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948B1 - 무동력 물놀이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물놀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948B1
KR101852948B1 KR1020160084044A KR20160084044A KR101852948B1 KR 101852948 B1 KR101852948 B1 KR 101852948B1 KR 1020160084044 A KR1020160084044 A KR 1020160084044A KR 20160084044 A KR20160084044 A KR 20160084044A KR 101852948 B1 KR101852948 B1 KR 10185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user
propell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468A (ko
Inventor
홍준의
Original Assignee
홍준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의 filed Critical 홍준의
Priority to KR102016008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9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1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hand levers, cranks, pedals, or the like, e.g. water cycles, boats propelled by boat-mounted pedal cycles
    • B63B27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운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매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부력은 갖되 외력에 의한 파손시 부력이 상실되지 않아 안전하며, 구동장치가 아닌 사용자의 손과 발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1 추진부와 제 2 추진부가 구비되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체력소모 여부에 따라 손과 발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로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전방 양측에 좌우방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에 구비된 핸들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양손에 의해 파지되고 타단에는 제 1 추진부재가 구비되며 양손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추진부재가 좌우방향 회동 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1 추진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후방 측에 전후방향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 전방에 위치된 패달에는 사용자의 양발이 고정되고 상기 패달의 후방에는 제 2 추진부재가 구비되며 양 다리가 교호적으로 굽혀짐에 따라 상기 제 2 추진부재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2 추진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무동력 물놀이 장치{NONEELECTRIC DEVICE FOR A RIPPLING}
개시된 내용은 수영장, 강, 바다 등에 띄워 놓고 사용자가 탑승하여 물놀이를 즐기는데 사용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 기구는 사용자가 물에서 유희를 즐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이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부력식 물놀이 기구로는 튜브, 매트리스, 보트 등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부력을 이해 공기가 충전된다.
공기가 충전되는 물놀이 기구는 운반 및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대가 비교적 저렴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강도가 약해 손상될 경우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어렵고, 자칫 수중에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가 설치되는 제트스키나 보트 등도 물놀이 기구의 일종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트스키나 보트는 빠른 속도로 운행될 수 있어 보다 스릴감 있는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고가이고 운반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가 사용되어야 하는 등 유지비용이 들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서프보드(surfboard) 같은 종래의 물놀이 기구와는 다른 종류의 물놀이 기구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서프보드는 파도를 타는 서핑(surfing)에 사용되는 물놀이 기구로서 목재나 폴리우레탄재와 같은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서프보드는 파도를 타고, 이를 통해 추진력을 얻는데, 파도를 타지 않을 때 양손을 이용해 추진력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체력소모가 크다.
따라서, 구매 및 사용 비용이 비교적 저렴해 경제적이고, 파손에 따른 부력의 손실이 없어 안전하며, 필요시 추진력이 항시 발생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소모가 크지 않은 새로운 개념의 물놀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0650호(2003.07.07)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3238호(2003.08.04)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69140호(2016.06.16)
구매단가가 비교적 저렴하고 운반이 간편함은 물론, 물에 뜬 상태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으며, 동력장치 없이 사용자의 손과 발의 움직임에 의해 선택적으로 추진력이 발생 될 수 있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로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전방 양측에 좌우방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에 구비된 핸들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양손에 의해 파지되고 타단에는 제 1 추진부재가 구비되며 양손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추진부재가 좌우방향 회동 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1 추진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후방 측에 전후방향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 전방에 위치된 패달에는 사용자의 양발이 고정되고 상기 패달의 후방에는 제 2 추진부재가 구비되며 양 다리가 교호적으로 굽혀짐에 따라 상기 제 2 추진부재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2 추진부가 포함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무동력 물놀이 장치는 운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매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부력은 갖되 외력에 의한 파손시 부력이 상실되지 않아 안전하며, 구동장치가 아닌 사용자의 손과 발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1 추진부와 제 2 추진부가 구비되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체력소모 여부에 따라 손과 발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의 제 1 추진부에 대한 부분 작동도.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의 제 2 추진부에 대한 부분 작동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되고, 도 2 내지 도 3b은 작동도이며,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사용자가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는 부력이 제공되고,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유선형의 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목재, 폴리우레탄폼제와 같이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사용자의 나이나 신장, 체중 등의 신체 조건 또는 기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0)에는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로 탑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항시 전방을 주시할 수 있고, 동시에 양 팔 꿈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상체가 들어올린 자세가 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자세로 장시간 엎드려 있을 수 없으므로 본체(100)의 상부면 전방 측은 사용자의 상체가 하체보다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융기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0)의 후방 양단에는 라운드 형상의 홈(1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홈(12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추진부(300)에 의한 추진력 발생을 위해 사용자의 양다리가 교호적으로 굽혀질 때 무릎과 허벅지 부위가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면 후방에는 체결관(130)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체결관(13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프레임(310)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동 및 위치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체결관(130)에는 동일 간격으로 체결공(131)이 형성된다. 이에 대한 도면의 설명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추진부(300) 참조될 도 3a를 참조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부면 전방 양측에는 제 1 추진부(20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제 1 추진부(200)는 사용자 양손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본체(100)가 이동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1 추진부(200)는 그 일단이 본체(100)의 전방으로 위치되고 타단은 수중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직 절곡 된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0)의 하부면 전방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제 1 프레임(210)과, 제 1 프레임(210)의 일단에 구비되는 핸들(220)과, 제 2 프레임(310)의 타단에 구비되되 수중에서 추진력이 발생 될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210)보다 확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갈퀴형 패들(230)이 포함된다.
그리고 전술한 갈퀴형 패들(230)의 내측에는 제 1 패들부재(231)가, 단부측에는 제 2 패들부재(232)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된다. 이때 제 1 패들부재(231)의 가장자리에는 제 1 프레임(210)이 추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 될 때 물에 대한 저항력이 최소가 되도록 절개부(231a)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본체(100)에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으로 각각 손잡이를 파지하는데, 이 상태에서 양손을 좌우로 흔들게 되면 갈퀴형 패들(230)이 좌우로 회동 되면서 추진력이 발생 된다. 이때 양측의 제 1 추진부(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될 수 있어 방향전환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우측의 제 1 추진부(200)는 정지된 상태로 좌측의 제 1 추진부(200)를 회동시키면 본체(100)가 좌측으로 방향전환 될 수 있다. 반대로 좌측의 제 1 추진부(200)는 정지된 상태로 우측의 제 1 추진부(200)를 회동시키면 본체(100)가 우측으로 방향전환 될 수 있다.
그리고 갈퀴형 패들(230)의 각도에 따라 방향타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본체(100)가 추후에 설명될 제 2 추진부(300)로만 추진력이 발생 될 때 갈퀴형 패들(230)의 회동 각도에 따라 본체(100)의 추진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부면 후방 측에는 제 2 추진부(300)가 전후방향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제 2 추진부(300)는 사용자 양발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본체(100)가 이동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 2 추진부(300)는, 본체(100)의 하부면 후방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본체(10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10)의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제 2 프레임(31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 프레임(320)과, 제 3 프레임(320)의 양측 전방에 구비되는 패달(330)과, 제 3 프레임(320)의 양측 후방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형 패들(340)이 포함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 2 프레임(310)의 전방 측은 선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관(130) 내에 삽입되되, 일측에 고정공(311)이 관통 형성되고 체결관(130)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그 길이가 조절된다. 길이조절 된 후에는 체결공(131) 및 고정공(311) 내에 일체로 나사결합 되는 고정나사(31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프레임(310)의 후방 측은 제 3 프레임(320), 패달(330) 및 절첩형 패들(340)이 수중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향 라운드지게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절첩형 패들(340)은 제 3 프레임(320)의 후방 상측과 하측에 각각 분할 구비된다. 즉, 절첩형 패들(340)은 제 3 프레임(320)의 회동방향에 따라 교호적으로 절첩되되, 제 3 프레임(320)의 회동시 추진방향으로 회동되는 측에서는 물에 대한 저항력이 최소가 되도록 접혀진다. 또한, 추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측에서는 물에 대한 저항력이 최대가 되도록 펼쳐진다.
즉, 제 3 프레임(3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절첩형 패들(340)은 서로 다른 동작을 하게된다. 사용자 일측 발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진 측은 당겨지는 과정에서 물에 의한 저항력이 최소가 되어야 하므로 서로 면접 되도록 접혀진다. 동시에 사용자 타측 발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진 측은 밀어지는 과정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 물에 의한 저항력이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서로 180도가 되도록 펼쳐지게 된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동력 물놀이 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물에 띄워진 본체(100)에 탑승하는데 머리와 가슴이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가슴부위를 융기부(110)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양손으로 핸들(220)을 파지하고 양발은 패달(330)에 끼워 고정한다. 이때, 양 무릎을 굽혀보아 만약 허벅지가 본체(100) 후방에 닿아 불편하다면 제 2 프레임(310)을 체결관(130) 내에서 위치 이동시켜 그 길이를 조정해 준다.
그런 다음, 양손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1 추진부(200)를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양발을 전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추진부(300)를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본체(100)는 전방의 제 1 추진부(200)와 후방의 제 2 추진부(30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양손은 추진력 발생 외에 방향전환과 방향타의 역할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추진부(200)와 제 2 추진부(300)는 사용자의 체력소진 정도에 따라 동시에 또는 각각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무동력 물놀이 장치(1)는 부력은 갖되 외력에 의한 파손시 부력이 상실되지 않아 안전하다. 그리고 구동장치가 아닌 사용자의 손과 발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1 추진부(200)와 제 2 추진부(300)가 구비되어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체력소모 여부에 따라 손과 발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무동력 물놀이 장치
100 : 본체
110 : 융기부
120 : 홈
130 : 체결관
131 : 체결공
200 : 제 1 추진부
210 : 제 1 프레임
220 : 핸들
230 : 갈퀴형 패들
231 : 제 1 패들부재
231a : 절개부
232 : 제 2 패들부재
300 : 제 2 추진부
310 : 제 2 프레임
311 : 고정공
312 : 고정나사
320 : 제 3 프레임
330 : 패달
340 : 절첩형 패들

Claims (10)

  1.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로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면 전방 양측에 좌우방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에 구비된 핸들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양손에 의해 파지되고 타단에는 제 1 추진부재가 구비되며 양손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추진부재가 좌우방향 회동 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1 추진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 후방 측에 전후방향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 전방에 위치된 패달에는 사용자의 양발이 고정되고 상기 패달의 후방에는 제 2 추진부재가 구비되며 양 다리가 교호적으로 굽혀짐에 따라 상기 제 2 추진부재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제 2 추진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추진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 후방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본체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의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 2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 프레임;
    상기 제 3 프레임의 양측 전방에 구비되는 패달; 및
    상기 제 3 프레임의 양측 후방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형 패들;이 포함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전방 측은 사용자의 상체가 하체보다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 양단은 사용자가 상기 제 2 추진부에 의한 추진력 발생을 위해 양 다리가 교호적으로 굽혀질 때 허벅지 부위가 위치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진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위치되고 타단은 수중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직 절곡 된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 전방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되되 수중에서 추진력이 발생 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프레임보다 확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갈퀴형 패들;이 포함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갈퀴형 패들의 내측에는 제 1 패들부재가, 단부측에는 제 2 패들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되, 상기 제 1 패들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프레임이 추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 될 때 물에 대한 저항력이 최소가 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 후방에는 체결공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의 전방 측은 선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관 내에 삽입되되 일측에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조절 되며 길이조절 된 후에는 상기 체결공 및 고정공 내에 일체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의 후방 측은 상기 제 3 프레임, 패달 및 절첩형 패들이 수중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향 라운드지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첩형 패들은 상기 제 3 프레임의 후방 상측과 하측에 분할 구비되어 상기 제 3 프레임의 회동방향에 따라 교호적으로 절첩되되, 상기 제 3 프레임의 회동시 추진방향으로 회동되는 측에서는 물에 대한 저항력이 최소가 되도록 접혀지고, 추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측에서는 물에 대한 저항력이 최대가 되도록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장치.
KR1020160084044A 2016-07-04 2016-07-04 무동력 물놀이 장치 KR10185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44A KR101852948B1 (ko) 2016-07-04 2016-07-04 무동력 물놀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44A KR101852948B1 (ko) 2016-07-04 2016-07-04 무동력 물놀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68A KR20180004468A (ko) 2018-01-12
KR101852948B1 true KR101852948B1 (ko) 2018-06-04

Family

ID=6100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44A KR101852948B1 (ko) 2016-07-04 2016-07-04 무동력 물놀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714B1 (ko) 2020-01-02 2020-12-08 두용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778B1 (ko) * 2012-03-29 2013-12-20 이승철 레저용 스쿠버 보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790A (ja) * 1995-03-24 1996-10-08 Shigeo Suzuki 往復運動する水掻き板を使用した推進装置
KR200320650Y1 (ko) 2003-04-29 2003-07-22 김동명 무동력 물놀이 기구
KR200323238Y1 (ko) 2003-04-29 2003-08-14 김동명 무동력 물놀이 기구
KR100768789B1 (ko) * 2005-12-15 2007-10-19 홍재호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KR20160069140A (ko) 2014-12-08 2016-06-16 최정환 무동력 수상 스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778B1 (ko) * 2012-03-29 2013-12-20 이승철 레저용 스쿠버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68A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541B2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10549169B2 (en) Paddling training device and board
US6764363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20140017963A1 (en) Paddleboard and paddle devices and systems
US8696396B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20090156072A1 (en) Body surf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5082705A1 (en) Towable recreational water board
US6544089B2 (en) Two-hand bodysurfing and swimming aid
KR101852948B1 (ko) 무동력 물놀이 장치
US9399502B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9248344B2 (en) Arm-powered swimming aid
USRE47021E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JP3054362U (ja) ウインドサーフィン用双胴舟
CN215971996U (zh) 一种带平衡辅助的冲浪板
EP3028938A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JP3602919B2 (ja) 波乗りボード
US20140315450A1 (en) Buoyant apparatus system
US6736688B1 (en) Manually propelled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200323238Y1 (ko) 무동력 물놀이 기구
JPS646859Y2 (ko)
EP1145948B1 (en) Two-hand surfboard for bodysurfing
AU754337B2 (en) Two-hand bodysurfing and swimming aid
CN201040581Y (zh) 水上自行鞋
KR20120105673A (ko) 추진 장치를 구비한 물놀이용 부력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