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648B1 - 포일보드 - Google Patents

포일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648B1
KR102120648B1 KR1020180142259A KR20180142259A KR102120648B1 KR 102120648 B1 KR102120648 B1 KR 102120648B1 KR 1020180142259 A KR1020180142259 A KR 1020180142259A KR 20180142259 A KR20180142259 A KR 20180142259A KR 102120648 B1 KR102120648 B1 KR 10212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support
top plate
foil boar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934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8014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변 등에서 서핑(Surfing)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손쉽게 휴대 가능한 포일 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판, 지지부 및 하판을 통해 발생되는 양력 또는 부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숙달이나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해양 레져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포일보드(Foil Board)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포일보드 {Foil board}
본 발명은 해변에서 서핑(Surfing)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일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가 용이한 동시에 별도의 동력원 및/또는 전원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숙달 등에 따라 다양한 해양 레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포일보드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해양 레져 산업의 발전 및 소비자의 여가 활동 다양화 등에 따라 연안 해안이나 외해 등에서 발생하는 파도를 타고, 파도의 사면을 따라 보드(Board)를 타고 활강하는 레져 활동, 즉 서핑(Surfing) 역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드(Board)에는 서핑보드(파도 타기용 보드), 페들보드(서핑보드를 이용해 해안쪽으로 밀려드는 파도 속을 빠져나가거나 페들을 이용하여 파도가 없는 상황에서도 보드를 이용하여 균형을 잡으며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보드), 윈드서핑보드(사람이 바람을 이용하여 보드(Board)에 세일을 장착한 보드)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보드(Board)와 별도로 구성된 전원부 및/또는 동력원을 구비한 전동식 서핑보드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종래 보드(Board)의 경우 지나치게 크고 휴대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서핑보드의 경우 별도의 전원부 등의 무게 등에 따라 해변에서의 이동도 용이하지 않거나, 보드(Board) 제작 단가의 상승 및 해변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전원부 등의 구성없이도 손쉽게 휴대 가능하며, 서핑을 보다 손쉽게 즐길 수 있는 해양 레져용 보드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901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5-1475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229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도출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전원부 및/또는 동력부의 구성없이 기존 서핑용 보드에 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판과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고 물 속에서 양력 또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상판의 상하 구름에 따라 전방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판을 통해, 휴대가 용이한 동시에, 서핑 등 다양한 레져 활동을 지원하는 포일보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양쪽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발판이 상면에 설정된 폭만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일단부를 가지고, 타단부는 설정된 길이만큼 중력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를 내부에 삽입 수용하고, 수중에서 양력 및/또는 부력을 생성할 수 있는 하판;을 포함하는 포일보드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바닥면이 평평하되, 상하좌우 면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통해 양력 및/또는 부력을 생성할 동시에, 수중에서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의 제공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따라 전달되는 구름 운동 에너지를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받아 수중에서 펄럭거림이 가능한 일체형의 탄성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하판의 전방부 내에서,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하판의 전방부의 탄성을 제어하는 전방 지지모듈; 및 상기 하판의 후방부 내에서, 상기 전방 지지모듈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판의 후방쪽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는 후방 지지모듈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하판의 상기 후방부 대비 상기 하판의 상기 전방부의 탄성을 더 제어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포일보드의 전방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 또는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따라 전달되는 구름 운동 에너지를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받아 수중에서 펄럭거림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되, 설정된 구획선을 따라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덜 탄성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판의 상기 후방부 대비 상기 하판의 상기 전방부의 탄성을 더 제어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포일보드의 전방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판은, 하부면의 설정된 전면에 탄성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하판의 상기 후방부 대비 상기 하판의 상기 전방부의 탄성을 더 제어하도록 하여,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포일보드의 전방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의 제공을 통한 목적 달성 역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은, 하부면에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 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과 체결되는 일단부에 상기 랙과 대응하여 회동 가능한 피니언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상판의 위치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로의 발명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는 좁은 폭으로 형성된 상판 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구름 동작, 즉 상판의 상하 및/또는 좌우 구름을 통해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 하판에서 발생하는 양력 및/또는 부력과 진동을 통해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레져 활동을 사용자가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부 및/또는 동력부의 제공이 없이도(탈부착 가능), 서핑 등 다양한 해양 레저 활동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포일보드 형식으로 제공되어, 생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해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간편한 착탈식 구조를 통해 해변 등 육상 이동시에도 보다 편하게 휴대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의 사용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의 사용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일보드(100)는 상판(110), 지지부(130) 및 하판(150)을 포함한다.
상판(110)은 서핑(Surfing)시 해수면 상부로 노출되는 보드(Board)를 지칭하며, 중심부(X)를 기준으로 상면에 설정된 폭(길이, 도 1의 a 및 b)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발판(111) 및 제2발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일보드(100) 사용자는 상판(11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발판에 양 발을 각각 체결한 상태로 상하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발판(111 및 113)은 상판(110)의 중심부(X)로부터 같은 폭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이 경우 도 1에 표시된 a 와 b의 폭은 같아지게 된다). 제1 및 제2 발판(111 및 113)의 이격 폭, 즉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a 및 b의 폭이 같게 형성되는 경우, 포일보드(100) 사용자는 제1 및 제2 발판(111 및 113)에 좌측 및 우측발을 끼운 상태(도 3 참조)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 구름, 즉 중심부(X)를 기준으로 좌측발에 힘을 주어 해수면(아래 방향)으로 밀고, 반대측 발인 우측발은 해수면의 반대방향(위쪽 방향)으로 들어 중심축(X)을 기준으로 상판(110)의 상하 구름 운동(좌측 및 우측발의 반대 동작도 동일하게 가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술한 제1 및 제2 발판(111 및 113)의 동일 이격 폭 형성(a 및 b가 동일)은 일 예시이며, 다양한 사용자 특성이나 레져 활동의 목적 등에 따라 중심축(X)에서 이격되는 a 및 b의 폭을 각기 달리할 수 있으며, 중심축(X) 역시 상판(110)의 하부면 중심(도 1 참조)이 아닌, 하부면의 설정된 위치(예컨대 상판(110)의 하부면 앞쪽 또는 뒤쪽으로 더 치우치게 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일보드(100)는, 상판(1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지지부(130)의 탈부착 및 위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해, 상판(110)의 하부면의 설정된 위치에 체결(또는 부착 형성)되는 이하 후술할 지지부(130)의 일단부와 랙(Rack)-피니언(Pinion)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부(130)의 일단부와 부착 형성되는 상판(110)의 전후 좌우 길이(폭)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판(110)의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는 랙(Rack)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110)의 하부면에 체결되는 지지부(130)의 일단부에는 랙(Rack)과 임의 탈락되지 않은 채, 체결되어 전후 회전 이동 가능한 피니언(Pinion)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110)의 위치는 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숙련도(난이도 조절 등)나 서핑 코스의 환경적 특성 등을 반영하여 서핑을 보다 즐겁게 즐길 수 있게 된다.
지지부(130)는 상판(110) 및 하판(150)을 연결하는 부재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0)는 철이나 스테인리스, FRP와 같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 실리콘 등으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는 몸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지지부(130) 자체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수평 단면 기준) 강관, 파이프 등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는,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몸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최전방부는 꼭지점을 가지며, 후방부로 이동하면서 양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일 예로 화살촉이나 최 전방부의 끝이 날카로운 삼각형, 하트형 등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전방으로 전진 이동하는 포일보드(100)의 수면 및 수중 마찰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30)는 상판(110)에 체결되는 일단부와 하판(150)에 체결되는 타단부에 다양한 체결 수단 및 구조(일 예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구조, 삽입홈과 삽입구를 통한 끼움 체결 구조 등)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30)의 일단부는 상판(110)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되, 랙(Rack)-피니언(Pinion) 방식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단부는 이하 후술할 하판(150) 내에 삽입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30)의 하단부가 하판(150)과 전술한 랙(Rack)-피니언(Pinion) 방식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다.
지지부(130)는 상판(110) 및 하판(150)을 체결한 상태로 지상에서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수중에서 양력(수중에 잠겨 있는 하판(150)이 상판(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부(130)를 통해 수직으로 전달받는 힘을 지칭한다) 및/또는 부력(수중에 잠긴 하판(150)의 부피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지칭한다)을 받는(또는 생성할 수 있는) 하판(150)에 의해, 상판(110)이 충분히 수면 위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서핑(Surfing) 등의 레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길이와 사용자 체중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FRP소재의 파이프나 강관 등이 지지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130)의 타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방 지지모듈(131)이 설정된 각도(A)로 벌어져 대칭되게 형성되고, 후방 지지모듈(133)은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제1 실시예).
또한 지지부(130)의 타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모듈(131) 및 후방 지지모듈(133)이 일자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제2 실시예).
하판(150)은 수중에서 생성되는 양력 및/또는 부력을 통해 지지부(130)를 통해 상판(110)이 수면 위에 계속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이를 위해 바닥면은 평평하되, 전후좌우 측면은 수중 내에서 이동 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선형 모양의 일 실시예로는, 하판(150)의 단면을 기준으로, 바닥면은 상대적으로 넓고 평평하다록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우측면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올라오면서 전면, 후면, 좌우측면의 평면 폭이 점차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판(150)은 바닥면을 통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상판(110)의 하중 및 구름 하중을 전달받아 다시 안정적으로 양력(揚力)을 발생할 수 있는 일종의 양력 제공 수단(Lift Apparatus)가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하판(150)은 설정된 폭과 너비,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판(110)이 수면 위 설정된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중에서 부력(浮力)을 발생할 수 있는 부력 제공 수단(Buoyant Apparatus) 역시 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지지부(130)의 형태 기준, 도 1)에 따를 경우, 하판(150)은 동일한 탄성 소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 좌우 변형과 복원이 용이한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소재로 하판(150)이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상판(110)의 구름 운동 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전방(front) 쪽의 하판(150)은 복수개로 설정된 각도(A)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방 지지모듈(131)로 인해 탄성력이 제한되어 출렁임이 제한되는 반면, 후방(Rear) 쪽의 하판(150)의 경우, 가운데 일자로 형성되는 후방 지지모듈(133) 이외 별도의 측면 탄성 제한 요소가 없어 전방(Front)에 비해 보다 손쉽게 구름 운동 에너지에 따라 출렁(상하로 움직이거나 펄렁거림 등의 동작을 지칭)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하판(150)의 전방(Front)쪽으로 형성된 전방부는 하판(150)의 후방부(상기 전방부와 연결되고, 하판(150)의 후면(rear)쪽으로 형성된 부분)의 출렁임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를 따라 상판(110)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상판(110)의 구름 운동이 하판(150)의 전방 이동으로 전환).
반면 전술한 제2 실시예, 즉 지지부(130)의 타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도2의 B-C), 하판(150)의 전방부(후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탄성인 소재)와 후방부(전방부에 비해 더 탄성력이 좋은 소재)는 탄성계수가 상이한 소재가 접합(본딩 결합, 볼트-너트 체결 결합, 융착 결합 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를 경우, 지지부(130)의 타단부의 구조적 특징을 통한 하판(150)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탄성력 차이 및 이에 따른 출렁거림(상판(110)의 상하 운동에 따른 수중 내에서의 하판(150)의 상하 펄렁거림)의 차이를 생성할 수 없게 되는 바, 이 경우에는 하판(150)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소재를 달리하고(도2의 점선 구획선 참조), 후방부에 비해 전방부의 소재가 상대적으로 비탄성 소재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후방부가 더(크게) 펄렁거리고, 전방부는 덜(작게) 펄렁거리도록 하여, 후방부의 펄렁거림을 통해 전방(Front)으로 하판(150)이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후방부는 탄성력이 좋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또는 실리콘(Silicone 규소수지)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되고, 전방부는 폴리우레탄에 비해 탄성력이 적은 에폭시(Epoxy) 및/또는 멜리민수지(Melamine Formaldehyde)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타단부와의 부착 성능을 높이기 위해 타단부가 삽입되는 하판(150)의 설정된 구획에는 상기 타단부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별도의 에폭시(Epoxy) 층(Layer)가 포함하도록 하여, 지지부(130)가 하판(150)에 보다 밀실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50)의 전방 이동력(전진 이동)을 더욱 증진시키고, 하판(150)의 전방부를 더욱 더 비탄성적으로 만들기 위해, 하판(150)의 전방 하부면에는 추가적으로 탄성제어부(15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제어부(151)를 통해 탄성이 추가적으로 제어되는 하판(150)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탄성제어부(151)는 에폭시(Epoxy) 및/또는 멜리민수지(Melamine Formaldehyde)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100)는 전술한 지지부(130)의 설정된 위치(일 예로 포일보드(100)를 이용한 서핑 활동 시 수중으로 잠기는 지지부(130)의 측방 또는 후방에 별도의 모터 및 전원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제어장치를 통해 작동 여부 등이 결정되는 별도의 동력원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동력원을 추가적으로 포함(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12293호 등 참조)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스로 또는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 해양 레저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일보드(100)는 하판(150)의 후방부(Rear)나 양 측면부에 별도의 전술한 동력원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필요에 따라 하판(150)의 후방부나 양 측 또는 일 측에 별도의 동력원을 더 구비할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포일보드
110: 상판
X: 중심축
111: 제1 발판
113: 제2 발판
130: 지지부
131: 전방 지지모듈
133: 후방 지지모듈
150: 하판
151: 탄성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의 양쪽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발판이 상면에 설정된 폭만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일단부를 가지고, 타단부는 설정된 길이만큼 중력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를 내부에 삽입 수용하고, 수중에서 양력 및/또는 부력을 받을 수 있는 하판;을 포함하는 포일보드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부면에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 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과 체결되는 일단부에 상기 랙과 대응하여 회동 가능한 피니언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상판의 위치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하판은,
    바닥면이 평평하되, 전면, 후면 및 좌우측면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통해 양력 또는 부력을 받는 동시에, 수중에서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따라 전달되는 구름 운동 에너지를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받아 수중에서 펄럭거림이 가능한 일체형의 탄성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하판의 전방부 내에서,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하판의 전방부의 탄성을 제어하는 전방 지지모듈; 및
    상기 하판의 후방부 내에서, 상기 전방 지지모듈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판의 후방쪽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는 후방 지지모듈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하판의 상기 후방부 대비 상기 하판의 상기 전방부의 탄성을 더 제어하도록 하여,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포일보드의 전방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따라 전달되는 구름 운동 에너지를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받아 수중에서 펄럭거림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되,
    설정된 구획선을 따라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덜 탄성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판의 상기 후방부 대비 상기 하판의 상기 전방부의 탄성을 더 제어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포일보드의 전방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하부면의 설정된 전면에 탄성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하판의 상기 후방부 대비 상기 하판의 상기 전방부의 탄성을 더 제어하도록 하여,
    상기 상판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포일보드의 전방 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보드.
  5. 삭제
KR1020180142259A 2018-11-19 2018-11-19 포일보드 KR10212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259A KR102120648B1 (ko) 2018-11-19 2018-11-19 포일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259A KR102120648B1 (ko) 2018-11-19 2018-11-19 포일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934A KR20200057934A (ko) 2020-05-27
KR102120648B1 true KR102120648B1 (ko) 2020-06-09

Family

ID=7091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259A KR102120648B1 (ko) 2018-11-19 2018-11-19 포일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95B1 (ko) 2011-05-02 2013-04-2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수상 신발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4-09-23 구권회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0199U (ko) * 1987-09-25 1989-03-28
US5791957A (en) * 1997-01-21 1998-08-11 Juan de la Cierva, Jr. Water sports device with elevating disks
KR20050012293A (ko) 2003-07-25 2005-02-02 박이환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AU2015200394B2 (en) 2014-02-07 2016-03-17 Ellergon Antriebstechnik Gesellschaft M.B.H. Hydrofo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95B1 (ko) 2011-05-02 2013-04-2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수상 신발
KR101443901B1 (ko) 2013-02-28 2014-09-23 구권회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934A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387B2 (en) Self-propelling hydrofoil device
US9586659B2 (en) Powered hydrofoil board
US9056654B1 (en) Hydrofoil and water sport board equipped therewith
US10759503B2 (en) Hydrofoil-based apparatus
US20080305698A1 (en) Towed personal watercraft
US4214547A (en) Rider propelled boat
US9849338B2 (en) Swimming assistance accessory, especially for performing a stroke requiring an undulatory movement
JP5135685B2 (ja) 揺動式横ヒレ推進人力船
KR102120648B1 (ko) 포일보드
KR101358766B1 (ko) 무동력 파도타기 장치
US9714070B2 (en) Floa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7955150B2 (en) Surfing skis
KR20120120896A (ko) 선박
US8708706B2 (en) Water ski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376178B2 (en) Cross-water skis
US20150321736A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EP3028938A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CN212290237U (zh) 一种重力、浮力双向稳定水面飘浮独杆展娱平台
CN219707300U (zh) 一种利用波浪能的自主水上航行器
US20040203315A1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CN202295240U (zh) 一种踏水运动器
KR101750780B1 (ko) 레저용 수상자전거
RO134497A2 (ro) Ambarcaţiune monopost cu propulsie umană
JP2019199255A (ja) 人力推進ボート
KR20210001492A (ko) 자체부력을 갖는 아쿠아스키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