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775A - 발포성 화장료 - Google Patents

발포성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775A
KR20140116775A KR1020130107442A KR20130107442A KR20140116775A KR 20140116775 A KR20140116775 A KR 20140116775A KR 1020130107442 A KR1020130107442 A KR 1020130107442A KR 20130107442 A KR20130107442 A KR 20130107442A KR 20140116775 A KR20140116775 A KR 2014011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smetic
weight
carbonate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마다 타다히로
시마다 히로코
시마다 하나에
Original Assignee
시마다 타다히로
시마다 하나에
시마다 히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다 타다히로, 시마다 하나에, 시마다 히로코 filed Critical 시마다 타다히로
Publication of KR2014011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0Carbonates; Bi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방법으로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발포시키는 것이 가능한, 사용성이 뛰어난 화장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의 조성물 및 제1의 조성물과는 다른 제2의 조성물을 화장료의 구성 요소로,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발포하는 화장료에 있어, 제1의 조성물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이며, 제2의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성 화장료{Cosmetic for foaming prepara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사용하는 발포성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탄산 가스의 생체에의 효과가 주목받고 있다. 탄산 가스는 경피 흡수를 통해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동시에 헤모글로빈과 결합, 산소를 유리시켜 세포의 활성을 촉진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탄산 가스를 이용한 화장료로 여러 가지가 출시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시에 복수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화학 반응에 의해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거품 상태의 화장료로 피부에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발포성 화장료는, 1) 탄산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분말 또는 과립으로 하여, 사용시에 액상 기제와 혼합하는 것(특허 문헌 1 등), 2) 미리 탄산 가스를 축압식 에어로졸 용기 등에 넣어 두고, 사용시 토출시켜, 다른 화장료 기재와 혼합하는 것이 주류였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912492호 공보
상기 종래의 발포성 화장료 중, 상기 1)의 형태에 대해서는, 사용시 분말 또는 과립을 덜어내어 액상 기제에 용해시켜야 하며, 혼합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에스테틱 미용 등에 있어서, 장시간의 마사지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위와 같은 혼합 작업을 수행해야 하여,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상기 2)의 형태에 대해서는, 사전에 탄산 가스를 용기에 충전하는 번거로움과 분사 장치의 비용 면을 고려하면 사용할 수 있는 장면이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한된 상업시설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일반 가정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발포시킬 수 있으며, 사용성이 뛰어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의 조성물 및 제1의 조성물과는 다른 제2의 조성물을 화장료의 구성요소로 하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발포하는 화장료로서, 제1의 조성물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이고, 제2의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염기산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화장료는,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이 모두 액체 또는 크림상이기에, 쉽게 혼합할 수 있고, 매우 사용성이 뛰어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다가 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태를 하는 것에 의하여,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의 거품 생성 및 거품 지속이 양호해진다. 상세하게는, 미세한 거품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다.
제1의 조성물을 액상 또는 크림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침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탄산수소염 또는 탄산염 조성물의 농도를 일정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지만, 그 경우에도 충분한 거품 생성, 지속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보습제 및/또는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태를 하는 것에 의해, 화장료의 안정성, 보습성을 높이면서, 거품 생성 및 지속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다가 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총 함량은, 3.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합물의 함유량을 위와 같이 함에 따라, 화장료의 거품 생성, 지속을 더욱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화장료를 용기에 수용한 용기들이 화장료로, 상기 용기는 제1조(槽)및 제2조(槽) 및 상기 제1조 및 제2조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를 갖추어, 상기 제1의 조성물은 제1조에 상기 제2의 조성물은 제2조에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용기들이 화장료는 토출부에서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토출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조성물을 쉽게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출부는 각 조성물을 정량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분배기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토출부로부터의 토출량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에 대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염산이 중량비 1:0.2~5가 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으로 토출함으로써, 적당한 거품 생성, 유지의 화장료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의 조성물의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량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량이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혼합시 전체 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20 중량% 미만이 되는 양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의 조성물은 탄산수 소염 및/또는 탄산염을 포함한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이며, 상기 제2의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염기산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각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은, 상술한 바람직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또는 포화이염산의 혼합량이 중량비 1:0.2~5이 되도록,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들이 화장료 및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간편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탄산가스를 이용한 발포 화장료의 적용을 넓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제1의 조성물 및 제1의 조성물과는 다른 제2의 조성물을 화장료의 구성요소로 하고,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탄산가스를 발생, 발포하는 화장료이다.
이하, 각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1의 조성물
제1의 조성물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을 포함한다.
탄산수소염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칼륨이 바람직한 예이다. 또한, 탄산염으로서는,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이 바람직한 예이다.
이들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제1의 조성물에 있어서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이다.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 함유량의 상한은, 침전이 생기지 않는 범위이면 좋지만, 기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또한, 제1의 조성물에 대한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제2의 조성물과 혼합할 때의 합계량에 대한 비율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유량은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합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4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15 중량% 미만이다.
제1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뛰어난 거품 생성, 지속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화합물은 보습제 또는 계면 활성제로서 기능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제1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보습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뛰어난 거품 생성, 지속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린, 디글리세린, 과당, 포도당, 자당, 유당, 소르비톨, 만니톨, 이노시톨, 에리트리톨,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트레할로스, 자이리톨, 자일로스, 말티톨, 라피노오스, 말토오스, 올리고당,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이들의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보습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제제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지만, 10 중량%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제1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알킬글루코시드형 비이온계면활성제, 에스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에테르형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다당카르복시산염에서부터 선정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알킬말티톨에테르, 알킬말티톨에스테르,하이드록시알킬말티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알킬글리콜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카복시메틸덱스트란나트륨, 카복시메틸글루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제제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지만, 10 중량%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술한 보습제와 계면활성제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제제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지만, 20 중량%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제1의 조성물은, 상술한 외에, 거품벽 형성을 보강하거나, 거품 액의 점성을 높일 수 있는 성분이 배합되면 더욱 좋고,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계면활성제와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산가스 발생에 의해 생성된 거품을 안정화하고, 거품 유지를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성분으로서, 이하를 들 수 있다.
에스신, 소듐서팩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라이소레시틴, 사포닌, 라이소레시틴, 카제인Na,무환자껍질추출물 등의 천연 계면활성제;
전분,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구아검, 산당화씨추출물, 타마린드 씨앗 검, 로커스트콩검, 젤라틴, 알부민, 콜라겐, 히알루론산Na 등의 천연 고분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라우로일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가수분해콜라겐, 가수분해세리신, 실크피브로인, 아텔로콜라겐 등의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유도체 등의 합성 수용성 고분자;
알킬페놀을 포르말린으로 가교한 폴리소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 폴리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텔,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콜레스테릴헥실디카바메이트풀루란 등.
이러한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제제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지만, 10 중량%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증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제제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지만, 5 중량%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조성물은, 액상 또는 크림상이다. 여기서, 크림상이란, 유동성을 갖는 것을 넓게 포함하는 개념이며, 유화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 개념이다. 즉, 젤 및 페이스트도 포함한다. 제1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한다. 제1의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mPa·s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mPa·s이하이다.
제1의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과 임의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제조 방법은, 화장료를 제조할 때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2> 제2의 조성물
제2의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또는 포화이산기염을 포함한다.
알파하이드록시산으로는, 구연산, 글리콜산, 주석산, 유산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포화이산기염으로는, 자당, 사과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한 종류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여러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제2의 조성물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함량은, 혼합하는 제1의 조성물 중 탄산수소염과 탄산염 양의 밸런스에 의해 결정하면 되지만, 기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다.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함량 상한은, 기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또한, 제2의 조성물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함량은, 상술한 제1의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의 합계량에 대한 비율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함유량은,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합계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 3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15 중량% 미만이다.
또한, 상술한 제1의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유량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함유량은,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3.0이다.
제2의 조성물도 또한,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보습제 또는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예로, 제2의 조성물은,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보습제 및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양자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뛰어난 거품 생성, 유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성분의 바람직한 예, 바람직한 함유량은, 제1의 조성물과 같다.
또한, 제2의 조성물은, 제1의 조성물과 같이, 상술한 외에, 계면활성제와 점증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의 바람직한 예, 바람직한 함유량은 제1의 조성물과 같다.
제2의 조성물도 또한, 액상 또는 크림상이다. 크림상의 정의는 상술한대로 이다. 제2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한다. 제2의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mPa·s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mPa·s이하이다.
또한, 제1의 조성물의 점도와 동등의 점도를 갖는 것이, 혼합의 용이함, 거품의 빠른 발생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의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과 임의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제조 방법은, 화장료를 제조하는 때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예로,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어느 한쪽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중요한 것은,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 상기 성분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한 예로는,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과,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 양자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의 조성물은 상기 보습제를 포함, 제2의 조성물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형태, 및 그 역의 형태도 바람직하다.
 물론, 양쪽의 조성물에 상기 보습제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는, 혼합이 빨리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3> 본 발명의 화장료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술한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갖는다.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은, 보존시에 서로 접족하지 않도록 분리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로, 예를 들어, 제1조(槽) 및 제2조, 상기 제1조 및 제2조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를 사용하는 형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의 조성물은 제1조에, 상기 제2의 조성물은 제2조에, 서로 분리되어 수용된다.
또한, 토출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정량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각각 정량, 적당량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용기로는, 1) 스프링과 밸브를 내장한 푸쉬노즐식 디스펜서 용기, 2) 감압에 의해 바닥면이 내용물 토출과 동시에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노즐 용기 (에어리스형 디즈펜서) , 내용물을 수용한 내부 주머니 외부에 질소 가스와 탄산가스를 충전, 가스의 압력으로 내용물을 노즐에서 토출하는 이중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부 주머니 안이 감압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타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조성물을 토출구 부근에서 혼합하여, 하나의 토출구에서 토출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손바닥에, 각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발포 시작한 화장료가 토출된다.
또한, 각 조성물을 인접한 별도의 토출구에서 토출시키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손바닥에서 각 조성물이 혼합된 동시에 발포가 개시된다.
또한, 파우치형 용기, 블리스터 용기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용기는 두개의 조 (수용부) 를 갖고 있으며, 용기를 개봉했을 때에, 각 수용부에 수용된 조성물이 개구에서 공출되는 것에 의해, 손바닥에서 혼합된다.
 또한, 상기 각 조성물을, 별도의 용기에 충전해둔 키트 형태도 좋다. 이 경우는, 각 조성물을 손바닥에 꺼내,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혼합하는 것에 의해 발포가 시작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클렌징료, 세안료, 바디 세정료,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팩, 마사지료, 육모료, 구강료, 두피 세정료, 두발 세정료 등, 다양한 목적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은, 모두 액상 또는 크림상이기 때문에, 혼합하기 쉽고, 사용성이 뛰어나다.
[실시예]
또한 실시예를 보며,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에 의한 표시이다.
<실시예 1> 메이크업 클렌징
A조(槽)성분               (A조(槽)성분내의 중량%)
(1) 물                        To 100%
(2)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5
(3) 정제당                        4.0
(4)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2.0
(5) 액상지방산비누액 3.0
(상품명:코스메틱솝KS-100:미요시유시사제)
(6) 탄산수소나트륨                    7.0
(7) 셀룰로오스유도체 0.3
(상품명:산로즈K:닛폰세이시크레시아사제)
(8) 시클로헥사메치콘 3.0
(9) POE8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상품명:에마렉스GWIS108:니혼에마루젼사제) 20.0
(10) POE2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상품명:에마렉스GWIS120:니혼에마루젼사제) 12.0
(11) POE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상품명:에마렉스GWIS320:니혼에마루젼사제) 13.0
(12) 메틸파라벤      0.1
(13)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상품명:마이도루10:카오사제) 3.0
(14) 가수분해실크                   2.5
B조성분                 (B조(槽)성분내의 중량%)
(15) 물                     To 100%
(16)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5
(17) 정제당                      4.0
(18) 가수분해트레할로스                2.0
(19) 구연산                      2.3
(20) 숙신산                      1.7
(21) 잔탄검                      0.7
(22) 셀룰로오스유도체
(상품명:산로즈K:닛폰세이시크레시아사제) 0.2
(23) 시클로헥사메치콘                 3.0
(24) POE8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상품명:에마렉스GWIS108:니혼에마루젼사제) 20.0
(25) POE2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상품명:에마렉스GWIS120:니혼에마루젼사제) 12.0
(26) POE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상품명:에마렉스GWIS320:니혼에마루젼사제) 13.0
(27) 메틸파라벤 0.1
(28)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상품명:마이도루10:카오사제) 3.0
(29) 가수분해콜라겐                  1.5
A조 성분에 대해서는 (6)을 (1) 에 용해, 순차적으로 (2)~(14)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B조 성분에 대해서는 (15)~(28)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디스펜서 2조 일체형 병의 각 측에, A조 성분, B조 성분을 각각 충전했다.
<실시예 2> 세안료
A조(槽)성분               (A조(槽)성분내의 중량%)
(1) 물                        66.5
(2) 탄산수소나트륨  7.0
(3)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상품명:에마루270J:카오사제) 16.0
(4)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상품명:메토로즈65SH:신에쯔화학공업사제) 0.4
(5) 메틸파라벤                      0.1
(6) 라피노오스
상품명:오리고GGF:아사히카세이케미카르즈사제)     5.0
(7)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상품명:마이도루12:카오사제)    5.0
B조성분                 (B조(槽)성분내의 중량%)
(8) 물                     63.4
(9) 1,3-부틸렌글리콜                2.0
(10) 구연산                       6.0
(11) 사과산                        1.0
(12)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상품명:에마루270J:카오사제) 17.0
(13) 라피노오스
(상품명:오리고GGF:아사히카세이케미카르즈) 5.0
(14)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상품명:마이도루12:카오사제)  5.0
(1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상품명:메토로즈65SH:신에쯔화학공업사제)   0.4
(16) 메틸파라벤                    0.1
(17) 향료                         0.1
A조 성분에 대해서는 (2)를 (1)에 용해, 순차적으로 (3)~(7)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B조 성분에 대해서는 (8)에 순차적으로, 실온도 하에서 (9)~(17)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2조 일체형 병에 A조 성분, B조 성분을 각각 충전했다.
본 형태에서는, 각 조 전용 디스펜서에서, 액체가 각각 나오는 구성으로 한다.
<비교예1> 세안료
A조 성분에 있어서 각 성분은, 탄산수소나트륨을 제외하고, 실시예2의 A조 성분량의 50부, B조 성분량의 50부를 가산한 것으로 한다. 탄산수소나트륨에 대해서는, 별도 분말로 제조한다. 또한, 실시예2에 있어서, 라피노오스 5.0 중량부를 1,3-부틸렌글리콜으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5.0 중량부를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으로 치환했다.
용액부 성분                      (중량%)
(1) 물                         54.95
(2) 1,3-부틸렌글리콜                  6.0
(3) 구연산                        3.0
(4) 사과산                        0.5
(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상품명:메토로즈65SH:신에쯔화학공업)  0.4
(6)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상품명:에마루270J:카오사제)  21.5
(7) 메틸파라벤                      0.1
(8) 향료                         0.05
분말부
(9) 탄산수소나트륨 3.5
용액부에 대해서는 (1)에 실온하에서 (2)~(8)를 순차적으로, 첨가, 교반 용해하여, 병에 충진, 보존하였다.
분말부에 대해서는 적절한 용기에 넣어 보존했다.
사용시에, 용액부에 분말부를 첨가, 혼합, 교반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형태로 한다.
<실험예 1>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세안료에 대하여, 를 피부관리사(전문 패널) 5명에게, 조성물을 혼합하여, 발포하기까지의 조작성, 거품의 발생량, 거품의 안정성 및 지속성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해 달라고 했다. 평가점 N=5의 평균치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사용성에 대해 앙케이트를 실시한 결과도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평가기준-조작성>
5:조작성이 간단하다.
4:조작성이 다소 간단하다.
3:조작성은 보통이다.
2:조작성이 다소 복잡하다.
1:조작성이 복잡하다.
<평가기준-거품의 조작성>
5:거품이 안정되고, 충분히 지속된다.
4:거품이 다소 안정되고, 지속된다.
3:거품의 안정성은 보통이다.
2:거품이 다소 안정되지 않고, 지속성도 다소 없다.
1:거품이 안정되지 않고, 지속성이 없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나는 대로, 실시예 2 쪽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발포하기까지의 조작성, 거품의 안정성 및 지속성에 있어서 현저하게 우수했다.
이에 따라,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모두 액상 또는 크림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성, 거품의 안정성 및 지속성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3> 팩 미용액
A조(槽)성분              (A조(槽)성분내의 중량%)
(1) 물                        68.1
(2) 디글리세린                      5
(3)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10
(4) 탄산수소나트륨 6.0
(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1.0
(6) 잔탄검                        1.0
(7) 메틸파라벤                      0.1
(8) 코무폴BL (니치유사제)                1.5
(9) 라피노오스
(상품명:오리고GGF:아사히카세이케미카르즈)   6.0
(10) β―글루칸 (ADEKA사제)               0.5
(11) 커드란                        0.8
B조(槽) 성분 (B조 성분내의 중량%)
(12) 물                         75.1199
(13) 디글리세린                      5
(14)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4
(15) 라피노오스
(상품명:오리고GGF:아사히카세이케미카르즈) 6.0
(16) β―글루칸 (ADEKA사제)                0.5
(17) 구연산                      3
(18) 말론산                        4
(19) ADEKA GT-700(ADEKA사제)          0.4
(20) 잔탄검                        1.0
(21)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5
(22) 메틸파라벤                      0.1
(23) 인삼추출물                    0.1
(24) 로얄제리추출물                   0.15
(25) 뽕나무뿌리추출물                   0.1
(26) 히알루론산Na                     0.03
(27) 히토올리고-1                    0.0001
(28) 가수분해콜라겐                    1.0
A조 성분에 대해서는 (4)를 (1)에 용해, 순차적으로 (2)~(11)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B조 성분에 대해서는 (12)의 일부에 (19)를 85℃로 가열 용해한 후, 순차적으로 실온도하에서 (13)~(28)를 첨가, 전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용기에 대해서는 끌어올리기식의 에어리스 2조 일체형의 병에 A조 성분, B조 성분을 각각 충전했다.
<실시예 4> 샴푸
A조(槽)성분              (A조(槽)성분내의 중량%)
(1) 물                        42.87
(2) 정제당                       5
(3)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5
(4) 탄산수소나트륨 5.0
(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1.0
(6) 에마루270J (카오사제)                10
(7) 메틸파라벤                      0.13
(8)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액
(상품명:안히토루20HD:카오사제)          18
(9) 라피노오스
(상품명:오리고GGF:아사히카세이케미카르즈)   6.0
(10) 데실글루코사이드                   6
(11) 하이드록시에칠우레아                 1
B조(槽)성분 (B조 내의 중량%)
(12) 물                         38.65
(13) 디글리세린                      5
(14)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4
(15) 라피노오스
(상품명:오리고GGF:아사히카세이케미카르즈) 6.0
(16) β―글루칸 (ADEKA사제)                0.5
(17) 구연산                       3
(18) 숙신산                        4
(19) 에마루270J (카오사제)               10
(20)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액
(상품명:안히토루20HD:카오사제) 18
(21) 폴리쿼터늄 11                    0.3
(22) 안식향산나트륨                    0.1
(23) 프로듀500 (아지노모토사제)              5
(24) 로얄제리추출물                    0.15
(25)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5
(26) 향료                         0.3
A조 성분에 대해서는 (4)를 (1)에 용해, 순차적으로 (2)~(11)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B조 성분에 대해서는 (12)에 순차적으로, 실온도하에서 (13)~(26)을 첨가, 전부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용해했다.
용기에 대해서는 2조 일체형의 병에 A조 성분, B조 성분을 각각 충진했다.
<실시예 5~8>
본 시험은, 보습제 및 계면활성제로,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표 2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제작했다. A조 성분 (제1의 조성물) 에 대해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물에 용해한 후,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제조했다. B조 성분 (제2의 조성물) 에 대해서는,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했다.
각 조성물을, 중량비1:1의 비율로 혼합, 거품의 상태를 관찰했다. 또한, 혼합 후 발포 개시부터, 거품이 소멸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결과를 함께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나는 대로, 당으로 이루어진 보습제, 당 유도체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양자를,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 각각에 함유하는 실시예 5는, 촘촘한 거품이 생성, 거품의 지속성도 뛰어난 것이었다.
또한, 당으로 이루어진 보습제, 당 유도체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어느 하나를,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 각각에 함유하는 실시예 6, 7은 거품이 다소 조대하고, 거품의 지속성도 실시예 5에 비해 뒤떨어지지만, 충분한 거품의 지속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당으로 이루어진 보습제, 당 유도체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어느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8은, 거품이 조대하고, 거품의 지속성도 실시예 5~7에 비해 뒤떨어져있지만, 실용상은 문제없는 것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습제 및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린, 당, 당 알코올, 다당 및 이들의 유도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거품의 촘촘함, 및 거품 지속성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9~15>
본 시험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과,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실시예1에 있어서,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 숙신산의 함유량을 표 3의 양으로 바꾼 처방으로, 제1의 조성물(A조) 및 제2의 조성물(B조) 를 제조했다. 잔량은 물로 조정했다.
각 조성물을 혼합, 거품량을 관찰한 결과를 함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나는 대로, 충분한 거품의 발생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탄산수소나트륨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의 혼합 중량비는, 0.2~5.0가 양호하고, 0.3~3.0이 더욱 양호함을 알았다.
<실시예 16~19>
다음, 실시예 4의 처방에서,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 숙신산의 함유량을 바꿔, 탄산수소염 및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적정한 배합량을, 용해성 및 사람에의 자극성의 관점에서 평가했다.
사람에의 자극성에 있어서는, 화장료를, 민감 피부의 8명의 패널리스트의 팔에 도포, 60초간 방치한 때에, 자극을 느끼는지 여부를, 이하의 기준으로 점수 메겨, 평균치를 내는 것에 의해 평가했다.
<기준>
1:분명히 자극을 느낀다.
2:다소 자극을 느낀다.
3: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3 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정량이 존재하지만, 실시예 4의 경우도 대체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나는 대로, 탄산수소염의 제1의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임을 알았다.
또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포화이산기염의 제2의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임을 알았다.

Claims (10)

  1. 제1의 조성물 및 제1의 조성물과는 다른 제2의 조성물을 화장료의 구성요소로 하고,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발포하는 화장료로,
    제1의 조성물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이고,
    제2의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는,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보습제 및/또는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다가알코올, 환원당,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은, 3.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를 용기에 수용한 용기들이 화장료로서,
    상기 용기는, 제1의 조 및 제2의 조와, 상기 제1의 조 및 제2의 조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조성물은 제1조에, 상기 제2의 조성물은 제2조에,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들이 화장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토출부에서의 토출량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중량비가, 1:0.2~5.0의 범위가 되는 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들이 화장료.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성물에 있어서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유량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의 함유량이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의 혼합시의 전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20중량% 미만이 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8.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탄산 가스를 발생시켜,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조제방법으로서,
    상기 제1의 조성물은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이며,
    상기 제2의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크림상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조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성물 및 제2의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는, 당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보습제, 및/또는 당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조제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탄산수소염 및/또는 탄산염에 대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또는 포화이산기염의 혼합량이, 중량비로 1:0.2~5.0이 되도록, 상기 제1의 조성물과 제2의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조제 방법.
KR1020130107442A 2013-03-25 2013-09-06 발포성 화장료 KR20140116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2793 2013-03-25
JP2013062793A JP6343793B2 (ja) 2013-03-25 2013-03-25 発泡性の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75A true KR20140116775A (ko) 2014-10-06

Family

ID=5183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442A KR20140116775A (ko) 2013-03-25 2013-09-06 발포성 화장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43793B2 (ko)
KR (1) KR201401167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68A (ko) * 2019-01-28 2020-08-05 사랑새화장품주식회사 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89651B1 (ko) * 2020-12-04 2021-08-18 시스킨코리아(주) 점도 조절이 용이한 저자극 인체 세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6930B1 (ja) * 2015-07-06 2016-05-11 コタ株式会社 頭皮マッサージ用化粧料
JP6840331B2 (ja) * 2015-08-06 2021-03-10 忠洋 嶋田 発泡性の化粧料
JP7157488B2 (ja) * 2015-08-28 2022-10-20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6681056B2 (ja) * 2015-08-28 2020-04-15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6985752B2 (ja) * 2015-08-28 2021-12-22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6903426B2 (ja) * 2016-12-15 2021-07-14 ロレアル 発泡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4438B2 (ja) * 2007-06-11 2013-03-21 株式会社メディオン・リサーチ・ラボラトリーズ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JP5658879B2 (ja) * 2009-10-01 2015-01-28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型皮膚化粧料
JP2011079765A (ja) * 2009-10-06 2011-04-21 Noevir Co Ltd 液体洗浄料
JP2012229318A (ja) * 2011-04-26 2012-11-22 Toyo Aerosol Ind Co Ltd 泡沫形成用エアゾール製品
US9776787B2 (en) * 2012-08-16 2017-10-03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Foam forming aerosol dispen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68A (ko) * 2019-01-28 2020-08-05 사랑새화장품주식회사 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89651B1 (ko) * 2020-12-04 2021-08-18 시스킨코리아(주) 점도 조절이 용이한 저자극 인체 세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3793B2 (ja) 2018-06-20
JP2014185125A (ja)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6775A (ko) 발포성 화장료
JP2016056172A (ja) 発泡性の化粧料
CN100556395C (zh) 非加压施用后膨胀组合物
KR101781818B1 (ko)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KR101951916B1 (ko) 화장료의 제조방법, 화장료용 겔의 조제방법 및 화장료 원료에 배합되는 고분자 증점제의 사용량을 경감하는 방법
CA3117108C (en) Foam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magnesium sulfate
JP3186879U (ja) 炭酸パック
US7851423B2 (en) Post-foaming cleansing product with molecular oxygen
EP3610851A1 (en) Skin cleanser composition
KR102106392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CN110505866B (zh) 皮肤清洁剂组合物
JP2017110001A (ja) タブレット型凍結乾燥化粧料
KR20200016878A (ko) 타블렛형 동결 건조 화장료
JP2013035756A (ja) 炭酸ガス供給化粧料の作製方法とそれを用いた美容施術方法
JP201415653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8165235A (ja) 皮膚洗浄用品
JP202310526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H08225441A (ja) 皮膚洗浄用品
JP6840331B2 (ja) 発泡性の化粧料
JP5986394B2 (ja) 泡沫形成エアゾール組成物
JPH08183729A (ja) 皮膚洗浄用品
JP2013241388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08289854A (zh) 含有丙酸氯倍他索的自发泡清洁组合物,以及它们在治疗牛皮癣中的用途
CN114929346A (zh) 不含硫酸盐的可发泡固体清洁剂
JP4726149B2 (ja) 組成物、及びビール掛け感を味わうプレ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