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79Y1 -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79Y1
KR200484679Y1 KR2020170002685U KR20170002685U KR200484679Y1 KR 200484679 Y1 KR200484679 Y1 KR 200484679Y1 KR 2020170002685 U KR2020170002685 U KR 2020170002685U KR 20170002685 U KR20170002685 U KR 20170002685U KR 200484679 Y1 KR200484679 Y1 KR 200484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holder
protrusion
hea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에스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에스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에스그룹
Priority to KR2020170002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79Y1/ko
Priority to PCT/KR2017/006028 priority patent/WO201822176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63B35/79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3Sectionalised boards, e.g. modular, dismountable or foldable boards
    • B63B35/794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상레저를 위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상보드의 후방부를 이루고, 엔진룸이 형성되어 동력제공을 위한 엔진이 설치되는 후방보드; 상기 후방보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상보드의 전방부를 이루고, 상기 엔진의 제어를 위한 보드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전방보드; 및 상기 전방보드와 상기 후방보드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보드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커넥터는,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형합되는 돌기홀더; 상기 끼움돌기 및 상기 돌기홀더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엔진과 상기 보드컨트롤러를 연결시키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를 형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TWO-STAGE SEPARATION STRUCTURE OF WATER BOARD WITH POWER UNIT}
본 고안은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력 제공을 위한 엔진이 구비된 후방보드를 전방보드와 분리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중량을 분배하여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한국사회가 점차 선진국으로 진입하면서 주 5일제가 시행됨에 따라 많은 사람이 주말을 이용한 레저활동의 여유 생활을 즐기게 되었고, 이러한 여유 생활은 스포츠활동으로 이어지되 특히 수상 스포츠 및 낚시 등의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상 스포츠활동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상보드는 길고 좁은 형태의 물에 뜨는 보드로서 보드 위에 올라가서 서 있거나 앉은 자세에서 손과 팔을 이용하거나 긴 노를 저으며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이용하거나, 물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구조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보드 위에서 신체의 중심을 잡기 위하여 전신의 근육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열량 소모가 많아서 운동 효과가 좋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초보자가 운용방법을 쉽게 배울 수가 있기 때문에 수상 레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인 엔진이 설치되어 스릴을 고조시킨 수상보드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상보드는 하드보드 재질로 보관과 이동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보관장소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운반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거리로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차량위에 캐리어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설치될 경우에는 엔진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혼자서는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2130호에 제시된 조립식 수상용 보드와 같이 분리형 수상보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은 동력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기술이어서, 중량체인 동력장치가 설치된 수상보드에 적용하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13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후방보드에 엔진이 설치되고 전방보드에 컨트롤러가 설치된 수상보드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분리결합 할 수 있는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를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는, 수상레저를 위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상보드의 후방부를 이루고, 엔진룸이 형성되어 동력제공을 위한 엔진이 설치되는 후방보드; 상기 후방보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상보드의 전방부를 이루고, 상기 엔진의 제어를 위한 보드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전방보드; 및 상기 전방보드와 상기 후방보드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보드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커넥터는,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형합되는 돌기홀더; 상기 끼움돌기 및 상기 돌기홀더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엔진과 상기 보드컨트롤러를 연결시키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를 형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홀더에 결합된 상기 끼움돌기의 일부분을 돌출시켜서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돌기홀더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끼움돌기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블록;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상기 끼움돌기가 구비된 곳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가압블록을 직선운동시키는 가압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에 수직상태로 체결되는 수직볼트; 및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에 수평상태로 체결되는 수평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수평볼트의 헤드를 구속하여 상기 수직볼트 또는 상기 수평볼트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상기 돌기홀더가 구비된 곳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수평볼트의 헤드를 수용하면서 상기 헤드의 외곽에 다각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헤드홀더; 및 상기 다각의 헤드홀더에 끼워져 형합되면서 상기 헤드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헤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헤드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는, 엔진이 설치된 후방보드와 컨트롤러가 설치된 전방보드가 끼움돌기와 돌기홀더를 통해 형합된 상태로 고정부재로 고정되므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수평볼트나 수직볼트의 헤드에 끼워지는 헤드캡이 다각형의 헤드홀더에 형합됨에 따라 볼트의 헤드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젝터를 구성하는 가압블록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돌출되면서 돌기홀더를 밀어내므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가 이젝터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풀림방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젝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보드(100), 전방보드(200) 및 보드커넥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보드(100)는 본 고안의 수상보드의 후방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기립 또는 착석하는 부위를 이루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110)이 구비되어 미도시된 엔진이 내장됨으로써 엔진의 동력을 통해 추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방보드(200)는 후술되는 보드커넥터(300)에 의해 후방보드(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하나의 수상보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컨트롤러(210)가 구비되어 엔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보드컨트롤러(210)는 전방보드(200)의 상부로 연장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면서 엔진의 온/오프나 가속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보드컨트롤러(210)는 후술되는 전원커넥터(300)를 통해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을 제어한다.
상기 보드커넥터(300)는 전방보드(200)와 후방보드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10), 돌기홀더(320), 전원커넥터(330) 및 고정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310)는 전방보드(200)나 후방보드(100)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돌기홀더(320)에 결합된다.
돌기홀더(320)는 전방보드(200)나 후방보드(100)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끼움돌기(310)가 끼워져 형합된다.
즉, 2단을 이루는 전방보드(200)와 후방보드(100)는 끼움돌기(310) 및 돌기홀더(320)를 통해 형합됨에 따라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310)에는 탄성을 갖는 미도시된 스냅돌기가 구비되어 돌기홀더(320)의 내주면에 스냅식으로 걸려 결합될 수도 있다.
전원커넥터(330)는 전술한 엔진과 보드컨트롤러(2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에 각각 암수형태로 구비되어 끼움돌기(310) 및 돌기홀더(32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커넥터(330)에는 방수가 유지되기 위한 구조 및 구성이 구비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331)이 개재되어 전원커넥터(330)를 방수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40)는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를 형합된 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볼트(341) 및 복수의 수평볼트(3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돌기홀더(320)가 형성된 후방보드(100)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서 각각 볼트공에 삽입되어 끼움돌기(310)에 체결된다.
한편, 수직볼트(341) 및 수평볼트(3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방지부재(350)에 의해 임의로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풀림방지부재(350)는 헤드홀더(351) 및 헤드캡(3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홀더(351)는 수직볼트(341)나 수평볼트(342)의 볼트공(340a)이 형성된 후방보드(100)에 다각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수직볼트(341)나 수평볼트(342)의 헤드를 수용하며, 헤드의 외곽에 다각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헤드캡(352)은 다각의 헤드홀더(351)에 형합되면서 내주면에 형성된 헤드홈(352a)을 통해 볼트의 헤드에 끼워진다.
즉, 헤드캡(352)은 수직볼트(341)나 수평볼트(342)의 헤드에 끼워진 상태로 다각의 헤드홀더(351)에 형합됨에 따라 회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수직볼트(341)나 수평볼트(342)의 헤드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젝터(400)는 끼움돌기(310)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돌출시킴으로써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젝터(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블록(410), 회전축(420) 및 가압전달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블록(410)은 끼움돌기(310)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420)은 끼움돌기(310)가 형성된 전방보드(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421)이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한다.
여기서, 핸들(421)은 회전축(4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420)에 동일체로 결합되어 전방보드(200)에 수납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가압전달부재(430)는 핸들(421)에 의한 회전축(420)의 회전운동을 통해 가압블록(410)을 직선운동시킴으로써 가압블록(410)을 돌출시켜서 돌기홀더(320)를 분리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압전달부재(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431), 웜휠(432) 및 랙기어(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웜(431)은 회전축(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형태로 형성된다.
웜휠(432)은 웜(431)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420)의 회전에 의해 웜(4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랙기어(433)는 가압블록(410)에 고정된 상태로 끼움돌기(3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웜휠(432)에 치합되며, 웜휠(432)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가압블록(410)을 돌출시킨다.
즉, 전방보드(200)와 후방보드(100)를 분리할 경우, 사용자는 핸들(421)을 통해 회전축(420)을 회전시켜서 웜(431)을 통해 웜휠(432)을 회전시키며, 가압블록(410)은 웜휠(432)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랙기어(433)에 의해 가압되어 돌출되면서 돌기홀더(320)를 끼움돌기(310)와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상보드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설명한다.
수상보드를 조립할 경우, 사용자는 전방보드(200)에 형성된 끼움돌기(310)를 후방보드(100)에 형성된 돌기홀더(320)에 끼워서 형합시킨 후, 수평볼트(342) 및 수직볼트(341)를 통해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를 체결함으로써 전방보드(200)와 후방보드(100)를 조립한다.
이때, 보드컨트롤러(210)는 전원커넥터(330)를 통해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의 시동 및 가속을 제어한다.
수평볼트(342) 및 수직볼트(341)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헤드캡(352)을 헤드홀더(351)에 결합하면서 볼트의 헤드를 구속하여 볼트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막는다.
수상보드를 분해할 경우, 사용자는 헤드캡(352)을 헤드홀더(351)에서 분리한 후 수평볼트(342) 및 수직볼트(341)를 분리하고, 전방보드(200)와 후방보드(100)를 당겨서 서로 분리한다.
이때,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가 분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421)을 통해 회전축(420)을 회전시켜서 웜(431), 웜휠(432) 및 랙기어(433)를 통해 가압블록(410)을 돌출시킴으로써 돌출되면서 돌기홀더(320)를 끼움돌기(310)와 분리시킨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에 의하면, 엔진이 설치된 후방보드(100)와 보드컨트롤러(210)가 설치된 전방보드(200)가 끼움돌기(310)와 돌기홀더(320)를 통해 형합된 상태로 고정부재(340)로 고정되므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어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후방보드
110 : 엔진룸
200 : 전방보드
210 : 보드컨트롤러
300 : 보드커넥터
310 : 끼움돌기
320 : 돌기홀더
330 : 전원커넥터
340 : 고정부재
341 : 수직볼트
342 : 수평볼트
350 : 풀림방지부재
351 : 헤드홀더
352 : 헤드캡
400 : 이젝터
410 : 가압블록
420 : 회전축
430 : 가압전달부재
431 : 웜
432 : 웜휠
433 : 랙기어

Claims (5)

  1. 수상레저를 위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상보드의 후방부를 이루고, 엔진룸이 형성되어 동력제공을 위한 엔진이 설치되는 후방보드;
    상기 후방보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상보드의 전방부를 이루고, 상기 엔진의 제어를 위한 보드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전방보드; 및
    상기 전방보드와 상기 후방보드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보드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커넥터는,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형합되는 돌기홀더;
    상기 끼움돌기 및 상기 돌기홀더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엔진과 상기 보드컨트롤러를 연결시키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를 형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홀더에 결합된 상기 끼움돌기의 일부분을 돌출시켜서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돌기홀더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끼움돌기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블록;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상기 끼움돌기가 구비된 곳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가압블록을 직선운동시키는 가압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에 수직상태로 체결되는 수직볼트; 및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돌기홀더에 수평상태로 체결되는 수평볼트를 포함하는 동력장치가 구비되는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수평볼트의 헤드를 구속하여 상기 수직볼트 또는 상기 수평볼트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동력장치가 구비되는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후방보드나 상기 전방보드 중 상기 돌기홀더가 구비된 곳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수평볼트의 헤드를 수용하면서 상기 헤드의 외곽에 다각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헤드홀더; 및
    상기 다각의 헤드홀더에 끼워져 형합되면서 상기 헤드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헤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헤드캡을 포함하는 동력장치가 구비되는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5. 삭제
KR2020170002685U 2017-05-31 2017-05-31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KR200484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85U KR200484679Y1 (ko) 2017-05-31 2017-05-31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PCT/KR2017/006028 WO2018221768A1 (ko) 2017-05-31 2017-06-09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85U KR200484679Y1 (ko) 2017-05-31 2017-05-31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79Y1 true KR200484679Y1 (ko) 2017-10-17

Family

ID=6040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85U KR200484679Y1 (ko) 2017-05-31 2017-05-31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679Y1 (ko)
WO (1) WO20182217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2384A (zh) * 2020-05-08 2020-08-14 荣成百邦电子有限公司 便于携带的分体式冲浪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6435B (zh) * 2021-02-06 2022-03-04 京乐驰光电技术(北京)有限公司 分体式帆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392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2.5 기가 비트 광전송장치에서의 데이터 통신 유니트 제어장치
KR20060013306A (ko) * 2004-08-05 2006-02-09 서대수 수상서핑보드
KR100700177B1 (ko) * 2002-12-18 2007-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저전력 구동방법
KR20140107915A (ko) * 2013-02-28 2014-09-05 구권회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101682130B1 (ko) 2015-01-05 2016-12-13 (주)에어박스 조립식 수상용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60B1 (ko) * 1985-07-17 1994-06-11 브르스 알란 베너트 풀림방지 패스너
KR19980063072A (ko) * 1996-12-31 1998-10-07 이상석 수동식 수상스키장비
US20150321736A1 (en) * 2014-01-24 2015-11-12 Gameli E. Cruz Ricardez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392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2.5 기가 비트 광전송장치에서의 데이터 통신 유니트 제어장치
KR100700177B1 (ko) * 2002-12-18 2007-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저전력 구동방법
KR20060013306A (ko) * 2004-08-05 2006-02-09 서대수 수상서핑보드
KR20140107915A (ko) * 2013-02-28 2014-09-05 구권회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101682130B1 (ko) 2015-01-05 2016-12-13 (주)에어박스 조립식 수상용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2384A (zh) * 2020-05-08 2020-08-14 荣成百邦电子有限公司 便于携带的分体式冲浪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768A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3006B (zh) 用于水上器械的翼片插头
KR200484679Y1 (ko) 동력장치가 구비된 수상보드의 2단 분리결합 구조
US7594874B2 (en) Quick connect climbing hold
KR101770277B1 (ko) 자유롭게 조립가능한 결합 완구 팽이
AU2020286992A1 (en) Helmet
US9254886B2 (en) Foldable bicycle handlebar
US20100120305A1 (en) Auto-fastening removable fin system
CN205677929U (zh) 具有保护扣接的扣件
JP6549606B2 (ja) ウォータークラフト・フィン用固定機構
CN210310735U (zh) 一种滑板车车杆
CN203770888U (zh) 用于管接头的卡扣定位结构
CN101992818A (zh) 一种电动车锁具
KR200479824Y1 (ko) 적재가 편리한 분해 조립형 수상보드
CN201439682U (zh) 卷式门栏
CN203826456U (zh) 手持设备电池盖安装结构及pos机
CN203676921U (zh) 一种炊具的可折叠手柄
CN105901817B (zh) 摩托车头盔
CN205796505U (zh) 一种可拼装玩具组合体
CN210391391U (zh) 一种带拉索解锁机构的电子转向锁系统
CN212556683U (zh) 一种多功能冲浪板
CN110077496B (zh) 一种用于限制车辆方向盘转向的电动龙头锁
CN211166544U (zh) 一种防止收合时防夹手的支撑腿机构
CN210329612U (zh) 一种新型手镯
CN212290193U (zh) 一种可折叠船艇底板
USD535911S1 (en) Universal child seat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