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293A -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293A
KR20050012293A KR1020030051201A KR20030051201A KR20050012293A KR 20050012293 A KR20050012293 A KR 20050012293A KR 1020030051201 A KR1020030051201 A KR 1020030051201A KR 20030051201 A KR20030051201 A KR 20030051201A KR 20050012293 A KR20050012293 A KR 20050012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urfboard
user
propell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환
Original Assignee
박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환 filed Critical 박이환
Priority to KR102003005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293A/ko
Publication of KR2005001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2Waterborne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에 뜰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서핑보드(surfing Board:20), 서핑보드의 전진과 후진을 위한 프로펠러(Propeller:50), 프로펠러 구동을 위한 모터(Motor:40), 모터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원으로서의 베터리(Battery:60), 모터의 동작을 조종(Control)하기 위한 모터 조종부(30), 서핑보드의 방향을 사용자가 발로 조종하기 위한 방향조종키(70), 사용자가 중심을 잡기위하여 마련한 지지연결선과 지지손잡이를 구비한 자동 서핑보드(Auto Surfing Board: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Auto surfing board having motor}
본 고안은 사용자가 물위에서 유희를 즐기기 위한 레져(Leasure)용품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기술로 고안된 서핑보드(Surfing Board)에 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는 물에 뜰수 있는 제질로 구성된 보드(Board)와 안전을 위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옷과 유희중 보드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보드와 사용자의 몸의 일부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끈을 구비하고 파도를 타기위해 사용자가 보드위에 앉거나 엎드려서 파도가 일어나는 부분까지 이동하고, 적당한 위치와 환경이 조성된 곳에서 사용자의 기술에 의해 일어서거나 앉아서 파도의 힘을 이용하여 유희를 즐길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환경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서 파도가 잘 일어나지 않는 우리나라(대한민국)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도가 일어나더라도 파도가 있는 곳까지 사용자가 직접 다리나 팔을 사용하여 이동해서 유희를 즐겨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물을 제안한 것으로 제 2도에서와 같이 물에 뜰수 있는 재질로 된 서핑보드(surfing Board:20), 서핑보드의 전진과 후진을 위한 프로펠러(Propeller:50), 프로펠러 구동을 위한 모터(Motor:40), 모터의 동작을 위한 전기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베터리(Battery:60), 모터의 동작을 조종(Control)하기 위한 조종부(30), 서핑보드의 방향을 사용자가 발로 조종하기 위한 방향조종키(70)및 방향타(80), 사용자가 서핑을 할 때에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드의 머리부에 고정된 지지연결선(100)을 구비하고 지리적, 환경적요인에 의해 파도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유희를 즐기거나 필요한 경우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제공한다.
제 1도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 서핑보드의 한 예시도이다.
제 2도는 이루고자 하는 방법에 의한 자동 서핑보드를 도시한 것이다.
제 3도는 이루고자 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모터 조종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 4도는 이루고자 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방향조종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 5도는 이루고자 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모터및 프로펠러와 이를 수면아래로부터 서핑보드의 위로 들어 올릴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주요 부호의 설명
10:자동 서핑 보드, 20:서핑보드(surfing board), 30:모터 조종부
40:모터, 50:프로펠러, 60:베터리, 70:방향조종키
80:방향타, 90:배선, 100:지지연결선, 110:지지손잡이
200:모터조종부, 210:메인스위치, 220:조종부손잡이
230:손가락조종부, 240:Stand-By스위치영역
250:가변저항스위치영역
300:방향조종부, 310:방향키, 320:방향타
330:방향키지지대, 340:방향타회전부
400:모터및프로펠러부, 410:모터
420:프로펠러, 430:모터및 프로펠러를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및 회전부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핑보드(surfing Board)에 타고 지지손잡이를 잡고 중심을 유지하며 손에 장착한 조종부의 메인 스위치(Main Switch:210)를 한번 눌러서 이단으로 구비된 베터리로 부터 모터에 이르는 스위치중 첫번째단(메인스위치)의 스위치를 켜고(Power ON),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개의 손가락으로 조종간을 살짝 움켜잡음으로써 베터리로 부터 모터에 이르는 스위치의 두번째단(Stand-By스위치 영역:240)을 켜(Power ON)서 모터가 회전을 준비할 수 있는 상태(Stand-By)로 만들고, 이어서 상기의 네개의 손가락을 더 많이 쥘수록 베터리로 부터 모터에 전달되는 전원의 저항을 가변시킬수 있는 구조로 된 스위치(가변저항 스위치영역:250)의 구조로 인해 모터는 더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이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서핑보드(Surfing Board)는 전진을 시작하며, 보드의 진행방향을 조종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뒷발이 닿는 곳에 발로 조종이 가능하도록 진행방향 조종간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방향을 조종하고자하는 발을 마련된 방향조종키에 보드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올려놓고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몸을 기울임과 동시에 발의 뒷꿈치나 발가락쪽으로 조종간을 눌러서 방향을 조종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보드위에서 물위로 떨어지거나 손에 쥔 조종간을 떨어뜨리거나 메인 스위치를 누르면 베터리로부터 모터로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종할 수 없은 경우에는 더이상 진행을 멈추도록하여 분실이나 사고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의 자동 서핑보드를 타고 파도가 있는 곳까지 진행하여 모터의 동작이 아니라 파도의 힘으로 서핑을 즐기고자 할 때는 오히려 모터와 프로펠러가 물속에 잠기어 있음으로 인하여 서핑보드의 진행을 방해하는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모터및 프로펠러부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서핑보드위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및 유희성을 배가하였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지형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파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핑을 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파도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서핑을 하기위하여 매번 서핑보드를 파도가 일고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이나 발로 저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삼면이 바라로 둘러 쌓여 있지만 서핑보드를 탈수 있을 정도의 파도는 극히 일부의 계절에 짧은 기간동안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서핑보드 레져는 활성화하지 못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원할때는 언제라도 서핑보드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서핑보드는 고난도의 서핑기술을 겸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쉽게 서핑보드를 즐길수 없었음을 감안,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지지손잡이를 구비하고 뒷발과 몸의 기울임으로 쉽게 방향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여 고난도의 서핑기술을 갖지 않은 사람도 쉽게 서핑보드를 즐길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물에 뜰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서핑보드(surfing Board), 서핑보드의 전진과 후진을 위한 프로펠러(Propeller), 프로펠러 구동을 위한 모터(Motor), 모터의 동작을 위한 베터리(Battery), 모터의 동작을 조종(Control)하기 위한 모터 조종부, 모터조종부와 모터를 유연한 재료로 연결한 연결선, 서핑보드의 방향을 사용자가 발로 조종하기 위한 방향조종키, 사용자가 중심을 잡기위하여 마련한 지지연결선과 지지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핑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모터의 동작을 조종(Control)하기 위한 모터 조종부에 대하여(제 3도 참조)
    1) 모터 조종부를 손으로 쥐었을 때 엄지 손가락 부분의 위치에 메인 스위치를 설치하고
    2)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쥘수 있는 위치에 손가락 조종부를 설치하고
    3) 손가락 조종부를 살짝 쥐었을때 전원에 의한 모터가 Stand-by상태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4) 손가락 조종부를 상기 청구항 2의 3)항의 Stand-by상태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더 움켜 쥘수록 전기적인 가변저항이 작아서 모터를 빨리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5) 상기의 손가락 조종부를 메인 스위치(Main Switch), Stand-By스위치, 가변저항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하여 메인 스위치와 Stand-By스위치가 연결(Power ON)된 상태에서만 가변저항의 조종에 의해서 모터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조종부.
  3. 제 1항에 있어서.
    서핑보드의 방향을 사용자가 발로 조종하기 위한 방향 조종키및 방향타에 대하여(제 4도 참조)
    1) 사용자가 서핑보드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성된 방향키에 발을 올려 놓고 발가락 방향 또는 발 뒤꿈치 방향으로 방향키를 누름으로써 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고
    2) 상기 청구항 3의 1)항의 방향키를 발로 누름에 의해 방향타가 좌우로 움직여 서핑보드의 진행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키및 방향타 구성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터및 프로펠러부에 대하여(제 5도 참조)
    모터및 프로펠러를 일체로 구성하고 서핑보드의 뒷부분에 설치하며 사용자가 모터및 프로펠러를 사용하지 않고 파도타기를 할 경우 모터및 프로펠러를 서핑보드 위로 들어 올리기 위한 지지대및 회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및 프로펠러부.
KR1020030051201A 2003-07-25 2003-07-25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KR20050012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201A KR20050012293A (ko) 2003-07-25 2003-07-25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201A KR20050012293A (ko) 2003-07-25 2003-07-25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293A true KR20050012293A (ko) 2005-02-02

Family

ID=3722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201A KR20050012293A (ko) 2003-07-25 2003-07-25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29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724A2 (en) * 2010-04-16 2011-10-20 Dainuri Rott Surfing i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3191501A1 (ko) * 2012-06-21 2013-12-27 Ku Kwon Hoi 서핑보드
CN108137126A (zh) * 2015-09-21 2018-06-08 凯亚戈有限公司 水上摩托艇
KR20190019571A (ko) * 2017-08-18 2019-02-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서핑 보드 제어방법
KR101976094B1 (ko) 2018-03-21 2019-05-07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수상 레저 기구용 블랙박스 모듈
KR20190090121A (ko)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효원파워텍 조향 보조 기능을 갖는 서핑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조향 보조 방법
KR20200057934A (ko) 2018-11-19 2020-05-27 김태형 포일보드
KR102468980B1 (ko) * 2021-05-31 2022-11-18 정규영 원격드론조종에 의한 밧데리가 탑재된 서핑보드
WO2024024991A1 (ko) * 2022-07-25 2024-02-01 정규영 원격드론조종에 의한 밧데리가 탑재된 서핑보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724A2 (en) * 2010-04-16 2011-10-20 Dainuri Rott Surfing i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1130724A3 (en) * 2010-04-16 2012-01-26 Dainuri Rott Surfing i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3191501A1 (ko) * 2012-06-21 2013-12-27 Ku Kwon Hoi 서핑보드
CN108137126A (zh) * 2015-09-21 2018-06-08 凯亚戈有限公司 水上摩托艇
US10836454B2 (en) 2015-09-21 2020-11-17 Cayago Tec Gmbh Floating vessel
KR20190019571A (ko) * 2017-08-18 2019-02-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서핑 보드 제어방법
KR20190090121A (ko)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효원파워텍 조향 보조 기능을 갖는 서핑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조향 보조 방법
KR101976094B1 (ko) 2018-03-21 2019-05-07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수상 레저 기구용 블랙박스 모듈
KR20200057934A (ko) 2018-11-19 2020-05-27 김태형 포일보드
KR102468980B1 (ko) * 2021-05-31 2022-11-18 정규영 원격드론조종에 의한 밧데리가 탑재된 서핑보드
WO2024024991A1 (ko) * 2022-07-25 2024-02-01 정규영 원격드론조종에 의한 밧데리가 탑재된 서핑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788A (en) Radio controlled surfboard with robot
KR102133778B1 (ko)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KR20050012293A (ko)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JPH10314366A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KR20160075030A (ko) 방향성 추진키를 갖는 개인용 수상레저 기구
WO2002060550A1 (en) Air propelled device
US20100216368A1 (en) Hover toy system
US20160280340A1 (en) Floa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5906521A (en) Individual water vehicle
WO2005054051A8 (en) Watercraft with propulsion by muscle power
CN208906775U (zh) 半潜式水上自行车
JP2001225775A (ja) 立乗り式自走遊戯車
JP3775606B2 (ja) 無線制御玩具のサーファ
KR200441152Y1 (ko) 양방향 수상 보드
CN201086819Y (zh) 新型水上闲乐小船艇的划水机构
KR100981801B1 (ko) 피쉬 보드
JP3109601U (ja) 動力式サーフボード
KR200224340Y1 (ko) 물놀이 보우트
CN109110072A (zh) 半潜式水上自行车
AU5012101A (en) Electric powered water craft
CN108557026A (zh) 板式水上驱动装备
CN101450261A (zh) 一种用于水上娱乐的仿生海豚
TWM576070U (zh) Water drifter
WO2006025764A2 (fr) Bateau a pedales biplace de petite taille et a grande vitesse
CN101143617A (zh) 一种潜水摩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