이물질 차단부의 접촉 틈새의 시일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셋트 스크류를 사용하고, 상기 고정부 측에서 상기 광아답터 일측을 접촉력으로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1020100054956A 2010-06-10 2010-06-10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10109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956A KR101095057B1 (ko) 2010-06-10 2010-06-10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956A KR101095057B1 (ko) 2010-06-10 2010-06-10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191A KR20110135191A (ko) 2011-12-16
KR101095057B1 true KR101095057B1 (ko) 2011-12-19

Family

ID=4550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956A KR101095057B1 (ko) 2010-06-10 2010-06-10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16B1 (ko) 2018-12-11 2020-03-03 염채화 동축 케이블용 컨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12B1 (ko) * 2008-04-02 2008-05-14 조한대 방수광커넥터 모듈
KR100870637B1 (ko) * 2008-07-30 2008-11-26 장종호 현장 조립용 광섬유 일체형 광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12B1 (ko) * 2008-04-02 2008-05-14 조한대 방수광커넥터 모듈
KR100870637B1 (ko) * 2008-07-30 2008-11-26 장종호 현장 조립용 광섬유 일체형 광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16B1 (ko) 2018-12-11 2020-03-03 염채화 동축 케이블용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191A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322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on site
US8672705B2 (en) Enclosure assembly for a connector, strain relief element and method
JP2021513115A (ja) 光ファイバサブアセンブリ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8938143B2 (en) Branching device for hybrid fan-out cable
JP2021513115A5 (ko)
WO2021018015A1 (zh) 一种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RU2584544C2 (ru) Кабельный ввод
JP2012089640A (ja) ケーブル挿通部の密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クロージャ
KR101095057B1 (ko)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WO2020133423A1 (zh) 光纤连接头、预制光纤、适配器、光纤盒及光纤连接组件
KR20190096832A (ko) 케이블 관통 어레인지먼트
KR20140121182A (ko)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KR101245365B1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CN100451642C (zh) 插入式电极装置
CN210270276U (zh) 光纤连接器
KR100829712B1 (ko) 방수광커넥터 모듈
CN108732683B (zh) 一种用于光缆熔接盒的光缆固定装置
CN110297294B (zh) 一种预制光缆组件及预制光缆连接器
RU2501139C1 (ru) Оптико-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101460978B1 (ko) 광전복합 커넥터
CN110854635A (zh) 光电分离连接装置
JP2009086562A (ja) 光電変換回路内蔵型コネクタ
KR20180087352A (ko) 어댑터 및 이를 사용한 어댑터 어셈블리
KR101231205B1 (ko) 광케이블용 컨넥터 어셈블리
KR100358031B1 (ko) 가스 밀폐형 멀티 채널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