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915A -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915A
KR20140107915A KR1020130022115A KR20130022115A KR20140107915A KR 20140107915 A KR20140107915 A KR 20140107915A KR 1020130022115 A KR1020130022115 A KR 1020130022115A KR 20130022115 A KR20130022115 A KR 20130022115A KR 20140107915 A KR20140107915 A KR 20140107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coupling
binding memb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901B1 (ko
Inventor
구권회
Original Assignee
구권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권회 filed Critical 구권회
Priority to KR102013002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9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3Sectionalised boards, e.g. modular, dismountable or foldabl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핑보드 몸체를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그 전방판 및 후방판을 분리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보관상의 용이함과 휴대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함은 물론, 별도의 보관 및 휴대 장비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하여 취급상의 비용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간편한 사용으로 서핑보드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하기 위한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Sailboard for moter driven with separate divisionstructure}
본 발명은 전동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핑보드의 몸체를 전방과 후방으로 분리 및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핑보드의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레저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레저활동 또한 수상에서 할 수 있는 서핑이나 수상스키 등의 수상 레저와 산에서 할 수 있는 등반이나 오프 로드 등의 산악 레저와 도로에서 할 수 있는 하이킹 등의 도로 레저 등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수상에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레저로는 서핑보드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서핑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위와 파도 등 자연조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상기와 같은 자연조건이 제공되는 장소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 국내에서 서핑보드를 즐긴다는 것이 매우 까다로웠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서핑을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은 수위와 파도의 조건에 크게 제한받지 않는 바람을 이용한 윈드서핑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윈드서핑 또한 자연조건을 최소화한다 하더라도 최소한의 바람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인바, 바람이 약하거나 없는 날에는 이마저 즐길 수가 없으며, 바람의 방향을 이용하여야 함으로 바람에 따라 돛을 이용하는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는 등 일반인들이 서핑을 즐기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 10-1204650호와 같이 모터를 이용한 프로펠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수면을 주행할 수 있는 서핑보드를 제안함으로, 자연조건에 크게 제한받지 않으면서 쉽게 즐길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동식 서핑보드는 그 크기가 일반인의 키보다 큰 약 2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일반적인 승용 차량에는 그 수용 및 운반이 불가하였으며, 이에 서핑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박스 등의 수납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정 등에서 보관시에는 서핑보드를 수용할 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을 시에는 아무렇게나 방치되는 등 미관상으로도 매우 좋지 못하는 등 보관상의 문제점이 있는 등 이러한 제반 문제점으로 하여 서핑보드 활동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2046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서핑보드 몸체를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그 전방판 및 후방판을 분리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보관상의 용이함과 휴대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함은 물론, 별도의 보관 및 휴대 장비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하여 취급상의 비용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간편한 사용으로 서핑보드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하기 위한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작동을 단속하는 손잡이부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몸체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몸체를 주행시키는 프로펠러와, 주행방향을 단속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를 조작하는 방향전환 발판부를 포함하여 된 전동식 서핑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전방의 전방판과 후방의 후방판으로 분리 형성 및 단부면의 면접에 의해 서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이 결합되는 단부면에는, 그 전방판과 후방판을 연결 및 그 연결부의 휨에 대하여 대항력을 가지게 하는 지지수단과, 서로간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과, 서로간의 결합 고정을 단속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전방판과 후방판이 서로 연결 결합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는, 서핑보드 몸체를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분리 형성하되, 지지수단과 가이드수단과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서핑보드의 휴대 및 보관시에는 전방판과 후방판을 서로 분리시켜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등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하고, 이와 반대로 사용시에는 간단한 조립관계에 의해 조립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 또한 매우 편리하며,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서핑보드 활동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결합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서,
도 4a는 지지수단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가이드수단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c는 결합수단의 결속부재 작동 상태도 이고,
도 4d는 결합수단에 의해 전방판과 후방판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1)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등록 제 10-1204650호와 같이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0)와, 상기 몸체(10)에 구비되어 작동을 단속하는 손잡이부(30)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몸체(10)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50)와, 상기 구동부(50)와 연결되어 몸체(10)를 주행시키는 프로펠러(60)와, 주행방향을 단속하는 방향전환부(70)와, 상기 방향전환부(70)를 조작하는 방향전환 발판부(80)와, 몸체 안정키(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통상의 서핑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스티로폼 등을 포함한 부력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2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태양전지판(21) 및 그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22)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30)는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서핑보드(1)의 전원 ON/OFF 및 전진속도 및 후진속도 조절 등 서핑보드(1)의 주행을 단속하는 스위치(31)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서핑보드(1)의 전체적인 작동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PCB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50)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1)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펠러(60)는,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어 서핑보드(1)를 주행시킬 수 있는 통상적으로 소형 보트 등에 사용되는 프로펠러로 구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부(70)는 상기 프로펠러(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후방에서 방향전환축(71)과 방향전환날개(72)로 구성되며, 상기 방향전환 발판부(80)는 상기 몸체(10)의 후방 상부에서 방향전환부(70)와 다수의 링크로 연결되어 방향전환부(70)를 조절하며, 상기 몸체 안정키(90)은 상기 몸체(10)의 후방 저면에 형성되어 몸체(10)를 수면에 부유시 그 몸체(10)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날개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1)는,
상기 몸체(10)를 길이방향으로 2분활 시켜 전방 구조를 이루는 전방판(100)과, 후방 구조를 이루는 후방판(200)으로 분리 형성하되, 사용시 그 전방판(100)의 단부면(110)과 후방판(200)의 단부면(210)을 서로 면접 결합함으로 일체화된 몸체(10)를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지지수단(300)과, 가이드수단(400)과 결합수단(500)에 의해 그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수단(300)은,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을 서로 결합시 그 결합부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중이 가할 시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방판(100)의 단부면(110)에는 하나 이상의 전방 지지홈(310)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판(200)의 단면부(210)에 또한 상기 전방판(100)의 전방 지지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 지지홈(3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전,후방 지지홈(310)(320)은, 원형홈이나 각홈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단면부(110)(210)의 하부 양측에서 각각 한 쌍을 이루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삽입되는 지지봉(330)이 구비되는 것인데, 지지봉(330)은 전,후방 지지홈(310)(32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강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봉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후방 지지홈(310)(320)의 마주보는 단부에 확장된 직경을 갖는 단턱홈(311)(321)을 각각 더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330)의 중간부 둘레에는 상기 단턱홈(311)(321)에 삽입되는 확장편(331)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지지봉(330)의 양측을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각각 삽입시 지지봉(330)의 중심 확장편(331)이 각각의 단턱홈(311)(321)에 삽입 걸림됨으로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동일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을 결합시 그 면접되는 단부면(110)(210)의 정확한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단부면(110)(210)에는 하나 이상의 전,후방 결합돌기(411)(422)와 전,후방 결합홈(412)(421)이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간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방판(100)의 단부면(110)에는 그 양측으로 전방 결합돌기(411) 및 전방 결합홈(412)이 형성된 것으로, 그 일측 상,하부에는 전방 결합돌기(411) 및 전방 결합홈(412)이 각각 형성되고, 그 타측 상,하부에는 전방 결합홈(412)과 전방 결합돌기(411)가 형성되어 양측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판(100)의 단부면(110)과 대응되는 후방판(200)의 단부면(210)에는 그 양측으로 후방 결합돌기(422) 및 후방 결합홈(421)이 형성된 것으로, 그 일측 상,하부에는 후방 결합홈(421) 및 후방 결합돌기(422)가 각각 형성되고, 그 타측 상,하부에는 후방 결합돌기(422) 및 후방 결합홈(421)이 형성되어 양측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500)은, 실질적으로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결합 고정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방판(100)과 후방판(200) 단부면(110)(210) 각각의 양측에 형성되는 전,후방 결합부(510)(520)와, 결속부재(530)와, 나사축(5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결합부(510)(520)는, 각각의 단부면(110)(210) 중심부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상기 결속부재(5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결속부재 수용홈(511)(52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 수용홈(511)(521)의 일측에는 그 결속부재 수용홈(511)(521)과 연장되도록 사각 형태의 결속홈(512)(522)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결속홈(512)(522)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는 하방 및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속돌기(512a)(522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인데, 그 결속돌기(512a)(522a)는 단부면(110)(210)과 동일면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홈(512)(522)의 내부 일측에는 그 결속홈(512)(522)과 연장되도록 단턱 형태로 링고정홈(513)(52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링고정홈(513)(523)의 일측에는 그 링고정홈(513)(523)과 연장되도록 상기 나사축(540)이 내입되는 하프관 형태의 축내입홈(514)(52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축내입홈(514)(524)의 일측에는 그 축내입홈(514)(524)과 연장되도록 상기 나사축(54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축고정홈(515)(525)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축고정홈(515)(525)의 일측에는 그 축고정홈(515)(525)과 연장되도록 상기 나사축(540)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진입공(516)(526)이 외부와 연통되게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전,후방 결합부(510)(520)는, 단부면(110)(210)의 중심으로부터 결속부재 수용홈(511)(521)과 결속홈(512)(522)과 링고정홈(513)(523)와 축내입홈(514)(524)과 축고정홈(515)(525)과 공구진입공(516)(526)이 단부면(110)(210)의 전면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연속하여 연결 형성되며, 전방판(100)의 단부면(110)과 후방판(200)의 단부면(210)을 면접시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결속부재(530)는, 상기 전,후방 결합부(510)(520) 중 어느 한 측(도면중 전방판 측)의 결속부재 수용홈(511)에 수용되는 한편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전방판(100) 과 후방판(200)을 서로 연결 결합하게 되는 것으로, 결속부재 수용홈(511)에 수용시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 블록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속부재(5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돌기 내합홈(531)이 각각 형성되는 단면상 "H" 형태를 이루는 한편, 그 중앙에는 나사축(540)이 나삽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532)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540)은, 전,후방 결합부(510)(520) 중 결속부재(530)가 수용되는 측(도면중 전방판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시 결속부재(530)와 나사결합되며, 그 나사축(540)의 회전력에 의해 결속부재(530)의 좌우 슬라이딩이 단속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나사축(540)은, 그 일측에 결속부재(530)의 암나사부(532)에 나삽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5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부면에 육각 렌치 등의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공구결합부(542a)가 형성된 축설부(542)로 구성된다.
이때, 나사축(540)은, 그 중간부가 축내입홈(514)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수나사부(541)가 결속부재(530)의 암나사부(532)에 나사체결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나사축(540)은, 가이드링(551) 및 고정브라켓(552)에 의해 가이드 및 고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링고정홈(513)에는 가이드링(551)이 끼움 결합되고, 축고정홈(515)에는 고정브라켓(552)이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인데, 이때, 그 가이드링(551)에는 나사축(540)의 수나사부(541)가 관통되어 결속부재(530)에 나삽되는 것이고, 나사축(540)의 축설부(542)는 상기 고정브라켓(552)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552)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축(540)의 축설부(542)는, 통상의 베어링 등의 공회전 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후방 결합부(510)(520)의 결속부재 수용홈(511)(521)과 결속홈(512)(522)의 깊이는 상기 결속부재(530)의 1/2에 해당하는 깊이를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속돌기(512a)(522a)의 두께는 상기 결속부재(530)의 돌기 내합홈(531) 폭의 1/2에 해당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1)는, 몸체를 전방과 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그 서핑보드의 휴대 및 보관 등 취급의 용이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서핑보드(1)를 휴대 및 보관하고자 할 시에는, 몸체(10)의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이 분리된 상태로의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한 것인바, 그 부피가 축소되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된 서핑보드(1)를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그 분리된 몸체(10)의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을 서로 연결 결합하여 일체화된 몸체(10)를 이루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그 결합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서, 도 4a는 지지수단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의 도시와 같이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수단(300)에 의해 연결이 되는 것인데, 그 연결은 지지봉(330)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지지봉(330)은, 그 양측이 전방판(100) 및 후방판(200)의 단부면(110)(210)에 대응되게 형성된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양측 동일한 비율로 삽입는 것으로, 삽입된 지지봉(330)은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연결을 포함하여 상부에서 하중이 작용시 그 연결부에 대하여 벌어짐과 휨에 대한 대항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지지봉(330)이 동일한 비율로 삽입되게 하기 위해 그 중간부에 확장편(331)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전방판(100) 과 후방판(200) 각각의 단부면(110)(210)을 면접시 그 확장편(331)이 각각의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형성된 단턱홈(311)(321)에 삽입 및 걸림 지지됨으로 가능한 것이다.
이후, 지지수단(300)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에서 가이드수단(400)에 의해 그 단부면(110)(210)의 긴밀한 결합위치가 설정되는 것으로,
도 4b는 가이드수단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의 도시와 가이드수단(400)은, 그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전방 결합돌기(411)와 후방 결합홈(421) 및 전방 결합홈(412)과 후방 결합홈(421)이 마련된 것인바,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단부면(110)(210)을 면접시 전방 결합돌기(411)와 후방 결합홈(421)이 끼움 가이드 되고, 전방 결합홈(412)과 후방 결합돌기(422)가 끼움 가이드 되어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이 긴밀하게 결합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전방판(100) 및 후방판(200)의 단면부(110)(210)이 면접되게 되면 그 단부면(110)(210)에 형성된 전,후방 결합부(510)(520)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가이드수단(400)에 의해 결합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결합수단(500)에 의해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결속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도 4c는 결합수단의 결속부재 작동 상태도 이고, 도 4d는 결합수단에 의해 전방판과 후방판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 4c의 도시와 같이 전방 결합부(510)의 결속부재 수용홈(511)에 수용된 결속부재(530)는 나사축(540)의 회전에 의해 결속부재 수용홈(511)으로부터 결속홈(512)(522)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나사축(54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회전용 공구가 필요한 것인데, 이는 공구진입공(516)(526)을 통해 렌치 등의 공구를 삽입 및 나사축(540)의 공구결합부(542a)에 결합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나사축(540)이 회전하게 되면, 그 나사축(540)의 수나사부(541)에 나사 결합된 결속부재(530)는 수나사부(541)를 따라 결속부재 수용홈(511)(521)으로부터 결속홈(512)(522)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도 4d의 도시와 같이 전,후방 결합부(510)(520) 각각의 결속홈(512)(522)에 형성된 결속돌기(512a)(522a)를 결속부재(530)의 돌기 내합홈(531)내에 구속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서핑보드(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핑보드 몸체(10)를 수면위에 부유시키면 되는 것으로, 부유되는 몸체(10)는 그 저면에 형성된 몸체 안정키(90)에 의해 그 부유중심이 안정되는 것이다.
이후, 수면위에 부유된 상태에서 손잡이부(30)의 스위치(31)를 이용하여 전원을 ON 및 전진과 후진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부(30)의 작동을 통해 그 작동 신호는 제어부(40)로 전송 및 구동부(50)이 모터(51)를 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프로펠러(60)의 정역 회전에 의해 몸체(10)가 수면위를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방향전환 발판부(80)를 통해 상기 방향전환부(70)를 조작하여 방향전환축(71)의 회전 및 방향전환날개(72)를 회동시켜 그 주행방향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된 서핑보드(1)를 분리시에는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나사축(540)의 결합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부재(530)가 결속홈(512)(522)으로부터 결속부재 수용홈(511)(521)로 이동됨과 동시에 결속돌기(512a)(512a)의 구속을 해제시킴으로 분리가 가능한 것이며, 이에 전술한 가이드수단(400) 및 지지수단(300)을 분리시킴으로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휴대 및 보관 등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서핑보드 활동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100 : 전방판 110 : 단부면
200 : 후방판 210 : 단부면
300 : 지지수단 310,320 : 전,후방 지지홈
311,321 : 단턱홈
330 : 지지봉 331 : 확장편
400 : 가이드수단 411 : 전방 결합돌기
412 : 전방 결합홈 421 : 후방 결합홈
422 : 후방 결합홈
500 : 결합수단 510,520 : 전,후방 결합부
511,521 : 결속부재 수용홈 512,522 : 결속홈
512a,512a : 결속돌기 513,523 : 링고정홈
514,524 : 축내입홈 515,525 : 축고정홈
516,526 : 공구진입공
530 : 결속부재 531 : 돌기 내합홈
532 : 암나사부
540 : 나사축 541 : 수나사부
542a : 공구결합부 542 : 축설부
551 : 가이드링 552 : 고정브라켓

Claims (5)

  1.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0)와, 상기 몸체(10)에 구비되어 작동을 단속하는 손잡이부(30)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몸체(10)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50)와, 상기 구동부(50)와 연결되어 몸체(10)를 주행시키는 프로펠러(60)와, 주행방향을 단속하는 방향전환부(70)와, 상기 방향전환부(70)를 조작하는 방향전환 발판부(80)와 몸체(10)의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몸체 안정키(90)을 포함하여 된 전동식 서핑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를 길이방향으로 전방의 전방판(100)과 후방의 후방판(200)으로 분리 형성 및 단부면(110)(210)의 면접에 의해 서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이 결합되는 단부면(110)(210)에는, 그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을 연결 및 그 연결부의 휨에 대하여 대항력을 가지게 하는 지지수단(300)과, 서로간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400)과, 서로간의 결합 고정을 단속하는 결합수단(500)이 형성되어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이 서로 연결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0)은,
    상기 전방판(100)의 단부면(110)에 단턱홈(311)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전방 지지홈(310)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판(200)의 단부면(210)에 단턱홈(322)를 가지며 상기 전방 지지홈(310)과 대응되는 후방 지지홈(320)을 형성하며,
    양측이 상기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삽입되는 한편 중앙에 상기 단턱홈(311)(322)에 걸림되는 확장편(331)을 갖는 지지봉(330)을 더 구비하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봉(330)의 양측이 상기 전,후방 지지홈(310)(320)에 동일한 비율로 삽입되어 전방판(100) 및 후방판(200)의 연결 및 결합부의 휨에 대하여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400)은,
    상기 전방판(100) 단부면(110)에 하나 이상의 돌출형 전방 결합돌기(411) 및 함몰형 전방 결합홈(412)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판(200)의 단부면(210)에 상기 전방 결합돌기(411)와 대응되는 함몰형 후방 결합홈(421) 및 상기 전방 결합홈(412)과 대응되는 돌출형 후방 결합돌기(422)를 형성하되,
    상기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단부면(110)(210)을 면접시 전방 결합돌기(411)와 후방 결합홈(421)의 끼움 가이드와, 전방 결합홈(412)과 후방 결합돌기(422)의 끼움 가이드에 의해 결합 위치가 설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0)은,
    상기 전방판(100)의 단부면(110) 양측과 후방판(200)의 단부면(210)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홈을 이루는 전,후방 결합부(510)(520);
    상기 전,후방 결합부(510)(520) 중 어느 한측에 수용되는 한편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대응되는 전,후방 결합부(510)(520)를 서로 결속 결합시키는 결속부재(530); 및
    상기 결속부재(530)와 나사 결합되어 그 결속부재(530)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나사축(540)으로 구성하되,
    상기 나사축(5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속부재(530)가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전,후방 결합부(510)(520)를 결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결합부(510)(520)는,
    상기 전방판(100) 및 후방판(200) 각각의 단부면(110)(210) 중심부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결속부재(530)가 수용되는 결속부재 수용홈(511)(521)과, 내측 상단 및 하단에 결속돌기(512a)(522a)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결속홈(512)(522)과, 링고정홈(513)(523)과, 상기 나사축(540)이 내입되는 축내입홈(514)(524)과, 상기 나사축(540)을 고정하기 위한 축고정홈(515)(525)과, 외부와 연통되는 공구진입공(516)(526)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530)는,
    어느 한 측의 결속부재 수용홈(511)에 수용되며, 상단 및 하단에 돌기 내합홈(531)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평 방향으로 암나사부(532)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나사축(540)은,
    일측에는 수나사부(5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부면에 공구결합부(542a)가 형성된 축설부(542)를 이루는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링고정홈(513)에 결합되는 가이드링(551) 및 축고정홈(515)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5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중간부가 상기 어느 한 측의 축내입홈(514)에 내입되는 상태에서 수나사부(541)가 가이드링(551)을 관통하여 결속부재(530)의 암나사부(532)에 결합되고, 상기 축설부(542)가 고정브라켓(552)에 의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1020130022115A 2013-02-28 2013-02-28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10144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15A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3-02-28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115A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3-02-28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15A true KR20140107915A (ko) 2014-09-05
KR101443901B1 KR101443901B1 (ko) 2014-09-23

Family

ID=5175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115A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3-02-28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9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514A (ko) * 2015-01-05 2016-07-14 (주)에어박스 조립식 수상용 보드
KR101721809B1 (ko) 2016-11-22 2017-03-30 박형근 조립식 서핑보드
KR200484679Y1 (ko) * 2017-05-31 2017-10-17 주식회사 아이엠에스그룹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CN110329448A (zh) * 2019-07-23 2019-10-15 惠州市龙冠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高抗压性能的泡沫冲浪板
WO2020242146A1 (ko) * 2019-05-24 2020-12-03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전동식 서핑보드 및 전동식 서핑보드 추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48B1 (ko) 2018-11-19 2020-06-09 김태형 포일보드
KR102501033B1 (ko) 2022-08-31 2023-02-17 유비오션 주식회사 휴대용 서핑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750A (ja) * 2002-06-03 2004-01-15 Hotsukan Kogyo Kk サーフボード
JP3163820U (ja) * 2010-08-11 2010-11-04 ゴッデ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自走サーフボード
KR200468015Y1 (ko) * 2010-10-29 2013-07-24 서용진 워터 보드
KR101204650B1 (ko) * 2012-06-21 2012-11-23 구권회 서핑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514A (ko) * 2015-01-05 2016-07-14 (주)에어박스 조립식 수상용 보드
KR101721809B1 (ko) 2016-11-22 2017-03-30 박형근 조립식 서핑보드
KR200484679Y1 (ko) * 2017-05-31 2017-10-17 주식회사 아이엠에스그룹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WO2018221768A1 (ko) * 2017-05-31 2018-12-06 주식회사 아이엠에스그룹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WO2020242146A1 (ko) * 2019-05-24 2020-12-03 주식회사 스테이컴퍼니 전동식 서핑보드 및 전동식 서핑보드 추진장치
CN110329448A (zh) * 2019-07-23 2019-10-15 惠州市龙冠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高抗压性能的泡沫冲浪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901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901B1 (ko)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DE2652129C2 (de) Segelbrett
KR101522667B1 (ko) 동력식 서핑보드
US20170267042A1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US6764363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KR200471485Y1 (ko)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KR101248396B1 (ko) 수중 스쿠터
US5899782A (en) Steerable, towable flotation device
AU2005327912A1 (en) Retractable tow hook
KR101799360B1 (ko) 자전거 페달 추진 장치가 구비되고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한 피싱보트
KR200473593Y1 (ko) 페달식 보트
US8056494B1 (en) Propelling apparatus for a flotation device
KR200412446Y1 (ko) 수상 레저 보트
KR101640526B1 (ko) 레져 스포츠용 수상보드
CN204147549U (zh) 电动玩具船
CN201211922Y (zh) 水上脚踏动力板
KR100997493B1 (ko) 수상 레저 보트
KR101750780B1 (ko) 레저용 수상자전거
KR101852948B1 (ko) 무동력 물놀이 장치
KR10137381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
AU2010100732A4 (en) Skim Board
AU701049B2 (en) Watercraft, in particular to be propelled by wind
CN214607963U (zh) 一种多功能休闲船
KR101811951B1 (ko) 레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