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984A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984A
KR20140107984A KR1020130022314A KR20130022314A KR20140107984A KR 20140107984 A KR20140107984 A KR 20140107984A KR 1020130022314 A KR1020130022314 A KR 1020130022314A KR 20130022314 A KR20130022314 A KR 20130022314A KR 20140107984 A KR20140107984 A KR 20140107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emperature
compressor
set temperatur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995B1 (ko
Inventor
한인재
고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995B1/ko
Priority to US14/770,650 priority patent/US10487442B2/en
Priority to PCT/KR2013/011184 priority patent/WO2014133247A1/en
Priority to CN201380073814.1A priority patent/CN105051281B/zh
Priority to BR112015020799A priority patent/BR112015020799A2/pt
Priority to AU2013379892A priority patent/AU2013379892B2/en
Priority to EP13876466.7A priority patent/EP2961877B1/en
Publication of KR2014010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 D06F33/1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substantially pneumatic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2Preventing 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과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의류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의류수용부에 재공급하는 구조이다.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풍공급부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었다. 상기 열교환부는 히트펌프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히트펌프 모듈은 압축기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대부분 압축기의 구동 소음과 블로워의 구동 소음에 의해 발생된다.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압축기 및 블로워의 작동을 최대로 설정하게 되면 건조효율은 높일 수 있으나 작동소음이 증가하여 소비자에게 불쾌한 작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과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는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가 상기 제1작동주파수와 상기 제1작동주파수 미만의 제2작동주파수 사이의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이고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시간 동안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이고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가 제3작동주파수 미만인 경우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는, 소정시간 동안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상기 제2설정온도 미만인 제3설정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최소 한 번 기설정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과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제1조건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인 제2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만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초기에 압축기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초기부터 압축기의 최고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건조효율과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히트펌프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히트펌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4)로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1),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11)의 상부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51)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내역이 표시되는 표시부(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51)는 버튼이나 로터리놉(rotary knob)의 형태로 컨트롤패널(15)에 구비되며,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프로그램(세탁코스, 건조코스), 세탁시간, 세탁수의 양, 열풍공급시간 등의 제어명령을 제어부(미도시)에 입력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표시부(153)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코스 명 등),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가 동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정보(잔여시간 등)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위한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브와 드럼이 모두 구비된 의류수용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터브의 전방면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터브개구부(2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개구부(21)와 상기 투입구(11) 사이에는 가스켓(23)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스켓(23)은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23)은 고무와 같은 진동절연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이 지지되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터브(2)가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터브의 경사각은 90도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의 원주면 상부에는 터브(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25)이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27)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배출홀(25)은 터브(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터브(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3참고).
이는 드럼의 회전 시 터브(2)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홀(25)을 통해 터브(2)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후술할 이물질 제거부(6)를 통해 열풍공급부(4) 내부의 이물질이 터브(2)로 유입될 때 이물질 등이 터브(2)의 내주면을 따라 터브(2)의 하부면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드럼(3)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2) 내부에 위치하며, 터브(2)의 외부에 구비된 모터(33)에 의해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모터(33)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335), 상기 스테이터(335)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31),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의 배면과 로터(331)를 연결하는 회전축(3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3)에는 상기 투입구(11) 및 터브개구부(21)에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1)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투입구(11)를 통해 드럼(3)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도 있고, 드럼(3)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터브(2)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부(1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155)는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drawer) 형태로 구비되는 저장부(1551, 도 5참고), 상기 저장부(1551)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2) 내부로 안내하는 세제공급관(1553, 도 5참고), 상기 컨트롤패널(15)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1551)를 캐비닛(1)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 손잡이(15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5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데 급수원을 통해 저장부(1551)로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155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공급관(1553)을 통해 터브(2)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열풍공급부(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터브(2)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상기 터브(2)의 전방면(상기 투입구(11)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된 터브의 일면)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41, 43, 47)를 포함한다. 또한, 순환유로(41, 43, 47)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히트펌프 모듈은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45)와 압축기(45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4)는 상기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49)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유로(41, 43, 47)는 터브(2)의 후방에서 인출된 공기가 터브(2)의 전방면을 통해 터브(2)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공기가 터브(2)의 원주면 상부 후방에서 공기가 인출되고, 터브(2)의 원주면 상부 전방을 통해 터브(2)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유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순환유로는 터브(2)에 구비된 공기배출홀(25)에 고정된 흡입덕트(41), 상기 흡입덕트(41)와 상기 블로워(49)을 연결하며 상기 열교환부(45)가 고정되는 연결덕트(43), 상기 블로워(49)와 가스켓(23)을 연결하는 배출덕트(4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41)는 터브의 원주면 후방에 위치한 공기배출홀(25)을 통해 터브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유로로 상기 흡입덕트(41)는 진동절연부재(고무 등)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흡입덕트(41)를 통해 연결덕트(43) 및 열교환부(4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연결덕트(43) 및 열교환부(45)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흡입덕트(41)에는 주름관(bellows)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름관은 흡입덕트(41)의 전체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고, 흡입덕트(41)의 일부 영역(예, 연결덕트의 결합부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45)는 증발기(451) 및 응축기(453)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451) 및 응축기(453)는 연결덕트(43)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455)는 연결덕트(4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455)는 냉매관(459)을 통해 증발기(451) 및 응축기(453)에 연결되며 냉매는 압축기(455)에 의해 증발기(451), 응축기(453) 및 압축기(455)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451)에서는 냉매가 연결덕트(43)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증발기(451)는 공기를 냉각함과 동시에 공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을 제거(제습)하는 수단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덕트(43) 내부의 공기는 증발기(4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므로 연결덕트(43) 내부에는 응축수가 잔류하게 된다.
응축수가 연결덕트(43) 내부에 잔류하게 되면 응축수가 건조 중인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연결덕트(43) 내부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연결덕트(4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를 연결덕트(4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덕트(43)와 배수부(27)를 연결하는 유로(미도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453)에서는 냉매가 응축된다.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응축기(453)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되므로 응축기(453)는 증발기(45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 된다.
한편, 상기 순환유로(41, 43, 4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압축기(455)는 터브(2) 상부에 위치된 공간 중 순환유로와 캐비닛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브(2)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나 부피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덕트(47)는 블로워(49)를 통해 연결덕트(43)에서 배출된 공기를 터브(2) 내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일단은 블로워(49)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스켓(23)에 구비된 덕트연결홀(231)에 연결된다.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배출덕트(47)를 통해 블로워(49)나 연결덕트(4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23)과 배출덕트(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동절연부재(또는 탄성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워(49)는 열교환부(45)와 배출덕트(47) 사이에 구비되므로 본 발명에 구비된 블로워(49)는 열교환부(45)의 전방에 양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45)를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부(45)의 후방에 음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45)를 통과되도록 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455)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453)를 통과하는 또는 응축기(453)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55)는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이하, 압축냉매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1온도센서(55)는 압축기(455)와 응축기(453) 사이에 구비되는 냉매관(459)에 설치되어 압축냉매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1온도센서(55)는 압축기(455)와 인접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온도센서(55)는 압축기(455)와 응축기(453) 사이에 구비되는 냉매관(459)에 설치되되, 압축기(455)에 더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온도센서(57)는 응축기(453)를 통과하는(또는 통과한) 냉매의 온도(이하 응축냉매온도)를 측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온도센서(57)는 응축기(453)와 팽창밸브(457) 사이에 구비되는 냉매관(459)에 설치되어 응축냉매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1온도센서(55)는 압축기(455)와 인접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온도센서(55)는 압축기(455)와 응축기(453) 사이에 구비되는 냉매관(459)에 설치되되, 압축기(455)에 더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온도센서(57)는 응축기(453)를 완전히 통과하여 배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응축기(453)와 팽창밸브(457) 사이에 구비되는 냉매관(459)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상 냉매관은 응축기(453)와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 회 절곡되어 응축기(453)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제2온도센서(57)는 응축기(453)를 관통하여 배출되어 다시 응축기(453)로 유입되는 냉매관(459)의 절곡부(A)(B)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상술한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제어 및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제어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455)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기(453)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작동단계(S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초기에 수행된다.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최초에 작동시키는 경우 제어부는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를 기설정된 제1주파수로 설정하여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1주파수는 68hz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기작동단계(S100) 이전에 압축기를 예열하는 예열단계(S2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S20)는 일정시간(t1) 동안 예열주파수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이다.
상기 예열단계(S20)는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이 시작된 후에 일정시간(t0)이 경과한 후에(S10) 압축기(455)를 예열주파수로 설정하여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정시간(t0) 동안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시스템이 로딩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일정시간(t0)가 경과하면 압축기(455)는 예열주파수로 구동된다. 이때, 예열주파수는 45hz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455)가 상기 예열주파수로 구동되고 일정시간(t1)이 경과하면 압축기(455)는 초기작동단계(S100)의 제1주파수로 구동된다. 즉, 예열주파수로 압축기를 일정시간(t1) 동안 구동시킨 후 초기작동단계(S100)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예열단계(S20)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예열단계(S20)의 예열주파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후행하는 예열단계에서의 예열주파수는 선행하는 예열단계의 예열주파수 보다 더 높게 설정된다.
일 예로 예열단계를 2회 수행하는 경우, 처음에 수행되는 예열단계의 예열주파수는 36hz로 설정될 수 있으며, 후에 수행되는 예열단계의 예열주파수는 58hz로 설정될 수 있다.
예열단계가 2회 수행되는 경우의 순서를 자세히 설명하면, 의류처리장치가 초기 구동된 후 일정시간(t0, 예를 들어 30초)가 경과한 후 압축기는 제1예열주파수로 설정되어 구동되는 제1예열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1예열주파수는 36hz일 수 있다. 상기 제1예열주파수로 일정시간(t1) 동안 압축기를 구동한 후 일정시간(t1)이 경과하면 제2예열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2예열단계는 압축기를 제2예열주파수롤 설정하여 일정시간(t2) 동안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2예열주파수는 제1예열주파수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예열주파수는 58hz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를 제2예열주파수로 구동한 후 일정시간(t2)가 경과하면 상기 초기작동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1예열단계가 수행되는 시간(t1)과 제2예열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2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초기작동단계(S100)가 수행된 후 주파수 감소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S130)는 상기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킨다.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S130)는 압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수행되거나,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S130)는 압축냉매온도 및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S130) 이전에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1설정온도(T1)는 섭씨 105도일 수 있다. 즉,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여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를 소정 주파수(△F)만큼 감소시킨다. 이때 감소되는 주파수값은 1hz 또는 2hz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압축냉매온도는 상기 제1온도센서(55)에 의해 측정된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으로 판단되어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 값이 감소되면 감소된 주파수 값으로 압축기(455)는 구동되며 다시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를 반복한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에는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 경우에는 압축기(455)의 작동주파수를 소정 주파수(△F) 값만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를 수행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 또는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미만이면서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 경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제2설정온도(T2)는 제1설정온도(T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74도 내지 80도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도일 수 있다.
대비하여,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미만이고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는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한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11)가 수행된다. 이때,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한 경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하지 않은 경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이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한다. 이와 같이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하였는지 판단함으로써 압축기가 일정시간 예열된 후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하는 단계(S130)가 수행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기설정온도는 상기 제2설정온도(T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한 경우이므로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를 통해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 미만의 범위에 해당하더라도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는 수행된다. 즉,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하는 조건은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기 위한 초기 수행조건에 해당한다. 따라서,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한 후에는,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초기작동단계(S100) 후에 수행되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를 수행한다. 더불어,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때,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는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한 경우(S111)에 수행된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에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가 수행되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T1)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S110) 압축기 주파수의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S115)가 수행된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라도 압축기의 주파수가 제1주파수(F1)와 제2주파수(F0) 범위 내인지 판단(S115)하고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 범위에 압축기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경우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킨다(S130).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 범위 외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한다.
상기 제1주파수(F1)는 제2주파수(F0)를 초과하는 값이다. 상기 제2주파수(F0)는 36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455)의 주파수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S115)는 압축기의 하한주파수를 판단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더라도 압축기의 주파수가 하한 주파수인 제1주파수 이하로 감소시키지 않는다. 현재 구동되는 주파수에서 소정 주파수(△F)를 감소한 값이 하한 주파수인 제1주파수 이하인 경우 주파수를 감소시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하한 주파수의 설정은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에 해당하여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13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에 해당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감소에 의해 변경되는 주파수 값이 하한 주파수인 제1주파수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주파수를 감소시키지 않게 된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응축냉매온도가 기설정온도(T0)에 최소 한 번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11)가 수행된다. 본 단계(S111)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일정시간 동안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5)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125)에서 응축냉매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만약 일정시간 동안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한다. 상기 판단단계(S125)에서 일정시간은 제어환경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30초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판단단계(S125)를 통해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주파수 범위가 상기 제1주파수 내지 제2주파수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S115)를 수행한 후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단계(S125)를 통해서 주파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하한 주파수를 제1주파수로(F0)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소정 주파수(△F)큼 증가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증가되는 소정 주파수(△F)는 1hz 또는 2hz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단계(S150)가 바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T3) 미만인 경우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즉,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에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T3)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14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145)의 결과에 따라,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T3) 미만인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소정 주파수(△F)만큼 증가시키는 단계(S150)를 수행하며,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T3) 이상인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때,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S150)에서 상한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주파수 증가단계(S150)에 의해 압축기의 주파수가 증가하더라고 상기 상한주파수 이상으로 증가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증가단계(S150)은 상기 현재 작동되는 압축기의 주파수가 상한 주파수 미만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구동되는 주파수 값에서 소정 주파수 (△F)값을 증가시킨 주파수가 상기 상한주파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할 수 있다. 상기 제3설정온도(T3)는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상기 제3설정온도(T3)는 74도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주파수는 초기작동단계(S100)에서 설정되는 제1주파수(F1)와 동일할 수 있다.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응축냉매온도의 범위에 따라 수행되는 제어행정을 다시 설명하면,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가 수행된다. 더불어,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주파수 증가단계(S150)가 수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 감소단계(S130) 또는 주파수 증가단계(S150)가 수행되는 경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S125) 또는 제3설정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지 여부(S145)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인 경우에 일정시간 동안 응축냉매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45)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응축냉매온도가 일정시간 동안 제3설정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소정 주파수(△F) 만큼 증가시키며(S150), 일정시간 동안 제3설정온도 미만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때,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회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압축기(455)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압축냉매온도 및/또는 응축냉매온도의 온도조건에 따라 압축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압축기(455)의 주파수 변화에 연계하여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압축기(455)의 주파수 변화와 블로워의 회전주파수 변화는 서로 반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키며,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S130)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S150)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를 감소시킨다.
압축기(455)의 주파수 1hz에 대응한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 변화량은 제어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압축기(455)의 주파수 1hz의 변화에 해당하는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 변화량은 20rpm일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10hz 증가시키는 경우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는 200rpm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압축기(455)의 주파수를 10hz 감소시키는 경우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는 200rpm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워(49)의 회전주파수가 변화하기 전에 초기설정 회전주파수는 4200rpm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냉매온도 및/또는 응축냉매온도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증가단계 또는 주파수 감소단계를 수행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초기에 압축기를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초기부터 압축기의 최고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대부분 압축기의 구동 소음과 블로워의 구동 소음에 의해 발생된다.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압축기 및 블로워의 작동을 최대로 설정하게 되면 건조효율은 높일 수 있으나 작동소음이 증가하여 소비자에게 불쾌한 작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초기에 압축기의 효율을 최대로 유지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압축기의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압축기의 주파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건조효율과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15: 컨트롤패널 151: 입력부
153: 표시부 155: 세제공급부
2: 터브 3: 드럼 4: 열풍공급부
41: 흡입덕트 43: 연결덕트 45: 열교환부
47: 배출덕트 49: 블로워

Claims (16)

  1.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과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감소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는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가 상기 제1작동주파수와 상기 제1작동주파수 미만의 제2작동주파수 사이의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이고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소정시간 동안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이고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가 제3작동주파수 미만인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는,
    소정시간 동안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상기 제2설정온도 미만인 제3설정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응축냉매온도가 최소 한 번 기설정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압축기의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과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제1조건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가 제2설정온도 미만인 제2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만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주파수 증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감소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증가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의 회전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제1주파수로 작동시키는 초기작동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압축냉매온도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인 응축냉매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작동주파수를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022314A 2013-02-28 2013-02-2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5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14A KR102058995B1 (ko) 2013-02-28 2013-02-2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4/770,650 US10487442B2 (en) 2013-02-28 2013-12-0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3/011184 WO2014133247A1 (en) 2013-02-28 2013-12-0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80073814.1A CN105051281B (zh) 2013-02-28 2013-12-05 洗衣机及其控制方法
BR112015020799A BR112015020799A2 (pt) 2013-02-28 2013-12-05 máquina de lavar roupas e método de controle da mesma
AU2013379892A AU2013379892B2 (en) 2013-02-28 2013-12-0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876466.7A EP2961877B1 (en) 2013-02-28 2013-12-0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14A KR102058995B1 (ko) 2013-02-28 2013-02-2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84A true KR20140107984A (ko) 2014-09-05
KR102058995B1 KR102058995B1 (ko) 2019-12-24

Family

ID=5142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314A KR102058995B1 (ko) 2013-02-28 2013-02-2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87442B2 (ko)
EP (1) EP2961877B1 (ko)
KR (1) KR102058995B1 (ko)
CN (1) CN105051281B (ko)
AU (1) AU2013379892B2 (ko)
BR (1) BR112015020799A2 (ko)
WO (1) WO20141332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313B2 (en) 2014-12-29 2017-10-3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19083320A1 (ko) * 2017-10-26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6455B (zh) * 2015-02-11 2019-11-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变频热泵干衣机膨胀阀控制方法
EP3239387B1 (en) * 2016-04-26 2019-04-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drying apparatus and laundry drying apparatus
JP7173719B2 (ja) * 2016-09-07 2022-11-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2408516B1 (ko) * 2017-11-20 202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EP4172399A4 (en) * 2020-06-24 2024-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CN114687185B (zh) * 2020-12-28 2023-07-2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压缩机频率调节方法、控制装置、热交换设备及电子设备
DE102022204025A1 (de) * 2022-04-26 2023-10-26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Endrestfeuchte in einem Wärmepumpentrockner sowie hierfür geeigneter Wärmepumpentrock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6305A1 (en) * 2009-10-27 2012-07-26 Panasonic Corporation Laundry dryer and washer dry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7404C (zh) 2002-08-26 2005-11-16 杨晚成 多功能干衣柜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20070107255A1 (en) * 2004-04-09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ying apparatus
DE102005041145A1 (de) * 2005-08-29 2007-03-01 Alpha-Innotec Gmbh Wäschetrockner
JP2007289558A (ja) * 2006-04-27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4976965B2 (ja) * 2007-09-07 2012-07-18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5253909B2 (ja) * 2008-07-25 2013-07-31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DE102008040946A1 (de) * 2008-08-01 2010-02-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und Erkennung eines unzulässigen Betriebszustands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S8393172B2 (en) * 2008-09-30 2013-03-12 Sanyo Electric Co., Ltd. Heat pump drying machine
KR101595391B1 (ko) * 2009-10-26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EP2612966B1 (en) * 2012-01-05 2017-08-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6305A1 (en) * 2009-10-27 2012-07-26 Panasonic Corporation Laundry dryer and washer dry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313B2 (en) 2014-12-29 2017-10-3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19083320A1 (ko) * 2017-10-26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1346042B2 (en) 2017-10-2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0799A2 (pt) 2017-07-18
US20160002843A1 (en) 2016-01-07
EP2961877B1 (en) 2019-02-27
EP2961877A4 (en) 2017-01-25
KR102058995B1 (ko) 2019-12-24
CN105051281B (zh) 2017-08-08
US10487442B2 (en) 2019-11-26
CN105051281A (zh) 2015-11-11
WO2014133247A1 (en) 2014-09-04
AU2013379892B2 (en) 2016-05-26
EP2961877A1 (en) 2016-01-06
AU2013379892A1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98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US9670613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US10584440B2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5755036B2 (ja) 洗濯乾燥機
EP3027800B1 (en) Laundry machine
EP301559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54095B1 (en) Clothes dryer
JP6486197B2 (ja) 衣類乾燥機
EP345379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JP6842261B2 (ja) 衣類乾燥機
KR102127386B1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5429B1 (ko) 의류처리장치
JP6910771B2 (ja) 衣類乾燥機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JP7198100B2 (ja) 洗濯乾燥機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