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238Y1 - 무동력 물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무동력 물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238Y1
KR200323238Y1 KR20-2003-0013280U KR20030013280U KR200323238Y1 KR 200323238 Y1 KR200323238 Y1 KR 200323238Y1 KR 20030013280 U KR20030013280 U KR 20030013280U KR 200323238 Y1 KR200323238 Y1 KR 200323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riven shaft
flippers
protrusion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명 filed Critical 김동명
Priority to KR20-2003-0013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2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shaped like a fish t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동력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핸들을 잡은 양팔을 좌우로 움직여주기만 하면 오리발이 움직여서 고부력 몸체가 전진, 적은 힘을 들이고 안전하게 수영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전방의 구멍(12)에는 피동축(18)의 상측 직선부가 삽입되는 부싱(13)이 삽입된 고부력을 가지는 유선형의 판형으로 된 고부력 몸체(10)와; 상기 부싱(13)의 안으로는 나사구멍(21)이 측면에 형성된 수직부가 상기 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구동축(14)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하방의 돌출부(20)에는 리벳을 이용하여 오리발(2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 " 형태의 피동축(18)과; 상기 피동축(18)의 수직부 상측이 삽입되는 구멍(17)이 하방 안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고정되기 위한 볼트(26)를 안내하는 구멍(16)이 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2개의 핸들(15)이 형성된 구동축(14)과; 상기 피동축(18)의 돌출부(20)에 관부(24)가 삽입되도록 하여 돌출부(20)의 구멍(22)과 상기 관부(24)의 구멍(25)을 통해 리벳(27)으로 고정되는 오리발(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동력 물놀이 기구{rippling of water utensil for nothing power}
본 고안은 무동력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핸들을 잡은 양팔을 좌우로 움직여주기만 하면 오리발이 움직여서 고부력 몸체가 전진, 적은 힘을 들이고 안전하게 수영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물놀이를 할 경우 팔과 다리를 이용하여 수영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튜브나 기타 물에 뜨는 기구를 이용하여 물놀이를 하는데, 튜브를 타더라도 팔이나 다리를 저어야 원하는 방향 및 원하는 위치로 진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튜브를 이용하지 않고 수영을 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힘이 덜 들고 편하지만 어차피 팔이나 다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을 하기 위해서는 힘이 들 수밖에 없고, 튜브를 타고 물을 헤쳐나가야 할 경우 많은 힘을 들이고도 원활하게 진행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 위에 타고 엎드려서 팔로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직선 상으로 원활한 진행이 되도록 하여 적은 힘을 들이고 최대의 물놀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무동력 물놀이 기구를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의 구멍(12)에는 피동축(18)의 상측 직선부가 삽입되는 부싱(13)이 삽입된 고부력을 가지는 유선형의 판형으로 된 고부력 몸체(10)와; 상기 부싱(13)의 안으로는 나사구멍(21)이 측면에 형성된 수직부가 상기 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구동축(14)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하방의 돌출부(20)에는 리벳을 이용하여 오리발(2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 " 형태의 피동축(18)과; 상기 피동축(18)의 수직부 상측이 삽입되는 구멍(17)이 하방 안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고정되기 위한 볼트(26)를 안내하는 구멍(16)이 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2개의 핸들(15)이 형성된 구동축(14)과; 상기 피동축(18)의 돌출부(20)에 관부(24)가 삽입되도록 하여 돌출부(20)의 구멍(22)과 상기 관부(24)의 구멍(25)을 통해 리벳(27)으로 고정되는 오리발(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구동 및 피동수단을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면에 대한 부호 설명]
10: 고부력 몸체 14: 구동축
18: 피동축 23: 오리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고부력 몸체(10)는 서핑 보드 혹은 우레탄 보드, 나무 등과 같이 무게가 가볍고 부력이 우수하며 강도가 유지되는 재질로 만들며, 유선형이 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기술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와 같이 고부력 몸체(10)의 전방에는 피동축(18)의 수직부가 삽입된 채 원활하게 회전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테프론 등의 부싱(13)을 삽입시키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부싱(13)을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고, 부싱(13) 대신에 볼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다음, 본 고안의 피동축(18)은 도면과 같이 " ┗ " 형태를 띠도록 하여야 하며 가볍고 강도가 강하며 부식이 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의 봉체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피동축(18)의 수직부에는 측면에 나사구멍(21)을 형성시킨 후 도2와 같이 상기 수직부가 고부력 몸체(10)의 부싱(13)을 관통하여 고부력 몸체(10)의 상면으로 관통되도록 하고 동시에 구동축(14)의 구멍(17) 안으로 피동축(18)의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볼트(26)를 사용하여 구동축(14)의 구멍(16)을 통해 피동축(18)의 나사구멍(21)에 조립시키면 구동축(14)과 피동축(18)은 일체가 되고 구동축(14)의 핸들(15)을 좌우로 돌리면 피동축(18)도 좌우로 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피동축(18)의 돌출부(20)는 피동축(18) 자체의 직경보다 작게형성시키고 오리발(23)의 관부(24)가 상기 돌출부(20)에 삽입되었을 때 턱 부분이나 걸리는 돌출부분이 없도록 하여 물이 매끄럽게 스치고 지나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관부(24)와 돌출부(20)는 각 구멍(25, 22)을 형성시켜서 리벳(27)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관부(24) 안으로 돌출부(20)를 끼우되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2의 상태에서 물에 몸체(10)를 띄우고 사람이 올라가 엎드린 자세에서 양팔로 핸들(15)을 잡은 후 다리를 곧게 뻗어서 물에 발이 잠기게 한 상태에서 자전거의 핸들을 조작하듯 핸들(15)을 좌우로 연속하여 밀고 당기면 피동축(18) 역시 구동축(14)과 함께 좌우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오리발(23)은 마치 물고기의 꼬리지느러미와 같이 에스자 곡선을 그리면서 운동을 하여 몸체(10)는 전진하게 된다. 이때 발을 사용하여 물을 차거나 물장구를 치면 추진력이 더 붙기 때문에 속도가 증가되며 양팔을 빠른 속도로 저어주어도 속도는 증가된다.
한편, 상기 오리발(23)은 선박의 방향타 역할과 같이 몸체(10)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힘껏 양팔을 젓거나 혹은 발과 함께 양팔을 사용하여 몸체(10)가 전진되도록 한 후 구동축(14)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돌려서 핸들(15)을 잡고 있으면 오리발(23)이 방향타의 역할을 하여 몸체(10)의 진행 방향이 수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무동력으로 움직이며 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수영을 못하는 사람도 수영을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수영 연습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드 타입으로 몸체가 제작되고 엎드려 탄 채 사용을 하기 때문에 파도가 쳐도 전복될 우려가 낮아서 안전하며, 고부력의 몸체로 인하여 익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튜브에 비하여 전진 속도가 빠르고 방향 전환이 용이하며 힘도 덜 들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즐거운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튜브와 같이 펑크가 나지 않아 더욱 안전하고 서핑 보드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방의 구멍(12)에는 피동축(18)의 상측 직선부가 삽입되는 부싱(13)이 삽입된 고부력을 가지는 유선형의 판형으로 된 고부력 몸체(10)와;
    상기 부싱(13)의 안으로는 나사구멍(21)이 측면에 형성된 수직부가 상기 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구동축(14)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하방의 돌출부(20)에는 리벳을 이용하여 오리발(2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 " 형태의 피동축(18)과;
    상기 피동축(18)의 수직부 상측이 삽입되는 구멍(17)이 하방 안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고정되기 위한 볼트(26)를 안내하는 구멍(16)이 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2개의 핸들(15)이 형성된 구동축(14)과;
    상기 피동축(18)의 돌출부(20)에 관부(24)가 삽입되도록 하여 돌출부(20)의 구멍(22)과 상기 관부(24)의 구멍(25)을 통해 리벳(27)으로 고정되는 오리발(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피동축(18)의 돌출부(20)와 오리발(23)의 관부(24)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부싱(13)은 볼 베어링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물놀이 기구.
KR20-2003-0013280U 2003-04-29 2003-04-29 무동력 물놀이 기구 KR200323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80U KR200323238Y1 (ko) 2003-04-29 2003-04-29 무동력 물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80U KR200323238Y1 (ko) 2003-04-29 2003-04-29 무동력 물놀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238Y1 true KR200323238Y1 (ko) 2003-08-14

Family

ID=4941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280U KR200323238Y1 (ko) 2003-04-29 2003-04-29 무동력 물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2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68A (ko) 2016-07-04 2018-01-12 홍준의 무동력 물놀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68A (ko) 2016-07-04 2018-01-12 홍준의 무동력 물놀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7963A1 (en) Paddleboard and paddle devices and systems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WO2005082705A1 (en) Towable recreational water board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US6077134A (en) Combination bicycle and boat
US6544089B2 (en) Two-hand bodysurfing and swimming aid
US20140378013A1 (en) Fluke Board...A Fluky Fusion of Fun and Fitness
KR200323238Y1 (ko) 무동력 물놀이 기구
US4464126A (en) Finboard exercising apparatus
WO2019056598A1 (zh) 一种可人力驱动的水上娱乐装置
US3232608A (en) Water sports toys
US9399502B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20120184162A1 (en) Human/Water Propelled Buoyant Skis
KR101268567B1 (ko) 수상 스키
KR101852948B1 (ko) 무동력 물놀이 장치
EP2746147A1 (en) Aquatic propulsion by means of oscillating fins
US4897062A (en) Water walker's propulsion pole
KR200320650Y1 (ko) 무동력 물놀이 기구
JP3237281U (ja) 水面及び水中で使用するスイミングボード
JP7432232B2 (ja) 足蹴り推進水面走り人力艇
TWI710500B (zh) 水面及水中仿生推進裝置
JP6898691B2 (ja) 人力推進ボート
NL2010508C2 (en) A watercraft.
KR20100123953A (ko) 수상이동기구
JP6741376B2 (ja) 人力推進ボ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