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852A - 전선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852A
KR20160085852A KR1020167015482A KR20167015482A KR20160085852A KR 20160085852 A KR20160085852 A KR 20160085852A KR 1020167015482 A KR1020167015482 A KR 1020167015482A KR 20167015482 A KR20167015482 A KR 20167015482A KR 20160085852 A KR20160085852 A KR 20160085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r
holding
portions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하토리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선 유지 바의 교체 시에, 전선이 얽히기 어렵거나, 또는 걸리기 어렵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선 배출 장치는, 복수의 전선 유지부가 병렬형으로 설치된 전선 유지 바를 지지할 수 있는 2개의 바 지지부와,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에 전선을 순차 세팅하는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와, 상기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로부터의 전선 수취 위치와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2개의 상기 바 지지부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바 지지부에 대한 상기 취출 위치들은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전선 수취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이하다.

Description

전선 배출 장치{WIRE E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전선의 양단부를 파지(把持)하여 반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는, 단자를 갖는 전선을 묶음으로써 제조된다. 단자를 갖는 전선은, 바퀴형 전선 다발로부터 장척(長尺)의 전선을 인출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또한, 단부의 피복부의 피박(皮剝) 처리, 단자의 압착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제조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절단 압착 세팅 장치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210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절단 압착 세팅 장치에 있어서, 절단 압착 기구부에 의해 제조되는 단자를 갖는 전선은 전선 유지 바 지지부 및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 등에 의해, 세트마다 장척의 전선 유지 바(세팅 바라고도 불림)에 파지되어, 전선 유지 바와 함께 취출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절단 압착 세팅 장치의 전선 유지 바 지지부에서는, 단자를 갖는 전선이 세팅된 전선 유지 바와 빈 전선 유지 바를 교체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선 유지 바를 지지하는 2개의 바 지지 기구부끼리 스쳐 지나갈 때에, 단자를 갖는 전선이 얽혀 버리거나 또는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선 유지 바의 교체 시에, 전선이 얽히기 어렵거나, 또는 걸리기 어렵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는, 복수의 전선 유지부가 병렬형으로 설치된 전선 유지 바를 지지할 수 있는 2개의 바 지지부와,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에 전선을 순차적으로 세팅하는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와, 상기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로부터의 전선 수취 위치와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2개의 상기 바 지지부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바 지지부에 대한 상기 취출 위치들은,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전선 수취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이하다.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는,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로서, 상기 이동 기구부는, 2개의 상기 바 지지부가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해지도록, 2개의 상기 바 지지부를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일체적으로 이동시킨다.
제3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로서, 상기 바 지지부 중 상기 전선 유지 바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얽힘 방지 시트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4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로서, 상기 바 지지부는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가 상기 전선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이 되도록, 상기 바 지지부의 이동 시에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제5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는, 제4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로서,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가 상기 전선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의 상기 다른쪽 단부를 상기 한쪽 단부를 향해 밀어붙일 수 있는 바 단부 지지 기구부를 더 구비한다.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에 의하면, 각 바 지지부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의 취출 위치들이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전선 수취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이하기 때문에, 각 전선 유지 바가 전선 수취 위치와 취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스쳐 지나가기 어려워짐으로써, 전선이 얽히거나 또는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에 의하면, 이동 기구부가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2개의 바 지지부를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바 지지부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해짐으로써, 2개의 바 지지부가 스쳐 지나가는 일이 없어져, 전선이 얽히거나 또는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3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에 의하면, 바 지지부 중 전선 유지 바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얽힘 방지 시트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유지 바에 유지된 전선이 전선 유지 바의 하방에서 얽히거나 또는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에 의하면, 바 지지부는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바 지지부의 이동 시에 바 지지부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바 지지부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가 전선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이 되도록 규제된다. 이에 의해, 전선 유지 바가 올바른 위치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을 세팅하는 작업이 시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유지 바가 일단(片端)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유지 바를 분리하기 쉬워지고, 분리 시에 전선의 걸림 또는 얽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에 의하면, 바 지지부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가 전선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를 한쪽 단부를 향해 밀어붙일 수 있는 바 단부 지지 기구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전선 유지 바가 올바른 위치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을 세팅하는 작업이 시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절단 압착 세팅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전선 유지 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전선 유지 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전선 유지 바 공급 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30)는, 여기서는, 절단 압착 세팅 장치(1)의 하류측에 편입되어 있다.
<1. 절단 압착 세팅 장치>
먼저, 절단 압착 세팅 장치(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절단 압착 세팅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절단 압착 세팅 장치(1)는,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의해 처리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전선 배출 장치(30)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며, 상기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의해 전선의 장척 절단 및 단자 압착을 행하고, 전선 배출 장치(30)에 의해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에 순차 세팅하며, 전선 유지 바(10)와 함께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단 압착 기구부(22)는, 전선을 절단하여 단부에 단자를 압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단 압착 기구부(22)는,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소정 순서로 제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적절히 혼재시킨 순서라도, 그리고 동일한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연속적으로도 제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 압착 기구부(22)는, 전선 길이 조절 절단부(23)와, 전선 피박부(皮剝部; 24)와, 단자 압착부(25)를 구비하고, 전선 단부를 반송하는 전선 단부 반송 기구부(26)를 갖고 있다.
전선 길이 조절 절단부(23)는, 복수의 종류의 전선을 선택적으로 소정 길이로 절단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며, 예컨대, 전선을 권취 수납한 릴(reel)과, 상기 릴로부터 전선 길이를 측장(測長)하면서 전선을 인출하는 전선 측장 인출부와, 인출된 전선을 절단하는 전선 절단부와, 인출된 전선을 U자형으로 되접는 되접음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측장 인출부의 구동에 의해 릴로부터 전선을 소정 길이만큼 인출하고, 전선 절단부에 의해 전선을 절단한다. 또한, 인출된 전선의 일단부를 되접음부로 되접어 대략 U자형으로 하고, 그 양단부를 상기 전선 단부 반송 기구부(26)에 세팅한다. 이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전선(W)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릴이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각 릴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선을 공급 가능하게 하는 전선 선택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종류의 전선을 적절히 전환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종류의 전선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소정 길이의 전선으로 절단하는 전선 길이 조절 절단부(23) 자체의 구성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306257호 공보 등에 개시된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선 피박부(24)는, 전선(W)의 단부를 피박하는 것이며, 예컨대,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피박날(stripping blade)과, 전선(W) 단부를 향해 상기 피박날을 진퇴 구동시키는 진퇴 구동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선 피박부(24)에 반송된 전선 단부를 향해 한 쌍의 피박날을 접근 이동시켜, 한 쌍의 피박날을 전선(W)의 피복부에 절입시킨 상태에서, 전선의 단부측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전선(W)의 단부의 피복부가 피박된다. 이러한 전선 피박부(24)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박날로 피복부를 제거하는 구성 등, 여러 가지 주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단자 압착부(25)는, 전선(W) 단부에 대해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압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컨대, 복수의 쌍의 다이 세트(die set)를 가지며, 그 복수의 쌍 중에서 한 쌍의 다이 세트를 공통의 단자 압착 위치에 세팅할 수 있는 압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상기 단자 압착 위치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 피박부(24)에 의해 피박된 전선(W)의 단부가, 상기 단자 압착부(25)에 반송되면, 미리 설정된 소정의 단자가 선택되어 공급되고, 상기 소정의 단자에 따른 한 쌍의 다이 세트가 선택되어 단자 압착 위치에 세팅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전선(W)의 단부에 소정의 단자가 압착되어, 단자를 갖는 전선(18)이 얻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자 압착부(25) 자체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5822호 공보 등에 개시된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선 단부 반송 기구부(26)는, 전선(W)의 단부를 유지해서, 전선 길이 조절 절단부(23)로부터 전선 피박부(24) 및 단자 압착부(25)를 경유하여, 전선 배출 장치(30)측의 전달 위치(WP)를 향해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선(W)의 양단부를 파지 및 파지 해제 가능한 한 쌍의 전선 단부 유지부(27)와, 상기 전선 단부 유지부(27)를, 전선 길이 조절 절단부(23), 전선 피박부(24), 단자 압착부(25)에 대응하는 각 위치 및 전달 위치(WP)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전선 단부 왕복 구동부(28)를 갖고 있다.
각 전선 단부 유지부(27)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파지편(把持片; holding piece)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파지편의 일단부는 소정의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air cylinder)와 같은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에 의해, 입설(立設)형으로 폐쇄된 폐쇄 자세와, 도복(倒伏)형으로 개방된 개방 자세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전선 단부 유지부(27)는, 전선 단부 왕복 구동부(28)에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선 단부 왕복 구동부(28)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의 액추에이터를 갖고 있고, 한 쌍의 각 전선 단부 유지부(27)를, 전선 길이 조절 절단부(23)로부터 전선 피박부(24), 단자 압착부(25)를 거쳐, 전달 위치(WP)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선 단부 왕복 구동부(28)는, 각 전선 단부 유지부(27)에 유지된 전선(W)의 단부가, 전선 피박부(24) 및 단자 압착부(25)에 있어서의 각 작업 위치를 통과할 때에 일단 정지하여, 상기 전선(W)의 단부에 대해 피박 처리나 단자 압착 처리 등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단부의 피박 및 단자 압착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상기 단자 압착부(25)보다 전선 배출 장치(30)쪽의 위치에 설정된 전달 위치(WP)에 반송하고, 여기서, 이들 단부를 전선 배출 장치(30)에 건네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절단 압착 기구부(22)는, 전선의 종류 및 단자의 종류 양자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한쪽만 변경 가능해도 상관없다. 또한, 절단 압착 기구부(22)는, 1종류의 전선의 단부에 대해 1종류의 단자를 연속적으로 압착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2. 전선 배출 장치>
다음으로, 전선 배출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배출 장치(30)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전선 배출 장치(30)는,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32)와, 바 공급 기구부(40)를 구비한다. 바 공급 기구부(40)는, 2개의 바 지지부(50)와, 이동 기구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32)는,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의해 단자 압착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유지하여,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순차 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 공급 기구부(40)는, 2개의 바 지지부(50)를 이동 기구부(60)에 의해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로부터의 전선 수취 위치(RP)와 전선 유지 바(10)의 취출 위치(TP)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세팅하기 위한 전선 유지 바(10)에 대해 설명해 둔다. 도 3은 전선 유지 바(1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전선 유지 바(1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선 유지 바(10)는, 본체부(12)와, 복수의 전선 유지부(14)와, 측판부(16)를 갖고 있다.
본체부(12)는, 긴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측면(12f)측 부분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지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지 오목부(12a)는, 본체부(12)의 상기 일측면(12f) 및 그 일측면 옆의 양 측면에 개구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기 일측면(12f)측의 개구 단부는 그 기단측보다 좁아지고 있다.
각 전선 유지부(14)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부재이다. 여기서는, 전선 유지부(14)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굴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고정 단부(14a)와 협지부(挾持部; 14b)를 가지며, 이들 사이 부분이 고정 단부(14a)와 협지부(14b)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단부(14a)를 상기 유지 오목부(12a) 내에 끼워 넣도록 삽입함으로써, 협지부(14b)를 본체부(12)의 상기 일측면(12f)보다 돌출시킨 자세로, 전선 유지부(14)가 본체부(12)에 대해 고정 유지된다. 또한, 복수의 전선 유지부(14)를, 마찬가지로 하여 각 유지 오목부(12a)에 삽입해서 끼워 넣음으로써, 이들 복수의 전선 유지부(14)가 본체부(12)에 대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병렬형으로 지지되게 된다.
한편, 여기서, 복수의 전선 유지부(14)는, 본체부(12)에 대해 대략 균등한 간격으로 늘어서도록 지지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전선 유지부(14)가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늘어서는 부분과, 전선 유지부(14)가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늘어서는 부분이 존재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협지부(14b)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단부를 갖고 있다. 2개의 단부의 선단측 부분(14c)은 그 선단 방향을 향해 약간 확장되고, 마주한 2개의 단부의 기단측 부분(14d)은 그 기단 방향을 향해 약간 확장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 부분(14e)이 협애부(狹隘部)로서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2) 중 상기 유지 오목부(12a)가 형성된 일측면(12f) 옆의 양 측면에, 각각 측판부(16)가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측판부(16)는, 상기 유지 오목부(12a)에 삽입 유지된 전선 유지부(14)가 상기 유지 오목부(12a)의 개구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이 전선 유지 바(10)에서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부(14)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하면,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외주부가 협지부(14b)의 양단부 중 선단측 부분(14c)의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협지부(14b)의 양단부를 밀어 넓힌다. 그리고, 단자를 갖는 전선(18)이 상기 협애부인 사이 부분(14e)을 넘어가면, 협지부(14b)의 양단부가 탄성 복귀하여 원래 형태로 좁아진다. 이에 의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협지부(14b)의 양단부 사이에 빠짐 방지 형상으로 유지되게 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32)는, 여기서, 한 쌍의 전선 단부 회전부(33)와,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전선 단부 회전부(3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선 단부 회전부(33)는, 상기 전달 위치(WP)에서의 한 쌍의 전선 단부 유지부(27)로부터 각각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회전된 경우, 상기 회전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뒤에서의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에 있어서의 반송 및 수취, 전달 등이 이루어진다.
한편,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회전시킬지의 여부는, 하류 공정에서의 작업에 따라 결정되며, 미리 제어 유닛(70)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에 따라 작동한다. 예컨대, 하류 공정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는 경우, 그 삽입 자세에 따라 회전시킬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회전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이러한 각 전선 단부 회전부(33)는, 각 전선 단부 유지부(27)로부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수취한 후, 회전시키지 않고, 다음의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에 건네준다. 한편, 전선 단부 회전부(33)는 생략되어도 좋다.
도 5는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는, 상기 각 전선 단부 회전부(33)로부터 수취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에 순차 세팅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는,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와,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를 이동시키는 세팅부 이동 기구부(39)를 갖고 있다.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는, 베이스 플레이트(37a)에 대해 제1 승강 구동부(37b)를 통해 승강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플레이트(37c)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37c)에 대해 각각 제2 승강 구동부(37d)를 통해 승강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개별 플레이트(37e)와, 한 쌍의 개별 플레이트(37e)에 각각 지지된 한 쌍의 파지부(38)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승강 구동부(37b)는,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중간 플레이트(37c)를 승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승강 구동부(37d)는, 각각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개별 플레이트(37e)를 각각 따로따로 승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승강 구동부(37b)는 한 쌍의 파지부(38)를 동기하여 승강 구동하고, 한 쌍의 제2 승강 구동부(37d)는 한 쌍의 파지부(38)를 개별적으로 승강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파지부(38)는, 한 쌍의 개별 플레이트(37e)의 각각에 수하(垂下)형으로 지지되어 있고,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파지 및 파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파지부(38)는, 한 쌍의 폴부(pawl portion; 38a)와,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폴부(38a)를 접근 및 이격 이동시키는 폴부 구동부(38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폴부(38a)는, 선단측을 향해 2개로 분기되어 있고,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둔 2부위에서 파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폴부 구동부(38b)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폴부(38a)를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양 폴부(38a) 사이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파지되고, 폴부 구동부(38b)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폴부(38a)를 이격 이동시킴으로써, 양 폴부(38a) 사이로부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의 파지가 해제된다.
또한, 세팅부 이동 기구부(39)는, 상기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를,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대응하는 위치와 바 지지부(50)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여기서, 세팅부 이동 기구부(39)는, 한 쌍의 풀리체(39a)와, 한쪽의 풀리체(39a)를 정방향 및 역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모터(39b)와, 한 쌍의 풀리체(39a)에 감긴 무단(無端) 환형의 벨트체(39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의 베이스 플레이트(37a)는 상기 벨트체(39c)의 도중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39b)의 양 방향(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가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대응하는 위치와 바 지지부(50) 사이에서 왕복 구동되고, 그 도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세팅부 이동 기구부(39)는, 상기 구성 외에, 모터와 볼 나사 기구 등을 이용한 직선 이동 기구 등, 각종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반송하여 전선 유지 바(10)에 세팅한다.
즉, 세팅부 이동 기구부(39)의 구동에 의해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를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대응하는 상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부(38)의 각각의 한 쌍의 폴부(38a)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1 승강 구동부(37b)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파지부(38)를 하강시켜, 각각의 한 쌍의 폴부(38a)를,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의해 파지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폴부 구동부(38b)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한 쌍의 폴부(38a)를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한 쌍의 폴부(38a)에 의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각 단부가 파지된다. 이후, 제1 승강 구동부(37b)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파지부(38)를 상승시키고, 또한, 세팅부 이동 기구부(39)의 구동에 의해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를,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상방에서는, 먼저, 한쪽의 파지부(38)에 의해 파지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 중 세팅해야 할 위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부 이동 기구부(39)의 구동에 의해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2 승강 구동부(37d)의 구동에 의해 혹은 제1 승강 구동부(37b)와 제2 승강 구동부(37d)의 양 구동에 의해, 상기 한쪽의 파지부(38)에 의해 파지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세팅해야 할 전선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한쪽의 파지부(38)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폴부 구동부(38b)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한쪽의 파지부(38)의 한 쌍의 폴부(38a)를 이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한쪽의 파지부(38)에 의한 파지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한쪽의 단부가 원하는 전선 유지부(14)에 세팅된다.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에 있어서의 어떤 전선 유지부(14)에 세팅할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70)에 대한 작업 지령에 따라 결정된다. 즉, 작업 지령으로서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제조순서 및 제조된 각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배열순서가 설정되어 있고, 제어 유닛(70)은, 이러한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파지하고 있는, 상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에 있어서의 어떤 전선 유지부(14)에 세팅해야 할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70)이, 해당 위치의 전선 유지부(14)에 세팅하도록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미리 설정된 순서로 늘어서도록,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순차적으로 세팅된다.
또한, 작업 지령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제조하라고 입력됨으로써, 제어 유닛(70)은, 동일한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순차적으로 세팅해 가도록,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를 제어한다.
한편,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제조순서와 전선 유지 바(10)에 있어서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의 배열순서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조순서 및 단부의 배열순서는, 예컨대, 다음 공정에서의 제조 상황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이후, 제2 승강 구동부(37d)의 구동에 의해 혹은 제1 승강 구동부(37b)와 제2 승강 구동부(37d)의 양 구동에 의해, 상기 한쪽의 파지부(38)가 상승한다. 다음으로, 다른쪽의 파지부(38)에 의해 파지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에 대해서도, 이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다른 원하는 전선 유지부(14)에 세팅한다. 그리고,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세팅 완료하면, 세팅부 이동 기구부(39)의 구동에 의해, 전선 단부 파지 세팅부(37)를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대응하는 상방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작동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의해 단자 압착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가, 그 제조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세팅된다.
도 8 및 도 9는 바 공급 기구부(40)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바 공급 기구부(40)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10은 2개의 바 지지부(50) 중 한쪽의 바 지지부(52)가 전선 수취 위치(RP)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1은 2개의 바 지지부(50) 중 다른쪽의 바 지지부(55)가 전선 수취 위치(RP)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바 공급 기구부(40)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여기서, 바 공급 기구부(40)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유지된 전선 유지 바(10)를, 빈 전선 유지 바(10)로 교체하여 원활한 처리가 행해지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바 공급 기구부(40)는, 각각 전선 유지 바(10)를 지지 가능한 2개의 바 지지부(50)와,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로부터의 전선 수취 위치(RP)와 전선 유지 바(10)의 취출 위치(TP) 사이에서 2개의 바 지지부(50)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2개의 바 지지부(50)에 대한 취출 위치(TP)들은,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전선 수취 위치(RP)를 사이에 두고 상이하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바 지지부(5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해지도록, 2개의 바 지지부(50)를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일체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2개의 바 지지부(50)는 병렬로 늘어선 상태[2개의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이 평행해지는 상태]로 각각의 하방측에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바 지지부(50)는, 이동 기구부(60)에 의해,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각각의 전선 유지 바(10)의 취출 위치(TP)는, 전선 수취 위치(RP)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후, 필요에 따라, 2개의 바 지지부(50) 중 한쪽을 한쪽의 바 지지부(52)라고 호칭하고, 다른쪽을 다른쪽의 바 지지부(55)라고 호칭한다.
한쪽의 바 지지부(52)는, 바 지지대(53)와, 지주부(54)를 갖고 있다. 바 지지대(53)는, 전선 유지 바(10) 중 전선 유지부(14)가 설치된 부분과는 반대측의 일부를 지지한다. 지주부(54)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막대형의 부재이며, 일단측에 바 지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바 지지대(53)는 빔부(beam portion; 53a)와, 바 단부 지지대(53b)와, 바 단부 지지부(53c)와, 바 협지부(53d)를 구비한다.
빔부(53a)는, 지주부(54)와 연결되어 있는 막대형의 부재이다. 여기서는, 빔부(53a)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지주부(54)의 일단측과 연결되어 있다. 빔부(53a)의 상부에 바 단부 지지대(53b)와, 바 단부 지지부(53c)와, 바 협지부(53d)가 설치되어 있다.
바 단부 지지대(53b)와 바 단부 지지부(53c)는, 빔부(53a)의 한쪽 단부측에 설치되고, 전선 유지 바(10)의 한쪽 단부측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빔부(53a)의 한쪽 단부측의 상면에 판형의 바 단부 지지대(53b)가 설치되고, 바 단부 지지대(53b)의 한쪽 단부의 주위 및 그 상방을 둘러싸도록 바 단부 지지부(53c)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즉, 바 단부 지지부(53c)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바 단부 지지부(53c)를 향해 전선 유지 바(10)를 누름으로써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바 협지부(53d)는, 전선 유지 바(10)의 중간 위치를 협지하도록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바 협지부(53d)는, 바 지지대(53)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협지편을 포함한다. 한 쌍의 협지편의 간격은, 선단부측이 기단부보다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에서의 한 쌍의 협지편의 간격은, 전선 유지 바(10)의 폭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설치되는 바 협지부(53d)의 수는, 하나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바 협지부(53d)는 생략되어도 좋다. 바 협지부(53d)가 설치되면, 전선 유지 바(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전선 유지 바(10)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전선 유지 바(10)는 바 지지대(53)에 한쪽 단부 및 중간 위치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 지지부(52)가 전선 유지 바(10)를 일단(片端) 지지함으로써, 바 지지부(52)로부터 전선 유지 바(10)를 분리할 때에, 전선 유지 바(10)를 수평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만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 유지 바(10)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분리 시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걸리거나 또는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쪽의 바 지지부(55)는, 이상과 동일한 바 지지대(56)와, 지주부(57)를 갖고, 지주부(57)의 일단측에 바 지지대(5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바 지지부(52)의 지주부(54)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의 지주부(57)를 각각의 타단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한쪽의 바 지지부(52)의 지주부(54)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의 지주부(57)는 이동 기구부(60)와도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바 공급 기구부(40)는, 한 쌍의 바닥 접지부(41)를 더 구비한다. 이동 기구부(60)는, 한 쌍의 바닥 접지부(41) 사이의 일부의 구간에서, 2개의 바 지지부(50)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 기구부(60)는,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기구부(60)는, 여기서, 실린더 튜브(64)와, 실린더 튜브(64) 내에서 움직이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66)를 갖는 에어 실린더(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62)의 실린더 튜브(64)는, 한쪽의 바닥 접지부(4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바 지지부(52) 쪽이 다른쪽의 바 지지부(55)보다 에어 실린더(62)측에 위치하고, 에어 실린더(62)의 피스톤 로드(66)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동 기구부(60)는, 다른쪽의 바 지지부(55)를 직접적으로 움직이고,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와 연결되어 있는 한쪽의 바 지지부(52)를 간접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단, 피스톤 로드(66)가, 후술하는 이동 펜스(fence; 58) 등의 바 지지부(50)와 연결되는 다른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이동 기구부(60)는 바 지지부(50)를 간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 기구부(60)는, 바 지지부(50)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된다.
한편, 여기서는, 에어 실린더(62)의 축 방향과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이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바 지지부(50)가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2개의 바 지지부(50)가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예컨대, 2개의 바 지지부(50)가 비스듬히 이동 가능해도 좋다. 즉, 2개의 바 지지부(50)의 취출 위치(TP)들이 전선 수취 위치(RP)를 사이에 두고 상이한 위치에 있어, 2개의 바 지지부(50)가 스쳐 지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여기서, 바 공급 기구부(40)는, 한 쌍의 바닥 접지부(41) 사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8)을 더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68)은, 에어 실린더(62)를 사이에 두도록 에어 실린더(62)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즉, 에어 실린더(62)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8)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바 지지부(50)는 가이드 레일(68) 상에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 지지부(50)의 지주부(54, 57)의 타단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8) 사이의 폭 치수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 치수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68)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일 주행부(5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동 기구부(60)의 에어 실린더(62)에 의해 2개의 바 지지부(50)가 이동되었을 때에, 2개의 바 지지부(50)가 소정의 궤도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68) 및 레일 주행부(59)는 생략되어도 좋다.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대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세팅하는 경우에는, 이동 기구부(60)의 구동에 의해, 한쪽의 바 지지부(52)를 전선 수취 위치(RP)로 이동시킨다(도 8 및 도 10의 상태). 이때, 한쪽의 바 지지부(52)의 이동과 동시에, 다른쪽의 바 지지부(55)가 취출 위치(TP)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대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세팅 완료한 전선 유지 바(10)를 분리하거나, 혹은, 빈 전선 유지 바(10)를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대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의 세팅이 종료되면, 이동 기구부(60)의 구동에 의해 한쪽의 바 지지부(52)를 취출 위치(TP)로 이동시킨다(도 9 및 도 11의 상태). 이때, 한쪽의 바 지지부(52)의 이동과 동시에, 다른쪽의 바 지지부(55)가 전선 수취 위치(RP)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대해,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세팅되고 있는 동안에,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탈착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바 지지부(50)를 교대로 전선 수취 위치(RP)와 취출 위치(TP)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선 유지 바(10)에 대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의 세팅과 전선 유지 바(10)의 탈착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단, 여기서는, 하나의 이동 기구부(60)가 2개의 바 지지부(50)를 일체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바 공급 기구부(40)가 2개의 이동 기구부(60)를 구비하여, 하나의 이동 기구부(60)가 하나의 바 지지부(50)를 움직이고 있어도 좋다. 즉, 2개의 바 지지부(50)가 각각 독자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하나의 이동 기구부(60)에 의해 2개의 바 지지부(50)를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설비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바 공급 기구부(40)는, 가이드부(42)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부(42)는,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가 전선 수취 위치(RP)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이 되도록, 바 지지부(50)의 이동 시에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의 높이를 규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42)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전선 수취 위치(RP)에 있어서,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를 소정의 높이로 규제하여, 전선 유지 바(10)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2)는, 여기서, 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2)는, 전선 수취 위치(RP)에서의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 지지대(53, 56)와 간격을 두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42)는, 판의 두께 방향이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42)의 상면은, 지지면(43a)과, 지지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43b)을 갖는다. 지지면(43a)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고,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43a)의 높이는, 바 단부 지지대(53b)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면(43b)은 지지면(43a)으로부터 서서히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바 지지부(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취출 위치(TP)에 있어서,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전선 유지 바(10)는 수평 상태 혹은 다른쪽 단부가 약간 내려가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유지 바(10)는, 다른쪽 단부가 약간 내려가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 취출 위치(TP)로부터 전선 수취 위치(RP)로 향할 때에, 그 바닥면이 가이드부(42)의 가이드면(43b)과 접촉하여, 지지면(43a)까지 유도된다. 이에 의해, 전선 수취 위치(RP)에 있어서, 전선 유지 바(10)가 가이드부(42)의 지지면(43a)과 바 단부 지지대(53b)의 상면에 의해 수평 상태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전선 유지 바(10)는, 전선의 세팅 중에도 수평으로 유지된다. 한편, 취출 위치(TP)에 있어서, 전선 유지 바(10)가 수평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는 가이드면(43b)과 접촉하지 않고 그대로 지지면(43a)에 지지된다.
또한, 여기서, 바 공급 기구부(40)는, 바 단부 지지 기구부(44)를 구비한다. 바 단부 지지 기구부(44)는, 전선 수취 위치(RP)에 있는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를 한쪽 단부를 향해 누르는 것이 가능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바 단부 지지 기구부(44)는, 바 단부 누름부(44a)와, 수평 이동부(44b)를 구비한다. 바 단부 누름부(44a)는, 오목부(44c)가 형성되고, 오목부(44c)에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의 측면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 이동부(44b)는, 에어 실린더(62)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바 단부 누름부(44a)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 이동부(44b)는, 바 단부 누름부(44a)를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빈 전선 유지 바(10)가 전선 수취 위치(RP)에 와 있는 상태에서, 수평 이동부(44b)에 의해 바 단부 누름부(44a)가 전선 유지 바(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선 유지 바(10)의 다른쪽 단부를 한쪽 단부를 향해 밀어 넣는다. 이에 의해, 전선 유지 바(10)는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 원하는 위치에 세팅되고, 전선을 유지시키는 작업 중에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유지 바(10)에 소정의 개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을 세팅 완료하면, 수평 이동부(44b)에 의해, 바 단부 누름부(44a)가 전선 유지 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바 단부 누름부(44a)는 전선 유지 바(10)의 이동 영역 내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전선의 세팅이 완료된 전선 유지 바(10)가 취출 위치(TP)를 향해 이동 가능해지고, 빈 전선 유지 바(10)가 전선 수취 위치(RP)를 향해 이동 가능해진다. 이후, 이상의 작동을 바 지지부(50)의 이동에 따라 반복해서 행한다.
한편, 바 지지부(50)가 전선 유지 바(10)의 양단을 지지하는 등에 의해, 전선 유지 바(10)를 올바른 위치에 고정 가능한 경우, 가이드부(42) 및 바 단부 지지 기구부(44)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는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선 유지 바(10)의 하방이란, 바로 아래뿐만이 아니라 비스듬히 아래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세팅하는 경우, 그 잉여 길이 부분은, 도 12와 같이, 한쪽의 바 지지부(52)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팅된다. 이 때문에, 한쪽의 바 지지부(52)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 사이에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얽힘 방지 시트부(46)는, 전선 유지 바(10)에 유지된 전선의 잉여 길이 부분이 아래로 늘어져 있는 경우에, 얽혀 버리거나 또는 다른 부재에 걸려 버리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얽힘 방지 시트부(46)는,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얽힘 방지 시트부(46)의 한쪽 가장자리부는 한쪽의 바 지지대(53)의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쪽 가장자리부는 다른쪽의 바 지지대(56)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점착 테이프 등으로 접착됨으로써,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바 지지부(5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얽힘 방지 시트부(46)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바 지지부(50) 사이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그 중간 영역은 한쪽의 바 지지부(52)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 사이에서 아래로 늘어져 있다. 이에 의해, 얽힘 방지 시트부(46)는, 여기서, 연직 방향을 따르는 부분인 연직부(46a)와 수평 방향을 따르는 부분인 수평부(46b)를 포함한다.
연직부(46a)는, 지주부(54, 57)를 각각 따르는 부분이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지주부(54, 57) 등에 걸리는 것, 또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바 지지부(50)의 이동 시에 흔들리는 것 등에 의해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하는 부분이다.
수평부(46b)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지주부(54, 57)보다 길 때에 바닥에 접촉하여 스치는 것 등을 억제하는 부분이다.
단,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연직부(46a)와 수평부(46b)를 포함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얽힘 방지 시트부(46)로서, 2개의 시트를 준비하고, 각각의 시트의 한쪽 가장자리부만을 각각 다른 바 지지대(53, 56)에 부착하고, 2개의 시트의 다른쪽 가장자리부는 자유단으로 함으로써, 수평부(46b)를 생략해도 좋다. 그러나, 2개의 바 지지부(50) 사이를 연결하도록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설치되어, 수평부(46b)를 포함함으로써,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지주부(54, 57)보다 긴 경우에도, 잉여 길이 부분을 얽힘 방지 시트부(46) 상에 머물게 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바닥 등과 스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얽힘 방지 시트부(46)로서, 바 지지부(50) 사이의 치수 정도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갖는 1장의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각각 다른 바 지지부에 부착함으로써, 연직부(46a)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부(46b)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지주부(54, 57) 등에 걸리는 것을 억제한다고 하는 연직부(46a)의 일부의 기능을 겸비한다. 그러나, 얽힘 방지 시트부(46)의 중간 영역이 아래로 늘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도 얽힘 방지 시트부(46)의 수평부(46b)까지 아래로 늘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얽힘 방지 시트부(46) 상에 머무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의 양이 적어짐으로써,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서로 얽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여기서, 바 공급 기구부(40)는, 이동 펜스(58)를 더 구비한다. 이동 펜스(58)는, 2개의 바 지지부(50) 중 적어도 한쪽에 연결되고, 2개의 바 지지부(50)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펜스(58)는, 연결부(58a)와 펜스부(58b)를 구비한다. 연결부(58a)는,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연결되고,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대해, 한쪽의 바 지지부(52)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펜스부(58b)는, 연결부(58a)에 세워져 설치되고, 2개의 바 지지부(50)와 병렬로 늘어서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세팅하는 경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잉여 길이 부분이,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와 펜스부(58b)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세팅한다. 이 때문에,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와 펜스부(58b) 사이에도 설치되어 있다.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와 펜스부(58b) 사이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의 한쪽 가장자리부가 바 지지부(50)에 부착되고, 다른쪽 가장자리부가 펜스부(58b)에 부착됨으로써,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와 펜스부(58b) 사이에 있어서도,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걸림, 얽힘 또는 스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단, 얽힘 방지 시트부(46)는 생략되어도 좋다. 한편, 이 경우, 지주부(54, 57) 및 펜스부(58b)가 각각 벽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얽힘 방지 시트부(46)를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단 압착 기구부(22) 및 전선 배출 장치(30)의 작동은, CPU, ROM 및 RAM 등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제어 유닛(7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70)에는 각종 키 등에 의해 구성된 입력부(72)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입력부(72)를 통해 작업 지시가 입력된다.
제어 유닛(70)은, 상기 입력부(72)를 통해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있어서의 복수 종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제조순서에 관한 지령을 접수하고, 상기 지령에 따라 복수 종의 전선이나 복수 종의 단자를 선택하여 지령에 따라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제조하도록 제어한다. 본 제어 유닛(70)은, 상기 입력부(72)를 통해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의 배열순서에 관한 지령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령에 따라 각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세팅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어 유닛(70)은, 입력부(72)를 통해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의해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18) 중 어떤 전선의 어떤 단부를 회전시킬지에 관한 지령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령에 따라, 상기 각 전선 단부 회전부(33)를 제어하여 필요에 따른 회전 작동을 행하게 한다.
또한, 제어 유닛(70)은, 입력부(72)를 통해 바 공급 기구부(40)의 이동 기구부에 관한 지령을 접수하고, 상기 지령에 따라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가 소정의 개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유지하면,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지지된 빈 전선 유지 바(10)와 교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제어 유닛(70)은, 입력부(72)를 통해 바 단부 지지 기구부(44)에 관한 지령을 접수하고, 상기 지령에 따라 수평 이동부(44b)를 전선 수취 위치(RP)에 위치하는 전선 유지 바(10)의 단부로 접근시키거나 또는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작동을 행하게 한다.
<작동>
이와 같이 구성된 절단 압착 세팅 장치(1) 및 전선 배출 장치(30)의 전체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있어서 소정의 전선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소정의 단자를 압착한, 단자를 갖는 전선(18)이 순차적으로 제조된다(도 1 참조). 그러면,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가 전선 단부 왕복 구동부(28)의 한 쌍의 각 전선 단부 유지부(27)에 의해 전달 위치(WP)로 반송된다. 한편, 동종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연속해서 제조할 것인지, 혹은,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소정의 순서로 제조할 것인지는, 미리 상기 입력부(72)를 통해 제어 유닛(70)에 주어진 지령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달 위치(WP)에서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가 한 쌍의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각각 건네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각 단부가 한 쌍의 전선 단부 회전부(33) 각각에 의해 회전된다(도 1, 도 3 및 도 4 참조).
한 쌍의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파지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는,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36)의 한 쌍의 파지부(38)에 의해 각각 파지되어, 바 지지부(50)에 세팅된 전선 유지 바(10)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선 유지 바(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한 쌍의 파지부(38)가 개별적으로 하강 이동함으로써,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각각의 단부가, 전선 유지 바(10)에 있어서의 소망 위치의 전선 유지부(14)에 세팅된다(도 1, 도 5 내지 도 7 참조).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제조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에 대해 이상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가 세팅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가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세팅되는 것을 달성하게 된다.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대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세팅이 완료되면, 제어 유닛(70)이 지령을 부여한다. 이 지령에 따라 이동 기구부(60)에 의해,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지지된 빈 전선 유지 바(10)를 전선 수취 위치(RP)로 이동시키고,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세팅이 완료된 전선 유지 바(10)를 취출 위치(TP)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다른쪽의 바 지지부(55)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이 세팅되고 있는 동안에, 작업자는,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지지된, 세팅이 완료된 전선 유지 바(10)를 분리하고, 한쪽의 바 지지부(52)에 빈 전선 유지 바(10)를 부착한다(도 8 내지 도 14 참조).
이와 같이, 작업자가 취출 위치(TP)에 있어서, 세팅이 완료된 전선 유지 바(10)를 빈 것으로 교환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세팅된 복수 세트의 전선 유지 바(10)를 얻을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선 배출 장치(30)에 의하면, 절단 및 단자 압착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전선 유지 바(10)의 각 전선 유지부(14)에 병렬형으로 세팅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류 공정에서의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선이나 단자에 대한 흠집,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전선 유지 바(10)의 복수의 전선 유지부(14)에 미리 설정된 순서로 늘어서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상기 순서를 하류 공정에서의 작업순서에 따른 순서로 할 수 있고, 하류 공정에서의 작업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동일한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가 전선 유지 바(10)의 복수의 전선 유지부(14)에 병렬형으로 늘어선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을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하류 공정에서의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전선 단부 회전부(33)에 의해 회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하류 공정에서의 처리에 적합한 자세로 회전시킨 상태로, 전선 유지부(14)에 세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류 공정에서의 작업 편리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2개의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취출 위치(TP)들이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전선 수취 위치(RP)를 사이에 두고 상이하기 때문에, 각 전선 유지 바(10)가 전선 수취 위치(RP)와 취출 위치(TP)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스쳐 지나가기 어려워짐으로써, 전선이 얽히거나 또는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바 지지부(50)를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바 지지부(50)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해짐으로써, 2개의 바 지지부(50)가 스쳐 지나가는 일이 없어져, 전선이 얽히거나 또는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바 지지부를 다른 구동원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에 비해, 설비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바 지지부(50) 중 전선 유지 바(1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얽힘 방지 시트부(4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유지 바(10)에 유지된 전선이 전선 유지 바(10)의 하방에서 얽히거나 또는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 지지부(50)는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바 지지부(50)의 이동 시에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는 가이드부(42)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는 전선 수취 위치(RP)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이 되도록 규제된다. 이에 의해, 전선 유지 바(10)가 올바른 위치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을 세팅하는 작업이 시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유지 바(10)가 한쪽 단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유지 바(10)를 분리하기 쉬워지고, 분리 시에 전선의 걸림 또는 얽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 지지부(50)에 지지된 전선 유지 바(10)가 전선 수취 위치(RP)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전선 유지 바(10)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를 한쪽 단부를 향해 밀어붙일 수 있는 바 단부 지지 기구부(44)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전선 유지 바(10)가 올바른 위치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을 세팅하는 작업이 시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방의 단부를 전선 유지 바(10)에 세팅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한쪽의 단부만을 전선 유지 바(10)에 세팅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다른쪽의 단부에 대해서는,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해 버려도 좋고, 혹은 묶은 상태로 해도 좋다. 또한, 절단 압착 기구부(22)로부터 반송되는,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양단부에 단자가 압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컨대, 일단부에만 단자가 압착된 전선 등이 존재하여도 좋다.
또한, 절단 압착 기구부(22)에 의해 단자 압착된 직후의, 단자를 갖는 전선(18)의 단부를 파지하는 기구부를, 전선 배출 장치(30)측의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상의 설명은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10: 전선 유지 바 14: 전선 유지부
18: 단자를 갖는 전선 22: 절단 압착 기구부
30: 전선 배출 장치 32: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
33: 전선 단부 회전부 36: 전선 단부 반송 세팅부
40: 바 공급 기구부 42: 가이드부
44: 바 단부 지지 기구부 46: 얽힘 방지 시트부
50, 52, 55: 바 지지부 60: 이동 기구부
70: 제어 유닛 RP: 전선 수취 위치
TP: 취출 위치

Claims (5)

  1. 복수의 전선 유지부가 병렬형으로 설치된 전선 유지 바를 지지할 수 있는 2개의 바 지지부와,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상기 복수의 전선 유지부에 전선을 순차적으로 세팅하는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와,
    상기 전선 단부 유지 세팅부로부터의 전선 수취 위치와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2개의 상기 바 지지부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
    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바 지지부에 대한 취출 위치들은,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전선 수취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이한 것인 전선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부는, 2개의 상기 바 지지부가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해지도록, 2개의 상기 바 지지부를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전선 배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얽힘 방지 시트부가 설치되는 것인 전선 배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 지지부는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가 상기 전선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수평이 되도록, 상기 바 지지부의 이동 시에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전선 배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유지 바가 상기 전선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전선 유지 바의 연장 방향 다른쪽 단부를 한쪽 단부를 향해 밀어붙일 수 있는 바 단부 지지 기구부
    를 더 구비하는 전선 배출 장치.

KR1020167015482A 2013-12-18 2014-12-03 전선 배출 장치 KR20160085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1221A JP6107639B2 (ja) 2013-12-18 2013-12-18 電線排出装置
JPJP-P-2013-261221 2013-12-18
PCT/JP2014/081978 WO2015093292A1 (ja) 2013-12-18 2014-12-03 電線排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852A true KR20160085852A (ko) 2016-07-18

Family

ID=5340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482A KR20160085852A (ko) 2013-12-18 2014-12-03 전선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01178A1 (ko)
EP (1) EP3086329A4 (ko)
JP (1) JP6107639B2 (ko)
KR (1) KR20160085852A (ko)
CN (1) CN105849824A (ko)
TW (1) TWI559337B (ko)
WO (1) WO20150932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68B1 (ko) * 2019-09-20 2020-04-27 이준열 케이블 라벨 부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7609A (ja) * 2015-12-24 2017-06-2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排出装置
CN107492425B (zh) * 2017-08-13 2019-04-19 新昌县管富机械有限公司 一种废旧电缆剥皮回收装置
CN109449721B (zh) * 2018-11-05 2019-11-05 大庆市华禹石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伺服电动机导线排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2104A (ja) 2007-12-21 200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切圧セット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2933A (en) * 1992-09-17 1995-05-09 Joel D. Mallett Automatic link forming apparatus
JP3632937B2 (ja) 1996-05-20 2005-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ーネス製造方法と圧接機及びコネクタ保持竿並びに圧接装置
JP3892919B2 (ja) * 1996-10-03 2007-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327335B2 (ja) * 2000-06-23 2009-09-09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コンタクトアー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試験装置
US6961996B2 (en) * 2001-04-10 2005-11-08 Komax Holding Ag Method for installing cable ends in plug housings
DE50214847D1 (de) * 2001-10-31 2011-02-17 Komax Holding Ag Handhabungsvorrichtung für Drahtleitung, Einführungsmaschine und Einführungsverfahren mit einer solchen Handhabungsvorrichtung
JP4063127B2 (ja) * 2003-04-10 2008-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自動生産システム
JP3982480B2 (ja) 2003-10-31 2007-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マルチ圧着装置及び端子供給モジュール
DE502004007792D1 (de) * 2004-11-02 2008-09-18 Komax Holding Ag Kabelspeicher
JP2009152105A (ja) * 2007-12-21 200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セット揃え装置及びサブアッシーの製造方法
JP5287108B2 (ja) * 2008-10-01 2013-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接続集合体製造支援装置及び電線接続集合体の製造方法
US8113557B2 (en) * 2009-05-19 2012-02-14 Artos Engineering Company Wire gripper jaw drive
JP4985713B2 (ja) * 2009-06-10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保持バー搬送装置及び電線セット製造方法
CN103415898B (zh) * 2011-03-08 2015-09-30 日本自动机械株式会社 线束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JP5842631B2 (ja) * 2012-01-25 2016-01-1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保持バー搬送装置
JP5817576B2 (ja) * 2012-02-09 2015-11-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移載装置
CN202805184U (zh) * 2012-09-06 2013-03-20 东莞市五株电子科技有限公司 机械手取放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2104A (ja) 2007-12-21 200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切圧セット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68B1 (ko) * 2019-09-20 2020-04-27 이준열 케이블 라벨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18793A (ja) 2015-06-25
US20160301178A1 (en) 2016-10-13
EP3086329A4 (en) 2017-01-04
EP3086329A1 (en) 2016-10-26
WO2015093292A1 (ja) 2015-06-25
CN105849824A (zh) 2016-08-10
JP6107639B2 (ja) 2017-04-05
TW201535422A (zh) 2015-09-16
TWI559337B (zh)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7576B2 (ja) 電線移載装置
KR20160085852A (ko) 전선 배출 장치
CN108046014B (zh) 一种多种厚度规格的新旧smt接料带的粘接机
US20200245471A1 (en) Lead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lea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5194772B2 (ja) 切圧セット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180098295A (ko) 파권 장치
US94501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contact wires on solar cell wafers
CN112692475A (zh) 一种汇流条焊接设备及汇流条焊接方法
CN107359493A (zh) 多种端子压接系统及压接方法
CN105990783B (zh) 光伏连接器组装拧紧设备
JP2009152105A (ja) 電線セット揃え装置及びサブアッシーの製造方法
CN108233148B (zh) 多种端子供给装置、方法及复式压接装置
CN111713791A (zh) 口罩耳带打钉机
JP2008140738A (ja) 電線製造装置
KR101918537B1 (ko) 건축용 래티스바 자동 제조 장치
JP2017109285A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レーザ加工システム、及びワーク搬送方法
KR20160086379A (ko) 단자 이송 장치
CN213733487U (zh) 一种平面口罩耳带焊接机的送耳带线装置
JP2006247002A (ja) 糸条束集積方法および集積装置ならびに中空糸濾過膜用の糸条束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343848B1 (ko) 자동식 종이가공물 부착장치
KR20150104881A (ko) 봉합사 제조용 그립퍼 어셈블리
EP3560843A1 (en) Flat-packing machine for innerspring units
JP2002272068A (ja) レーベル転位導体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2520946U (zh) 口罩耳带打钉机
JP5768749B2 (ja) 電線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