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203A -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 Google Patents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203A
KR20150114203A KR1020140038491A KR20140038491A KR20150114203A KR 20150114203 A KR20150114203 A KR 20150114203A KR 1020140038491 A KR1020140038491 A KR 1020140038491A KR 20140038491 A KR20140038491 A KR 20140038491A KR 20150114203 A KR20150114203 A KR 2015011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members
connector
base
surf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김용권
Original Assignee
(주)에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박스 filed Critical (주)에어박스
Priority to KR102014003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203A/ko
Publication of KR2015011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20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prone position, e.g. wild-water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3Sectionalised boards, e.g. modular, dismountable or foldabl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가 강성 보강 유닛은, 제1 베이스부재, 제1 베이스부재와 대칭인 제2 베이스부재, 제1 베이스부재와 제2 베이스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향 실장된 다수 쌍의 커넥터부재 및 커넥터부재가 실장된 면의 반대편 면의 제1, 제2 베이스부재에 대향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Rigid reinforcement unit OF Surfing board and Separate type Surfing board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반 및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분리되는 서핑 보드의 연결부의 강성 보강을 위한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각종 레저 활동 및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다양한 레저 스포츠 중에서도 특히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로서 서핑(surfing)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서핑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잘 알려진 파도타기와 윈드 서핑이다.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서핑용 보드가 필요하다. 이러한 서핑용 보드는 보드 판재에 사람이 양 발을 딛고 올라서기도 하고, 보드 판재에 상체를 대고 엎드려서 파도를 타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서핑용 보드의 크기는 길이 약 1.5~3.7m, 나비 약 50~60㎝, 두께 약 7~10㎝ 정도의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종래 알려진 서핑용 보드는 대부분 목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큰 부피와 무게로 인해 보관 및 운반에 있어 불편함이 수반되고, 사람을 싣고도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부력을 형성시킬 수 있는 특수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고가이며, 이에 따라 일반 사람이 소유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크다.
종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튜브 형태의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가 제안된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8770호에는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라는 명칭으로,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되고, 상면과 하면 사이로 다수의 지지라인을 형성한 공기 주입식 내부공간재가 개재된 형태의 서핑용 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는 서핑 보드의 경량화를 달성하고 이를 통해 운반의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서핑을 즐기기 위해 보드 내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운반 및 보관을 위해 주입된 공기를 다시 빼내는 과정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 문제 해결을 위한 서핑 보드의 다른 예로서, 두 개의 몸체로 분리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서핑 보드가 제안된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13306호). 이와 같은 접이식 서핑 보드는 비사용 시 서핑 보드를 반으로 접어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휴대 및 운반, 보관에 있어 유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두 개의 몸체가 접이식 경첩을 통해 단순히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인 관계로, 두 개의 몸체를 잇는 연결부 강성이 매우 취약하며, 따라서 보드 판재를 딛고 서거나 상체를 대고 엎드리는 형태로 보드에 올라탄 상태에서의 수면의 크고 작은 출렁거림으로 상기 연결부에 하중이 가해지면 접이식 경첩이 쉽게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8770호 (공개일자 2009. 12. 16)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3306호 (공개일자 2006. 02. 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개의 파트로 분리되는 분리형 서핑 보드에 있어, 두 파트 간 쉽고 빠르면서 견고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고, 두 파트가 이음되는 연결부 주변의 강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게가 가볍고 두 개의 파트로 분리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에 유리한 서핑 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베이스부재; 제1 베이스부재와 대칭인 제2 베이스부재; 제1 베이스부재와 제2 베이스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향 실장된 다수 쌍의 커넥터부재; 및 커넥터부재가 실장된 면의 반대편 면의 제1, 제2 베이스부재에 대향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을 제공한다.
이때, 커넥터부재 측에서 해당 베이스부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보강부재가 대응 위치의 커넥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재는, 결합돌부를 구비한 제1 커넥터부재와; 결합돌부가 맞물리게 결합되는 결합요부를 구비한 제2 커넥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재를 통해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제1, 제2 베이스부재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제2 베이스부재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때 상호 일치하는 제1 베이스 부재와 제2 베이스 부재의 제1, 제2 결합구멍을 따라 진퇴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락킹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킹부는, 제1 결합구멍 또는 제2 결합구멍을 둘러싸는 보스부에 연결되는 지지관부를 일체로 가진 일방이 개구된 커버; 및 커버 내측의 락킹핀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진퇴 운동을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커버 내 상기 레버 진퇴를 위한 스트로크 공간을 형성한 작동요홈과; 락킹핀의 잠금 위치에서 상기 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가 걸림 고정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스토퍼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개구단에 조립되는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중앙 연결부를 기준으로 전방의 유선형 제1 몸체와 후방의 유선형 제2 몸체로 분리될 수 있으며, 중앙 연결부에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강성 보강 유닛이 인서트 된 분리형 서핑 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몸체의 후단 연결면에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제1 베이스부재 일면의 커넥터부재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되고, 제2 몸체 전단 연결면에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제2 베이스부재 일면의 다른 커넥터부재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발포수지 압축 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는, 제2 몸체의 후단 저부면에 설치되는 핀 박스; 및 상기 핀 박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전몰방지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성 보강 유닛에 따르면, 두 개의 파트로 분리되는 분리형 서핑 보드에 적용했을 때, 두 베이스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실장된 여러 쌍의 커넥터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슬라이딩 체결한 후 락킹핀을 밀어 넣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두 파트 간 흔들림 없는 견고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어 조립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두 파트가 이음되는 연결부에 베이스부재가 배치되고 베이스부재에 조립되며 서핑 보드 성형 시 연결부 주변에 매립되는 다수의 보강부재로 인하여, 두 개의 파트가 서로 이음되는 연결부 주변의 파단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출렁거림에도 절대 파손되지 않는 신뢰도 높은 분리형 서핑 보드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서핑 보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보드의 용적, 길이, 폭, 두께, 형상에 대응도록 베이스부재만 달리 제작하고, 베이스부재에 조립되는 보강부재의 배치 형태나 간격 등을 달는 것으로 보드 별로 달리 충어의공용화된 부품의 사용으로 제작 편의성과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는, 발포수지로 제작됨으로써,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강성 보강 유닛을 매개로 두 개의 파트가 분리/조립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반 및 보관에 유리하며, 연결부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변형 또는 파단 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 강성 보강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성 보강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성 보강 유닛의 결합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 강성 보강 유닛을 구성하는 제1, 제2 커넥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락킹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 도 8은 각각, 베이스부재에 적용된 락킹부의 측 단면도와 평 단면도.
도 9,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리형 서핑 보드의 분리 사시도와 결합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리형 서핑 보드의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의 저부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핀 박스의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핀 박스의 평면도.
도 15는 핀 박스에 전몰방지 핀을 조립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 강성 보강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성 보강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성 보강 유닛의 결합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 강성 보강 유닛을 구성하는 제1, 제2 커넥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1)은, 서핑 보드 성형 시 2분할 된 몸체(도 9 참조) 중 어느 한 몸체의 중앙 연결부(2c)에 보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재(10)와 다른 한 몸체의 중앙 연결부(2c)에 상기 제1 베이스부재(10)와 대면하도록 보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재(12)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재(10)와 제2 베이스부재(12)는 적용 대상 서핑 보드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길이(서핑 보드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와 높이, 두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발포수지 성형을 통해 서핑 보드를 제작함에 있어 유리한 재질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는 도면과 같이 조립 시 서로 접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성을 이룬다. 제1 베이스부재(10)와 제2 베이스부재(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호 결합 가능한 다수 쌍의 커넥터부재(16)의 결합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대향 실장되며, 커넥터부재(16)가 실장된 면의 반대편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에는 보강부재(14)가 결합된다.
커넥터부재(16)의 실장을 위해, 상기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의 마주하는 면에는 실장면(107)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에 걸쳐 일정 깊이로 함몰 가공되고, 상기 실장면(107) 반대편의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 외면에는 상기 실장면(107)에 대응되는 크기와 개수로 상기 보강부재(14) 결합을 위한 장착면(105)이 제공된다.
커넥터부재(16)는 후술하게 될 두 개의 몸체로 분리되는 서핑 보드를 구현함에 있어 분리된 두 몸체가 서로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강부재(14)는 서핑 보드 성형 시 두 몸체 간 연결부 주변의 성형체에 매립되어 연결부 주변의 강성을 보강함과 함께, 연결부 주변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하중을 분산시켜 준다.
베이스부재(10)(12)에 대한 각 보강부재(14)의 조립에 있어서는, 각 커넥터부재(16) 측에서 해당 베이스부재(10)(12)를 관통해 베이스부재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부재(B)를 통해 각 보강부재(14)가 대응 위치의 커넥터부재(16)에 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부재(16)와 보강부재(14)의 배치 간격과 개수 등은 적용 대상 서핑 보드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베이스부재(10)(12)에 조립되는 상기 커넥터부재(16)와 보강부재(14)의 배치 형태나 간격, 개수 등을 달리하는 것을 통해, 보드마다 해당 용도에 맞게 커넥터부재(16)와 보강부재(14)를 다시 설계 제작해야 하는 제작상의 번거로움 및 비용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부재(16)와 보강부재(14)는 보드 사양에 변경이 있더라도 공용화된 부품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커넥터부재(16)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결합돌부(160)를 구비한 제1 커넥터부재(16a)와, 결합돌부(160)가 맞물리게 결합 가능한 결합요부(162)를 구비한 제2 커넥터부재(16b)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제2 커넥터부재(16b)가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에 각각 실장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장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상관은 없다.
결합돌부(160)와 결합요부(162)의 형태에 있어서도,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내지는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조립을 통해 상호 견고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되므로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부재(16)의 재질 역시 상호 연결 시 충분한 결속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성 보강 유닛(1)은 또한, 커넥터부재(16)를 통해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킹(locking)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18)는 도면과 같이 베이스부재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배치 위치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락킹부(18)에 대해서는 이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락킹부의 사시도이며, 도 7, 도 8은 각각 상기 락킹부의 측 단면도와 평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락킹부(18)는,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때 상호 일치하는 제1 베이스부재(10)와 제2 베이스부재(12)의 제1, 제2 결합구멍(100)(120)을 따라 진퇴 운동을 하는 락킹핀(18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핀(185)의 진퇴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관부(182)를 구비한 커버(180)를 더 포함한다.
락킹핀(185)은 상기 제1, 제2 결합구멍(100)(120)에 동시에 진입되어 제1, 제2 베이스부재(10)(12)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 위치에서 해당 잠금을 해제하는 풀림 위치로 슬라이딩 진퇴 운동을 하며(화살표 방향 참조), 커버(180)의 상기 지지관부(182)는 상기 제1 결합구멍 또는 제2 결합구멍을 둘러싸는 보스부(105)에 홀의 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접속관(188)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락킹부(18)는 바람직하게, 커버(180) 내측의 락킹핀(185)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진퇴 운동을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레버(18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커버(180)는 상기 레버(186) 진퇴를 위한 스트로크 공간을 형성한 작동요홈(183)과, 락킹핀(185)의 잠금 위치에서 상기 레버(186)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186)가 걸림 고정되는 스토퍼(S)를 구비한 스토퍼홈(18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홈(184)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레버(186)에 손가락을 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홈(184)을 향해 락킹핀(185)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레버(186)를 돌렸을 때 레버(186)의 일부가 맞물려 락킹핀(185)의 진퇴를 구속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며, 락킹핀(185)의 진퇴를 안내하는 상기 지지관부(182)의 내연에는 윤활제가 도포되거나 부싱(bushing)이 끼워질 수 있다.
커버(180) 일방의 개구단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노브(18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189)는 양 손 중 어느 한 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을 서로 붙인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들이 동시에 진입될 수 있는 크기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는 언더컷 가공 등으로 단턱을 형성하여 파지가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일 측면에 따른 강성 보강 유닛(1)은 두 개의 파트로 분리되는 후술하게 될 분리형 서핑 보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두 베이스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실장된 여러 쌍의 커넥터부재(16)가 상호 맞물리도록 슬라이딩 체결한 후 상기 노브(189)에 손가락을 넣고 상기 락킹핀(185)을 밀어 넣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두 파트 간 흔들림 없는 견고한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상기한 서핑 보드 강성 보강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리형 서핑 보드에 대해 이하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리형 서핑 보드의 분리 사시도와 결합상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리형 서핑 보드의 측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리형 서핑 보드(2)는, 자체 부력으로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중앙 연결부(2c)를 기준으로 전방의 유선형 제1 몸체(2a)와 후방의 유선형 제2 몸체(2b)로 분리될 수 있으며, 중앙 연결부(2c)에 인서트 된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강성 보강 유닛(1)을 포함한다.
강성 보강 유닛(1)이 서핑 보드에 설치됨에 있어서는 도 9와 같이, 상기 제1 몸체(2a)의 후단 연결면(20a)으로 다수의 보강부재(14)가 장착된 제1 베이스부재(10) 일면의 커넥터부재(16)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되고, 제2 몸체(2b) 전단 연결면(20b)으로는 다수의 보강부재(14)가 설치된 제2 베이스부재(12) 일면의 다른 커넥터부재(16)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된다.
서핑 보드(2)를 구성하는 제1 몸체(2a) 및 제2 몸체(2b)의 크기 즉, 전후 길이, 좌우 폭, 높이, 형상 등은 서핑 보드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몸체(2a)와 제2 몸체(2b)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되는 강성 보강 유닛(1)의 베이스부재나 보강부재(14) 역시 특정 형태나 배치 구조, 개수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다른 서핑 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몸체(2a)와 제2 몸체(2b)는, 작은 구슬 모양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고온 환경에서 가압하여 판상 형태로 압축 성형하는 발포수지 압축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발포수지 압축성형 공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성형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1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2)는, 전몰방지 핀(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몰방지 핀(22)이 제2 몸체(2b)의 후단 저부면에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몰방지 핀(22)은 그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른 효과가 발현되므로 특정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몰방지 핀(22)이 앞쪽 즉 제1 몸체(2a) 저부면에 배치되면 수상에서 거동하는 서핑 보드의 회전성을 좋게 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제2 몸체(2b)의 저부면 뒤쪽에 설치하면 직진성이 좋아진다. 이와 같은 전몰방지 핀(22)은 서핑 시 보드가 쉽게 뒤집히지 않도록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서핑 보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탈부착 가능한 구성의 구현을 위해, 전몰방지 핀(22)이 설치될 위치의 서핑 보드의 몸체에는 핀 박스(26)가 설치된다. 핀 박스(26)는 상기 전몰방지 핀(22)이 조립될 수 있는 진입구(262)를 형성한 일면이 보드 표면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보드에 매립된다. 핀 박스(26)의 구성 및 핀 박스(26)에 대한 전몰방지 핀(22)의 조립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13와 도 14를 참조한다.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핀 박스)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핀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핀 박스(26)는 언더컷(Under cut) 형태의 가이드홈(260)을 구비하며, 가이드홈(260)에 맞물리는 형태로 고정되는 전후 두 쌍의 조립 가이드(24)(25)가 전몰방지 핀(22)에 마련된다. 핀 박스(26)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조립 가이드(24)(25)가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길이로 진입구(262)가 형성되고, 조립 가이드(24)(25)는 전몰방지 핀(22)의 하단 일측과 타측에 좌우 쌍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전몰방지 핀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15와 같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즉, 전몰방지 핀(22)을 핀 박스(26)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전몰방지 핀(22)의 앞쪽을 살짝 기울인 채 전몰방지 핀(22)에 형성된 두 개의 조립 가이드(24)(25) 중 전방의 조립 가이드(24)가 진입구(262)를 통해 가이드홈(260)에 위치하도록 끼운 후, 이 상태에서 전몰방지 핀(22)을 핀 박스(26) 앞쪽으로 밀어 후방의 조립 가이드(24)(25)가 상기 진입구(262)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도달되도록 한다.
다음, 후방의 조립 가이드(24)(25) 역시 진입구(262)를 통해 상기 가이드홈(260)에 위치하도록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몰방지 핀(22)을 뒤로 끝까지 밀면, 상기 진입구(262)로부터 떨어진 서로 다른 위치의 가이드홈(260)에 전방과 후방의 조립 가이드(24)(25)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전몰방지 핀(22)은 핀 박스(26)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핑 보드는, 발포수지로 제작됨으로써,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강성 보강 유닛을 매개로 두 개의 파트가 분리/조립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반 및 보관에 유리하며, 연결부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변형 또는 파단 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강성 보강 유닛
2a : 제1 몸체 2b : 제2 몸체
10 : 제1 베이스부재 12: 제2 베이스부재
14 : 보강부재 16 : 커넥터부재
18 : 락킹부
100, 120 : 결합구멍 105 : 보스부
160 : 결합돌부 162 : 결합요부
180 : 커버 182 : 지지관부
183 : 작동요홈 184 : 스토퍼홈
185 : 락킹핀 186 : 레버
188 : 접속관 189 : 노브
2 : 서핑 보드
2a : 제1 몸체 2b : 제2 몸체
2c : 중앙 연결부
20a : 후단 연결면 20b : 전단 연결면
22 : 전몰방지 핀 24, 25 : 조립 가이드
26 : 핀 박스
260 : 가이드홈 262 : 진입구

Claims (12)

  1. 제1 베이스부재;
    제1 베이스부재와 대칭인 제2 베이스부재;
    제1 베이스부재와 제2 베이스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향 실장된 다수 쌍의 커넥터부재; 및
    커넥터부재가 실장된 면의 반대편 면의 제1, 제2 베이스부재에 대향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터부재 측에서 해당 베이스부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보강부재가 대응 위치의 커넥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는,
    결합돌부를 구비한 제1 커넥터부재와;
    결합돌부가 맞물리게 결합되는 결합요부를 구비한 제2 커넥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를 통해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제1, 제2 베이스부재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제2 베이스부재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때 상호 일치하는 제1 베이스 부재와 제2 베이스 부재의 제1, 제2 결합구멍을 따라 진퇴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락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제1 결합구멍 또는 제2 결합구멍을 둘러싸는 보스부에 연결되는 지지관부를 일체로 가진 일방이 개구된 커버; 및
    커버 내측의 락킹핀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진퇴 운동을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버 내 상기 레버 진퇴를 위한 스트로크 공간을 형성한 작동요홈과;
    락킹핀의 잠금 위치에서 상기 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가 걸림 고정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스토퍼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구단에 조립되는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9.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중앙 연결부를 기준으로 전방의 유선형 제1 몸체와 후방의 유선형 제2 몸체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연결부에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강성 보강 유닛이 인서트 된 분리형 서핑 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1 몸체의 후단 연결면에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제1 베이스부재 일면의 커넥터부재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되고,
    제2 몸체 전단 연결면에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제2 베이스부재 일면의 다른 커넥터부재가 노출되도록 인서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 보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발포수지 압축 성형을 통해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2 몸체의 후단 저부면에 설치되는 핀 박스; 및
    상기 핀 박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전몰방지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KR1020140038491A 2014-04-01 2014-04-01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KR20150114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91A KR20150114203A (ko) 2014-04-01 2014-04-01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91A KR20150114203A (ko) 2014-04-01 2014-04-01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203A true KR20150114203A (ko) 2015-10-12

Family

ID=5434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91A KR20150114203A (ko) 2014-04-01 2014-04-01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20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09B1 (ko) 2016-11-22 2017-03-30 박형근 조립식 서핑보드
WO2019194337A1 (ko) * 2018-04-02 2019-10-10 주식회사 컷빽 조립식 서핑보드
KR102153215B1 (ko) * 2019-02-28 2020-09-07 정종찬 경량 목재 서프보드
RU212992U1 (ru) * 2022-02-07 2022-08-17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 Кузнецова Мария Владимировна Доска для вейксерфинга
CN116215785A (zh) * 2023-03-02 2023-06-06 南京正隆顺达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军用战术用冲锋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09B1 (ko) 2016-11-22 2017-03-30 박형근 조립식 서핑보드
WO2019194337A1 (ko) * 2018-04-02 2019-10-10 주식회사 컷빽 조립식 서핑보드
KR102153215B1 (ko) * 2019-02-28 2020-09-07 정종찬 경량 목재 서프보드
RU212992U1 (ru) * 2022-02-07 2022-08-17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 Кузнецова Мария Владимировна Доска для вейксерфинга
RU2792337C1 (ru) * 2022-02-07 2023-03-21 Станислав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ол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оски для вейксерфинга
CN116215785A (zh) * 2023-03-02 2023-06-06 南京正隆顺达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军用战术用冲锋舟
CN116215785B (zh) * 2023-03-02 2023-12-08 南京正隆顺达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军用战术用冲锋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4203A (ko)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US9555301B2 (en) Modular beer pong table constructed of easily interchangeable modules
JP6346752B2 (ja) ロック機構、スリーブコンテナ
US8469757B2 (en) Modular fin for a surfboard, sailboard or other water-borne device
US20150253651A1 (en) Camera mouth mount
KR101561255B1 (ko) 조립식 폰툰
US8087959B2 (en) Detachable swim fin
US20140248075A1 (en) Paddle shaft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607197B1 (ko) 착탈식 핀박스
US20190350352A1 (en) Pull-out carrying handle
KR20150092856A (ko)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수상용 보드
US20090185853A1 (en)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CN105444739A (zh) 用于水平仪的可移除端盖组件
US20100024710A1 (en) Folding boat
US9061748B2 (en) Folding leg and latch structure for wakeboard tower
US9957019B2 (en) Folding recreational board
US7395773B1 (en) Multi-part boat
JP2013237425A (ja) 開閉ボート
KR101253603B1 (ko) 소형보트용 착탈식 스케그
KR200479824Y1 (ko) 적재가 편리한 분해 조립형 수상보드
JP2006036103A (ja) ラゲージボード
TWI569998B (zh) Folding combination boat
KR20140089289A (ko) 카누 가변형 카약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JP4523066B1 (ja) ボ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