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714A - 전선 이재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이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714A
KR20140108714A KR1020147021134A KR20147021134A KR20140108714A KR 20140108714 A KR20140108714 A KR 20140108714A KR 1020147021134 A KR1020147021134 A KR 1020147021134A KR 20147021134 A KR20147021134 A KR 20147021134A KR 20140108714 A KR20140108714 A KR 2014010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chanism portion
electric wire
wire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573B1 (ko
Inventor
준이치 시라카와
고이치로 고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01B13/0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for heat extr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63Tying, wrapping, binding, lacing, strapping or sheathing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선 이재 장치는 제1 이재 기구부와 제2 이재 기구부를 구비한다. 제1 이재 기구부는, 단자를 갖는 전선을 파지하는 제1 파지 기구부와, 제1 파지 기구부를 단자를 갖는 전선을 수취, 세팅하는 진출 위치와 제1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제1 진퇴 구동 기구부를 수취 위치측과 세팅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왕복 구동 기구부를 갖는다. 제2 이재 기구부는, 제2 파지 기구부와, 제2 파지 기구부를 진출 위치와 제2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진퇴 구동 기구부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수취 위치측과 세팅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를 갖는다. 왕복 구동 기구부는 파지 기구부 중 적어도 한쪽이 각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진퇴 구동 기구부를 엇갈리게 한다.

Description

전선 이재 장치{POWER LINE SHIFT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선을 반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하네스는, 예컨대, 절단 압착 공정, 가(假)결속 공정, 조립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절단 압착 공정은 전선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고 단부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여 단자를 갖는 전선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가결속 공정은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을 결속하거나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의 단자를 커넥터에 삽입 등을 하여 가결속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또한, 조립 공정은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 및 복수의 가결속을 정해진 와이어링 형태로 조립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가결속 공정에 단자를 갖는 전선을 공급할 때에, 복수종의 단자를 갖는 전선을 가결속 단위로 전선 유지 바에 유지해 두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절단 압착 공정으로부터 복수종의 단자를 갖는 전선을 전선 유지 바에 이재(移載)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단자를 갖는 전선 이재 기구부가 있다.
단자를 갖는 전선 이재 기구부는, 길이 조절하여 절단된 전선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단자 압착 장치로부터, 복수의 전선 유지 바를 반송하는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측의 전선 유지 바를 향하여 단자를 갖는 전선을 이재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를 갖는 전선 이재 기구부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단부를 파지 및 파지 해제 가능한 한쌍의 이재용 파지부와, 한쌍의 이재용 파지부를 이동 구동시키는 이재용 파지부 이동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 이재용 파지부 이동 구동부는 한쌍의 이재용 파지부가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각 설치되고, 각 베이스 플레이트가 수평 가이드에 의해 전선 유지 바와 전선 수취 위치 사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쌍의 이재용 파지부를 상이한 이재용 구동부에 의해 수평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8736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단자를 갖는 전선 이재 기구부에서는, 하나의 전선 유지 바에 대하여 1개의 단자를 갖는 전선을 세팅하는데 한쌍의 이재용 파지부를 1회 왕복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터의 성능을 넘어 단자를 갖는 전선의 이재 효율을 올리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자를 갖는 전선의 이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는, 절단 압착 장치에서 제조되어 수취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갖는 전선을, 세팅 위치에 배치되며,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전선 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전선 유지부가 일렬로 복수개 설치된 전선 유지 바에 이재(移載)하는 전선 이재 장치로서, 제1 이재 기구부와 제2 이재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재 기구부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 및 파지 해제할 수 있는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를 각각, 상기 수취 위치에 배치된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을 수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을 상기 세팅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 중 어느 하나에 세팅할 수 있는 진출 위치와,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제1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를 각각, 상기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상기 세팅 위치측의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이재 기구부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 및 파지 해제할 수 있는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를 각각, 상기 진출 위치와,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제1 후퇴 위치와는 별도의 제2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각각,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에 의한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의 이동 영역과 병행하는 이동 영역에 있어서, 상기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상기 세팅 위치측의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를 갖고,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및 상기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1 파지 기구부 및 상기 제2 파지 기구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 또는 제2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엇갈리게 한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로서,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를 상기 수취 위치 및 상기 세팅 위치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이동 영역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상기 제1 이동 영역의 측방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2 이동 영역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2 파지 기구부를, 상기 제1 이동 영역 중의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이동 영역 중에서 상기 진출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기 제2 후퇴 위치까지의 사이에 경사 상방을 향하는 직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로 이동시킨다.
제3 양태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로서,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2 파지 기구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전달 승강 구동부와, 상기 전달 승강 구동부를, 상기 제1 이동 영역 중의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이동 영역 중에서 상기 하강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비스듬히 승강 이동시키는 간접 승강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
제4 양태는, 제3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로서, 상기 제2 파지 기구부는, 상기 간접 승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전달 승강 구동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기 제1 파지 기구부의 하방을 통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로서,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및 상기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상기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상기 세팅 위치측의 영역에서 교대로 이동시킨다.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에 따르면, 제1 왕복 구동 기구부와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제1 파지 기구부 및 제2 파지 기구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 또는 제2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엇갈리게 한다. 이 때문에, 제1 파지 기구부 및 제2 파지 기구부 중 한쪽이 수취 위치측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을 수취하는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쪽이 세팅 위치측에서 전선 유지 바의 전선 유지부에 단자를 갖는 전선을 세팅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자를 갖는 전선의 이재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에 따르면, 제2 진퇴 구동 기구부가, 제2 파지 기구부를, 제1 진퇴 구동 기구부가 이동하는 제1 이동 영역 중의 진출 위치로부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가 이동하는 제2 이동 영역 중에서 진출 위치의 경사 상방의 제2 후퇴 위치까지의 사이에 경사 상방을 향하는 직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제2 파지 기구부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에 따르면, 제2 진퇴 구동 기구부가, 제2 파지 기구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전달 승강 구동부와, 전달 승강 구동부를 제1 이동 영역 중의 하강 위치와 제2 이동 영역 중에서 하강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비스듬히 승강 이동시키는 간접 승강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달 승강 구동부를 제1 이동 영역 중의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보다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에 따르면, 제2 파지 기구부가, 간접 승강 구동부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가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후퇴 위치로 이동한 제1 파지 기구부의 하방을 통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달 승강 구동부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가 상승 이동하고 있다면, 전달 승강 구동부가 하강 위치인 상태에서도, 제1 파지 기구부와 제2 파지 기구부를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측의 영역 사이에서 엇갈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접 승강 구동부의 구동수를 저감할 수 있어, 구동비의 저감 및 내용년수의 장기화에 기여한다.
제5 양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에 따르면,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및 제2 왕복 구동 기구부가,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측의 영역에서 교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단자를 갖는 전선의 수취 동작과 세팅 동작을 동시 진행시켜 이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절단 압착 장치와 전선 이재 장치와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선 이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선 이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전선 유지 바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전선 유지 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전선 이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전선 이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전선 이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이재 기구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2 이재 기구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전선 유지 바에 단자를 갖는 전선을 세팅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전선 반송 파지부로부터 단자를 갖는 전선을 수취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1∼도 3 참조). 전선 이재 장치(10)는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전선 유지 바(80)에 이재하기 위한 장치이다.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
설명의 편의상, 먼저,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와이어 하네스는 절단 압착 공정, 가결속 공정 및 조립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절단 압착 공정은, 전선을 정해진 길이로 길이 조절하여 절단하며, 상기 전선의 단부의 피복을 박리하여 코어선 노출 부분에 단자를 압착함으로써,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공정은 길이 조절 기구부(72), 절단 기구부(74) 및 단자 압착 기구부(76) 등을 갖는 절단 압착 장치(70)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가결속 공정은 와이어 하네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단위의 결속 형태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즉, 와이어 하네스는 복수의 가결속[및 단체의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공정은 단자를 갖는 전선(2)의 단자를 커넥터에 삽입, 전선을 결속 등을 함으로써 가결속을 제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선에 대하여 특수 단자의 압착 처리, 스플라이스 접속 처리, 트위스트 처리 등의 중간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조립 공정은 가결속 및 각종 단자를 갖는 전선(2)을 결속 등에 의해 와이어링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완성 형태의 와이어 하네스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와이어 하네스는 검사 공정 등을 거쳐 차량 또는 그 밖의 전기 기기에 삽입된다.
여기서는, 상기 절단 압착 공정에 있어서 절단 압착 장치(70)에 의해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은, 가결속 공정에 제공될 때에, 가결속 단위로 전선 유지 바(80)에 유지된다. 그리고, 단자를 갖는 전선은, 전선 유지 바(80)에 유지된 상태로, 복수의 전선 유지 바(80)를 반송하는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에 의해 순환 반송된다.
본 전선 이재 장치(10)는 절단 압착 장치(70)에 의해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에 의해 순환 반송되는 전선 유지 바(80)에 이재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전선 이재 장치(10)는 절단 압착 장치(70)와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 사이에 마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절단 압착 장치(70), 전선 유지 바(80) 및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단 압착 장치>
절단 압착 장치(70)는 길이 조절 기구부(72)와, 절단 기구부(74)와, 단자 압착 기구부(76)와, 전선 반송 기구부(78)를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길이 조절 기구부(72)는 권취 릴 등의 전선 수납체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전선을, 설정 치수씩 길이 조절하여 하류측에 송급하는 부분이다. 이 길이 조절 기구부(72)에는, 전선의 자국을 없애는 자국 제거 기구(straightening mechanism)를 구비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절단 기구부(74)는 길이 조절 기구부(72)의 하류측에 마련되고, 길이 조절 기구부(72)에 의해 설정 치수씩 송급되는 전선을 상기 설정 치수로 절단하며, 절단된 전선의 단부의 피복을 박리하는 부분이다.
또한, 단자 압착 기구부(76)는 절단 기구부(74)의 하류측에 마련되고, 절단 기구부(74)에서 절단 및 피복이 박리된 전선의 코어선 노출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부분이다. 또한, 단자 압착 기구부(76)의 상류측에, 전선에 고무 마개 등을 장착하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전선 반송 기구부(78)는 절단 기구부(74)에서 절단된 전선의 양 단부(단자가 압착되는 각 코어선 노출부의 전방측 부분으로서, 절연 피복의 양 단부)를 파지하여, 전선을 하류측에 반송하는 부분이다. 이 전선 반송 기구부(78)는 절단 기구부(74)의 하류 위치로부터, 단자 압착 기구부(76)의 처리 위치를 통과하여, 단자 압착 기구부(7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전선 이재 장치(10)가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하는 수취 위치(P1)까지, 단자를 갖는 전선(2)(전선)을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 반송 기구부(78)는 전선을 파지 및 파지 해제할 수 있는 복수의 전선 반송 파지부(79)(도 12 참조)를, 절단 기구부(74)의 하류 위치, 단자 압착 기구부(76)의 처리 위치 및 수취 위치(P1)를 통과하는 경로에 있어서 순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전선 반송 파지부(79)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편을 개폐 구동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전선 반송 기구부(78)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을, 길이 방향 양 단부를 인접하는 한쌍의 전선 반송 파지부(79)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른 동일 방향을 향하여 파지하며 길이 방향 중간부를 현수한 상태로 반송한다. 그리고, 전선 반송 파지부(79)는 절단 기구부(74)의 하류 위치에서 전선을 파지하고, 단자 압착 처리를 거쳐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 위치(P1)에서 파지 해제하여 전선 이재 장치(10)에 대하여 인도(引渡)한다.
상기 절단 압착 장치(70)의 동작 제어는, CPU, ROM 및 RAM 등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절단 압착 제어 유닛(62)에 의해 행해진다(도 1 참조). 이 절단 압착 제어 유닛(62)은 수취 위치(P1)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방의 전선 단부가 파지된 한쌍의 전선 반송 파지부(79)가 이동하면, 수취 위치(P1)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전선 유지 바>
전선 유지 바(80)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전선 유지부(82)가 일렬로 나란히 복수개 설치된 부재이다(도 4, 도 5 참조). 이 전선 유지 바(80)는 복수의 전선 유지부(82)에 각각 유지한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2)을, 각 전선 단부가 병렬형이 되는 형태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부재이다. 전선 유지 바(80)는 복수의 전선 유지부(82)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의 전선 유지부(82)를 지지하는 바 본체부(85)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 유지부(82)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유지하는 부분이며, 한쌍의 탄성 협지편(83)과, 탄성 협지편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탄성 협지편(83)은 판형 금속 재료를 펀칭 및 굴곡, 또는,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 등에 의해 성형 등을 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며, 기단측의 평탄부와 선단측의 만곡부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탄부가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만곡부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속하여 완만한 S자형으로 만곡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협지편 고정부(84)는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합성 수지 등으로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협지편 고정부(84)는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의 선단부가 서로 사이를 둔 자세로 평탄부를 중합시킨 상태(배면 맞춤)에서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협지편 고정부(84)는 일단면에서 개구되며, 그 개구부를 통하여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을 감입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는다. 탄성 협지편 고정부(84)의 내부에는, 안쪽측에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의 평탄부를 중합시킨 상태에서 협지형으로 지지하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협지편 고정부(84)는 감입된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을, 만곡부에 있어서의 선단부 부근의 일부분이 서로 근접하여 그 간격이 단자를 갖는 전선에 있어서의 전선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함)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지지한다.
그리고, 한쌍의 탄성 협지편(83) 사이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압입함으로써, 상기 전선 단부가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의 만곡부에 있어서의 근접한 부위와 탄성 협지편 고정부(84)의 개구측 단부면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전선 유지부(82)는 일례이며, 다른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선 유지부로서, 빗살형의 부재를 갖고, 이 빗살 사이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압입해 걸리게 함으로써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바 본체부(85)는 본체 기초부(86)와 한쌍의 단부 부재(88)를 가지고 있다.
본체 기초부(86)는 봉형(여기서는 각기둥 봉형)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면에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82)가 병렬형으로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기초부(86)는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전선 유지부(82)가 배열되는 형태로,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82)를 지지한다. 예컨대, 복수의 전선 유지부(82)는 본체 기초부(86)에 대하여 요철 감합됨으로써 지지되면 좋다. 그 외에도, 전선 유지부(82)를 본체 기초부(86)에 대하여 개별로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 등을 채용하여도 좋다.
한쌍의 단부 부재(88)는, 본체 기초부(86)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고, 본체 기초부(86)에 지지된 복수의 전선 유지부(82)를 그 병렬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우게 되어 있는, 빠짐을 방지하는 고정하는 부분이다.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제조하는 절단 압착 장치(7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전선 유지 바(80)를 순환 경로를 따라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도 3 참조). 이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는 복수의 바 지지부(92)와, 순환 구동 기구부(94)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는 복수의 전선 유지 바(8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바 지지부(92)를, 순환 구동 기구부(94)에 의해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시킨다.
바 지지부(92)는 복수의 전선 유지 바(80)를 각각 지지하는 부분이며, 환형의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순환 경로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만곡 경로와 직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이며, 여기서는, 반원호형의 한쌍의 만곡 경로와, 한쌍의 만곡 경로를 연결하는 한쌍의 직선 경로를 포함한다. 순환 경로는 전선 이재 장치(10)에 의해 전선 유지 바(80)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이 이재되는 세팅 위치(P2)를 통과하는 경로로 설정되어 있다.
바 지지부(92)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긴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바 지지부(92)는 전선 유지 바(80)를 내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82)[탄성 협지편(83)]가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바 지지부(92)는 전선 유지 바(80)를, 적어도 세팅 위치(P2)에서 전선 유지부(82)가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지지 가능하면 좋고, 세팅 위치(P2) 이외에서 전선 유지부(82)가 측면을 향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바 지지부(92)는 지지한 전선 유지 바(80)가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전선 유지 바(80)의 일부분에 대하여 요철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도시 생략).
순환 구동 기구부(94)는 복수의 바 지지부(92)를,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이 순환 구동 기구부(94)로서는, 한쌍의 톱니바퀴(95)와, 순환 체인(96)과, 구동부(97)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한쌍의 톱니바퀴(95)는, 각각 평행한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평기어이며, 대략 동일 평면 상에서 간격을 둔 위치에서, 베이스부(98)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톱니바퀴(95) 중 한쪽은 모터 등의 구동부(97)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환형의 순환 체인(96)은 한쌍의 톱니바퀴(95)에 감겨 순환 경로 상(여기서는, 순환 경로는 수평면에 대략 평행한 면 상)에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부(97)의 회전 구동에 의해, 한쌍의 톱니바퀴(95)가 회전하고 순환 체인(96)이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회전한다.
하지만, 순환 구동 기구부(94)는 한쌍의 톱니바퀴(95)와 순환 체인(96)의 조합을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한쌍의 풀리와 구동 벨트의 조합을 갖는 구성 등, 복수의 바 지지부(92)를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 좋다.
상기 복수의 바 지지부(92)는 순환 체인(96)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바 지지부(92)는 복수의 전선 유지 바(80)를 각각 순환 경로의 외방을 향하여 연장시키는 자세로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바 지지부(92)는 순환 체인(96)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복수의 바 지지부(92)는 베이스부(98) 상에서 주행 가능한 주행부를 통해 순환 체인(96)에 지지되고, 순환 체인(96)의 회전 이동에 따른 주행부의 이동에 의해 순환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전선 이재 장치>
전선 이재 장치(10)는 절단 압착 장치(70)에 있어서의 단자 압착 기구부(76)의 하류측의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에 의해 세팅 위치(P2)로 이동한 전선 유지 바(80)에 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이 전선 이재 장치(10)는 제1 이재 기구부(20)와 제2 이재 기구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개략적으로는, 전선 이재 장치(10)는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 각각에 의해, 교대로 수취 위치(P1)로부터 세팅 위치(P2)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을 반송하고, 절단 압착 장치(70)로부터 전선 유지 바(80)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이재한다.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는 기둥부에 의해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16)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이재 기구부(20)는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22)와,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를 갖고,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22)를, 각각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 및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도 9 참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제1 파지 기구부(22)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부이다. 또한,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제1 파지 기구부(22)]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수취 위치(P1) 및 세팅 위치(P2)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이동 영역(R1)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도 7 참조).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22)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 및 파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파지 기구부(22)는 한쌍의 파지편(23)을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사이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끼워 파지한다. 여기서는, 한쌍의 파지편(23)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파지편(23)은 단자를 갖는 전선(2)을, 대략 U자 형상의 내측을 대향부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파지하고, 전선 유지 바(80)의 전선 유지부(82) 및 전선 반송 기구부(78)의 전선 반송 파지부(79)를 걸치는 형태로 각각에 대하여 세팅 및 수취할 수 있다(도 11, 도 12 참조). 즉, 한쌍의 파지편(23)은 전선 유지부(82) 및 전선 반송 파지부(79)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의 2부분을 파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한쌍의 파지편(23)은 대략 U자 형상의 대향부끼리의 간격이, 전선 유지부(82) 및 전선 반송 파지부(79)의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의 연장 방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지 기구부(22)는 한쌍의 파지편(23)을 에어 실린더, 전자 액츄에이터 등의 개폐 구동부(24)에 의해 접촉 분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개폐 구동부(24)는 한쪽의 파지편(23)을 다른쪽의 파지편(23)에 대하여(여기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대 접촉 또는 분리 이동시키고 있다.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22)를 각각, 진출 위치(A)[도 7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제1 파지 기구부(22) 참조]와 제1 후퇴 위치(C1)(도 6 참조)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출 위치(A)는,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할 수 있거나, 또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의 복수의 전선 유지부(82) 중 어느 하나에 세팅할 수 있는 위치이다. 그리고, 진출 위치(A)에 있어서, 제1 파지 기구부(22)의 한쌍의 파지편(23)은 전선 유지부(82) 또는 전선 반송 파지부(79)를 걸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1 후퇴 위치(C1)는 진출 위치(A)로부터 후퇴한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출 위치(A)의 상방의 위치이다. 그리고, 제1 후퇴 위치(C1)에 있어서, 제1 파지 기구부(22)의 한쌍의 파지편(23)은 전선 유지부(82) 또는 전선 반송 파지부(79)를 걸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간접 승강 구동부(27)와, 전달 승강 구동부(28)를 가지고 있다. 간접 승강 구동부(27) 및 전달 승강 구동부(28)는 에어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전달 승강 구동부(28)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를 직접 승강 이동시키고, 간접 승강 구동부(2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28)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제1 파지 기구부(22)를 간접적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여기서는, 간접 승강 구동부(27) 및 전달 승강 구동부(28)는 연직 방향을 따라 직선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파지 기구부(22)는 제1 이동 영역(R1) 상에서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6, 도 9 참조).
그리고, 전달 승강 구동부(28)는 간접 승강 구동부(27)에 의해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 제1 파지 기구부(22)를, 진출 위치(A)와, 진출 위치(A)와 제1 후퇴 위치(C1) 사이의 예비 후퇴 위치(B)[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제1 파지 기구부(22) 참조]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간접 승강 구동부(27)에 의해 상승 이동한 상태의 전달 승강 구동부(28)가 제1 파지 기구부(22)를 상승 이동시킨 위치가 제1 후퇴 위치(C1)이다.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각각,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여기서, 수취 위치(P1)측의 영역 및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은, 제1 이동 영역(R1)[및 후술하는 이동 영역(R2)]에 있어서의 수취 위치(P1)측의 영역 및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이다. 즉, 여기서는,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수취 위치(P1)의 상방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의 상방의 영역 사이에서,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각각,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수취 위치(P1)에서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22)가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 전선 단부를 파지하는 한쌍의 전선 반송 파지부(79)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3 참조). 또한,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각각,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세팅 위치(P2) 중 파지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세팅 대상이 되는 2개의 전선 유지부(82)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4, 도 5 참조). 여기서, 대응하는 위치란, 각 제1 파지 기구부(22)가,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전선 반송 파지부(79) 또는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 중 유지 주체가 되는 2개의 전선 유지부(82)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위치이다.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가이드 레일(33)과, 한쌍의 이동 기초부(34)와, 한쌍의 왕복 구동부(36)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이동 기초부(34)를, 한쌍의 왕복 구동부(36)에 의해 각각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각각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3)은 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여기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가이드 레일(33)은 베이스부(16)의 한쪽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33)은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상류측의 전선 반송 파지부(79)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 중 절단 압착 장치(70)로부터 가장 떨어진 전선 유지부(82)의 상방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이동 기초부(34)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접촉 또는 분리 이동 가능하게 요철 감합하는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도 6, 도 9 참조). 또한,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한쌍의 이동 기초부(34)에 대하여 각각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의해,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각각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왕복 구동부(36)는 한쌍의 풀리(37)와, 한쪽의 풀리(37)를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모터(38)와, 한쌍의 풀리(37)에 감긴 환형의 구동 벨트(39)를 가지고 있다(도 2, 도 3 참조).
한쌍의 풀리(37)는 베이스부(16)의 일측부에 대하여 평행한(여기서는 수평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풀리(37) 중 한쪽(도 2, 도 3에서는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측)의 풀리(37)는 모터(38)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38)도 베이스부(1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 기초부(34)는 구동 벨트(39)의 연장 방향 일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동 기초부(34)는 구동 벨트(39) 중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측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왕복 구동부(36)는 모터(38)의 정역 양 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벨트(39)에 고정된 이동 기초부(34)를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왕복 구동부(36)는 한쌍의 이동 기초부(34)를 각각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병렬형으로 한쌍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각 한쌍의 풀리(37) 및 각 구동 벨트(39)는 상이한 평행 면 상에서 동작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왕복 구동부(36)에 있어서의 한쌍의 풀리(37), 모터(38) 및 구동 벨트(39)는 각 한쌍의 풀리(37) 및 각 모터(38)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는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도록, 한쌍의 구동 벨트(39)에 각각 고정된 한쌍의 이동 기초부(34)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도 9 참조). 그리고,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22)도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이재 기구부(40)는 제2 파지 기구부(42)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와, 제2 전달 이동 구동부(52)를 가지고 있다(도 6∼도 8, 도 10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이재 기구부(40)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42)를, 각각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 및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제2 파지 기구부(42)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부이다. 또한,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제2 파지 기구부(42)]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제1 이동 영역(R1)의 측방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2 이동 영역(R2)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6 참조).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42)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 및 파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지 기구부(42)는 한쌍의 파지편(43)을 접촉 또는 분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사이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끼워 파지한다. 여기서는, 한쌍의 파지편(43)은 한쌍의 파지편(23)과 마찬가지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지 기구부(42)는 한쌍의 파지편(43)을 개폐 구동부(44)에 의해 접촉 또는 분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42)를, 각각 진출 위치(A)[도 6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제2 파지 기구부(42) 참조]와, 진출 위치(A)로부터 후퇴한 제2 후퇴 위치(C2)(도 7 참조)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출 위치(A)는 제1 파지 기구부(22)의 진출 위치(A)와 동일한 위치이다. 또한, 제2 후퇴 위치(C2)는 진출 위치(A)의 경사 상방의 위치이며, 제2 파지 기구부(42)가 전선 유지부(82) 또는 전선 반송 파지부(79)를 걸치지 않는 위치이다. 이 제2 후퇴 위치(C2)는 제1 파지 기구부(22)의 제1 후퇴 위치(C1)와는 상이한 위치이다. 도 8에는,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가 각각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제2 파지 기구부(42)를, 제1 이동 영역(R1) 상의 진출 위치(A)로부터 제2 이동 영역(R2) 상의 제2 후퇴 위치(C2)까지의 사이에 경사 상방을 향하는 직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간접 승강 구동부(47)와,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전달 승강 구동부(48)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를 직접 승강 이동시키며,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제2 파지 기구부(42)를 간접적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여기서는, 간접 승강 구동부(47)는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제1 이동 영역(R1) 상의 하강 위치와, 제2 이동 영역(R2) 상에서 하강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비스듬히 승강 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강 위치란,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전선 반송 파지부(79)의 바로 위의 위치 및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의 바로 위의 위치이다. 한편, 전달 승강 구동부(48)는 제2 파지 기구부(42)를, 수직 방향을 따라 직선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접 승강 구동부(47) 및 전달 승강 구동부(48)는 에어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달 승강 구동부(48)는 상승 위치로부터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경사 하측의 하강 위치로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 제2 파지 기구부(42)를, 진출 위치(A)와, 진출 위치(A)의 상방의 예비 후퇴 위치(B)[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제2 파지 기구부(42) 참조]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파지 기구부(42)의 예비 후퇴 위치(B)는 제1 파지 기구부(22)의 예비 후퇴 위치(B)와 동일한 위치이다(하지만, 상이한 위치여도 좋음). 또한, 하강 위치로부터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경사 상방의 상승 위치로 상승 이동한 상태의 전달 승강 구동부(48)가 제2 파지 기구부(42)를 상승 이동시킨 위치가 제2 후퇴 위치(C2)이다.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각각, 제2 이동 영역(R2)에 있어서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각각,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수취 위치(P1)에서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42)가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 전선 단부를 파지하는 한쌍의 전선 반송 파지부(79)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각각,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 중 파지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세팅 대상이 되는 2개의 전선 유지부(82)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가이드 레일(53)과, 한쌍의 이동 기초부(54)와, 한쌍의 왕복 구동부(56)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가이드 레일(53)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이동 기초부(54)를, 한쌍의 왕복 구동부(56)에 의해 각각 가이드 레일(53)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각각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53)은 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여기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53)은 가이드 레일(33)과 병행하는 형태로 베이스부(16)의 다른쪽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53)은 수취 위치(P1)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세팅 위치(P2) 중 전선 유지 바(80)의 절단 압착 장치(70)로부터 가장 떨어진 전선 유지부(82)의 상방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이동 기초부(54)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53)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접촉 또는 분리 이동 가능하게 요철 감합하는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한쌍의 이동 기초부(5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각각 가이드 레일(5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왕복 구동부(56)는 한쌍의 풀리(57)와, 한쪽의 풀리(57)를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모터(58)와, 한쌍의 풀리(57)에 감긴 환형의 구동 벨트(59)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풀리(57)는 베이스부(16)의 타측부에 대하여 평행한(여기서는 수평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풀리(57) 중 한쪽[도 2에서는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측]의 풀리(57)는 모터(58)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58)도 베이스부(1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 기초부(54)는 구동 벨트(59)의 연장 방향 일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동 기초부(54)는 구동 벨트(59) 중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측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왕복 구동부(56)는 모터(58)의 정역 양 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벨트(59)에 고정된 이동 기초부(54)를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왕복 구동부(56)는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병렬형으로 한쌍 설치되어 있다. 즉, 각 한쌍의 풀리(57) 및 각 구동 벨트(59)는 상이한 평행 면 상에서 동작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왕복 구동부(56)에 있어서의 한쌍의 풀리(57), 모터(58) 및 구동 벨트(59)는 각 한쌍의 풀리(57) 및 각 모터(58)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도록, 한쌍의 구동 벨트(59)에 각각 고정된 한쌍의 이동 기초부(54)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42)도 수취 위치(P1)와 세팅 위치(P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전선 이재 장치(10)에서는,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 및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한 상태(도 6∼도 8 참조)에서,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엇갈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 및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 교대로 이동시킨다. 즉, 제1 이재 기구부(20)가 수취 위치(P1)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이재 기구부(40)가 세팅 위치(P2)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전선 유지 바(80)에 세팅한다. 또한, 제2 이재 기구부(40)가 수취 위치(P1)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하고 있는 동안에, 제1 이재 기구부(20)가 세팅 위치(P2)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전선 유지 바(80)에 세팅한다.
상기 전선 이재 장치(10)의 동작 제어는 CPU, ROM 및 RAM 등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반송 제어 유닛(60)에 의해 행해진다(도 1 참조). 이 반송 제어 유닛(60)은 절단 압착 제어 유닛(62)으로부터, 수취 위치(P1)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가 출력되면, 이 타이밍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 및 세팅하기 위해 전선 이재 장치(10)에 있어서의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의 각 구동부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의 동작 제어도 상기 반송 제어 유닛(60)에 의해 행해진다. 이 반송 제어 유닛(60)은 절단 압착 제어 유닛(62) 등과 연계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2)이 전선 유지 바(80)에 이재되도록, 전선 유지 바(80)의 반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전선 이재 장치의 동작>
다음에, 전선 이재 장치(10)의 이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수취 공정, 반송 공정 및 세팅 공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초기 상태로서, 절단 압착 장치(70)에 의해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양측의 전선 단부를 파지한 한쌍의 전선 반송 파지부(79)가 수취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에 의해, 단자를 갖는 전선(2)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전선 유지부(82)를 갖는 전선 유지 바(80)가 세팅 위치(P2)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각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각 전선 반송 파지부(79)의 상방에 지지하고,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각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의 정해진 2개의 전선 유지부(82)의 상방에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 및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각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를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에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도 8 참조). 또한, 제1 파지 기구부(22)의 한쌍의 파지편(23)은 개방되어 있고, 제2 파지 기구부의 한쌍의 파지편(23)은 사이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끼운 상태로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이재 기구부(20)의 수취 공정에서는, 우선, 간접 승강 구동부(2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28)를 하강 이동시킨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는 제1 후퇴 위치(C1)로부터 예비 후퇴 위치(B)로 이동한다.
다음에, 전달 승강 구동부(28)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를 하강 이동시킨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는 예비 후퇴 위치(B)로부터 진출 위치(A)로 이동한다.
다음에, 제1 파지 기구부(22)에 있어서, 개폐 구동부(24)에 의해 한쌍의 파지편(23)을 근접 이동시킨다(폐쇄함)(도 12 참조). 이때, 한쌍의 파지편(23)의 간격은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게(여기서는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는 전선 반송 파지부(79)에 파지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파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선 반송 파지부(79)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을 파지 해제시킨다.
다음에, 전달 승강 구동부(28)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를 상승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는 진출 위치(A)로부터 예비 후퇴 위치(B)로 이동한다.
다음에, 간접 승강 구동부(2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28)를 상승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파지 기구부(22)는 예비 후퇴 위치(B)로부터 제1 후퇴 위치(C1)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1 이재 기구부(20)에 의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수취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제1 이재 기구부(20)에 의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수취 공정 중에, 제2 이재 기구부(40)에서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세팅 공정이 실행된다.
우선,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하강 이동시킨다(도 6 참조). 이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는 제2 후퇴 위치(C2)로부터 예비 후퇴 위치(B)로 이동한다.
다음에, 전달 승강 구동부(48)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를 하강 이동시킨다(도 6 참조). 이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는 예비 후퇴 위치(B)로부터 진출 위치(A)로 이동한다. 제2 파지 기구부(42)에 파지되어 있던 단자를 갖는 전선(2)은 전선 유지 바(80)의 전선 유지부(82)에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은 한쌍의 파지편(43)의 진출 동작에 의해, 전선 단부 중의 파지편(43)의 대향부끼리의 내측을 가로지르는 부분이, 이 내측에 설치된 전선 유지부(82)의 한쌍의 탄성 협지편(83)에 협지된다(도 5, 도 11 참조).
다음에, 제2 파지 기구부(42)에 있어서, 개폐 구동부(44)에 의해 한쌍의 파지편(43)을 이격 이동시킨다(개방함). 이때, 한쌍의 파지편(43)의 간격은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파지 해제한다.
다음에, 전달 승강 구동부(48)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를 상승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는 진출 위치(A)로부터 예비 후퇴 위치(B)로 이동한다.
다음에,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상승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는 예비 후퇴 위치(B)로부터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2 이재 기구부(40)에 의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세팅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도 6, 도 7에서는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가 교대로 진출 위치(A)와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하고 있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 나타낸 것이며, 실제로는,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의 양방이 각각 수취 위치(P1)측의 영역 또는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에 있어서 진출 위치(A)로 이동한다.
제1 이재 기구부(20)의 수취 공정 및 제2 이재 기구부(40)의 세팅 공정 완료 후,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의 반송 공정이 실행된다.
즉,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에 의해,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제1 경로(R1)에 있어서 수취 위치(P1)측의 영역으로부터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에 의해,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제2 경로(R2)에 있어서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부터 수취 위치(P1)측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가 엇갈릴 때에, 제1 파지 기구부(22)와 제2 파지 기구부(42)는 각각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에 있는 상태에서 서로 측방을 통과한다(도 8 참조).
그 밖에도,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한 상태이면,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는 엇갈릴 수 있다. 제1 파지 기구부(22)가 제1 후퇴 위치(C1)에 있으며, 제2 파지 기구부(42)가 예비 후퇴 위치(B)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 파지 기구부(42)는 제1 파지 기구부(22)의 하방을 빠져 나간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상태는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48)가 하강 위치로 이동하고, 전달 승강 구동부(48)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가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다. 또한, 제1 파지 기구부(22)가 예비 후퇴 위치(B)에 있으며, 제2 파지 기구부(42)가 제2 후퇴 위치(C2)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파지 기구부(22)와 제2 파지 기구부(42)는 서로 측방을 통과한다(도 7 참조).
또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단자가 비교적 긴 경우, 제1 이재 기구부(20)와 제2 이재 기구부(40)의 간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 등에는,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 중, 단자를 갖는 전선(2)을 파지하여 수취 위치(P1)측의 영역으로부터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한쪽이 예비 후퇴 위치(B)에 배치되고, 다른쪽이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가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에서 교대로 이동하면 좋다(도 6, 도 7 참조).
즉, 수취 공정 및 세팅 공정에 있어서,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에 있어서,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하고 있으면, 다른쪽이 예비 후퇴 위치(B)로부터 상승 이동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는 각 제1 파지 기구부(22)가 세팅 위치(P2)에 배치된 전선 유지 바(80) 중 전회 세팅한 전선 유지부(82)와는 상이한 세팅 대상인 전선 유지부(82)의 상방에 배치되는 위치까지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이동시킨다. 또한,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각 제2 파지 기구부(42)가 수취 위치(P1)에 배치된 한쌍의 전선 반송 파지부(79)의 상방에 배치되는 위치까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이동시킨다.
반송 공정을 완료하면, 다음은, 제1 이재 기구부(20)에 의해 수취 공정에서 수취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세팅 공정을 실행하며, 제2 이재 기구부(40)에 의해 단자를 갖는 전선의 수취 공정을 실행한다.
즉, 제1 이재 기구부(20)에서는,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에 의해 각 제1 파지 기구부(22)를 진출 위치(A)로 이동시켜 전선 유지 바(80)의 전선 유지부(82)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각 제1 파지 기구부(22)에 의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의 파지를 해제하고, 재차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에 의해 각 제1 파지 기구부(22)를 제1 후퇴 위치(C1)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이재 기구부(20)에 의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세팅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제2 이재 기구부(40)에서는,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26)에 의해 각 제2 파지 기구부(42)를 진출 위치(A)로 이동시키고, 제2 파지 기구부(42)에 의해 전선 반송 파지부(79)에 파지되어 있는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전선 단부를 파지한다. 그리고, 재차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에 의해 각 제2 파지 기구부(42)를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이재 기구부(20)에 의한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수취 공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다음에,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의 반송 공정을 실행한다. 즉,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에 의해,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를, 제1 경로(R1)에 있어서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부터 수취 위치(P1)측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에 의해,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제2 경로(R2)에 있어서 수취 위치(P1)측의 영역으로부터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하여 단자를 갖는 전선(2)를 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유지 바(80)가 다 차면, 전선 유지 바 반송 장치(90)에 의해 다음 전선 유지 바(80)를 세팅 위치(P2)로 이동시켜 상기 전선 유지 바(80)에 대하여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이재해 가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이재 장치(10)에 따르면,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와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가,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C1) 또는 제2 후퇴 위치(C2)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으로 교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 중 한쪽이 수취 위치(P1)측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수취하는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쪽이 세팅 위치(P2)측에서 전선 유지 바(80)의 전선 유지부(82)에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세팅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이송 기구부만이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서 배의 속도로 단자를 갖는 전선(2)을 이재할 수 있어,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이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의 진출 위치(A1)가 동일한 위치이기 때문에, 절단 압착 장치(70) 및 전선 유지 시 바 반송 장치(90)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이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가 제2 파지 기구부(42)를,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가 이동하는 제1 이동 영역(R1) 상의 진출 위치(A)로부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가 이동하는 제2 이동 영역(R2) 상에서 진출 위치(A)의 경사 상방의 제2 후퇴 위치(C2)까지의 사이에서 경사 상방을 향하는 직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따르면, 제2 파지 기구부(42)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이재 장치(10) 자체의 공간 절약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가, 제2 파지 기구부(42)를 승강 이동시키는 전달 승강 구동부(48)와,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제1 이동 영역(R1) 상의 하강 위치와 제2 이동 영역(R2) 상에서 하강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비스듬히 승강 이동시키는 간접 승강 구동부(47)를 가지고 있는 구성에 따르면,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제1 이동 영역(R1) 상의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보다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의 이동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실현할 수 있어, 전선 이재 장치(10)의 설비비의 저감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지 기구부(42)가,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48)가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후퇴 위치(C1)로 이동한 제1 파지 기구부(22)의 하방을 통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에 따르면, 전달 승강 구동부(48)에 의해 제2 파지 기구부(42)가 상승 이동하고 있으면, 전달 승강 구동부(48)가 하강 위치인 상태에서도, 제1 파지 기구부(22)와 제2 파지 기구부(42)를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 사이에서 엇갈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접 승강 구동부(47)의 구동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구동비의 저감 및 내용년수의 장기화에 기여한다. 또한, 제1 파지 기구부(22)와 제2 파지 기구부(42)가 서로 측방을 엇갈리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파지한 단자를 갖는 전선(2) 중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클리어런스를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의 측방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선 이재 장치(10) 자체의 공간 절약화에 기여한다.
또한,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 및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가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와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에서 교대로 이동시키기 위해, 단자를 갖는 전선(2)의 수취 동작과 세팅 동작을 동시 진행시켜 이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제1 이재 기구부(20)에 대해서, 제1 파지 기구부(22)를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예로 설명하여 왔지만, 제2 이재 기구부(40)와 같이 제1 파지 기구부(22)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예컨대, 제1 이재 기구부(20)는 경사 방향을 따라 설치한 간접 승강 구동부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28)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이재 기구부(40)에 대해서, 간접 승강 구동부(47)에 의해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예로 설명하여 왔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이재 기구부(40)는 제2 파지 기구부(42)를 진출 위치(A)와 제2 후퇴 위치(C2)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좋고, 수평 방향으로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이동시키는 간접 승강 구동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이재 기구부(40)는 간접 승강 구동부가 전달 승강 구동부(48)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제1 파지 기구부(22)를 경사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의 구성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 및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가 가이드 레일, 이동 기초부, 한쌍의 풀리, 모터 및 구동 벨트에 의해 구성되는 예로 설명하여 왔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왕복 구동 기구부(32) 및 제2 왕복 구동 기구부(52)는 제1 진퇴 구동 기구부(26) 또는 제2 진퇴 구동 기구부(46)를, 제1 이동 영역(R1) 또는 제2 이동 영역(R2)을 따라 직선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이면 좋고, 에어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전선 이재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제1 이재 기구부(20)의 수취 공정 또는 세팅 공정과 제2 이재 기구부(40)의 세팅 공정 또는 수취 공정이 동시 진행되는 예로 설명하여 왔지만, 양자의 양 공정의 타이밍이 어긋나도 좋다. 즉, 제1 이재 기구부(20)와 제2 이재 기구부(40)는, 제1 파지 기구부(22)와 제2 파지 기구부(42)가 엇갈리도록 동작하면, 하나의 이재 기구부에 의해 이재를 행하는 경우보다 이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재 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말하면, 제1 이재 기구부(20) 및 제2 이재 기구부(40)에 의한 제1 파지 기구부(22) 및 제2 파지 기구부(42)의 수취 위치(P1)측의 영역과 세팅 위치(P2)측의 영역 사이의 왕복 이동은 교대로 행해져, 세팅 공정 또는 수취 공정이 동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전선 이재 장치(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시되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2 단자를 갖는 전선
10 전선 이재 장치
20 제1 이재 기구부
22 제1 파지 기구부
26 제1 진퇴 구동 기구부
32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40 제2 이재 기구부
42 제2 파지 기구부
46 제2 진퇴 구동 기구부
47 간접 승강 구동부
48 전달 승강 구동부
52 제2 왕복 구동 기구부
80 전선 유지 바
82 전선 유지부
P1 수취 위치
P2 세팅 위치
R1 제1 이동 영역
R2 제2 이동 영역

Claims (5)

  1. 절단 압착 장치에서 제조되어 수취 위치에 배치된 단자를 갖는 전선을, 세팅 위치에 배치되며,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전선 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전선 유지부가 일렬로 복수개 설치된 전선 유지 바에 이재(移載)하는 전선 이재 장치로서,
    제1 이재 기구부와 제2 이재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재 기구부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 및 파지 해제할 수 있는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1 파지 기구부를 각각, 상기 수취 위치에 배치된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을 수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을 상기 세팅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 중 어느 하나에 세팅할 수 있는 진출 위치와,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제1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1 진퇴 구동 기구부를 각각, 상기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상기 세팅 위치측의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를 가지며,
    상기 제2 이재 기구부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양 전선 단부를 각각 파지 및 파지 해제할 수 있는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2 파지 기구부를 각각, 상기 진출 위치와,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제1 후퇴 위치와는 별도의 제2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한쌍의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각각,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에 의한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의 이동 영역과 병행하는 이동 영역에 있어서, 상기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상기 세팅 위치측의 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2 왕복 구동 기구부
    를 갖고,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및 상기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1 파지 기구부 및 상기 제2 파지 기구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제1 후퇴 위치 또는 제2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엇갈리게 하는 것인 전선 이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를 상기 수취 위치 및 상기 세팅 위치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이동 영역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상기 제1 이동 영역의 측방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2 이동 영역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2 파지 기구부를, 상기 제1 이동 영역 중의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이동 영역 중에서 상기 진출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기 제2 후퇴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경사 상방을 향하는 직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로 이동시키는 것인 전선 이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2 파지 기구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전달 승강 구동부와,
    상기 전달 승강 구동부를, 상기 제1 이동 영역 중의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이동 영역 중에서 상기 하강 위치의 경사 상방의 상승 위치의 사이에서 비스듬히 승강 이동시키는 간접 승강 구동부
    를 갖는 것인 전선 이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 기구부는, 상기 간접 승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전달 승강 구동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기 제1 파지 기구부의 하방을 통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전선 이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왕복 구동 기구부 및 상기 제2 왕복 구동 기구부는, 상기 제1 진퇴 구동 기구부와 상기 제2 진퇴 구동 기구부를, 상기 수취 위치측의 영역과 상기 세팅 위치측의 영역으로 교대로 이동시키는 것인 전선 이재 장치.
KR1020147021134A 2012-02-09 2012-07-27 전선 이재 장치 KR101647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5801 2012-02-09
JP2012025801A JP5817576B2 (ja) 2012-02-09 2012-02-09 電線移載装置
PCT/JP2012/069093 WO2013118324A1 (ja) 2012-02-09 2012-07-27 電線移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714A true KR20140108714A (ko) 2014-09-12
KR101647573B1 KR101647573B1 (ko) 2016-08-10

Family

ID=4894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134A KR101647573B1 (ko) 2012-02-09 2012-07-27 전선 이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14042B1 (ko)
JP (1) JP5817576B2 (ko)
KR (1) KR101647573B1 (ko)
CN (1) CN104094366B (ko)
WO (1) WO201311832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43B1 (ko) * 2018-12-13 2019-05-16 김재현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KR102369027B1 (ko) * 2021-08-20 2022-03-03 곽철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
KR20230022724A (ko) * 2021-08-09 2023-02-16 곽재곤 이중 적재 이재기
KR20230031432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를 이용한 중간 탈피방법
KR20230031434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
KR20230050137A (ko) * 2021-10-07 2023-04-14 안종이 와이어 하네스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7639B2 (ja) * 2013-12-18 2017-04-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排出装置
DE102015108425B4 (de) * 2015-05-28 2022-12-08 Lisa Dräxlmaier GmbH Anordnen mehrerer elektrischer Leitungen und Anordnungsvorrichtung dafür
CN106602384A (zh) * 2015-10-14 2017-04-26 界首市迅立达电梯有限公司 一种全自动端子机
DE102017206139B4 (de) 2017-04-10 2023-12-07 Leoni Bordnetz-Systeme Gmbh Anlage sowie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Herstellen eines Kabelsatzes
DE102017206141B4 (de) * 2017-04-10 2021-01-28 Leoni Bordnetz-Systeme Gmbh Anlage sowie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Vorbereitung und Bereitstellung von einzelnen Leitungselementen für einen Kabelsatz
CN113422273B (zh) * 2021-06-24 2022-05-03 刘丽琴 一种基于智能制造用新能源汽车线束线耳组装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33B1 (ko) *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JP2010287369A (ja) 2009-06-10 2010-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持バー搬送装置及び電線セット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088B2 (ja) * 1998-10-19 2004-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009032530A (ja) * 2007-07-27 2009-02-12 Kodera Electronics Co Ltd 電線処理システム
JP2009152105A (ja) * 2007-12-21 200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セット揃え装置及びサブアッシーの製造方法
JP5194772B2 (ja) * 2007-12-21 2013-05-08 住友電装株式会社 切圧セット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33B1 (ko) *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JP2010287369A (ja) 2009-06-10 2010-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持バー搬送装置及び電線セット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43B1 (ko) * 2018-12-13 2019-05-16 김재현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KR20230022724A (ko) * 2021-08-09 2023-02-16 곽재곤 이중 적재 이재기
KR102369027B1 (ko) * 2021-08-20 2022-03-03 곽철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
KR20230031432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를 이용한 중간 탈피방법
KR20230031434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
KR20230050137A (ko) * 2021-10-07 2023-04-14 안종이 와이어 하네스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8324A1 (ja) 2013-08-15
JP5817576B2 (ja) 2015-11-18
EP2814042B1 (en) 2016-06-29
JP2013161776A (ja) 2013-08-19
EP2814042A4 (en) 2015-08-05
KR101647573B1 (ko) 2016-08-10
CN104094366B (zh) 2016-09-14
CN104094366A (zh) 2014-10-08
EP2814042A1 (en)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573B1 (ko) 전선 이재 장치
JP470488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10340644A (ja) ツイスト電線製造装置
US9787046B2 (en) Wire sorting fixture and method of sorting wires
EP2390194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chip devices on wires
WO2009081605A1 (ja) 電線セット揃え装置及びサブアッシーの製造方法
KR20170088991A (ko)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의 단부에 요소를 끼워맞춤하는 방법
CN113964621A (zh) 一种冰箱传感器线束的生产方法
CN110546829B (zh) 向附带端子的电线的端子装配壳体的装置及向附带端子的电线的端子装配壳体的方法
KR910004800B1 (ko) 하아네스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02298670A (ja) 配索装置
JP5842631B2 (ja) 電線保持バー搬送装置
US5933932A (en)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harness
US10822173B2 (en) Link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85852A (ko) 전선 배출 장치
CN111585139A (zh) 线束处理装置、线束弯折装置及线束处理系统
JPH10507300A (ja) 電気ハーネス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CN201203007Y (zh) 全自动节日灯组装机的输线装置
JP3181291B2 (ja) ワイヤー用グリッパーおよびグリッパーを用いたワイヤー束の製作方法および装置
CN110600965B (zh) 一种同轴电缆线束的连接器组装夹具
CN113752195B (zh) 一种用于传感器线束生产的导正定位装置
JP3185057B2 (ja) 部品にワイヤー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ワイヤー束の製作装置
CN220617493U (zh) 一种夹具运送装置及双工位绕线排模设备
CN112421337B (zh) 一种自动化导线布线插值用牵线机构
CN211470304U (zh) 一种电线输送装置及线束的制造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