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73B1 -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73B1
KR101536573B1 KR1020137026020A KR20137026020A KR101536573B1 KR 101536573 B1 KR101536573 B1 KR 101536573B1 KR 1020137026020 A KR1020137026020 A KR 1020137026020A KR 20137026020 A KR20137026020 A KR 20137026020A KR 101536573 B1 KR101536573 B1 KR 10153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layer
groove
adhesive lay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610A (ko
Inventor
페이 쩌우
유롱 까오
미아오치안 차오
잉 구
Original Assignee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6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 H05K1/0287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 H05K1/0289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having a matrix lay-out, i.e.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able sets of X-conductors and Y-conductors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filling grooves in the support with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08Transpa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1 임프린트(imprint) 접착층(adhesive layer)으로,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mesh-shaped groove)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1 임프린트 접착층;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 및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형성된 점착층(tackifier layer); 상기 점착층에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제2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이고, 상기 제1 메쉬 또는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상기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 제공된다. 라미네이션 동안, 어떠한 배열 정확도도 필요로 되지 않고, 그럼으로써 생산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UBLE-LAYER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도성 필름과 관련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과 관련된다.
투명 전도성 필름(transparent conductive film)은 높은 전도성 및 가시광선에서 좋은 투과성을 갖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전도성 필름으로, 따라서 광범위한 응용 전망을 갖는다. 현재, 투명 전도성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crystal display), 터치 패널(touch panel), 전자파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태양 전지의 투명 전극의 투명 표면 히터(heate) 및 연성의 발광 소자(flexible light-emitting device) 등의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투명 전도성 필름은 보통 노출(exposure), 개발(development), 에칭(etching), 세척(cleaning) 및 전도성 영역 및 투과성 영역이 상기 패턴을 따라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기타 절차를 통해 패턴화되어야 한다. 또한 금속 메쉬(mesh)는 프린팅(printing)에 의해 기판 상의 특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에서 메쉬는 필름의 광학 성능에 필수적이다; 이것은 가시광선 및 높은 적외선 반사도를 위한 높은 투과율(transmittance)뿐만 아니라 좋은 전도성을 요구한다.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을 설계 및 적층(lamination)하는 동안 메쉬 면적 사이의 색차(color difference)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광학 현상을 피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의 메쉬를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의 배열 정확도는 대게 10μm로 상대적으로 높고, 그럼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광학 현상을 피할 수 있고, 높은 투과율이 보장될 수 있다. 생산에서 배열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장치 및 작동 요구 역시 상대적으로 높은 수요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광 투과율을 갖고 배열 정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1 임프린트(imprint) 접착층(adhesive layer)으로,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mesh-shaped groove)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1 임프린트 접착층;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 및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형성된 점착층(tackifier layer);
상기 점착층에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제2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이고, 상기 제1 메쉬 또는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상기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의 메쉬 셀은 불규칙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정한 메쉬 셀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의 메쉬는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이고, (-1, 1)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grid lines)의 수는 (-∞, -1) 및 (1, +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크거나; 또는 (-1, 1)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grid lines)의 수는 (-∞, -1) 및 (1, +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적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정한 메쉬는 육각형 메쉬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의 메쉬는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이고,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은 균일하게 분포되고,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상기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 기판의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coating)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pattern imprinting)하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을 얻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점착층을 결합하고;
상기 점착층에 제2 기판을 결합하고,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하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메쉬이고; 그리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1 임프린트 접착층;
상기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기판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제2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이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메쉬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의 한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하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을 얻고;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상기 다른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하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메쉬이고; 그리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는 기판, 제1 메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배치된 분리 층으로, 상기 분리 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분리 층이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메쉬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의 표면에 패턴 임프린팅 하고, 상기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을 얻고;
분리 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성 층의 표면에 중합체(polymer)를 코팅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분리 층을 패턴 임프린팅 하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메쉬이고; 그리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이다.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은 제1 전도성 층 및 제2 전도성 층을 포함한다. 제1 전도성 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1 매쉬 형태의 홈은 제1 전도성 층의 표면에 제1 메쉬를 형성한다. 제1 메쉬 및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 메쉬이다.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의 설계 또는 적층 동안, 어떠한 배열 정확도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메쉬 면적 사이의 색차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광학 현상 역시 피할 수 있다. 또한, 생산 공정에서 어떠한 배열 정확도도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생산 효율은 크게 향상된다.
도 1a는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1의 단면도(cross-sectional view)이다.
도 1b는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1의 제2 전도성 층의 평면도(plan view)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제1 전도성 층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실시예 2의 제2 전도성 층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실시예 2의 제1 전도성 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3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3의 제2 전도성 층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 3의 제1 전도성 층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의 흐름도(flowchart)이다.
도 6은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2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 3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한다.
실시예 1
도 1a에 따른 실시예 1의 단면도는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이다. 아래에서 위로,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은 제1 기판 (110), 제1 임프린트 접착층 (120), 제1 전도성 층 (101), 점착층 (103), 제2 기판 (110’), 제2 임프린트 접착층 (120’) 및 제2 전도성 층 (102)를 포함한다.
제1 기판 (110)은 PET로 제조되고, 188μm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제1 기판 (110)은 투명하다.
제1 임프린트 접착층 (120)은 제1 기판 (110)에 형성된다. 제1 임프린트 접착층 (120)은 UV 임프린트 접착제로 제조된다. 제1 임프린트 접착층 (120)은 임프린팅에 의해 제1 메쉬 형태의 홈 (14)를 나타내는 것으로 깊이 3μm, 폭 2.2μm를 갖는다. 제1 메쉬 형태의 홈 (14)는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임의의 메쉬이다.
제1 전도성 층 (101)은 제1 임프린트 접착층 (120)에 형성된다. 제1 전도성 층 (101)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14)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은)을 포함한다.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은(silver)은 자가 연결(self-connected)되고, 전도성 면적을 형성한다. 은의 두께는 약 2 μm이고, 홈 14의 깊이보다 적다.
점착층 (103)은 제1 전도성 층 (101)에 결합된다.
제2 기판 (110')은 점착층 (103)에 형성되고, 제1 기판 (110)과 동일한 구조 및 물질을 갖는다.
제2 임프린트 접착층 (120')는 제2 기판 (110')에 형성된다. 제2 임프린트 접착층 (120')은 임프린팅에 의해 제2 메쉬 형태의 홈 (14')를 정의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14')는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일정한 메쉬이다.
제2 전도성 층 (102)는 제2 임프린트 접착층 (120')에 형성된다. 제2 전도성 층 (102)는 제2 메쉬 형태의 홈 (14')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은)을 포함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14')에 채워진 은(silver)은 자가 연결되고 전도성 면적을 형성한다. 은의 두께는 약 2 μm이고, 홈 14의 깊이보다 적다.
제1 전도성 층 (101) 및 제2 전도성 층 (102)는 점착층 (103)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0)을 형성한다.
도 1b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는 제2 전도성 층 (102)이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14')에 의해 형성된 제2 메쉬는 일정한 메쉬이다. 일정한 메쉬는 메쉬 셀 (12)의 대다수를 병렬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의 도면에서, 임의의 지점은 메쉬 셀 (12)의 시작 노드(initial node) (12a)로 선택되고, 그리드 라인 (121)은 노드 (12a)에서 노드 (12b)에 걸쳐 있다; 또한 그리드 라인 (124)는 노드 (12a)에서 노드 (12d)에 도달하기 위해 그리드라인 (121)의 것과 다른 방향으로 걸쳐 있다; 그리드 라인 (122) 및 그리드 라인 (123)은 노드 (12b), (12d)에서 그리드 라인 (124), (121)과 다른 방향으로 걸쳐 있고, 노드 (12c)를 형성하기 위해 교차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일정한 사각형 메쉬 셀 (12)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각각의 노드가 선택되고, 제2 전도성 층 (102)의 메쉬를 형성하기 위해 공정이 되풀이된다. 즉, 그리드 라인 (121), (122), (123) 및 (124)는 협동적으로 메쉬 셀 (12)를 형성한다. 메쉬 셀 (12)를 형성하는 그리드 라인은 280μm의 길이를 갖는다. 메쉬 셀 (12)의 4개의 그리드 라인은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 (13)을 둘러싸고, 이것은 반투명(translucent) 면적으로 사용되는 절연(insulating) 면적이다. 메쉬 셀 (12)에 대한 가운데 공간 면적 (13)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크다. 즉, 제2 전도성 층 (102)의 총 면적에 대한 제2 전도성 층 (102)의 일정한 메쉬에서의 가운데 공간 면적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크다. 그러한 비율은 전도성 필름의 높은 투과율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 1의 평면도는 제1 전도성 층 (101)이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14')에 의해 형성된 제1 메쉬는 임의의 메쉬이다. 임의의 메쉬는 메쉬 셀 (21)의 대다수를 배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임의의 지점은 메쉬 셀 (21)의 시작 노드 (21a)로 선택되고, 그리드 라인 (211)은 노드 (21a)에서 노드 (21b)에 걸쳐 있다; 또한 그리드 라인 (214)는 노드 (21a)에서 노드 (21d)에 도달하기 위해 그리드라인 (211)의 것과 다른 방향으로 걸쳐 있다; 그리드 라인 (212) 및 그리드 라인 (213)은 노드 (21b), (21d)에서 그리드 라인 (214), (211)과 다른 방향으로 걸쳐 있고, 노드 (21c)를 형성하기 위해 교차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불규칙한 사각형 메쉬 셀 (12)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각각의 노드가 선택되고, 제2 전도성 층 (101)의 메쉬를 형성하기 위해 공정이 되풀이된다. 즉, 그리드 라인 (211), (212), (213) 및 (214)는 협동적으로 메쉬 셀 (21)를 형성한다. 메쉬 셀 (21)의 4개의 그리드 라인은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 (22)을 둘러싸고, 이것은 반투명(translucent) 면적으로 사용되는 절연(insulating) 면적이다. 메쉬 셀 (21)에 대한 가운데 공간 면적 (22)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크다. 즉, 제2 전도성 층 (101)의 총 면적에 대한 제2 전도성 층 (101)의 일정한 메쉬에서의 가운데 공간 면적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크다. 메쉬 셀 (21)의 둘레는 제2 전도성 층 (102)의 메쉬 셀 (12)의 것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서, 불규칙한 사각형의 형성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첫째, 일정한 정사각형의 메쉬 셀이 설계되고, 그 후 스퀘어의 각각의 노드를 이동하고, 이동한 노드는 연결된 사각형이 불규칙한 사각형임을 보장한다. 노드를 이동하는 방법은 시작 노드로부터 거리 d로 중심 이동하는 초기 노드를 사용한 임의의 이동일 수 있다. 그리드 라인 (211), (212), (213) 및 (214)는 협동적으로 메쉬 셀 (21)을 형성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 (100)의 제조방법이다.
단계 S101, 임프린트 접착제는 제1 임프린트 접착층 (120)을 형성하기 위해 제1 기판 (110)의 표면에 코팅되고,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14)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 (14)는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임의의 메쉬이다.
단계 S102, 제1 메쉬 형태의 홈 (14)는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 (101)이 얻어진다.
전도성 물질은 은(silver)이다.
단계 S103, 점착층 (103)은 제1 전도성 층 (101)에 결합된다.
점착층 (103)은 제1 전도성 층 (101) 및 제2 전도성 층 (102) 사이에 더 잘 결합하기 위에 사용된다.
단계 S104, 제2 기판 (110')은 점착층 (103)에 결합되고, 임프린트 접착제는 제2 임프린트 접착층 (120')을 형성하기 위해 제2 기판 (110')의 표면에 코팅되고,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 (14')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 (14')는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일정한 메쉬이다.
단계 S105, 제2메쉬 형태의 홈 (14)는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 (102)이 얻어진다.
제1 전도성 층 (101)을 감지 층(sensing layer)으로 사용하고, 제2 전도성 층 (102)는 구동 층(driving layer)으로 사용하고, 두 층은 점착층 (103)을 통해 라미네이트(laminated)되고 결합된다. 제1 전도성 층 (101) 및 제 2 전도성 층 (102)의 라미네이션(lamination) 동안, 어떠한 배열 정확도도 필요로 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메쉬 면적 사이의 색차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광학 현상을 피할 수 있으며, 생산 공정 및 장비 요구 사항이 상대적으로 낮다.
실시예 2
도 3은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200)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위로,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200)은 제1 전도성 층 (201), 제1 임프린트 접착층 (210), 기판 (203), 제2 임프린트 접착층 (210’) 및 제2 전도성 층 (202)를 포함한다.
기판 (203)은 두 전도성 층 사이에 배치된다. 기판 (203)은 PET로 제조되고, 188μm의 두께를 갖는다.
제1 임프린트 접착층 (210)은 기판 (203)의 아래쪽 표면에 형성된다. 제1 임프린트 접착층 (210)은 임프린팅에 의해 제1 메쉬 형태의 홈 (32)를 나타내는 것으로, 깊이 3μm, 폭 2.2μm이다. 제1 메쉬 형태의 홈 (32)는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임의의 메쉬이다.
제1 전도성 층 (201)은 제1 임프린트 접착층 (210)에 형성된다. 제1 전도성 층 (201)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32)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은)을 포함한다. 은의 두께는 약 2 μm이고, 홈 32의 깊이보다 적다. 임프린팅에 의해 제1 메쉬 형태의 홈 (32)가 전달(communicated)되기 때문에, 여기에 채워진 은은 전도성 면적을 형성한다.
제1 전도성 층 (201)은 제1 임프린트 접착층 (210)에 형성된다. 제1 전도성 층 (201)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32)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은)을 포함한다. 은의 두께는 약 2 μm이고, 홈 32의 깊이보다 적다. 임프린팅에 의해 제1 메쉬 형태의 홈 (32)가 전달(communicated)되기 때문에, 여기에 채워진 은은 전도성 면적을 형성한다.
제2 임프린트 접착층 (210')은 기판 (203)의 위쪽 표면에 형성된다. 제2 임프린트 접착층 (210')은 임프린팅에 의해 제2 메쉬 형태의 홈 (32')를 정의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32')는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일정한 메쉬이다.
유사하게, 제2 전도성 층 (202)는 제2 임프린트 접착층 (210')에 형성된다. 제2 전도성 층 (202)는 제2 메쉬 형태의 홈 (32')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은)을 포함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으로 채워진 은(silver)은 자가 연결되고, 전도성 면적을 형성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전도성 층 (202)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32')에 의해 형성된 제2 메쉬는 일정한 메쉬이다. 일정한 메쉬는 메쉬 셀 (33)의 대다수를 정렬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메쉬 셀 (33)은 일정한 육각형 형상이다. 임의의 지점이 메쉬 셀 (33)의 초기 노드 (33A)로 선택되고, 그리드 라인 (331)은 노드 (33a) 에서 노드 (33b)에 걸쳐 있고; 그리드 라인 (332)는 노드 (33b) 에서 노드 (33c)에 걸쳐 있고, 그리드 라인 (333)은 노드 (33c) 에서 노드 (33d)에 걸쳐 있고, 그리드 라인 (334)는 노드 (33d) 에서 노드 (33e)에 걸쳐 있고, 그리드 라인 (335)는 노드 (33e)에서 노드 (33f)에 걸쳐 있고, 그리드 라인 (336)은 노드 (33f)에서 노드 (33e)에 걸쳐 있다. 그럼으로써 일정한 육각형 메쉬 셀 (33)이 형성된다. 메쉬 셀 (33)의 대다수가 일정한 매쉬를 형성할때까지 설명된 공정을 되풀이한다. 메쉬 셀 (33)은 가운데 공간 면적 (337)을 둘러싸고, 이것은 반투명 면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면적이다. 메쉬 셀 (33)에 대한 가운데 공간 면적 (337)의 면적 비율은 96.2%보다 크다. 즉, 제2 전도성 층 (202)의 총 면적에 대한 제2 전도성 층 (202)의 일정한 메쉬에서의 가운데 공간 면적의 면적 비율은 96.2%보다 크다. 그러한 비율은 전도성 필름의 높은 투과율을 허용할 수 있다. 메쉬 셀 (33)은 280μm의 둘레를 갖는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전도성 층 (201)의 평면도이다.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의해 형성된 제1 메쉬는 임의의 메쉬이다. 임의의 메쉬는 메쉬 셀 (33')의 대다수를 정렬함으로써 형성된다. 메쉬 셀 (33')은 불규칙한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과 같이 불규칙한 다각형이다. 메쉬 셀 (33')의 대다수는 제1 전도성 층 (201)의 임의의 메쉬를 형성하고, 이의 그리드 라인은 직선 부분(segment)이다. (-1, 1)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grid lines)의 수는 (-∞, -1) 및 (1, +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크다. 즉, 45° 이거나 또는 그 이하인 X 축으로 각도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는 45°보다 큰 X축으로 각도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크다. 또는 (-1, 1)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grid lines)의 수는 (-∞, -1) 및 (1, +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적다. 메쉬 셀 (33')의 네개의 그리드 라인으로 둘러싸인 공간(blank)은 절연 면적으로, 이것은 또한 반투명 면적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도식에서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 (200)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01, 임프린트 접착제는 제1 임프린트 접착층 (210)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203)의 한 표면에 코팅되고,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3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 (32)는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임의의 메쉬이다.
단계 S202,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 (201)이 얻어진다.
전도성 물질은 은(silver)이다.
단계 S203, 제2 임프린트 접착층 (210')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203)의 다른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가 코팅되고,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 (3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 (32')는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일정한 메쉬이다.
단계 S204, 제2 메쉬 형태의 홈 (32')는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 (202)이 얻어진다.
제1 전도성 층 (201)은 불규칙한 다각형의 메쉬 셀 (33')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셀 (33')의 대다수는 임의의 메쉬를 형성한다. 제2 전도성 층 (202)는 육각형의 메쉬 셀 (33)의 대다수를 포함하고, 이것은 일정한 메쉬를 형성한다. 제2 전도성 층 (202)의 일정한 메쉬 셀 (33)의 형성 동안, 제1 전도성 층 (101) 및 제2 전도성 층 (102)의 라미네이션을 위해 어떠한 배열 정확도도 필요로 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메쉬 사이의 색차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광학 현상을 피할 수 있고, 생산 공정 및 장비 요구 사항이 상대적으로 낮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300)으로, 단면(single-side) 및 이중층 구조를 갖는다. 아래에서 위로,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300)은 기판 (41), 제1 전도성 층 (301), 분리 층 (303) 및 제2 전도성 층 (302)를 포함한다.
제1 전도성 층 (301)은 기판 (41)에 형성된다. 제1 전도성 층 (301)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42)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물질은 은이다. 은의 두께는 약 2μm로, 홈 (42)의 깊이보다 적다. 제1 메쉬 형태의 홈 (42)에 채워진 은은 자가 연결되고 제1 전도성 층 (301)을 형성한다.
분리 층 (303)은 제1 전도성 층 (301)에 배치된다. 분리 층 (303)은 UV 임프린트 접착제와 같은 중합체로 제조된다. 분리 층 (303)은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를 정의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는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임의의 메쉬이다.
제2 전도성 층 (302)는 분리 층 (303)에 배치된다. 제2 전도성 층 (302)는 제2 메쉬 형태의 홈 (42')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은)을 포함한다. 은의 두께는 약 2μm로, 홈 (42')의 깊이보다 적다. 제1 메쉬 형태의 홈 (42')에 채워진 은은 자가 연결되고 제2 전도성 층 (302)을 형성한다.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전도성 층 (301)의 평면도이다. 제1 메쉬 형태의 홈 (42)는 일정한 메쉬를 형성한다. 일정한 메쉬는 병렬 배열된 메쉬 셀 (45)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셀 (45)는 마름모 형태이고, 이것은 X축으로 20° 각도를 형성하는 그리드 라인을 갖는다. 메쉬 셀 (45)는 가운데 공간 면적을 둘러싸고, 이것은 반투명 면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면적이다. 제1 전도성 층 (301)은 가시광선에서 86.6%보다 큰 투과율을 갖는다.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전도성 층 (302)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는 임의의 메쉬를 형성한다. 임의의 메쉬는 병렬 배열된 메쉬 셀 (45’)의 대다수를 포함한다. 메쉬 셀 (45’)는 불규칙한 다각형이고, 메쉬 셀 (45’)의 대다수는 임의의 메쉬를 형성하고, 이의 그리드 라인은 직선 부분(segment)이다. 임의의 메쉬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그리드 라인은 오른쪽 수평 X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균일한 분포는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킨다. 메쉬 셀 (45’)는 가운데 공간 면적을 둘러싸고, 이것은 반투명 면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면적이다.
도 7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층의 전도성 필름 (3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301, 기판 (41)의 표면은 제1 메쉬 형태의 홈 (4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 (42)는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일정한 메쉬이다.
단계 S302, 제1 메쉬 형태의 홈 (42)는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 (301)이 얻어진다.
전도성 물질은 은이다.
단계 S303, 중합체가 분리 층 (303)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성 층 (301)의 표면에 코팅되고; 분리 층 (303)은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는 제2 메쉬를 형성하고, 이것은 임의의 메쉬이다.
코팅된 중합체는 UV 임프린트 접착체일 수 있다.
단계 S304,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는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 (302)가 얻어진다.
첫째, 기판 (41)의 표면이 제1 메쉬 형태의 홈 (4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되고, 이것은 깊이 3μm, 폭 2.2μm를 갖는다. 기판 (303)의 표면에 제1 메쉬 형태의 홈 (42) 전체가 스크래치(scratch) 기술에 의해 전도성 물질로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 (301)이 얻어진다. 메쉬 형태의 홈 (42)의 대다수가 배열되고 일정한 메쉬를 형성한다. 일정한 메쉬는 앞서 설명했듯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후 중합체는 분리 층 (303)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성 층 (301)의 표면에 패턴 코팅되고, 이것은 제1 전도성 층 (301)을 커버(cover)하고, 4μm의 두께를 갖는다. 분리 층 (303)은 제2 메쉬 형태의 홈 (4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임프린팅된다. 제2 메쉬 형태의 홈 (42')의 대다수가 임의의 메쉬를 형성한다. 스크래치(scratch) 기술에 의해 제2 메쉬 형태의 홈 (42')에 전도성 물질이 채워지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 (302)이 얻어진다.
비록 본 발명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에 특정한 용어로 설명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것은 특허청구범위로 정의되는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설명된 특정한 특징 또는 행위로 제한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에 개시된 특정한 특징 또는 행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제 형태로 개시된 것이다.

Claims (12)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1 임프린트(imprint) 접착층(adhesive layer)으로,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mesh-shaped groove)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1 임프린트 접착층;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 및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형성된 점착층(tackifier layer);
    상기 점착층에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제2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적층 동안, 배열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메쉬 셀은 불규칙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메쉬 셀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메쉬는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이고, (-1, 1)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grid lines)의 수는 (-∞, -1) 및 (1, +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크거나;
    또는 (-1, 1)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grid lines)의 수는 (-∞, -1) 및 (1, + ∞)의 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그리드 라인의 수보다 적은 것인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메쉬는 육각형 메쉬인 것인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메쉬는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이고, 상기 불규칙한 다각형 메쉬의 그리드 라인은 균일하게 분포되고, 두 노드(two node) 사이의 상기 그리드 라인(grid line)은 수평 X축으로 각도 θ 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θ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균일한 분포는 상기 임의의 그리드 각각의 통계 값 θ를 나타내고; 그리고 스테퍼 각도(stepper angle) 5o 에서 각각의 각도 간격(angle intervals) 내에 상기 그리드 라인이 속한 확률 p i 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로써 0~180o 내의 36개의 각도 간격 p 1 , p 2 p 36 을 얻고; p i 는 표준 편차가 산술 평균의 2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인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8.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 기판의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coating)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pattern imprinting)하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을 얻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점착층을 결합하고;
    상기 점착층에 제2 기판을 결합하고,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하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고; 그리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적층 동안, 배열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9.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1 임프린트 접착층;
    상기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기판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제2 임프린트 접착층으로,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적층 동안, 배열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10.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의 한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하고,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을 얻고;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다른 표면에 임프린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임프린트 접착층을 패턴 임프린팅하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고; 그리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적층 동안, 배열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는 기판, 제1 메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 층;
    상기 제1 전도성 층에 배치된 분리 층으로, 상기 분리 층은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는 것인 분리 층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에 채워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 층;
    을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적층 동안, 배열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
  12.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의 표면에 패턴 임프린팅 하고, 상기 메쉬 형태의 홈은 제1 메쉬를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1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1 전도성 층을 얻고;
    분리 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성 층의 표면에 중합체(polymer)를 코팅하고;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분리 층을 패턴 임프린팅 하고,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은 제2 메쉬를 형성하고; 그리고
    전도성 물질로 상기 제2 메쉬 형태의 홈을 채우고 소결시켜서 제2 전도성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 중 하나는 일정한(regular) 메쉬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의(random) 메쉬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적층 동안, 배열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층의 면적에 대한 상기 일정한 메쉬 셀(cell)의 가운데 공간 면적(middle blank area)의 면적 비율은 9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double-layered)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37026020A 2013-02-04 2013-07-05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6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43999.3A CN103426500B (zh) 2013-02-04 2013-02-04 双层透明导电膜及其制备方法
CN201310043999.3 2013-02-04
PCT/CN2013/078930 WO2014117477A1 (zh) 2013-02-04 2013-07-05 双层透明导电膜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10A KR20140108610A (ko) 2014-09-12
KR101536573B1 true KR101536573B1 (ko) 2015-07-22

Family

ID=4965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020A KR101536573B1 (ko) 2013-02-04 2013-07-05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84985B2 (ko)
KR (1) KR101536573B1 (ko)
CN (1) CN103426500B (ko)
TW (1) TWI493573B (ko)
WO (1) WO2014117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338B1 (ko) * 2014-06-11 2016-08-03 주식회사 알.에프.텍 도전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1745B1 (ko) 2015-03-26 2016-12-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전극 소재
KR101681749B1 (ko) 2015-03-26 2016-12-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전극 소재의 제조 방법
JP7103718B2 (ja) * 2016-12-20 2022-07-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メッシュ電極
CN108008853B (zh) * 2017-11-20 2020-01-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传感器及其导电膜结构
CN109041557B (zh) * 2018-07-16 2020-04-24 苏州维业达触控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网格及其制作方法
CN111148419A (zh) * 2018-11-05 2020-05-12 苏州大学 一种多层屏蔽膜及其制造方法
CN112117120A (zh) * 2019-06-19 2020-12-22 苏州维业达触控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线圈、无线充电线圈的制作方法及其应用
KR20210085958A (ko) * 2019-12-31 2021-07-08 미래나노텍(주) 스크린 장치
CN111831171B (zh) * 2020-06-05 2023-05-30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Pet基材的制备方法及电容膜、电容式触屏模组、整机模组
KR102480837B1 (ko) * 2021-01-11 2022-12-2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및 전극 배선부의 폭 결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3423A (zh) * 2012-10-25 2013-01-30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中的导电结构、透明导电膜及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77B1 (ko) * 2006-03-06 2007-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임프린팅에 의한 기판의 제조방법
JP5345859B2 (ja) * 2009-01-07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導電性フイルム及び透明発熱体
EP2401669B1 (en) * 2009-02-26 2016-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sensor and patterned substrate having overlaid micropatterns with low visibility
JP5335554B2 (ja) * 2009-05-19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271782A (ja) * 2009-05-19 2010-12-02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082607B1 (ko) * 2009-10-16 2011-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2063951B (zh) * 2010-11-05 2013-07-03 苏州苏大维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导电膜及其制作方法
CN103348417A (zh) * 2011-01-06 2013-10-09 琳得科株式会社 透明导电性层压体以及有机薄膜装置
CN102222538B (zh) * 2011-03-11 2012-12-05 苏州纳格光电科技有限公司 图形化的柔性透明导电薄膜及其制法
TWI428667B (zh) * 2011-06-09 2014-03-0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摸屏面板的製備方法
WO2013140859A1 (ja) * 2012-03-22 2013-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極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表示装置
CN102708946B (zh) * 2012-05-09 2015-01-07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双面图形化透明导电膜及其制备方法
CN102723126B (zh) * 2012-05-09 2015-10-2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随机网格的图形化透明导电薄膜
CN202677865U (zh) * 2012-05-09 2013-01-16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随机网格的图形化透明导电薄膜
CN102902856B (zh) * 2012-09-27 2015-03-04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金属网导电薄膜的随机网格设计方法、导电膜及其制作方法
CN203150154U (zh) * 2013-02-04 2013-08-2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双层透明导电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3423A (zh) * 2012-10-25 2013-01-30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中的导电结构、透明导电膜及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26500A (zh) 2013-12-04
KR20140108610A (ko) 2014-09-12
TWI493573B (zh) 2015-07-21
JP2015511392A (ja) 2015-04-16
WO2014117477A1 (zh) 2014-08-07
JP6184985B2 (ja) 2017-08-23
TW201432725A (zh) 2014-08-16
CN103426500B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573B1 (ko) 이중층의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4798B1 (ko)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49837A1 (zh) 一种光触控基板、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2866816B (zh) 一种电容式触摸传感器及制作方法、触摸屏和显示装置
TWM485451U (zh) 濾光片模組及包含該濾光片模組之觸摸顯示幕
KR20170102059A (ko)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전도성 구조,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9733Y1 (ko) 편광자 모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CN104914615A (zh) 一种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600206A (zh) Oled器件及oled器件的制作方法
WO2016086648A1 (zh) 触摸屏及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TW201445409A (zh) 單層多點式觸控導電膜及其製備方法
KR20140141469A (ko) 터치 스크린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2955288A (zh) 一种彩膜基板、制作方法及液晶触摸显示装置
CN103257749A (zh) 滤光片组件及触摸显示屏
US9313896B2 (en) Double-layer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345329A (zh) 滤光片组件和触摸显示屏
CN103425320A (zh) 透明触摸屏
CN103325441A (zh) 触控面板之导电薄膜及其制造方法
CN103425342B (zh) 单层多点式触控导电膜及单层多点式触控屏
US9392700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399666A (zh) 滤光片组件和触摸显示组件
KR101636859B1 (ko) 투명 전도체 및 이의 준비 방법
CN202838990U (zh) 触控面板之导电薄膜
CN203386178U (zh) 滤光片模块及使用该滤光片模块的触摸显示屏
CN203150154U (zh) 双层透明导电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