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005A -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005A
KR20140117005A KR1020130031551A KR20130031551A KR20140117005A KR 20140117005 A KR20140117005 A KR 20140117005A KR 1020130031551 A KR1020130031551 A KR 1020130031551A KR 20130031551 A KR20130031551 A KR 20130031551A KR 20140117005 A KR20140117005 A KR 2014011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oil
biomass
adhesive compositio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762B1 (ko
Inventor
최장락
유창일
류윤경
Original Assignee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3003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6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1/00Adhesive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은 (a)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제 및 (b)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은 바이오매스 오일로부터 합성된 에폭시 화합물이고,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은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5-C30의 알킬쇄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에서 에폭시기는 상기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에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웨이퍼 가공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이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한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페놀계 수지의 사용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웨이퍼 절삭 공정이 끝난 후에 웨이퍼를 지지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작업공정에 적절한 가사시간과 상온 접착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 지지대에서 웨이퍼를 분리하는 공정에서 접착력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웨이퍼의 불량이 높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TWO-COMPONENT TYP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ECO-FRIENDLY RESIN MADE FROM BIOMASS}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오일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웨이퍼 또는 사파이어 웨이퍼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잉곳을 절삭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로 잉곳과 지지대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잉곳을 절삭하는 동안에는 강한 접착력을 요구하는 반면에 지지대에서 웨이퍼를 분리하는 공정에서는 접착력이 저하되어야 한다.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을 경우에는 웨이퍼가 파괴되는 현상이 일어나거나 웨이퍼에서 접착제를 분리하는 별도의 공정이 더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절삭 후 수조에 일정시간 동안 접착부위를 침수시키면 지지대에서 웨이퍼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이오매스 오일을 이용하여 에폭시를 합성함으로써 페놀계 성분의 사용을 줄인 친환경 에폭시 수지를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는 실리콘 웨이퍼 또는 사파이어 웨이퍼 제조 공정에 잉곳과 지지대를 접착시키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접착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바이오매스 오일로부터 합성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수분 접촉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며, 웨이퍼 절삭(sawing) 공정이 끝난 후 웨이퍼를 지지대에서 분리할 때 수분 접촉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작업공정에 적절한 가사시간(pot life)과 상온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잉곳 마운팅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제 및 (b) 경화제를 포함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은 바이오매스 오일로부터 합성된 에폭시 화합물이고,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은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5-C30의 알킬쇄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에서 에폭시기는 상기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에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실리콘 웨이퍼 또는 사파이어 웨이퍼 제조 공정에 잉곳과 지지대를 접착시키는 접착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페놀계 수지의 함량을 줄이고,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한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은 웨이퍼 절삭(sawing) 공정이 끝난 후 웨이퍼를 지지대에서 분리할 때 수분 접촉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작업공정에 적절한 가사시간(pot life)과 상온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실리콘 웨이퍼 또는 사파이어 웨이퍼를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페놀계 수지의 함량을 줄이고, 웨이퍼의 불량률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잉곳과 지지대를 접착하는 접착제는 지지대에서 웨이퍼를 분리하는 공정에서 접착력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웨이퍼의 불량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접착력이 강할 경우에는 분리공정에서 웨이퍼가 파괴 되고 접착력이 약할 경우에는 수조에서 모두 분리되어 웨이퍼 회수에 어려움이 있다.
웨이퍼 제조 공정은 잉곳을 만든 후 절삭과 연마과정을 거쳐 최종 웨이퍼를 얻는다. 절삭 공정은 잉곳을 지지대에 상온경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 후 실톱을 이용하여 잉곳을 절삭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고온 경화로 접합을 시킬 수도 있다. 절삭 후 웨이퍼를 지지대에서 분리하기 위해 40~90℃의 수조에 일정시간 동안 침수시켜 접착력을 저하시킨다. 일반적인 상온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에는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수조에 침수시키면 접착력이 상승하게 된다. 상온 경화형의 접착제일지라도 소량의 미반응물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반응이 진행되어 접착력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끝에 페놀계수지를 대신하여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한 에폭시화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다는 이점 외에 침수과정에서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휘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은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5-C30의 알킬쇄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오일인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동식물성유, 예를들어 대두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참깨유, 너트유, 코코넛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및 어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유 및 피마자유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구성 (a)의 주제에 포함되는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은 주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 외에 함께 사용되는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폭시 기능기가 1~6개인 단량체 형태와 노블락 또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에 에폭시 기능기가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기능기가 2~4개 단량체 형태의 화합물이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물성 조절이 더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주제는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 외에 추가적으로 비스페놀 A 에폭시, 비스페놀 F 에폭시, 비스페놀 S 에폭시, 헥사하이드로비스페놀 A 에폭시,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에폭시, 하이드로퀴논 에폭시, 카테콜 에폭시, 레조르시놀 에폭시, 크레졸 에폭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에폭시, 트리하이드록시비페닐 에폭시, 벤조페논 에폭시, 비스레조르시놀 에폭시, 비스페놀헥사플루오로아세톤 에폭시,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에폭시, 테트라메틸비스페놀 F 에폭시,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 에폭시, 비스크실레놀 에폭시, 페놀노볼락 에폭시 또는 크레졸노볼락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제는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과 함께 비스페놀 A 에폭시 및 비스페놀 F 에폭시를 포함한다.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아민 화합물, 암모늄염 화합물, 머켑탄 화합물, 폴리 머켑탄 화합물 및 카르복실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아민 화합물, 암모늄염 화합물, 머켑탄 화합물, 폴리 머켑탄 화합물 및 카르복실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제로서 아민 화합물은 예컨대, N,N-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N'-디메틸피페라딘,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피리딘, 피콜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디메틸시클로헥 실아민, 디메틸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디-n-부틸아민, 디페닐아민, N-메틸아닐린,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옥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페닐아민, 테트라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 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디아미노디페 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디시안디아미드, 톨릴비구아니드, 구아닐 요소 및 디메틸 요소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제로서 머캡탄 화합물로는 2-머캡토벤조이미다졸, 2-머캡토벤조티아졸, 2-머캡토벤조옥사졸,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 2-머캡토-4,6-디메틸아미노피리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2-머캡토아세테이트)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경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2액형 조성물 중 경화제는 열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필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사용량은 총 조성물에 대해 10~50 중량%까지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0 중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열팽창 억제에 한계가 있고, 50 중량%이상일 경우에는 점도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필러는 열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용도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필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필러는 실리카 또는 활석이고, 상기 실리카 또는 활석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10-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온접착력 160 kg/cm2이상, 흡습 후 접착력 50 kg/cm2이상, 흡습율 1.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성물 조제는 각 성분들을 교반기에 넣고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점도변화가 없을 때까지 교반해 준다.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조성물을 알맞은 용기에 포장하여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2액형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10:1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한 경화제의 중량이 주제의 중량에 대하여 10:1에 미치지 못하면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매우 더딘 문제가 있으며, 경화제의 중량이 주제의 중량에 대하여 1:2를 넘어서는 경우 접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웨이퍼 가공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이용가능하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한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페놀계 수지의 사용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공정에 적절한 가사시간과 상온 접착력을 가진다.
(c)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한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잉곳 마운팅 접착제 조성물의 흡습 후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웨이퍼 절삭 공정이 끝난 후에 웨이퍼를 지지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D)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 지지대에서 웨이퍼를 분리하는 공정에서 접착력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웨이퍼의 불량이 높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대두유를 이용한 에폭시화 대두유(ESO)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2는 피마자유를 이용한 에폭시화 피마자유(ECO)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수지의 제조
(1) 에폭시화 대두유(Epoxidized Soybean Oil(ESO))의 합성
환류냉각기가 달린 500 ml 4구 플라스크에 대두유(100 g, 0.14 mol), 빙초산(glacialacetic acid)(25.2 g, 0.42 mol), 앰버라이트(Amberlite)(25 g), 및 톨루엔(Aldrich, 200ml)을 넣고 교반한 후 55℃를 유지했다. 이 혼합물에 30중량%의 H2O2 (79.4 g, 0.7 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7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pH 7이 될 때까지 증류수로 세척과 필터링을 반복했다. 이 얻어진 반응물에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수분을 제거하고 필터링한 후 80℃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수율 89%의 에폭시화 대두유(ESO)를 얻었다. 상기 합성을 위한 원료는 Aldrich사에서 구입하였다.
(2) 에폭시화 피마자유( Epoxidized Cast Oil ( ECO ))의 합성
환류냉각기가 달린 500ml 4구 플라스크에 피마자유(91.8 g, 0.14 mol), 빙초산(21.0 g, 0.35 mol), 앰버라이트(23 g), 그리고 톨루엔(Aldrich, 200ml)을 넣고 교반한 후 55℃를 유지했다. 이 혼합물에 30중량%의 H2O2 (56.7 g, 0.5 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7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pH 7이 될 때까지 NaCO3와 증류수로 세척과 필터링을 반복했다. 이 얻어진 반응물에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수분을 제거하고 필터링한 후 80℃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수율 84%의 에폭시화 피마자유(ECO)를 얻었다. 상기 합성을 위한 원료는 Aldrich사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2. 경화제의 준비
본 발명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의 특성 실험에 사용할 경화제 A 및 B를 하기의 조성으로 준비하였다(표 1). TETA 및 KH30은 국도화학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Ancamine 2641은 Air product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TS720은 Cabot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DISPERBYK 167은 BYK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실리카는 각상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주제의 준비
본 발명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의 특성 실험에 사용할 주제를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표 2). 비교예는 ESO 또는 ECO를 사용하지 않도록하고 에폭시 조성물인 YD128(국도화학)의 함량을 높였다. 하기의 실란커플링제는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3. 실험방법
① 가사시간
주제와 경화제를 2(14 g):1(7 g) 비율로 21 g을 잘 혼합한 후, 혼합 초기부터 접착제가 경화되어 액상에서 고상이 되기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② 흡습율
접착제를 2 mm 두께로 17시간 경화 후 90℃ 온수에 1시간 동안 담근 후 초기무게 대비 수분이 흡습된 양을 측정하였다.
③ 경도
접착제를 4 mm 두께로 경화한 후 Shore D 경도계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④ 상온 접착력
접착제를 구리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Copper Lead frame)에 투명 셀로판테이프 1장 두께로 도포한 후 0.375 x 0.375 cm2 사이즈의 실리콘 칩을 부착하였다. 상온에서 17시간 방치한 후 전단 강도(shear Strength)를 측정하였다.
⑤ 흡습 후 접착력
접착제를 구리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Copper Lead frame)에 투명 셀로판테이프 1 장 두께로 도포한 후 0.375 x 0.375 cm2 사이즈의 실리콘 칩을 부착하였다. 상온에서 17시간 경화하여 90℃ 온수에서 1시간 동안 수분을 흡습시킨 후 전단 강도(shear Strength)를 측정하였다
⑥ 박리특성
슬라이드 글라스에 1 mm 폭으로 접착제를 투명 셀로판테이프 1 장 두께로 도포한다. 도포된 접착제 위에 슬라이드 글라스를 세워서 붙인 다음 상온에서 17시간동안 경화한 후, 90℃온수에 담그고 자연 박리되어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비교예 실시예 1-20
비교예 실시예 1-10
상기의 경화제 A를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물성을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경화제 A를 사용한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ESO나 ECO를 YD128 대신 사용한 경우에 대략 60 중량%의 ESO 또는 ECO를 사용한 경우에도, YD128만을 사용한 경우에 상응하는 정도로, 잉곳 마운팅 접착제로서 요하는 수준의 상온접착력을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ESO 또는 ECO의 함유량을 높일수록 흡습 후 접착력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어 ESO 또는 ECO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작업공정 후 지지대와 웨이퍼가 분리되는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한 잉곳 마운팅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SO 또는 ECO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흡습후 접착력이 지나치게 감소하여 작업공정 중에 웨이퍼가 지지대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가사시간이 지나치게 길어 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페놀계 수지의 함량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0.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의 ESO 또는 ECO의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의 ESO 또는 ECO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예 실시예 11-20
상기의 경화제 B를 사용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물성을 표 4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경화제 B를 사용한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경화제 A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SO나 ECO를 YD128 대신 사용한 경우에 대략 60 중량%의 ESO 또는 ECO를 사용한 경우에도, YD128만을 사용한 경우에 상응하는 정도로, 잉곳 마운팅 접착제로서 요하는 수준의 상온접착력을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ESO 또는 ECO의 함유량을 높일수록 흡습 후 접착력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어 ESO 또는 ECO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작업공정 후 지지대와 웨이퍼가 분리되는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한 잉곳 마운팅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SO 또는 ECO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흡습후 접착력이 지나치게 감소하여 작업공정 중에 웨이퍼가 지지대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가사시간이 지나치게 길어 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페놀계 수지의 함량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0.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의 ESO 또는 ECO의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의 ESO 또는 ECO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다음을 포함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a)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제;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은 바이오매스 오일로부터 합성된 에폭시 화합물이고,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은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5-C30의 알킬쇄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에서 에폭시기는 상기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에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및
    (b) 경화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은 대두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참깨유, 너트유, 코코넛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및 어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는 대두유 또는 피마자유 중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은 주제에 대하여 0.1-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은 주제에 대하여 20-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오일-유래 에폭시 화합물 외에 추가적으로 비스페놀 A 에폭시, 비스페놀 F 에폭시, 비스페놀 S 에폭시, 헥사하이드로비스페놀 A 에폭시,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에폭시, 하이드로퀴논 에폭시, 카테콜 에폭시, 레조르시놀 에폭시, 크레졸 에폭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에폭시, 트리하이드록시비페닐 에폭시, 벤조페논 에폭시, 비스레조르시놀 에폭시, 비스페놀헥사플루오로아세톤 에폭시,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에폭시, 테트라메틸비스페놀 F 에폭시,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 에폭시, 비스크실레놀 에폭시, 페놀노볼락 에폭시 및 크레졸노볼락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아민 화합물, 암모늄염 화합물, 머켑탄 화합물, 폴리 머켑탄 화합물 및 카르복실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실리카 또는 활석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또는 활석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온접착력 160 kg/cm2이상, 흡습 후 접착력 50 kg/cm2이상, 흡습율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10 : 1 내지 1 : 2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KR1020130031551A 2013-03-25 2013-03-25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KR10172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51A KR101722762B1 (ko) 2013-03-25 2013-03-25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51A KR101722762B1 (ko) 2013-03-25 2013-03-25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005A true KR20140117005A (ko) 2014-10-07
KR101722762B1 KR101722762B1 (ko) 2017-04-05

Family

ID=5199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551A KR101722762B1 (ko) 2013-03-25 2013-03-25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0331A (zh) * 2020-09-29 2021-01-12 晶科能源有限公司 太阳能晶棒底板胶、其制备方法及太阳能晶棒切割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221A (ja) * 1991-05-09 1993-06-22 Ciba Geigy Ag 安定化されたホットメルト接着剤系
KR20070078135A (ko) * 2006-01-26 2007-07-31 자연테크(주) 재생 폐페인트 분말을 이용한 금속접합용 구조접착 실러조성물
KR20100008580A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2024301A1 (en) * 2010-08-18 2012-02-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renewable resource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221A (ja) * 1991-05-09 1993-06-22 Ciba Geigy Ag 安定化されたホットメルト接着剤系
KR20070078135A (ko) * 2006-01-26 2007-07-31 자연테크(주) 재생 폐페인트 분말을 이용한 금속접합용 구조접착 실러조성물
KR20100008580A (ko)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2024301A1 (en) * 2010-08-18 2012-02-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renewable resource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0331A (zh) * 2020-09-29 2021-01-12 晶科能源有限公司 太阳能晶棒底板胶、其制备方法及太阳能晶棒切割方法
CN112210331B (zh) * 2020-09-29 2022-02-25 晶科能源股份有限公司 太阳能晶棒底板胶、其制备方法及太阳能晶棒切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762B1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57174B (no) Diglycidyletere.
CN105038694A (zh) 一种双组份加成型有机硅粘接灌封胶及其使用方法
JP2003073453A (ja)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樹脂硬化物
KR101478747B1 (ko) 인장 및 흡습특성이 강화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KR101722762B1 (ko)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JP2012122012A (ja) エポキシ樹脂硬化剤およ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6963565B2 (ja) アルケニル基含有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KR101664435B1 (ko) 잉곳 마운팅 접착제 조성물
US20030135059A1 (en) Liquid epoxy compoun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82720B1 (ko) 에폭시 수지,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
JP4407885B2 (ja) フェノキシシラン化合物、その製法、並びにそれを含む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WO2010087393A1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該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
JP2015067806A (ja) プリント配線板形成用硬化性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形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
JP3369323B2 (ja) 半導体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3252956A (ja) エポキシ樹脂の硬化剤、その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4590883B2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組成物を使用して作製した半導体装置
KR20170010961A (ko) 포스포늄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장치
JP4007879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WO2020202777A1 (ja) エポキシ硬化用化合物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6096838A (ja) エポキシ樹脂の硬化剤、その組成物及びその用途
WO2014061420A1 (ja) カチオン重合開始剤、硬化剤組成物およ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4334446B2 (ja) 半導体封止材料
JP3891842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20020036933A (ko) 유기표면처리제로 코팅된 열전도성 페이스트용질화알루미늄 및 질화알루미늄의 코팅방법
JPS61197623A (ja) 一液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3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2

Effective date: 201701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