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033B1 - 휴대용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서핑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033B1
KR102501033B1 KR1020220109634A KR20220109634A KR102501033B1 KR 102501033 B1 KR102501033 B1 KR 102501033B1 KR 1020220109634 A KR1020220109634 A KR 1020220109634A KR 20220109634 A KR20220109634 A KR 20220109634A KR 102501033 B1 KR102501033 B1 KR 10250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ush button
fixing
surfboar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홍제
Original Assignee
유비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비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3Sectionalised boards, e.g. modular, dismountable or foldabl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서핑보드는, 진행 방향으로 유선형 노즈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는 테일이 형성되며, 노즈를 포함하는 부분과 테일을 포함하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휴대용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 노즈를 포함하고, 일 영역에 제1힌지가 마련되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피스, 테일을 포함하고, 수용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 영역에 제2힌지가 마련되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피스, 제1피스와 제1피스가 체결될 때, 제1피스와 제2피스가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 및 체결홀에 원터치 삽입될 때, 제1피스와 제2피스를 관통하면서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체결부는, 나사머리 형상을 가지며, 나사머리 형상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천공홀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푸시버튼, 원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중심부는 푸시버튼의 외주연을 따라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테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마련되며, 각각의 고정편은 푸시버튼의 삽입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고정부 및 고정편을 지지하고, 하우징의 종단을 수용하는 푸시버튼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서핑보드{Portable type Surfboard}
본 발명은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피스로 분리되고, 분리된 것을 폴딩하여 크기를 줄이고 휴대성을 향상시키며, 접힌 것을 펼쳐서 고정할 때는 원터치로 간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과 보관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휴대용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수상 레저에 사용되는 서핑보드는 1.5미터 내지 3미터의 길이로 형성되고, 너비는 60cm 전후로 형성되며, 두께는 통상 10cm 전후로 형성된다.
서핑보드의 길이는 성인의 키와 동일하거나 더 크고, 무게도 수십 kg에 달하므로 바다나 강으로 운송하는데 여러 어려움이 있다.
통상 서핑보드를 차량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차량 상단에 루프박스를 설치하고, 루프박스에 서핑보드를 고정하거나, 대형 차량 내부의 의자와 내부 구조물을 치워 수납공간을 확보한 후 서핑보드를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차량 상단에 루프박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하나 또는 두개 정도의 서핑보드만을 운반할 수 있고, 서핑보드를 탑재하기 위한 루프박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부담과 설치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반면, 대형 차량 내부를 이용하는 경우, 서핑보드 수납을 위해 차량 내부의 의자를 비롯, 차량 내부 구조물을 모두 치워야 하므로 정작 사용자는 서핑보드 수납을 위해 차량 공간의 대부분을 할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해 서핑보드를 분리형으로 형성하거나 폴더블 형태로 구현하는 시도가 있었다.
서핑보드를 분리형으로 구현하는 경우, 서핑보드를 조립할 때의 강성이 충분치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서핑보드를 폴더블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서핑보드를 펼친 후 고정할 때 나사를 조이는 조립 과정과 복잡한 끼움결합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10780957 (BOARD - TYPE WATERCRAFT) 미국 등록특허 US 7121909 (SYSTEM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FOR CREATING A CUSTOMIZED WATERBOAR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901호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본 발명의 목적은, 서핑보드를 접어서 부피를 줄이는 분리형 및 폴더블 구조가 혼합된 형태로 구현하되, 서핑보드를 펼친 후, 원터치 방식으로 누르는 간편한 방법에 의해 서핑보드를 고정하는 휴대용 서핑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진행 방향으로 유선형 노즈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는 테일이 형성되며, 상기 노즈를 포함하는 부분과 상기 테일을 포함하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휴대용 서핑보드에 있어서, 상기 노즈를 포함하고, 일 영역에 제1힌지가 마련되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피스; 상기 테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 영역에 제2힌지가 마련되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피스;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1피스가 체결될 때,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원터치 삽입될 때,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를 관통하면서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나사머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나사머리 형상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푸시버튼; 원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중심부는 상기 푸시버튼의 외주연을 따라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테두리에서 상기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마련되며, 각각의 고정편은 상기 푸시버튼의 삽입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편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종단을 수용하는 푸시버튼 수용부;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고정편은, 5 내지 60도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푸시버튼 수용부를 향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푸시버튼 수용부는, 상기 제1피스 및 상기 제2피스 중 어느 하나에 매립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푸시버튼 수용부가 상기 제1피스 및 상기 제2피스 중 어느 하나에 매립될 때, 다른 하나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홀에 고정된 후, 상기 체결홀을 밀봉하는 밀봉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 패드는, 상기 제1피스 및 상기 제2피스의 노출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는, 상기 수용부의 양 단부에 상기 제2피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는 상기 돌출부의 양 단부에 상기 사이드 윙을 수용하기 위한 윙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사이드 윙이 상기 제2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윙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수용부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교차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피스와, 제2피스로 분리되는 휴대용 서핑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사이드 윙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는, 상기 사이드 윙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사이드 윙의 수용을 위한 사이드 윙 수용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피스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피스의 수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수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피스의 수용부와 교차 끼움 결합하는 휴대용 서핑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교차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원터치 삽입될 때,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를 관통하면서 고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체결된 후, 서로 이웃하는 접촉영역의 노출면에서 상기 제1피스 및 상기 제2피스에 공동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의 상기 제1피스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종단은 갈고리 형상을 갖는 고정 고리; 및 상기 고정홈의 상기 제2피스 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고리의 상기 갈고리 형상과 맞물리는 갈고리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폴더블 타입의 서핑보드를 펼친 후, 고정할 수 있다. 기존의 폴더블 타입의 서핑보드가 나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데 비해 매우 빠르고, 쉽고 간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분리된 피스를 끼움 결합 후, 끼움 결합된 두 피스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조립된 서핑보드의 강도가 매우 높고 견고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서핑보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피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피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피스의 폴딩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제1피스와 제2피스에 대한 체결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피스와 제2피스를 고정하는 고정부에 대한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7은 고정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서핑보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서핑보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피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피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제1피스의 폴딩 단면을 도시하고, 도 5는 제1피스와 제2피스에 대한 체결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제1피스와 제2피스를 고정하는 고정부에 대한 구조도를 도시하고, 도 7은 고정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서핑보드는 제1피스(110), 제2피스(120)가 각각 독립된 형태로 분리되며,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각각 폴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제1피스(110)에는 서핑보드의 진행 방향으로 노즈(nose)가 형성되고, 제2피스(120)에는 그 반대방향으로 테일(tail)이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서핑보드는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각각 분리 가능하고, 분리된 상태에서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피스(110)에는 힌지(111)가 마련되어 제1피스(110)가 폴딩될 수 있도록 하며, 제2피스(120)에도 힌지(121)가 마련되어 제2피스(120)가 폴딩될 수 있도록 한다.
1.5미터에서 3미터에 이르는 서핑보드가 두 개의 피스(110, 120)로 분리되므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를 차량에 포개어 적재할 때, 총 길이는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피스(110, 120)가 재차 폴딩되므로, 차량에 적재할 때의 총 길이는 1미터 이하가 되어 차량 적재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2는 제1피스(110)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내는데, d1 방향으로 완전히 폴딩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피스(110)가 힌지(111)를 중심으로 폴딩되어 두 개의 서브 피스(112, 113)로 적층됨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제2피스(120) 또한, 폴딩되었을 때, 두 개의 서브 피스(122, 123)로 구획되고 서브 피스(122, 123) 사이에는 힌지(121)가 마련되어 서브 피스(122, 123)를 폴딩 시, 그 길이가 더욱 감소되고 차량에 탑재할 때, 차량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체결되는 순서에 대한 체결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5의 (a)를 살펴보면, 지시선(h1)은 제1피스(110)가 폴딩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으로, 지시선(h1)이 위치한 곳에 힌지(111)가 위치한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지시선(h2)은 제2피스(120)가 폴딩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으로, 지시선(h2)이 위치한 곳에 힌지(121)가 위치한다.
또한, 제2피스(120)의 양측 종단에는 제1피스(110)의 사이드 윙(115, 116)을 수용하기 위한 윙 수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각각 지시선(h1, h2)을 따라 폴딩되어 차량에 적재되고 폴딩된 상태에서의 길이는 1미터 전후가 된다.
도 5의 (c)는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끼움 결합될 때의 형상을 나타낸다.
제1피스(110)의 내부에는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수용부(114)에는 제2피스(120)의 돌출부(124)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즉, 수용부(114)는 돌출부(124)의 외주연과 체적에 맞추어 그 형태가 결정되는 것이다.
돌출부(124)가 수용부(114)에 삽입되면, 도 5의 (c)와 같은 체결 양상을 나타낸다. 도 5의 (c)에서 빗금 표시된 영역(S1)은 돌출부(124)가 수용부(114) 내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고, 도 5의 (c)에서 빗금 표시된 영역(S2)은 제1피스(110)의 사이드 윙(115, 116)이 제2피스(120)에 형성되는 윙 수용부(125)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1피스(110)의 사이드 윙(115, 116)은 제2피스(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고, 제2피스(120)의 돌출부(124)는 제1피스(110)의 수용부(114)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교차 끼움 방식에 따라, 제1피스(110)의 사이드 윙(115, 116)은 제2피스(120)의 내부로 삽입된 후 끼움 결합되고, 제2피스(120)의 돌출부(124)는 제1피스(110)에 형성되는 수용부(114)에 삽입된 후 끼움 결합된다.
즉,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견고하게 맞물리는 체결 구조를 갖는다.
만일, 제1피스(110)의 수용부(114)에 돌출부(124)만이 끼움 결합하거나, 제2피스(120)의 윙 수용부(125)에 사이드 윙(115, 116)만이 끼움 결합된다면, 서핑보드에 가해지는 하중이 수용부(114)에 모두 가해지거나, 또는 윙 수용부(125)에 모두 전가되면서, 이들 체결부위가 쉽게 피로파괴될 우려가 크다.
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서핑보드는 제1피스(110)과 제2피스(120) 각각에 수용부(114) 및 윙 수용부(125)를 가지고, 서로 돌출된 파츠(115, 116, 124)를 교차로 끼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서핑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나누어 받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의 (d)는 도 5의 (c)에 도시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결합된 후,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이는 외형을 도시한다. 사용자에게는 수용부(114), 윙 수용부(124), 사이드 윙(115, 116) 및 돌출부(124)가 대부분 가려지고, 표면적으로는 이음선(L1)만이 노출된다. 이중 끼움 결합이 발생하였음에도 외형적으로는 심플한 이음선(L1) 하나만이 노출되므로 제품화 시, 심미적으로도 심플하고 간결하다고 볼 수 있다.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를 끼움 결합 후,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고정부재에 의해 최종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서핑보드는 3개의 체결홀(130, 140, 150)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홀(130, 140, 150)은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끼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홀(130)은 제1피스(110) - 수용부(114) - 돌출부(제2피스의 돌출부, 참조부호 "124")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홀(130)은 나사 형태의 푸시버튼(131)을 원터치(One touch)로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푸시버튼(131)은 외주연에 나사산(133)이 형성되는데, 이는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 아니며, 후술할 고정부(136)에서 나사산(133)을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이용될 뿐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푸시버튼(131)은 절대 나사결합을 위한 용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푸시버튼(131)이 사용자에 의해 원터치로 체결홀(130)에 삽입 및 고정되면, 밀봉 패드(117)에 의해 푸시버튼(131)이 밀봉될 수 있다. 밀봉 패드(117)는 고무, 실리콘, EVA 및 기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용도는 푸시 버튼(131)이 제1피스(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바닷물(또는 강물)이 제1피스(11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밀봉 패드(117)는 제1피스(110)와 노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실시예에 따른 서핑보드를 탈 때,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따른다. 물론, 밀봉 패드(117) 자체가 부드러운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재질이므로 제1피스(110)에서 다소 돌출되어도 사용에는 무방하다.
그러나, 발바닥의 감각이 예민한 서퍼에게 이질감이나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는 바, 최대한 수평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패드(117)의 지름은 체결홀(13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홀(13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밀봉 패드(117)의 지름은 체결홀(130)의 지름 대비 5% 내지 10% 범위에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체결홀(130)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았다. 다른 체결홀(140, 150) 또한, 체결홀(130)과 동일한 체결 구조를 가지므로, 이들 체결홀(140, 150)에 대한 중복되는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체결홀(130)을 포함한, 체결부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을 살펴보면, 체결부는, 푸시버튼(131), 하우징(135), 고정부(136) 푸시버튼 수용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푸시버튼(1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나사 결합을 하지 않는" 나사산(133)을 구비하며, 홀(132)이 형성되고, 홀(132)을 통해 고정끈(134)을 통해 하우징(135)에 고정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한다.
하우징(135)은 나사머리 형상을 가지며, 나사머리 형상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홀(135d)이 형성되고, 천공홀(135d)을 따라 푸시버튼(131)이 삽입된다.
하우징(135)은 헤드(135a), 몸체(135b), 확장부(135c) 및 천공홀(135d)를 포함한다.
헤드(135a)는 중심부에 천공홀(135d)이 형성되며, 천공홀(135d)은 몸체(135d)의 중심과 확장부(135d)까지 연장 형성된다.
푸시버튼(131)은 천공홀(135d)에 삽입된 후, 확장부(135c)를 지나 고정부(136)에 진입할 수 있다.
고정부(136)는 원판 형상의 몸체로 구성되고, 중심부(136a)는 푸시버튼(131)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푸시버튼(131)이 고정부(136)의 중심부(136a)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엄밀히 말하면, 중심부(136a)의 지름은 푸시버튼(13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별도의 조작이 없다면, 푸시버튼(131)은 중심부(136a)를 통과할 수 없다.
푸시버튼(131)이 중심부(136a)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확장부(135c)가 고정편(136b 내지 136e)을 눌러서 중심부(136a)를 확장하여야 한다.
즉,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36)는 하우징(135)을 눌러서 확장부(135c)가 고정편(136b 내지 136e)을 벌려서 중심부(136a)의 지름을 확장하고, 이후, 푸시버튼(131)을 눌러서 푸시버튼 수용부(137)에 삽입한 후, 하우징(135)을 누르던 힘을 해제하는 순서에 따라 푸시버튼(131)이 고정부(136)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1) 먼저 하우징의 헤드(135a)를 누른다.
2) 헤드(135a)를 누른 상태에서 푸시버튼(131)을 손으로 눌러서 삽입한다.
3) 푸시버튼(131)을 푸시버튼 수용부(137)에 삽입 후, 헤드(135a)를 누르던 손을 떼어 헤드(135a)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한다.
1) 내지 3)의 순서에 따라 푸시버튼(131)은 고정부(136)에 고정된다.
반대로, 푸시버튼(131)을 푸시버튼 수용부(137)에서 제거하고자 할 때는, 아래의 순서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4) 헤드(135a)를 누르면 확장부(135c)가 고정편(136b 내지 136e)을 누르고, 이때, 고정편(136b 내지 136e)가 d2 방향으로 밀리면서 중심부(136a)를 확장한다.
5) 푸시버튼(131)을 뽑는다.
한편, 고정부(136)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며, 원판 형상의 외주연에서 중심부(136a)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편(136b 내지 136e)을 구비하고, 각각의 고정편(136b 내지 136e)의 종단에는 종단편(136f 내지 136i)이 형성되는데, 종단편(136f 내지 136i)은 5 내지 60도의 각도를 가지고 푸시버튼 수용부(137)를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종단편(136f 내지 136i)이 5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가지고 푸시버튼 수용부(137)을 향해 절곡되면 푸시버튼(131)이 쉽게 푸시버튼 수용부(137)로 삽입될 수 있으며, 푸시버튼(131)이 푸시버튼 수용부(137)에 수용된 이후에는 절곡 각도가 커지는 만큼 수직에 가깝게 푸시버튼(131)에 형성되는 나사산(133)에 밀착하여 푸시버튼(131)이 푸시버튼 수용부(137)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종단편(136f 내지 136i)의 절곡 각도가 작을 수록 확장부(135c)에서 d2 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더 요구되고, 반대의 경우 확장부(135c)에 가하는 힘이 적어도 중심부(136a)가 충분히 벌어지면서 푸시버튼(131)이 통과할 공간이 확보된다.
반대로, 종단편(136f 내지 136i)의 절곡 각도가 클수록(60도에 가까울수록) 확장부(135c)에 가하는 힘이 더 요구되는 반면, 나사산(133)을 움켜쥐는 힘은 더 커져서 푸시버튼(13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푸시버튼 수용부(137)는 제1피스(110) 및 제2피스(120) 중 어느 하나에 매립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푸시버튼(131)이 제1피스(110)에서 제2피스(120)를 향해 삽입되는 경우, 푸시버튼 수용부(137)는 제2피스(120)에 매립 형성되고, 반대로, 푸시버튼(131)이 제2피스(120)에서 제1피스(110)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푸시버튼 수용부(137)는 제1피스(110)에 매립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서핑보드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서핑보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1피스(210)와 제2피스(220)로 구성되고, 제1피스(210)와 제2피스(220)가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까지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제1실시예와는 달리 체결홀(130, 140, 150)을 사용하지 않고, 갈고리 형태의 고정 고리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제1피스(210)와 제2피스(220)는 도 2와 도 3을 통해 설명된 제1피스(110) 및 제2피스(120)와 동일한 구조이고, 각각 분리된 제1피스(210)와 제2피스(220)가 도 5에 도시된 제1피스(110) 및 제2피스(120)가 체결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과 절차에 의해 끼움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5와 이들 도면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 중복되는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의 것을 준용하도록 하며, 다만, 제1실시예의 체결부와 차별되는 고정 고리 및 갈고리 홈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제1피스(210)와 제2피스(220)가 이웃하는 접촉영역에 고정홈(240)이 형성되며, 고정홈(240)의 일 측에는 고정 고리(211)가 형성되며, 타 측에는 고정 고리(211)와 체결하기 위한 갈고리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고리(211)는 제1피스(210) 측에 형성되는 고정홈(240)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종단이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갈고리 홈(221)은 제2피스(220)측에 형성되는 고정홈(240)에 마련되어 고정 고리(211)의 갈고리 형상과 맞물리는 형태의 홈이 음각 형성된다.
고정 고리(211)가 갈고리 홈(221)에 체결된 후, 밀봉 패드(230)를 이용하여 고정홈(240)을 밀봉하여 고정 고리(211)와 갈고리 홈(221)이 서핑보드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밀봉 패드(230)는 제1피스(210) 및 제2피스(220)의 노출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131 : 푸시버튼 132 : 홀
133 : 나사산 134 : 고정끈
135 : 하우징 135a : 헤드
135b : 몸체 135c : 확장부
135d : 천공홀 136 : 고정부
136a : 중심부 136b 내지 136e: 고정편
136f 내지 136i : 종단편 137: 푸시버튼 수용부

Claims (15)

  1. 진행 방향으로 유선형 노즈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는 테일이 형성되며, 상기 노즈를 포함하는 부분과 상기 테일을 포함하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휴대용 서핑보드에 있어서,
    상기 노즈를 포함하고, 일 영역에 제1힌지가 마련되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피스;
    상기 테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 영역에 제2힌지가 마련되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피스;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1피스가 체결될 때,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원터치 삽입될 때,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를 관통하면서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나사머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나사머리 형상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푸시버튼;
    원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중심부는 상기 푸시버튼의 외주연을 따라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테두리에서 상기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마련되며, 각각의 고정편은 상기 푸시버튼의 삽입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편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종단을 수용하는 푸시버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서핑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는, 상기 수용부의 양 단부에 상기 제2피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는 상기 돌출부의 양 단부에 상기 사이드 윙을 수용하기 위한 윙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사이드 윙이 상기 제2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윙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피스에 마련되는 상기 수용부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가 교차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서핑보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20109634A 2022-08-31 2022-08-31 휴대용 서핑보드 KR10250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634A KR102501033B1 (ko) 2022-08-31 2022-08-31 휴대용 서핑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634A KR102501033B1 (ko) 2022-08-31 2022-08-31 휴대용 서핑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033B1 true KR102501033B1 (ko) 2023-02-17

Family

ID=8532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634A KR102501033B1 (ko) 2022-08-31 2022-08-31 휴대용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0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6795A1 (en) * 2005-04-29 2006-11-02 Thomas Meyerhoffer System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for creating a customized waterboard
US7347755B1 (en) * 2007-02-02 2008-03-25 Katzfey Lance J Sectionalized surfboard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4-09-23 구권회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20150091799A (ko) * 2014-02-04 2015-08-12 최석재 어구용 금속재부구 및 그 제조방법
US20150307165A1 (en) * 2014-04-23 2015-10-29 Ntrepid Labs LLC Folding Board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6795A1 (en) * 2005-04-29 2006-11-02 Thomas Meyerhoffer System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for creating a customized waterboard
US7347755B1 (en) * 2007-02-02 2008-03-25 Katzfey Lance J Sectionalized surfboard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4-09-23 구권회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KR20150091799A (ko) * 2014-02-04 2015-08-12 최석재 어구용 금속재부구 및 그 제조방법
US20150307165A1 (en) * 2014-04-23 2015-10-29 Ntrepid Labs LLC Folding Board System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등록특허 US 7121909 (SYSTEM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FOR CREATING A CUSTOMIZED WATERBOARD)
미국 등록특허 US10780957 (BOARD - TYPE WATERCR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7975B1 (en)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concealed strap holder
KR102501033B1 (ko) 휴대용 서핑보드
US20140353180A1 (en) Carrier and packing case using the same
EP2747073B1 (en) Stringed instrument neck and body attachment mechanism
US20150053063A1 (en) Foldable Musical Keyboard Player
KR20090125693A (ko) 휴대전화단말
WO2006042359A1 (en) Storage compartment with hinged lid
JPH08225097A (ja) サーフボードのフットリングストラップの固定装置
US9251772B2 (en) Instrument case
WO2013115545A9 (ko)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KR20150114203A (ko)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US10647391B2 (en) Mount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fabricating or retrofitting a surfboard with said mounting apparatus
JP5142518B2 (ja) 表示装置
US20150191228A1 (en) Unitary security accessory for a surfboard
US20040180758A1 (en) Foldable bike
KR200228829Y1 (ko) 케이스와일체된컴퓨터
KR20030067629A (ko) 악보수납공간이 마련된 휴대용 악기케이스
IL124151A (en) Shelving system
CN219904667U (zh) 可折叠收合式冲浪板结构
US6314904B1 (en) Collapsible canoe
KR10135625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CN216708872U (zh) 一种圆规
US11505290B2 (en) Mount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fabricating or retrofitting a surfboard with said mounting apparatus
KR102295890B1 (ko) 소형 전자제품 포터블 케이스
KR820002653Y1 (ko) 신축성 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