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874A -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874A
KR20140109874A KR1020147015406A KR20147015406A KR20140109874A KR 20140109874 A KR20140109874 A KR 20140109874A KR 1020147015406 A KR1020147015406 A KR 1020147015406A KR 20147015406 A KR20147015406 A KR 20147015406A KR 20140109874 A KR20140109874 A KR 2014010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battery module
abnorm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713B1 (ko
Inventor
청웨이 웬
Original Assignee
알리스 에코 에이알케이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스 에코 에이알케이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알리스 에코 에이알케이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10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1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전기 차량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은 전력 공급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배터리 모듈, 안전 보호 유닛, 검출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기 차량의 주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은 배터리 모듈 및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다. 검출 유닛이 배터리 모듈을 검출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 및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인 경우, 상기 검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검출 유닛, 전력 공급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과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에 비교하는 결과에 따라서, 제어 유닛은 비정상 레벨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으로 생성한다.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은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덧붙여, 경고 메시지가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나타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ABNORMAL BATTERY DETECTING SYSTEM AND ABNORMAL BATTERY DETECTING METHOD FOR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과 관련되며, 더 구체적으로 전기 차량의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과 관련된다.
최근들어, 지구 온난화 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이 탄소 감축 정책을 시작한다. 오늘날의 환경에서, 운송 수단의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총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약 4분의 1이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현 운송 수단의 대부분은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된다.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운송 수단이 전기 차량으로 점차 대체될 것이다.
전기 차량은 그린 에너지 산업의 대표적인 제품이다. 그러나 전기 차량의 이용은 여전히 약간의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기 차량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동안, 전기 차량의 배터리 모듈이 자연 연소의 대상될 가능성이 있다. 배터리 모듈이 전기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이거나 자연 연소 중인 경우,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상해와 손실을 감소시키는 유일한 방식이다.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는 전기 차량의 유효 내부 공간의 불만 끌 수 있고, 위험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 덧붙여, 소화 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에 의해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은 경우, 잔여 불이 재앙을 확대시킬 수 있고 승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상기의 단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전기 차량을 신뢰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자연 연소가 배터리 모듈에 의해 초래된다. 방전 프로세스 동안, 확실히 배터리 모듈은 열을 발생시킨다. 덧붙여, 전기 차량을 구동하는 프로세스 동안, 배터리 모듈은 많은 요인들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방전 또는 단전(short-circuit)될 수 있다. 제조업체가 배터리 모듈 또는 구성품을 개선하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할지라도, 배터리 방전 프로세스 중의 발열 현상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자연 연소를 감소시키고 안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 차량의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자연 연소를 감소시키고 승객의 안전을 증가시키며 배터리 모듈의 비용을 낮추기 위한 전기 차량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전기 차량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은 전력 공급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배터리 모듈, 안전 보호 유닛, 검출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기 차량의 주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안전 보호 유닛이 배터리 모듈과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다. 상기 검출 유닛은 배터리 모듈을 검출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 및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인 경우, 검출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검출 유닛, 전력 공급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과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제어 유닛은 비정상 레벨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으로 생성한다.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은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덧붙여,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전기 차량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전기 차량은 배터리 모듈,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단계(a)에서, 배터리 모듈이 검출된다.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가 생성된다. 단계(b)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에 비교한 결과에 따라 비정상 레벨 신호가 생성된다. 단계(c)에서,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나타난다. 단계(d)에서, 안전 보호 유닛이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내용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읽은 후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더 자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신호를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B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에서 긴급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C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에서 긴급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D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에서 긴급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서 단지 예시와 설명 목적으로만 제공된다. 이러한 기재는 포괄하거나 정확히 개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도이다.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1)은 전기 차량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1)은 배터리 모듈(11), 검출 유닛(12), 제어 유닛(13), 전력 공급 유닛(14), 디스플레이 유닛(15), 안전 보호 유닛(16), 경보 전송 유닛(alarm transmission unit)(17), 입력 유닛(18) 및 저장 유닛(19)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1)은 탈착식 배터리 모듈(removable battery module)이고 배터리 박스(도시되지 않은)에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11)은 전기 차량의 주전원(main power source)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전력 공급 유닛(14)은 독립 전원이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유닛(14)은 12V 전원, 24V 전원 또는 백업 전원(가령, 납-산 전지(lead-acid battery))이다. 전력 공급 유닛(14)은 검출 유닛(12), 제어 유닛(13), 디스플레이 유닛(15) 및 안전 보호 유닛(16)과 연결된다. 상기 전력 공급 유닛(14)은 검출 유닛(12), 제어 유닛(13), 디스플레이 유닛(15) 및 안전 보호 유닛(1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인 경우,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1)이 전력 공급 유닛(14)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5)은 전력 공급 유닛(14)과 제어 유닛(13)과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인 경우, 제어 유닛(13)은 비정상 레벨 신호를 발생시킨다. 사기 비정상 레벨 신호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나서, 상기 전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긴급 조치를 취하는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유닛(18)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을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을 저장 유닛(19)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은 배터리 모듈(11)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 배터리 박스의 디폴트 연기 농도 값(default smoke concentration value), 및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 값을 포함한다. 경보 전송 유닛(17)이 제어 유닛(13) 및 전력 공급 유닛(14)과 연결된다. 제어 유닛(13)이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임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무선 전송 방식으로 비정상 레벨 신호를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발생시킨다.
도 1을 다시 참조할 수 있다. 안전 보호 유닛(16)이 배터리 모듈(11)과 전력 공급 유닛(14)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 보호 유닛(16)은 소방 수단(161) 및 회수 수단(162)을 포함한다. 상기 소방 수단(161)은 배터리 박스 내에 설치되고 전력 공급 유닛(14) 및 제어 유닛(13)과 연결된다. 상기 회수 수단(162)은 전력 공급 유닛(14)과 제어 유닛(13)과 연결된다.
검출 유닛(12)은 배터리 모듈(11)을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11)과 전력 공급 유닛(14)과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검출 유닛(12)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유닛(12)은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은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11) 및 제어 유닛(13과 연결된다. 배터리 관리 유닛(123)이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비정상임을 검출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은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검출 회로가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가 90℃에 이름을 검출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은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연기 검출기(121)가 배터리 모듈(11), 전력 공급 유닛(14) 및 제어 유닛(13)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11)이 설치되는 배터리 박스 내 연기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연기 검출기(121)가 배터리 박스 내에 연기가 존재함을 검출한 경우, 상기 연기 검출기(121)는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온도 검출기(122)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적외선 센서가 있다. 상기 온도 검출기(122)는 또한 배터리 모듈(11), 전력 공급 유닛(14) 및 제어 유닛(13)과 연결되어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검출기(122)가 상기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가 비정상임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122)는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에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온도 검출기(122)가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가 적어도 5초 동안 85℃를 초과한다고 검출한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122)는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13)에게 발생시킨다.
도 1을 다시 참조할 수 있다. 제어 유닛(13)이 검출 유닛(12), 전력 공급 유닛(14), 디스플레이 유닛(15) 및 안전 보호 유닛(16)과 연결된다. 상기 제어 유닛(13)이 검출 유닛(12)의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너리 관리 유닛(123)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에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13)은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의 수와 대응하는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과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어 유닛(13)이 배터리 모듈(11)의 경보 이벤트의 레벨을 구현할 수 있다. 그 후, 비정상 레벨 신호가 제어 유닛(13)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15), 안전 보호 유닛(16) 및 경보 전송 유닛(17)으로 전송된다.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서, 상기 안전 보호 유닛(16)이 배터리 모듈(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서,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서 나타나서, 상기 전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긴급 조치를 취할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덧붙여, 비정상 레벨 신호는 무선 전송 방식으로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송되어,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에게 상기 전기 차량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관리 작업자가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1)에서, 경보 이벤트는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 및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로 분류된다. 경보 이벤트를 분류하는 방식은 실시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첫 번째 상황에서,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이 수신된다. 상기 연기 검출기(121)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제어 유닛(13)은 상기 연기 검출기(121)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디폴트 연기 농도와 비교할 수 있다. 온도 검출기(12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제어 유닛(13)은 온도 검출기(12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배터리 박스의 디폴트 내부 온도 값에 비교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제어 유닛(13)은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배터리 모듈(11)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에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배터리 박스 내에 연기가 존재함을 가리키거나,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가 디폴트 내부 온도 값을 초과하거나,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즉, 배터리 모듈(11)이 자연 연소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 유닛(13)은 안전 보호 유닛(16)의 소방 수단(161)이 배터리 모듈(11)의 불을 끄고(extinguish) 안전 보호 유닛(16)의 회수 수단(162)이 배터리 박스로부터 배터리 모듈(11)의 일부분을 회수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모듈(11)은 배터리 박스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해제된다. 한편,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에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나서, 상기 전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긴급 조치를 취할 방식을 지시할 수 있다. 덧붙여,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송되어,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에게 전기 차량의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통지할 수 있다.
두 번째 상황에서, 연기 검출기(121)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다. 연기 검출기(121)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제어 유닛(13)은 상기 연기 검출기(121)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디폴트 연기 농도와 비교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제어 유닛(13)은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배터리 모듈(11)의 상기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상기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상기 디폴트 동작 전류 값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배터리 박스 내에 연기가 존재하고,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을 초과한다고 가리키는 경우, 제어 유닛(13)은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한편,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에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나서, 상기 전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긴급 조치를 취할 방식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동으로 배터리 박스를 열고 배터리 모듈(11)을 체크할 수 있다. 체크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는 소방 수단(161) 및 회수 수단(162)이 활성화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덧붙여,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송되어,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기 차량의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세 번째 상황에서,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만 수신된다.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제어 유닛(13)은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11)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 에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을 초과한다고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한편,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에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나서, 상기 전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긴급 조치를 취할 방식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동으로 배터리 박스를 열어 상기 배터리 모듈(11)을 체크할 수 있다. 덧붙여,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송되어, 전기 차량 관리 센터에게 상기 전기 차량의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음이 통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과 2A를 참조하자.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단계(S21)가 수행되어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가 생성된다. 즉, 배터리 관리 유닛(123)이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를 검출한다. 배터리 관리 유닛(123)이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비정상임을 검출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은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검출 회로가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가 90℃에 달한다고 검출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은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덧붙여, 연기 검출기(121)가 배터리 박스 내 연기 농도를 검출한다. 연기 검출기(121)가 배터리 박스 내 연기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 상기 연기 검출기(121)는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덧붙여, 온도 검출기(122)가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온도 검출기(122)가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가 비정상임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122)는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온도 검출기(122)가 상기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가 적어도 5초 동안 85℃를 초과함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122)가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 유닛(13)으로 발생시킨다.
그 후, 단계(S22)에서, 상기 제어 유닛(13)은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과 다시 통신하며, 적어도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단계(S21)에서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되고,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동일한 피드백 신호가 단계(S22)에서, 제어 유닛(13)에 의해 다시 수신된 경우, 제어 유닛(13)이 3개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한다. 반면에, 연기 검출기(121)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단계(S21)에서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S22)에서 연기 검출기(121)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동일한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다시 수신된 경우(즉, 온도 검출기(12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13)은 2개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한다. 반면에, 단계(S21)에서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만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S22)에서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동일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 경우(즉, 연기 검출기(121) 및 온도 검출기(12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는 제어 유닛(13)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하나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됐다고 확인한다.
단계(S22) 후 제어 유닛(13)이 수신된 피드백 신호(들)을 대응하는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들)에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를 생성한다(단계(S23)).
첫 번째 상황에서, 연기 검출기(121), 온도 검출기(122)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제어 유닛(13)이 연기 검출기(121)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디폴트 연기 농도와 비교할 수 있고, 온도 검출기(12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배터리의 디폴트 내부 온도 값에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되는 상기 배터리 모듈(11)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에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배터리 박스 내에 연기가 존재하고, 백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가 디폴트 내부 온도 값을 초과하며,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을 초과한다고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두 번째 상황에서, 연기 검출기(121) 및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제어 유닛(13)은 연기 검출기(121)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되는 디폴트 연기 농도와 비교하고,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저장 유닛(19)에 저장된 배터리 모듈(11)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에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상기 배터리 박스에 연기가 존재하고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을 초과함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세 번째 상황에서,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만 수신된다. 상기 제어 유닛(13)은 배터리 관리 유닛(123)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저장 유닛(19)에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11)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에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배터리 모듈(11)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가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을 초과한다고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판단한다.
배터리 모듈(11)의 경보 이벤트의 레벨이 구현된 후, 제어 유닛(13)의 제어에 따라, 경고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나서, 상기 전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긴급 조치를 취할 방식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노변이나 안전한 위치에 전기 차량을 멈출 것을 지시할 수 있다(단계(S24)). 그 후 제어 유닛(13)에 의해 판단된 경보 이벤트의 레벨에 따라, 대응하는 긴급 조치가 취해진다(단계(S25)).
본 발명의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1)에서, 비정상 상태가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 및 제 3 비정상 상태로 분류된다. 본 명세서에서, 서로 다른 비정상 상태에서 긴급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가 도 2B, 2C, 및 2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B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에서 긴급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배터리 모듈(11)의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11)은 자연 연소 중이다. 제어 유닛(13)의 제어 하에서,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에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단계(S2511)). 그 후,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는 배터리 모듈을 수리 및 처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지명할 수 있다. 그 후, 제어 유닛(13)은 안전 보호 유닛(16)의 소방 수단(161)이 상기 배터리 모듈(11)의 불을 끌 수 있게 하고(단계(S2512)), 상기 안전 보호 유닛(16)의 회수 수단(162)이 배터리 박스로부터 배터리 모듈(11)의 일부분을 회수하여 사이 배터리 박스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제할 수 있게 한다(단계(S2513)).
덧붙여,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은 배터리 모듈(11)을 비활성화하고 소방 수단(161)을 활성화하며 회수 수단(162)을 활성화하는 잔여 시간 주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초 단위로 카운트 다운(5초 카운트다운)할 수 있다. 그 후, 운전자는 다음 상태를 이행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이 제어 유닛(13)에 의해 비활성화된 경우, 운전자는 전기 차량을 즉시 멈출 수 없다. 다음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이행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전기 차량의 잔여 속도를 이용함으로써 전기 차량을 멈추거나 백업 전원 시스템을 이용해 전기 차량의 엔진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C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에서 긴급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배터리 모듈(11)의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 유닛(13)의 제어 하에서, 상기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에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단계(S2521)). 그 후,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는 배터리 모듈을 수리 및 처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지명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난 긴급 조치에 따라, 민간인들이 안전 위치로 대피될 수 있다(단계(S2522)). 사용자는 수동으로 배터리 박스를 열고 상기 배터리 모듈(11)이 자연 연소하고 있는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S2523)). 배터리 모듈(11)이 자연 연소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배터리 모듈(11)은 기능불량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운전자는 수동으로 회수 수단(162)을 활성화하여 배터리 모듈(11)의 일부분을 배터리 박스로부터 회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1)을 배터리 박스로부터 전기 연결해제할 수 있다(단계(S2524)). 예를 들어, 회수 수단(162)이 활성화된 후, 배터리 모듈(11)의 4분의 1이 배터리 박스로부터 회수된다. 이 상황에서, 배터리 모듈(11)의 전기 접촉부와 전기 차량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가 서로 분리되어, 따라서 배터리 모듈(11)과 배터리 박스 간 전기 연결이 차단(interrupt)된다. 그 후, 운전자는 개별적으로 배터리 모듈을 수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자를 기다릴 수 있다(단계S2525)).
다른 한편, 배터리 모듈(11)이 자연 연소 중일 때, 운전자는 수동으로 안전 보호 유닛(16)의 소방 수단(161)을 활성화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1)의 불을 끌 수 있고(단계(S2526)) 그 후 운전자는 수동으로 회수 수단(162)을 활성화시켜 배터리 모듈(11)의 일부분을 상기 배터리 박스로부터 회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1)을 상기 배터리 박스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해제할 수 있다(단계(S2527)). 그 후, 운전자는 개별적으로 배터리 모듈을 수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자를 기다릴 수 있다(단계(S2525)).
도 2D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에서 긴급 조취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배터리 모듈(11)의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 유닛(13)의 제어 하에서,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에 대응하는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송신 방식으로 상기 경보 전송 유닛(17)에서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단계(S2531)). 그 후, 상기 전기 차량 관리 센터는 배터리 모듈을 수리 및 처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지명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유닛(15) 상에 나타난 긴급 조치에 따라, 민간인들이 안전 위치로 대피될 수 있다(단계(S2532)). 사용자는 수동으로 배터리 박스를 열고 배터리 모듈(11)을 체크할 수 있다(단계(S2533)). 그 후 운전자는 자체 수리 절차가 이뤄질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534)). 운전자에 의해 자체 수리 절차가 이뤄질 수 없는 경우, 운전자는 개별적으로 배터리 모듈을 수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자를 기다릴 수 있다(단계(S2535)). 다른 한편, 운전자에 의해 자체 수리 절차가 이뤄질 수 있는 경우, 운전자는 바로 자체 수리 절차를 수행하고 시스템을 휴지시킬 수 있다(단계(S2536)). 그 후, 전기 차량이 수리 및 추가 체크를 위해 유지관리 공장으로 몰아진다.
본 발명의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에 따라, 경보 이벤트가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 및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로 분류된다. 승객을 보호하고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레벨의 경보 이벤트에서 취해지는 조치가 사용된다. 배터리 모듈(11)의 제 3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상기 배터리 모듈(11)이 비정상이라고 사전에 경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적절한 조취를 사전에 취할 수 있어서 손실을 낮출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의 제 2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비정상 상태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11)을 구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사전에 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의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손실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의 제 1 레벨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11)이 자연 연소 중일 가능성이 있다. 승객 및 전기 타량 또는 비싼 엔진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운전자는 부상과 손실을 확장을 피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11)를 포기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은 전기 차량의 안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덧붙여, 배터리 모듈은 직렬 배터리 모듈이거나 병렬 배터리 모듈일 수 있다.
상기의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은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검출 유닛이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임을 검출한 경우, 상기 검출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에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제어 유닛은 비정상 레벨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으로 생성한다.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안전 보호 유닛이 활성화되고 상기 비정상 레벨 신호에 대응하는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나타난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이 자연 연소 중일 때라도, 승객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덧붙여, 운전자가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이라고 사전 경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적절한 조치를 사전에 취할 수 있어서 손실을 낮출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 모듈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은 산업적 가치를 가진다.
본 발명이 현재 가장 실용적이고 선호되는 실시예라고 간주되는 것들에 대해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유사한 구성까지 커버하며,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유사한 구조를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된다.

Claims (17)

  1. 전기 차량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은,
    전력 공급 유닛,
    상기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전기 차량의 주전원으로서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되는 안전 보호 유닛,
    상기 배터리 모듈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 검출 유닛 -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인 경우 상기 검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함 - , 및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검출 유닛, 전력 공급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과 연결된 제어 유닛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에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은 비정상 레벨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은 상기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고, 상기 비정상 레벨에 다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경고 메시지가 나타남 -
    을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탈착식 배터리 모듈인,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 유닛과 연결된 경보 전송 유닛 - 상기 비정상 레벨 신호가 무선 송신 방식으로 상기 경보 전송 유닛에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송됨 -
    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배터리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 유닛은 연기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기 검출기는 상기 배터리 박스 내 연기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온도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검출기는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 및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입력 유닛 및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이 상기 입력 유닛을 통해 입력되고,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이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은 배터리 모듈의 디폴트 동작 온도 값 또는 디폴트 동작 전류 값, 배터리 박스의 디폴트 연기 농도, 및 배터리 박스의 디폴트 내부 온도 값을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은 소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 수단은 전력 공급 유닛 및 제어 유닛과 연결되고 배터리 박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자연 연소 중인 경우, 상기 소방 수단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불을 끌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은 회수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 수단은 상기 배터리 박스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을 회수하여 상기 배터리 박스로부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제하기 위해, 전력 공급 유닛 및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11. 전기 차량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차량은 배터리 모듈,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안전 보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은
    (a) 배터리 모듈을 검출하는 단계 - 배터리 모듈이 비정상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가 생성됨 - ,
    (b)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전설정된 디폴트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비정상 레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경고 메시지를 나타내는 단계, 및
    (d) 상기 비정상 레벨 신호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안전 보호 유닛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단계(a)는 배터리 모듈의 동작 온도 또는 동작 전류를 검출하는 하위 단계(a1)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박스 내에 설치되고, 단계(a)는 배터리 박스 내 연기 농도를 검출하는 하위 단계(a2)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단계(a)는 배터리 박스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하위 단계(a3)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비정상 레벨 신호를 무선 전송 방식으로 전기 차량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하위 단계(c1)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이 자연 연소 중인 경우, 단계(d)는 배터리 모듈의 불을 끄는 하위 단계(d1)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배터리 모듈이 상기 배터리 박스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해제되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을 상기 배터리 박스로부터 회수하는 하위 단계(d2)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KR1020147015406A 2011-11-07 2012-11-07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KR101602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6386P 2011-11-07 2011-11-07
US61/556,386 2011-11-07
PCT/CN2012/084208 WO2013067930A1 (zh) 2011-11-07 2012-11-07 电池模块异常侦测系统及其侦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74A true KR20140109874A (ko) 2014-09-16
KR101602713B1 KR101602713B1 (ko) 2016-03-11

Family

ID=4828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406A KR101602713B1 (ko) 2011-11-07 2012-11-07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48746B2 (ko)
EP (1) EP2779353A4 (ko)
JP (1) JP2015504570A (ko)
KR (1) KR101602713B1 (ko)
CN (1) CN104054230A (ko)
CA (1) CA2854678C (ko)
IN (1) IN2014MN00863A (ko)
RU (1) RU2570567C1 (ko)
TW (1) TWI548543B (ko)
WO (1) WO2013067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92A1 (ko) * 2016-10-05 2018-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8876B (zh) * 2013-07-31 2015-11-21 Taiwan Secom Co Ltd 具電源管理的車機裝置
CN203933073U (zh) 2014-04-28 2014-11-05 王熙宁 一种新型汽车充电器
CN105730243B (zh) * 2016-02-04 2018-06-26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电池参数触发故障的处理方法和装置
KR102608464B1 (ko) * 2016-10-05 202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TWI629849B (zh) * 2017-01-17 2018-07-11 盈正豫順電子股份有限公司 電池狀態測試方法及其系統
US10777856B2 (en) 2017-06-19 2020-09-15 Dura Operating, Llc Safety sensor module with vehicle communication to first responders
US10707538B2 (en) 2017-06-19 2020-07-07 Dura Operating, Llc Safety sensor module with vehicle communication to first responders
TWI632387B (zh) * 2017-11-23 2018-08-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具異常偵測功能之電池模組與蓄電裝置及其操作方法
CN109830764B (zh) * 2017-11-23 2021-08-0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异常检测功能的电池模块与蓄电装置及其操作方法
CN110244230B (zh) * 2018-03-08 2022-07-0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电池安全鉴别方法、内短路危害等级设定方法及警示系统
CN108357361A (zh) * 2018-05-07 2018-08-03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安全监控装置及方法
CN108490367B (zh) * 2018-05-28 2020-09-04 青岛美凯麟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自动检测系统及方法、电池安全判定及处置方法
CN108828463A (zh) * 2018-06-29 2018-11-16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启动电源及其性能监测装置与系统
CN109255060B (zh) * 2018-09-26 2021-05-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反馈处理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49507A (zh) * 2018-10-09 2019-03-08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电池发热处理方法及系统
CN110509813A (zh) * 2019-09-03 2019-11-29 海汇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火灾预警方法
KR20210114625A (ko) * 2020-03-11 2021-09-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탈거 시스템
KR20210115086A (ko) * 2020-03-11 2021-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탈거 시스템
CN113452094A (zh) * 2020-03-24 2021-09-28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仓消防隔离方法、充电仓电池包隔离结构
JPWO2022059145A1 (ko) * 2020-09-17 2022-03-24
CN113904007A (zh) * 2021-09-22 2022-01-07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集成式电池管理系统
CN114179617A (zh) * 2021-12-10 2022-03-15 山东爱德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自燃控制方法、装置及其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307A (ja) * 2002-10-28 2004-05-20 Solectron Japan Kk バッテリーユニット
JP2007200880A (ja) * 2006-01-04 2007-08-09 Lg Chem Ltd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WO2009011749A1 (en) * 2007-07-18 2009-01-22 Tesla Motors, Inc. Mitigation of propagation of thermal runaway in a multi-cell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489B2 (ja) * 1993-12-15 2000-08-14 株式会社東芝 電気自動車
RU2127010C1 (ru) * 1995-12-18 1999-02-27 Маслаков Михаил Дмитри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свинцов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RU2131158C1 (ru) * 1996-07-31 1999-05-27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элементов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JPH11219732A (ja) 1998-02-03 1999-08-10 Toyo System Kk 電池用充放電装置
JP3638102B2 (ja) 1999-09-30 2005-04-13 Necトーキン栃木株式会社 電池パック
FR2810796B1 (fr) * 2000-06-26 2003-03-21 Cit Alcatel Batterie de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US7339774B2 (en) * 2000-11-03 2008-03-04 Zdziech Peter M Automatic battery disconnect system
JP2002289262A (ja) * 2001-03-23 200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の監視システム
JP3546856B2 (ja) * 2001-04-25 2004-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故障診断方法
JP2003045501A (ja) * 2001-08-02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ニッケル・水素蓄電池システム
JP3539412B2 (ja) * 2001-08-09 2004-07-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異常検出装置
KR100889244B1 (ko) 2005-04-20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전 센서가 내장된 이차전지 모듈
JP4517397B2 (ja) 2005-05-02 2010-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圧変化検出装置
JP5220588B2 (ja) * 2005-05-02 2013-06-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安全性が向上した中型又は大型の改良バッテリーパック
RU2283504C1 (ru) * 2005-06-28 2006-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ИРИ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диагностики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US7521817B2 (en) * 2006-05-03 2009-04-21 Donald Gor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chance of fires and/or explosions
TWI311109B (en) 2006-05-04 2009-06-21 Ind Tech Res Inst Power display system for intelligent electric vehicles
WO2008079062A1 (en) * 2006-12-22 2008-07-03 Volvo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schar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CN101312292A (zh) * 2007-05-23 2008-11-26 杨大纬 电源管理装置
CN201142022Y (zh) * 2007-12-18 2008-10-29 瑞德电能股份有限公司 电动车辆的电池模块的远程控制系统
JP4518156B2 (ja) * 2008-01-28 2010-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システム
CN201210620Y (zh) * 2008-04-22 2009-03-18 瑞德电能股份有限公司 车辆充电池使用状态预警装置
US20100094496A1 (en) * 2008-09-19 2010-04-15 Barak Hershkovitz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CN201266834Y (zh) * 2008-09-24 2009-07-01 西胜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
JP4786700B2 (ja) 2008-12-24 2011-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0166760A (ja) * 2009-01-19 2010-07-29 Toyota Motor Corp 電源システム
ATE527720T1 (de) * 2009-02-10 2011-10-15 Autoliv Dev Sicherheit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846232B2 (en) 2009-11-11 2014-09-30 Atieva, Inc. Flash cooling system for increased battery safety
CN101740840A (zh) * 2010-02-25 2010-06-16 张禾 电动汽车的电池供电管理方法
CN102013711A (zh) * 2010-10-13 2011-04-13 上海磁浮交通发展有限公司 高电压大功率蓄电池组保护系统及其监控方法
KR101251255B1 (ko) * 2010-12-03 2013-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보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307A (ja) * 2002-10-28 2004-05-20 Solectron Japan Kk バッテリーユニット
JP2007200880A (ja) * 2006-01-04 2007-08-09 Lg Chem Ltd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WO2009011749A1 (en) * 2007-07-18 2009-01-22 Tesla Motors, Inc. Mitigation of propagation of thermal runaway in a multi-cell battery pa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92A1 (ko) * 2016-10-05 2018-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N109070755A (zh) * 2016-10-05 2018-12-21 株式会社Lg化学 电池保护系统和方法
US10790686B2 (en) 2016-10-05 2020-09-29 Lg Chem, Ltd. Batter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9070755B (zh) * 2016-10-05 2021-10-26 株式会社Lg化学 电池保护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4678C (en) 2017-07-18
EP2779353A4 (en) 2015-11-04
TW201318900A (zh) 2013-05-16
EP2779353A1 (en) 2014-09-17
JP2015504570A (ja) 2015-02-12
WO2013067930A1 (zh) 2013-05-16
CA2854678A1 (en) 2013-05-16
US20140324262A1 (en) 2014-10-30
TWI548543B (zh) 2016-09-11
RU2570567C1 (ru) 2015-12-10
US9248746B2 (en) 2016-02-02
KR101602713B1 (ko) 2016-03-11
CN104054230A (zh) 2014-09-17
IN2014MN00863A (ko) 201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713B1 (ko) 배터리 모듈을 위한 비정상 배터리 검출 시스템 및 비정상 배터리 검출 방법
US10230231B2 (en) High voltage cutoff for electrified vehicles
JP5651334B2 (ja) 電気エネルギ用エネルギ貯蔵システムを放電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20136830A (ko) 고전압 배터리팩의 화재진압 장치 및 방법
US20180159110A1 (en) Electric vehicle battery safety
KR101610476B1 (ko) 차량 화재 발생시 수소 탱크 안전성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2201696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룸 자동 소화 시스템
CN106654412A (zh) 一种电动汽车的动力电池组的起火处理装置及方法
JPH0974603A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安全装置
KR101719677B1 (ko) 내진의 단계별 차단 복구 및 최적 운전기능을 구비한 고저압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CN106864291B (zh) 电池系统的安全防护系统及电池系统
JP2003197268A (ja) 異常保護回路付電池パック
JP2008113505A (ja) バッテリーの温度管理システム
JP7315189B2 (ja) 充電スタンド及び充電システム
CN111907405A (zh) 一种新能源ev车辆事故后警示系统及警示方法
KR101902446B1 (ko) 비상 전원 차단 장치 및 방법
CN103802676B (zh) 一种整车电源控制系统
CN217641704U (zh) 一种兼备主动和被动灭弧功能的电池包
CN114712749A (zh) 一种用于储能集装箱的消防系统
CN215781110U (zh) 灭火器控制电路、灭火器控制系统及电池包
CN111821616A (zh) 一种充换电站消防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9448303A (zh) 一种车辆自燃预警处理系统
JP2021158727A (ja) Bms監視システム
WO2024089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arming user of a vehicle
KR20180046337A (ko) 내진의 단계별 차단 복구 및 최적 운전기능을 구비한 고저압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