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611A - 투명 전도성 필름 - Google Patents

투명 전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611A
KR20140108611A KR1020137026022A KR20137026022A KR20140108611A KR 20140108611 A KR20140108611 A KR 20140108611A KR 1020137026022 A KR1020137026022 A KR 1020137026022A KR 20137026022 A KR20137026022 A KR 20137026022A KR 20140108611 A KR20140108611 A KR 2014010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ine
poly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986B1 (ko
Inventor
구앙저우 양
미아오치안 차오
유롱 까오
차오 썬
Original Assignee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투명 전도성 필름은 메쉬 형태(mesh-shaped)의 홈(groove)를 나타내는 기판; 메쉬를 형성하는 상기 메쉬 형태의 홈; 그리고 상기 메쉬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전도성 층을 포함한다.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은 전도성 물질 및 메쉬 형태 홈의 엣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커브 또는 폴리라인이다. 투명 전도성 필름에서, 비선형 엣지 라인이 사용되고, 그러므로 동일한 크기의 전도성 영역에 대해 트렌치와 접촉하는 전도성 물질의 엣지의 면적이 증가하고, 마찰이 증가되는 것은 전도성 물질의 더 큰 접착을 이끌어 내고, 따라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안정한 성능이 보장된다.

Description

투명 전도성 필름 {TRANSPARENT CONDUCTIVE FILM}
본 발명은 전도성 필름과 관련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전도성 필름과 관련된다.
투명 전도성 필름(transparent conductive film)은 높은 전도성 및 가시광선에서 좋은 투과성을 갖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전도성 필름으로, 따라서 광범위한 응용 전망을 갖는다. 현재, 투명 전도성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crystal display), 터치 패널(touch panel), 전자파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태양 전지의 투명 전극의 투명 표면 히터(heate) 및 연성의 발광 소자(flexible light-emitting device)의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투명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영역 및 투과성 영역이 패턴을 따라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도록, 보통 노출(exposure), 발달(development), 에칭(etching), 세척(cleaning) 및 기타 절차를 통해 패턴화되어야 한다. 또한 금속 메쉬(mesh)는 프린팅(printing)에 의해 기판 상의 특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좋은 전도성을 갖고 비 투명성인 금속으로 제조되며, 그리드 라인의 선폭(linewidth)은 인간의 눈의 해상도보다 적다. 투과성 영역은 그리드 라인에 의해 형성된 메쉬(mesh)이고, 스퀘어 저항(square resistance) 및 투명 전도성 필름의 투과율은 메쉬의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전도성 필름의 성능 테스트에서, 전도성 필름의 접착(adhesion)은 전도성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수 있고, 그러므로 기판 상에 금속 메쉬의 접착은 성능 테스트의 중요한 파라미터(parameter)이다. 금속 그리드 라인은 일반적으로 직선인데, 이는 충분히 안정되지 않은 금속 메쉬의 접착을 야기하고, 전도성 필름의 접착 불량은 전도성 필름의 성능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접착력을 갖는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쉬 형태(mesh-shaped)의 홈(groove)을 나타내는 기판; 메쉬를 형성하는 상기 메쉬 형태의 홈; 그리고 상기 메쉬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edge line)은 상기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커브(curve) 또는 폴리라인(polyline)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라인은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wave line)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라인은 지그재그(zigzag)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라인은 웨이브라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의 셀(cell)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및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상기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는 전도성 층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의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기판; 상기 기판에 부착된 임프린트(imprint) 접착층으로, 상기 임프린트 접착층은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메쉬 형태의 홈은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임프린트 접착층; 그리고 상기 메쉬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edge line)은 상기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커브(curve) 또는 폴리라인(polyline)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transparent conductive film)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라인은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wave line)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라인은 지그재그(zigzag)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라인은 웨이브라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의 셀(cell)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및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상기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는 전도성 층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의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전도성 필름은 상기 기판 및 상기 임프린트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점착(tackifier) 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투명 전도성 필름에서, 전도성 층은 메쉬 형태의 홈으로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그리고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은 커브 또는 웨이브 라인, 지그재그 라인,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 또는 기타 비선형 라인과 같은 폴리라인이다. 동일한 크기의 전도성 영역에 대해 트렌치와 접촉하는 전도성 물질의 엣지의 면적이 증가하고, 마찰이 증가되는 것은 전도성 물질의 더 큰 접착을 이끌어 내고, 따라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안정한 성능이 보장된다.
도 1a는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cross-sectional view)이다.
도 1b는 투명 전도성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비교예 1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2b는 실시예 1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2c는 실시예 1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셀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3a는 비교예 2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셀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3b는 실시예 2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3c는 실시예 2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셀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4a는 비교예 3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셀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4b는 실시예 3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4c는 실시예 3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메쉬 셀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한다.
도 1a에 따른 실시예에서,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제1 실시예는, 아래에서 위로 기판 (110), 점착층 (120), 임프린트 접착층 (130) 및 전도성 층 (140)을 포함한다.
기판 (110)은 188μm의 두께를 갖는다. 기판 (110)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기타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점착층 (120)은 기판 (110)에 결합되고, 기판 층 (110) 및 임프린트 접착층 (130)을 함께 더 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프린트 접착층 (130)이 기판 (110)에 직접 배치되도록 점착층 (120)은 생략될 수 있다.
임프린트 접착층 (130)은 점착층 (120)에 결합된다. 임프린트 접착층 (130)은 아크릴 물질, UV 접착제 또는 임프린트 접착제 등으로 제조된다. 임프린트 접착층 (130)은 임프린팅에 의해 메쉬 형태의 홈 (14)를 정의한다. 메쉬 형태의 홈 (14)는 3 ㎛의 깊이 2.2 ㎛의 폭을 갖는다. 메쉬 형태의 홈은 메쉬를 형성한다. 메쉬 형태의 홈 (14)의 엣지 라인은 커브 또는 웨이브 라인, 지그재그 라인, 직사각형 라인 또는 기타 비선형 라인과 같은 폴리라인일 수 있다. 메쉬를 형성하는 각각의 셀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및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를 갖는다.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앞뒤로 진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쉬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전도성 층 (140)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메쉬의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전도성 층 (140)은 메쉬 형태의 홈 (14)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도식된 실시예에서, 전도성 물질은 은(silver)이다. 전도성 물질의 두께는 메쉬 형태의 홈 (14)의 깊이보다 적다.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의 홈 (14)의 깊이가 3μm라면, 전도성 물질의 두께는 약 2 μm이다.
도 1b 따른 실시예에서,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a에 나타난 투명 전도성 필름 (100)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은 기판 (101) 및 전도성 층 (102)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판 (101)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 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다. 기판 (101)은 표면에 메쉬 형태의 홈 (103)을 정의한다; 전도성 물질(예, 은)은 전도성 층 (102)를 형성하기 위해 메쉬 형태의 홈 (103)에 채워진다. 메쉬 형태의 홈 (103)의 형태는 도 1a에 나타난 메쉬 형태의 홈 (14)의 것과 같다.
상기 설명된 투명 전도성 필름에서, 전도성 층은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호 연결된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영역을 형성한다. 메쉬 형태의 홈은 메쉬를 형성한다.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은 커브 또는 웨이브 라인, 지그재그 라인,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 또는 기타 비선형 라인과 같은 폴리라인이다. 메쉬를 형성하는 셀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및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를 갖는다.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한다. 동일한 크기의 전도성 영역에 대해 트렌치와 접촉하는 전도성 물질의 엣지의 면적이 증가하고, 마찰이 증가되는 것은 전도성 물질의 더 큰 접착을 이끌어 내고, 따라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안정한 성능이 보장된다.
이제부터 전도성 층 (140)의 표면 구조에 대한 특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 1
도 2a는 배열(array)에 가로로 배열된 메쉬 셀 (21)의 대다수를 포함하는 종래의 투명 전도성 필름 (2)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메쉬 셀 (21)은 육각형의 형태이고,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은 두 인접한 메쉬 셀 (21)에 속하고,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는 모두 직선 라인이다. 트렌치는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 사이에 형성되고, 트렌치 영역의 공간은 400nm 내지 5μm이다. 전도성 물질 (213)은 트렌치에 채워지고,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는 전도성 트레이스(trace)를 형성한다.
실시예 1
도 2b는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전도성 층 (140)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전도성 층 (140)은 메쉬 형태의 홈 (14)에 의해 형성된 메쉬를 포함하고, 메쉬는 배열(array)에 가로로 배열된 메쉬 셀 (21')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형태의 홈 (14)의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은 두 인접한 메쉬 셀 (21')에 속한다.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는 웨이브 라인이다. 메쉬 셀 (21')은 웨이브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트렌치는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 사이에 형성되고, 트렌치 영역의 공간은 400nm 내지 5μm이다. 전도성 물질은 트렌치에 채워지고, 엣지 라인 (211') 및 엣지 라인 (212')는 전도성 트레이스를 형성한다.
도 2c는 실시예 1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메쉬 셀 (21')의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메쉬 셀 (21')은 대체로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메쉬 셀 (21')의 그리드 라인은 엣지 라인 (211')로 구성된다. 엣지 라인 (211')은 웨이브 라인이고, 라인 (221)은 점선 라인이다. 라인 (211)은 꼭지점 (211a)에서 꼭지점 (211b)에 걸쳐 있고, 육각형은 이러한 규칙에 따라 형성된다. 엣지 라인 (211')은 그리드 라인 (211)을 둘러싸고, 꼭지점 (211a)에서 꼭지점 (211b)에 걸쳐있고, 웨이브 육각형 메쉬 셀 (21')는 이러한 규칙에 따라 형성된다. 엣지 라인 (211')은 일정한 진폭으로 라인 (211)을 따라 진동한다.
비교예 2
도 3a는 종래의 투명 전도성 필름 (3)의 전도성 층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으로, 투명 전도성 필름 (3)의 전도성 층의 표면은 메쉬 셀 (31)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셀 (31)은 가로 축에 가까운 그리드 라인의 분포 확률이 세로 축에 가까운 것보다 크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배열에 배열된 가로 메쉬 셀 (31)의 대다수는 투명 전도성 필름 (3)을 형성한다.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는 두 인접한 메쉬 셀 (31)에 속한다. 트렌치는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 사이에 형성된다. 전도성 물질 (313)은 트렌치에 채워지고,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는 모두 직선 라인이고,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은 트레이스를 형성한다.
실시예 2
도 3b는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전도성 층 (140)의 메쉬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전도성 층 (140)은 메쉬 형태의 홈 (14)에 의해 형성된 메쉬를 포함하고, 메쉬는 배열에 가로로 배열된 메쉬 셀 (31')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셀 (31')은 가로 축에 가까운 그리드 라인의 분포 확률이 세로 축에 가까운 것보다 크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메쉬 형태의 홈 (14)의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는 두 인접한 메쉬 셀 (31')에 속한다.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는 지그재그 라인이다. 전도성 물질은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에 의해 형성된 트렌치에 채워지고, 엣지 라인 (311') 및 엣지 라인 (312')는 트레이스를 형성한다.
도 3c는 실시예 2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메쉬 셀 (31')의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메쉬 셀 (31')의 그리드 라인은 엣지 라인 (311')로 구성된다. 라인 (321)은 점선 라인이다. 라인 (321)은 꼭지점 (311a)에서 (311b)에 걸쳐 있고, 직사각형은 이러한 규칙에 따라 형성된다. 엣지 라인 (311')은 그리드 라인 (321)을 둘러싸고, 꼭지점 (311a)에서 꼭지점 (311b)에 걸쳐 있고, 이로써 메쉬 셀 (31')이 형성된다. 엣지 라인 (311')는 일정한 진폭으로 라인 (321)을 따라 진동한다.
비교예 3
도 4a는 종래의 투명 전도성 필름 (4)의 전도성 층의 메쉬의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전도성 층 (140)의 메쉬는 메쉬 셀 (41)의 대다수를 포함하고, 트렌치는 메쉬 셀 (41)의 두 인접한 엣지 라인 (411) 및 엣지 라인 (412) 사이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은 트렌치에 채워진다. 엣지 라인 (411) 및 엣지 라인 (412)은 모두 직선 라인이다. 그리드 라인 및 오른쪽 수평 X 축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균일하게 분포된다. 도 4a에 나타난 그리드 라인은 오른쪽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균일한 분포는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실시예 3
도 4b는 실시예 3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전도성 층 (140)의 메쉬의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전도성 층 (140)은 메쉬 형태의 홈 (14)에 의해 형성된 메쉬를 포함하고, 메쉬는 배열에 가로로 배열된 메쉬 셀 (41')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셀 (41')의 그리드 라인은 메쉬 형태의 홈 (14)의 엣지 라인 (411') 및 엣지 라인 (412')로 구성된다. 엣지 라인 (411') 및 엣지 라인 (412')은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이다. 도 4b에 나타난 그리드 라인은 오른쪽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균일한 분포는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도 4c는 실시예 3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의 메쉬 셀 (41')의 일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메쉬 셀 (41')의 그리드 라인은 엣지 라인 (411')로 구성된다. 라인 (421)은 점선 라인이다. 엣지 라인 (411')는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이다. 메쉬 셀 (41')의 그리드 라인은 오른쪽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균일한 분포는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라인 (421)은 꼭지점 (411a)에서 (411b)에 걸쳐 있고, 임의의 형태가 이러한 규칙에 따라 형성된다. 엣지 라인 (411')은 그리드 라인 (421)을 둘러싸고, 꼭지점 (411a)에서 꼭지점 (411b)에 걸쳐 있고, 이로써 메쉬 셀 (41')이 형성된다. 엣지 라인 (411')는 일정한 진폭으로 라인 (421)을 따라 진동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전도성 영역에 대해 트렌치와 접촉하는 전도성 물질의 엣지의 면적이 증가하고, 마찰이 증가되는 것은 전도성 물질의 더 큰 접착을 이끌어 내고, 따라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안정한 성능이 보장된다.
비록 본 발명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에 특정한 용어로 설명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것은 특허청구범위로 정의되는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설명된 특정한 특징 또는 행위로 제한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에 개시된 특정한 특징 또는 행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제 형태로 개시된 것이다.

Claims (17)

  1. 메쉬 형태(mesh-shaped)의 홈(groove)을 나타내는 기판; 메쉬를 형성하는 상기 메쉬 형태의 홈; 그리고 상기 메쉬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edge line)은 상기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커브(curve) 또는 폴리라인(polyline)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transparent conductive fil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인은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wave line)인 투명 전도성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인은 지그재그(zigzag) 라인인 투명 전도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인은 웨이브 라인인 투명 전도성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의 셀(cell)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및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상기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는 전도성 층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의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9. 기판;
    상기 기판에 부착된 임프린트(imprint) 접착층으로, 상기 임프린트 접착층은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메쉬 형태의 홈은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임프린트 접착층; 그리고
    상기 메쉬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라인(edge line)은 상기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메쉬 형태 홈의 엣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커브(curve) 또는 폴리라인(polyline)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transparent conductive film).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인은 직사각형 웨이브 라인(wave line)인 투명 전도성 필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인은 지그재그(zigzag) 라인인 투명 전도성 필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인은 웨이브 라인인 투명 전도성 필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의 셀(cell)은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및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커브 또는 폴리라인은 상기 육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불규칙한 다각형의 직선 라인 엣지를 따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는 전도성 층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의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 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임프린트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점착(tackifier) 층을 더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KR1020137026022A 2013-02-04 2013-07-05 투명 전도성 필름 KR101540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44167.3A CN103426501B (zh) 2013-02-04 2013-02-04 透明导电膜
CN201310044167.3 2013-02-04
PCT/CN2013/078938 WO2014117479A1 (zh) 2013-02-04 2013-07-05 透明导电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11A true KR20140108611A (ko) 2014-09-12
KR101540986B1 KR101540986B1 (ko) 2015-08-06

Family

ID=4965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022A KR101540986B1 (ko) 2013-02-04 2013-07-05 투명 전도성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40177B2 (ko)
KR (1) KR101540986B1 (ko)
CN (1) CN103426501B (ko)
TW (1) TWI493575B (ko)
WO (1) WO20141174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63A (ko) * 2017-12-19 2019-06-27 한국과학기술원 저온 구동성이 향상된 lcd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4027A1 (zh) * 2014-02-20 2015-08-27 中山大学 一种有序分布的导电薄膜及其器件和纳米导线结构
CN103871547B (zh) * 2014-02-26 2017-09-29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及含有该透明导电膜的电子装置
CN104853577B (zh) * 2015-05-13 2018-06-15 李金明 超薄电磁屏蔽膜生产工艺
CA3006179A1 (en) * 2015-11-17 2017-05-26 Dai Nippon Printing Co., Ltd. Heating electrode device, electrical heating glass, heat-generating plate, vehicle, window for building, sheet with conductor, conductive pattern sheet, conductive heat-generating body, laminat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ductive heat-generating body
CN106315505B (zh) * 2016-08-24 2018-11-06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增强聚酰亚胺基底和导电金属层之间的粘附力的方法
CN106596657B (zh) * 2016-11-28 2020-02-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八研究所 嵌入式柔性基体薄膜烧蚀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2558819A (zh) * 2019-09-10 2021-03-26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导电膜结构、制作方法和触控屏、电子设备
CN113203942B (zh) * 2021-05-06 2023-08-01 金禄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线路板及其不良品标识方法
CN114283994B (zh) * 2021-11-23 2023-05-09 华中科技大学 一种嵌入式金属网格柔性电极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959783B (zh) * 2023-05-25 2024-05-17 江苏纳美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膜和触控电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4879A (ja) * 2000-03-28 2001-10-12 Hitachi Chem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料、その製法およびその利用
JP3981567B2 (ja) * 2001-03-21 2007-09-26 守信 遠藤 炭素繊維の長さ調整方法
JP4266288B2 (ja) 2001-12-25 2009-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磁波遮蔽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電磁波遮蔽シート
JP2004111822A (ja) * 2002-09-20 2004-04-08 Sumitomo Rubber Ind Ltd 透光性電磁波シールド部材の製造方法
JP2006261322A (ja) * 2005-03-16 2006-09-28 Jsr Corp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65368B2 (ja) * 2005-12-07 2009-11-1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発光型スイッチ素子
JP5345859B2 (ja) * 2009-01-07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導電性フイルム及び透明発熱体
EP2381739B1 (en) * 2009-01-21 2013-11-13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9014757A1 (de) * 2009-03-27 2010-10-07 Polyic Gmbh & Co. Kg Elektrische Funktionsschicht,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dazu
CN102639318B (zh) * 2009-11-27 2014-11-19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导电性叠层体及其制造方法、以及静电容量式触摸面板
JP2011199173A (ja) * 2010-03-23 2011-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CN102063951B (zh) * 2010-11-05 2013-07-03 苏州苏大维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导电膜及其制作方法
CN103348417A (zh) * 2011-01-06 2013-10-09 琳得科株式会社 透明导电性层压体以及有机薄膜装置
JP5682464B2 (ja) * 2011-06-13 2015-03-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アンテナ、及び画像表示装置
CN102723126B (zh) * 2012-05-09 2015-10-2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随机网格的图形化透明导电薄膜
CN202677865U (zh) * 2012-05-09 2013-01-16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随机网格的图形化透明导电薄膜
CN102902856B (zh) * 2012-09-27 2015-03-04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金属网导电薄膜的随机网格设计方法、导电膜及其制作方法
CN102903423B (zh) * 2012-10-25 2015-05-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中的导电结构、透明导电膜及制作方法
CN203179569U (zh) * 2013-02-04 2013-09-04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63A (ko) * 2017-12-19 2019-06-27 한국과학기술원 저온 구동성이 향상된 lcd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26501A (zh) 2013-12-04
JP5940177B2 (ja) 2016-06-29
WO2014117479A1 (zh) 2014-08-07
KR101540986B1 (ko) 2015-08-06
TW201432729A (zh) 2014-08-16
JP2015510247A (ja) 2015-04-02
CN103426501B (zh) 2016-04-13
TWI493575B (zh)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986B1 (ko) 투명 전도성 필름
TWI541838B (zh) 透明導電膜中之導電結構、透明導電膜及製作方法
CA2826027C (en) Patterned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24361B (zh) 透明導電膜
US20140198264A1 (en) Metal mesh conductive layer and touch panel having the same
US20140360757A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having anisotropic electrical conductivity
TWI628565B (zh) 導電片、靜電容式觸控面板以及顯示裝置
KR20140002044A (ko) 무작위 그리드를 기반으로 하는 패턴된 투명 전도성 필름
TWM496801U (zh) 觸控面板及觸控顯示裝置
KR101536573B1 (ko)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I503875B (zh) 圖形化透明導電膜
JP2014236007A (ja) 透明導電膜
KR200479733Y1 (ko) 편광자 모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KR20140141469A (ko) 터치 스크린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216804A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N113066604A (zh) 一种导电膜及制备方法
CN203179569U (zh) 透明导电膜
US9313896B2 (en) Double-layer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5834260U (zh) 一种引线电极
CN110136864A (zh) 透明导电膜
CN104345940A (zh) 一种透明导电膜及其引线电极
CN109725753B (zh) 透明导电膜及显示装置
US11733821B2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JP2018138979A (ja) 光学デバイス
WO2018154855A1 (ja) 光学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