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789B1 -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 Google Patents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789B1
KR100768789B1 KR1020050123586A KR20050123586A KR100768789B1 KR 100768789 B1 KR100768789 B1 KR 100768789B1 KR 1020050123586 A KR1020050123586 A KR 1020050123586A KR 20050123586 A KR20050123586 A KR 20050123586A KR 100768789 B1 KR100768789 B1 KR 10076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ay clutch
reverse
clutch bea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628A (ko
Inventor
홍재호
Original Assignee
홍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호 filed Critical 홍재호
Priority to KR102005012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7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놀이 기구 중 단순히 수면위에 에어 매트를 띄운 후 엎드려 있거나 누워있기만 하는 통상의 정적인 물놀이용 에어 매트에 반하여, 물놀이하는 자의 발동작에 의해 페달을 들어올릴때나 내릴때나 두발로 동시에 들거나 내리거나, 한발씩 교대로 들거나 내리거나, 좌.우 어떠한 발동작에 관계없이 임펠러를 회전시켜 에어 매트를 지속적으로 전진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 유성기어 장치와 일방향 클러치의 조합으로 구성시켜 넓은 수영장, 호수, 바다 등에서 운동과 이동의 재미를 즐길 수 있으며 군사목적의 도하용, 해안 침투용으로의 활용에 유리한 고안이며, 본 구동유닛은 에어 매트와 따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에어 매트

Description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Drive unit for continuously advancing air mat}
도 1a는 에어 매트에 부착되는 구동유닛의 외형도.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매트의 측면도.
도 2는 좌우 독립 페달 링 기능을 갖는 드라이브 유닛의 단면도.
도 3a는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제공되는 제 1 기어열의 단면도.
도 3b는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제공되는 제 2 기어열의 단면도.
도 3c는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제공되는 제 3 기어열의 단면도.
도 3d는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제공되는 제 4 기어열의 단면도.
도 4a는 고정 브래킷의 정면도.
도 4b는 멈춤판의 정면도.
도 5a는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정회전될 때의 제 1 기어열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b는 제 1 정 역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정회전될 때의 제 2 기어열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c는 제 2 역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정회전될 때의 제 3 기어열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d는 제 2 정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정회전될 때의 제 3 기어열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탈.부착 가능한 임펠러를 가지는 링 기어를 도시한 도면.
삭제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새들이 부착된 일측 페달 1': 새들이 부착된 타측 페달
2: 일측 페달 크랭크 2': 타측 페달 크랭크
3: 일측 구동축 3': 타측 구동축
4: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4':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5: 임펠러를 갖는 링 기어 6: 플랜지
삭제
7: 중앙기어 8: 제 1 방향 전환 기어
삭제
9: 제 2 방향 전환 기어 10: 공동방향 전환 기어
삭제
11: 제 1 고정축 12: 제 2 고정축
삭제
13: 멈춤판 14: 고정브래킷
삭제
15: 지지 베어링 16: 베어링
삭제
17: 멈춤링
본 발명은 에어 매트용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물놀이용 에어 매트를 지속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에어 매트용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에어 매트는 통상적으로 물 위에 띄워 일광욕이나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정적인 물놀이 기구이며, 물장구를 치며 즐길 때 사용한다.
또, 노를 저어 이동할 수 있게 한 고무보트의 경우는 노를 젓는 동안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여 기타의 행동을 취할 수 없으며, 나아가 수상 페달용 고무보트의 경우 자전거에서처럼 페달 크랭크를 원형으로 360도 회전시켜야 하므로, 보트 위에 앉거나 또는 서서 한 방향으로만 페달을 밟아야 하며, 따라서, 그 크기와 무게가 적지 않다.
삭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 매트 위에서 엎드리거나, 누워서, 또는 앉아서 양발을 들어올릴 때나 내릴 때, 또는 가위 젓기를 하거나, 앉아서 정회전시킬 때나 역회전시킬 때에 관계없이 두발을 동시에 들거나 내리거나, 또는 한발씩 교대로 젓거나 한발만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관계없이 좌.우 어떠한 발동작에도 좌.우 페달을 독립적으로 작동시켜, 에어 매트를 지속적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물놀이 기구로서의 운동과 재미를 부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가장 낮은 자세로 엎드려 양발을 상.하 페달링 가능케 하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상대편을 관찰하거나 대응자세를 취할 수가 있어 군사목적의 도하용이나 해안 침투용으로 병행 사용가능케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 매트와 본 구동유닛과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여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는 에어 매트(100)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좌우 구동축(3, 3')의 단부에 페달 크랭크(2, 2')가 각각 부착되고, 페달 크랭크(2, 2')에는 새들(20, 20')이 부착되는 페달(1, 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페달(1, 1')은 페달 크랭크(2, 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발등으로도 페달(1, 1')이 들어 올려질 경우에도 페달 크랭크(2, 2')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 1')과 새들(20, 20') 사이에는 일정 크기를 공간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에어 매트 위에 엎드린 상태에서 양발을 페달(1, 1')과 새들(20, 20') 사이의 공간에 끼울 수 있다. 새들(20, 20')이 부착된 페달(1, 1')은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아래로 회전되거나 위로 회전되며, 구동축(3, 3')은 페달(1, 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2에서 제 1 기어열의 단면상의 일측 구동축(3)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3, 도 5a 참조)이 압입되고,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4)에는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플랜지(6)가 압입된다. 플랜지(6)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를 가지는 임펠러를 갖는 링 기어(5)가 부착 고정된다. 즉, 링 기어(5)는 플랜지(6)를 통하여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와 연결되어,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가 회전될 때,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에,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측에는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 도 5b 참조)이 구동축(3)에 압입되고,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2)에는 중앙기어(7)가 압입되며, 중앙기어(7)의 원주 상으로 1 내지 3개의 공동 방향 전환기어(10)가 기어 결합된다. 또한, 공동방향 전환기어(10)는 상기된 바와 같은 링 기어(5)와 기어 결합된다. 여기서, 링 기어(5)의 임펠러는 회전할 때 물살을 지치고 나아갈 수 있도록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제작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기어(5)의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다수의 치차가 형성된다.
다시, 제 3 기어열의 단면상의 타측 구동축(3') 일단의 외주면에는 제 2 기어열의 구성과 동일하게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 도 5c 참조)이 압입되고,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4')의 외륜(22)에는 중앙기어(7)가 압입되며, 중앙기어(7)는 공동방향 전환기어(10)와 기어 결합되고, 다시 공동방향 전환기어(10)는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와 기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 2 기어열과 제 3 기어열은 동일한 구조이며, 구동축(3, 3')을 따라서 약간의 거리를 두고 2개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다.
제 3 기어열과 인접한 제 4 기어열의 단면상에서의 타측 구동축(3')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마찬가지로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이 압입되며, 외륜에는 중간기어(7a)가 압입되고, 중간기어(7a)의 원주 방향으로 1 내지 3개의 제 1 방향 전환 기어(8)가 중간기어(7a)와 기어 결합되며, 제 1 방향 전환 기어(8)는 또한 1 내지 3개의 제 2 방향 전환기어(9)와 기어 결합되고, 제 2 방향 전환 기어(9)는 상기된 바와 같이 외주에 임펠러가 제공되는 링 기어(5)와 기어 결합된다.
상기의 제 1 기어열 내지 제 4 기어열의 단면 구성은 도 3a 내지 도 3d의 단면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는 멈춤판(13)과 고정 브래킷(14)의 정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판(13)은 에어 매트(100)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4)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멈춤판(13)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6)이 삽입되며, 베어링(16)의 내륜에는 타측 구동축(3')이 축선 방향으로 압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멈춤판(13)의 외주면에는 지지 베어링(15)이 압입되어 고정되고, 지지베어링(15)의 외륜에 상기된 바와 같은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의 내주면이 압입된다. 이러한 지지 베어링(15)은 멈춤 링(17)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 베어링(15)은 링 기어(5)의 원활한 회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링 기어(5)의 이탈방지에 기여하는 베어링이다. 그리고, 멈춤판(13)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의 원주에 1 내지 3개의 제 1 고정축(11)과 제 2 고정축(12)이 멈춤판(13)에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축(11,12)에 제 1 방향 전환 기어(8)와 제 2 방향 전환 기어(9), 및 공동방향 전환기어(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 4 기어열의 구조는 제 1 기어열의 구조와 같이 플랜지(6)를 대신하여 중간기어(7a)가 압입되어, 중간기어(7a)와 제 1 방향 전환 기어(8)가 기어 결합되며, 제 1 방향 전환기어(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 전환기어(9)와 기어 결합되며, 제 2 방향 전환기어(9)는 다시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와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좌.우 페달이 회전될 때 기어 결합에 의한 속도차이를 동일하게 출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 완료된 드라이브 유닛에 있어 동작관계를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된 바와 같이,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은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0)이 부착된 페달(1)에 의하여 페달 크랭크(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동축(3')에 압입 고정된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의 내륜(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의 클러치 기능에 의하여 회전력이 내륜(21)으로부터 외륜(22)에 전달되어, 외륜(22)이 내륜(21)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내륜(21)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내륜(21)의 회전력이 외륜(22)에 전달되지 않고, 내륜(21)만 정방향으로 공전된다. 즉, 구동축(3)에 의하여 내륜(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회전력이 외륜(22)으로 전달되고, 반대로, 이러한 역방향 클러치 베어링은 링 기어(5)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외륜(22)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외륜(22)의 역방향 회전력은 내륜(21)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라 함은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과는 반대로,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23)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력이 외륜(24)에 전달되어, 외륜(24)이 내륜(23)과 함께 정방향 회전되고, 내륜(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외륜(24)에 전달되지 않고 내륜(23)만 공전되며, 외륜(24) 자체가 정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정방향 클러치 베어링은 링 기어(5)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외륜의 정방향 회전력은 내륜(23)에 전달되지 않는다.
새들(20)이 부착된 페달(1)에 의하여 페달 크랭크(2)를 들어올려 구동축(3)이 역회전되면, 제 1 기어열의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3)은 외륜(24)에 대해 역방향으로 구동축(3)과 함께 공회전하고, 제 2 기어열의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특성상 그 내륜(21)이 역회전할 때,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의 역회전이 그 외륜(22)에 전달되어, 외륜(23)과 기어 결합된 공동 방향 전환 기어(10)가 회전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방향 전환 기어(10)의 회전력은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에 전달되어, 임펠러(5a)의 출력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임펠러(5a)의 회전에 의하여 에어 매트(100)가 전진한다.
삭제
여기서, 제 1 기어열의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4)이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와 플랜지(6)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특성상 그 내륜(23)이 역회전할 때, 외륜(24)에는 내륜(23)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공회전함으로써, 역회전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다.
한편, 일측 구동축(3)의 역회전력은 타측 구동축(3')과는 분리되어 있어 타측 구동축(3')에는 역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동 방향 전환 기어(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는 다시 제 3 기어열의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1)과 고정된 중앙기어(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지만,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특성상 외륜(22)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이 공회전하므로, 결과적으로 일측 구동축(3)이 역회전할 때, 제 3 기어열의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에 고정된 타측 구동축(3')은 어떠한 회전력도 전달되지 않으므로, 타측 구동축(3')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때, 제 4 기어열의 상태는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링 기어(5)와 기어 결합된 제 2 방향 전환기어(9)도 정회전되며, 또 제 2 방향 전환기어(9)와 기어 결합된 제 1 방향 전환 기어(8)는 역회전하고, 이때의 회전력은 제 4 기어열의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4, 도 5d)에 부착된 중간기어(7a)를 정회전시키지만,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특성상 그 외륜(24)이 정회전될 때,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3)이 공회전 상태이므로,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3)은 회전력을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와 결합된 타측 구동축(3') 또한 움직이지 않지만 에어 매트(100)는 전진한다.
여기서 다시, 페달을 밟아서, 일측 페달 크랭크(2) 및 일측 구동축(3)이 시계방향으로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구동축(3)에 압입 고정된 제 1 기어열의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3)이 구동축(3)의 회전에 따라서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3)의 회전력은 상기된 바와 같은 클러치 기능에 의하여 외륜(24)으로 전달되어, 외륜(24)에 압입 고정된 플랜지(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플랜지(6)와 연결된 링 기어(5)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링 기어(5)의 외부에 제공되는 임펠러(5a)에 의하여 에어 매트(100)가 전진된다.
그리고, 동일한 일측 구동축(3)에 고정된 제 2 기어열의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은 상기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특성상,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내륜(21)의 회전력이 외륜(22)에 전달되지 않고 공회전한다.
또한, 일측 구동축(3)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타측 구동축(3')과는 분리되어 있어, 타측 구동축(3')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는 정방향으로 회전 상태임으로써, 제 2 기어열 및 제 3 기어열의 공동 방향 전환 기어(10)들 역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이고, 공동 방향 전환 기어(10)와 맞물린 제 2 기어열 및 제 3 기어열의 중앙기어(7)들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공동 방향 전환 기어(10)와 중앙기어(7) 모두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2)들에 각각 기어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된 바와 같은 역 일방향 클러치의 특성상 외륜(22)이 정방향 회전력을 내륜(21)에 전달하지 못하고 공회전하여, 타측 구동축(3')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는 타측 구동축(3')이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에어 매트가 전진하는 상태에서, 제 4 기어열에 제공된 제 2 방향 전환기어(9)들은 역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이고, 이와 맞물린 제 1 방향 전환기어(8)들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방향 전환기어들은 제 4 기어열의 중간기어(7a)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지만,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특성상 외륜(24, 도 5d)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내륜(23)에 회전력을 전달시키지 못하고 정방향으로 공회전되어, 타측 구동축(3')에는 아무런 회전력도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측 구동축(3)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나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모두 타측 구동축(3')에는 어떠한 외력도 전달되지 않고, 타측 페달 크랭크(2')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상에서 보듯이, 일측 구동축(3)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나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임펠러를 갖는 링 기어(5)를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임펠러(5a)를 회전시켜 에어 매트(100)를 지속 전진시킨다. 그러나. 타측 구동축(3')에는 어떠한 외력도 작용시키지 않음으로 타측 구동축(3')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 5c 또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구동축(3')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도 에어 매트(100)는 전진하지만 일측 구동축(3)은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좌우의 페달을 각각 독립적으로 따로 따로 작동시킬 수 있어 두발을 동시에 들 때나, 내릴 때(페달을 밟을 때)나, 한발씩 정방향으로 회전시킬때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킬때나, 다리를 교대로 가위 젓기를 할 때나 관계없이, 좌우 페달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보다 빠른 속도로 에어 매트(100)를 지속적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1 내지 3개의 제 1 및 제 방향 전환 기어, 공동 방향 전환기어 또는 1 내지 3개의 제 1 및 2 고정축의 경우 3개 이상의 다수 개이어도 관계없으나, 비용발생 등의 문제로 불필요하며, 사용자의 나이 또한 재료의 선정 및 가공 정도에 따라 제작상 1개에서 3개 사이가 바람직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1개에서 3개까지로 기술하였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된 베어링과 지지 베어링에 있어서 베어링이란, 볼 및 니들 또는 부싱류에 관계없이 회전체에 있어 원활한 회전을 도우며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을 총칭한다.
아울러 물놀이용 기구에 탈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 구동 드라이브 유닛에 관계되는 일체의 부품 및 소재는 비철금속류(스테인레스계, 알루미늄계, 공업용 플라스틱)로 구성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임펠러(5a)를 갖는 링 기어(5)에서 내접 치차를 가지는 링 기어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를 가지는 임펠러를 별도 제작하여 조립시키거나, 임펠러의 내면에 내접 치차를 가공하여 링 기어를 형성하거나 다수개의 임펠러를 링 기어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별도로 부착하거나 방법상의 차이일 뿐, 동일한 임펠러를 갖는 링 기어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링 기어의 외주면에 휴대 보관이 용이하도록 임펠러의 날개만을 따로 탈부착할 수 있는 일예를 보이고 있으며, 날개의 형상은 효과적으로 물을 차고 나아갈 수 있는 형태로 실제로 부착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동 드라이브 유닛이 부착된 에어 매트는 통상의 정적인 물놀이용 에어 매트에서 벗어난 새들이 부착된 페달을 들어올릴 때나 내려누를 때나 또, 두발을 동시에 들거나 내리거나, 한발씩 교대로 가위젓거나, 한발만으로 구동시키거나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임펠러를 회전시켜 수면을 차고 나아가게 함으로서 에어 매트를 지속전진 시킬 수 있으며 운동과 재미를 더할 수 있다. 아울러 양발로서만 에어 매트를 전진시킬수 있어 양손이 자유로운 관계로 군사용의 도하용이나 해안침투용으로서 상대를 관찰하며 대응할 수 있다. 또 구동 유닛의 탈,부착으로 휴대 및 보관과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상업용이나 군사용으로의 호수, 강, 바다, 넓은 수영장 등에서 다목적으로 이용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며, 나아가 수상자전거, 손.발 구동의 수상 고무보트의 즉시 응용가능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새들이 각각 부착되는 일측 및 타측 페달(1, 1')과 일측 및 타측 페달 크랭크(2, 2')를 통해 연결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구동축(3, 3');
    상기 일측 구동축(3)에 압입 고정되는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과 제 1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 및 상기 타측 구동축(3')에 압입 고정되는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과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
    상기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24)에 압입된 플랜지(6)를 통하여 상기 제 1 정 일방향 클러치(4)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를 가지는 임펠러가 제공되는 링 기어(5);
    상기 제 2 정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주면에 압입된 중간기어(7a)와 기어결합되는 제 1 방향 전환기어(8)와;
    상기 제 1 방향 전환기어(8)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링 기어(5)의 내접 치차와 기어결합되는 제 2 방향 전환기어(9)와;
    상기 제 1 및 제 2 역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의 외륜에 압입되는 중앙기어(7)에 기어 결합되는 한편, 상기 링 기어(5)의 내접 치차와 기어결합되는 공동 방향 전환기어(10)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링 기어(5)는 상기 구동축(3,3')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3.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관계없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의 구동 드라이브 유닛.
  2. 제 1 항에 있어, 상기 임펠러는 상기 링 기어(5)의 외주에 임펠러 날개가 개별적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링 기어(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의 구동 드라이브 유닛.
KR1020050123586A 2005-12-15 2005-12-15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KR10076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586A KR100768789B1 (ko) 2005-12-15 2005-12-15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586A KR100768789B1 (ko) 2005-12-15 2005-12-15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28A KR20070063628A (ko) 2007-06-20
KR100768789B1 true KR100768789B1 (ko) 2007-10-19

Family

ID=3836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586A KR100768789B1 (ko) 2005-12-15 2005-12-15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948B1 (ko) * 2016-07-04 2018-06-04 홍준의 무동력 물놀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951A (ko) * 1996-05-30 1999-05-25 마르틴 슈페히트 안전벨트용 벨트 조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951A (ko) * 1996-05-30 1999-05-25 마르틴 슈페히트 안전벨트용 벨트 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28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1563B (zh) 可鎖住或釋放雙向輸入單向輸出腳踏車
US20060287165A1 (en) Muscle-powered vehicle
US20140206506A1 (en) Switching mechanism for a pedal exerciser
KR100768789B1 (ko) 지속 전진을 위한 에어 매트의 구동 유닛
US6135835A (en) Aquatic vehicle
CN102257984A (zh) 增氧机的传动装置
US20150314847A1 (en) Paddleboard with reciprocating direct drive and rudder controls
KR100850690B1 (ko) 스탭식 킥보드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US3505970A (en) Swimmer&#39;s aid
US6231408B1 (en) Drive mechanism assembly for aquatic vehicle
KR200284522Y1 (ko) 운동용 회전의자
KR101205829B1 (ko) 수상 자전거
JP4945754B2 (ja) スクリュー付き泳具
US6533621B1 (en) Swimming device
CN2934061Y (zh) 双体轮式无舵脚踏船
JP3130396U (ja) 水上歩行器
TWI336302B (en) Bi-directional pedaling exercise bicycle
JP2008068695A (ja) 水中自転車
KR101398464B1 (ko) 부유체용 추력발생장치
CN2815872Y (zh) 水上行走器
CN214913170U (zh) 一种新型水下推进器
KR200412862Y1 (ko) 물놀이용 배
KR20070119115A (ko) 전후 회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자전거
WO2021120337A1 (zh) 小轮径休闲车之传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