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78B1 -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 Google Patents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78B1
KR102133778B1 KR1020190043286A KR20190043286A KR102133778B1 KR 102133778 B1 KR102133778 B1 KR 102133778B1 KR 1020190043286 A KR1020190043286 A KR 1020190043286A KR 20190043286 A KR20190043286 A KR 20190043286A KR 102133778 B1 KR102133778 B1 KR 10213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late
support frame
control unit
motion control
propul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환
Original Assignee
(주)일송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송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일송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4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3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드플레이트와,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으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중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보드플레이트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상기 회전바의 내외측방향으로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균형보조모듈과, 상부 일측이 상기 회전바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과, 상기 추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중익 및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출발, 가속, 정지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아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Electric power surfboard with automatic motion control}
본 발명은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출발, 가속, 정지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아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레저활동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저활동 또한 수상에서 할 수 있는 서핑이나 수상스키 등의 수상 레저와 산에서 할 수 있는 등반이나 오프 로드 등의 산악 레저와 도로에서 할 수 있는 하이킹 등의 도로 레저 등 다양해지고 있다.
이중 수상에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레저로는 서프보드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서핑이 있는데, 이러한 서핑은 적절한 수위와 파도 등 자연조건이 만족되어야만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서핑이 가능한 자연조건을 만족하는 장소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 국내에서는 제한적으로 서프보드를 즐길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서핑이 가능한 자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지역이나 국가에서는 바람을 이용한 윈드서핑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윈드서핑 또한 서핑을 즐기기 위한 자연조건이 최소화된 상태에서라도 적당한 세기의 바람은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바람이 미약하거나 거의 없는 날에는 윈드 서핑을 즐길 수가 없으며, 또한 바람이 있더라도 윈드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바람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돛을 이용하는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여야만 한다.
이에 최근에는 종래의 서프보드 일측에 동력수단과 추진체를 구비한 전동식 서프보드가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 그 일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522667호(이하 '종래의 전동식 서프보드'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전동식 서프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식 서프보드(100)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보드플레이트(110)와, 보드플레이트(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보드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120)와, 프로펠러(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제어부(140)와 무선통신하고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무선제어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서프보드(100)는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탑승한 상태에서 무선제어기(미도시)를 통해 가속, 선회, 정지등의 명령을 입력하면, 무선제어부(140)에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며, 제어부(140)에서는 전송된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모터(130)를 제어하여 보드플레이트(110)를 가속 또는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서프보드(100)는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무선제어기(미도시)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높은 숙련도가 요구됨에 따라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무선제어기(미도시) 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요구되는 바 이를 제작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비용 또한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출발, 가속, 정지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아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드플레이트가 설정된 기준 기울값을 초과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자세제어유닛에서 지지프레임을 회전하여 보드플레이트를 안정적인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보드플레이트가 과도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드플레이트가 수면상에 위치하는 경우 보드플레이트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부력체를 통해 보드플레이트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보드플레이트와,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으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중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보드플레이트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상기 회전바의 내외측방향으로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균형보조모듈과, 상부 일측이 상기 회전바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과, 상기 추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중익과,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제어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추진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울기값을 초과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드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울기로 복귀시키는 자세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자세제어유닛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을 회전하여 상기 보드플레이트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진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션제어부는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 또는 상기 자세제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균형보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균형보조유닛은 중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보드플레이트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바 및 부력을 갖고, 상기 회전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상기 회전바의 내외측방향으로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출발, 가속, 정지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아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드플레이트가 설정된 기준 기울값을 초과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자세제어유닛에서 지지프레임을 회전하여 보드플레이트를 안정적인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보드플레이트가 과도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플레이트가 수면상에 위치하는 경우 보드플레이트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부력체를 통해 보드플레이트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전동식 서프보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플레이트가 수면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출발대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 플레이트의 가속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감속 또는 정지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싱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의 측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1)는 보드플레이트(10)와, 지지프레임(20)과, 추진수단(30)과, 수중익(40)과, 균형보조유닛(50)과, 자세제어유닛(60) 및 모션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드플레이트(10)는 대략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좁은 폭을 갖는 선단부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며, 후단부로 갈수록 다시 좁아지는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보드플레이트(10)는 내부에 부력을 갖는 코어부와, 코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폼부재와, 폼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각 상황별 목적 또는 서핑환경등에 따라 다른 구조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드플레이트(10)는 상면에 사용자의 탑승영역을 제공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20)은 대략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보드플레이트(10)의 저면 중앙영역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균형보조모듈과, 추진수단(30), 자세제어유닛(60) 및 수중익(40)을 보드플레이트(10)와 연결함과 아울러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프레임(20)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추진수단(3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자세제어유닛(60)에 연결되는 바 자세제어유닛(60)에 의해 회전하면서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추진수단(30)은 상단부가 지지프레임(20)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부재(31)와, 일단부가 링크부재(3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보드플레이트(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바(32) 및 연장바(32)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펠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프로펠러(33)는 일반적인 프로펠러(33), 즉 수중에서 회전하여 대상물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며, 보드플레이트(10)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제공함으로써 보드플레이트(1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수중익(40)은 추진수단(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보드플레이트(10)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드플레이트(10)가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보드플레이트(10)를 수면 위로 부상시켜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보드플레이트(10)의 이동속도와,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익(40)은 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균형보조유닛(50)은 중앙이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보드플레이트(10)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바(51)와, 회전바(51)의 양측단부에 각각 회전바(51)의 내외측방향으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균형보조유닛(50)은 보드플레이트(10)가 수면상에 위치하는 경우 보드플레이트(10)의 양측부에 위치한 부력체(52)가 수면상에서 보드플레이트(10)를 지지함으로써 너울로 인해 보드플레이트(10) 상면에 탑승한 사용자가 균형을 잃는 것을 최소화하고, 균형을 쉽제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부력체(52)는 너울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회전하게 되는데, 너울높이에 따라 회전바(51)가 자유회전하면서 부력체(52)가 동반하여 자유회전하며, 너울의 방향에 따라 회전바(51)의 내외측방향으로 자유회전함으로써 너울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보드플레이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자세제어유닛(60)은 지지프레임(20)과 링크부재(31)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지지프레임(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모션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지프레임(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20) 상단부에 결합된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자세제어유닛(60)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서브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세제어유닛(60)의 동작은 후술하는 도5 내지 도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모션제어부(70)는 보드플레이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부(71) 및 센서부(71)에서 검출된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 정보에 따라 추진수단(30) 및 자세제어유닛(6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71)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 정보, 즉 기울기 각도 및 기울기 속도등을 포함하는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유닛(72)은 센서부(71)에서 검출된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에 따라 추진수단(30)과 자세제어유닛(60)을 제어하여 보드플레이트(10)의 가감속 및 균형유지 동작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제어유닛(72)의 동작은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플레이트가 수면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출발대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 플레이트의 가속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플레이트의 감속 또는 정지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드플레이트(10)를 수면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의 상면에 탑승한다.
이때, 보드플레이트(10)의 양측부에 각각 부력체(52)가 배치됨에 따라 보드플레이트(10)를 지지하여 너울에 의한 보드플레이트(10)의 유동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보드플레이트(10)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의 상면에 탑승한 후 보드플레이트(10)의 상면 일측에 위치한 전원버튼을 누르면,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유닛(72)이 자세제어유닛(60)을 제어하여 자세제어유닛(60)이 지지프레임(20)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보드플레이트(10)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출발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의 전방영역을 가압하면 보드플레이트(10)가 소정각도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센서부(71)에서는 이를 검출하고, 이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어유닛(72)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유닛(72)이 전달된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에 따라 추진수단(30)을 제어하여 프로펠러(33)가 회전하며, 보드플레이트(10)의 후방으로 추진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추진력에 의해 보드플레이트(10)는 전방으로 이동되며, 점차 그 속도가 증대된다.
한편, 보드플레이트(10)가 이동하는 경우 수중에 위치하는 수중익(40)에 양력(揚力)이 발생되며, 보드플레이트(10)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중익(40)의 양력이 증대되면서 보드플레이트(10)의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
이후, 보드플레이트(10)가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면, 제어유닛(72)이 추진수단(30)을 제어하여 항속모드로 전환되며, 이와 동시에 보드플레이트(10)가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자세제어유닛(60)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센서부(71)에서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제어유닛(72)이 검출된 상태정보에 따라 보드플레이트(10)가 가속될 수 있도록 추진수단(30)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를 좌우방향 중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선회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를 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센서부(71)에서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제어유닛(72)이 검출된 상태정보에 따라 보드플레이트(10)가 감속될 수 있도록 추진수단(30)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1)는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보드플레이트(10)의 이동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단말기가 요구되지 않아 제조시간이 짧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드플레이트(1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보드플레이트(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 기울기값을 초과하는 경우 센서부(71)에서 이에 대한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를 검출한다.
이에 제어유닛(72)에서는 검출된 보드플레이트(10)의 상태정보에 따라 자세제어유닛(60)을 제어하여 지지프레임(20)을 회전함으로써 보드플레이트(10)를 설정된 기울기 상태, 일예로 수면과 평행인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추진수단(30)을 정지시킨다.
이는 보드플레이트(10)가 과도하게 기울어짐에 따라 보드플레이트(10)가 수중으로 인입되거나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보드플레이트 20 : 지지프레임
30 : 추진수단 31 : 링크부재
32 : 연장바 33 : 프로펠러
40 : 수중익 50 : 균형보조유닛
51 : 회전바 52 : 부력체
60 : 자세제어유닛 70 : 모션제어부
71 : 센서부 72 : 제어유닛

Claims (6)

  1. 보드플레이트와;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으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부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수단과;
    상기 추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중익과;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제어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추진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기울기값을 초과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드플레이트를 미리 정해진 기울기로 복귀시키는 자세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제어유닛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을 회전하여 상기 보드플레이트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제어부는
    상기 보드플레이트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 또는 상기 자세제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균형보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균형보조유닛은
    중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보드플레이트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회전바; 및
    부력을 갖고, 상기 회전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상기 회전바의 내외측방향으로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KR1020190043286A 2019-04-12 2019-04-12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KR10213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286A KR102133778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286A KR102133778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78B1 true KR102133778B1 (ko) 2020-07-14

Family

ID=7152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286A KR102133778B1 (ko) 2019-04-12 2019-04-12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0917B2 (en) 2016-09-12 2021-03-09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20210107602A1 (en) * 2019-10-09 2021-04-15 Ricky Karr Foil Board
CN116080834A (zh) * 2023-02-06 2023-05-09 惠州奥视通电子有限公司 一种可定位适应深浅水多功能水翼板
FR3133048A1 (fr) * 2022-02-25 2023-09-01 Aymeric François ALANDRY Mât rabattable et ensemble comprenant une planche de surf, ledit mât rabattable et une aile d’eau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83B1 (ko) * 2008-12-24 2009-09-11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레져용 선박의 선체복원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US9586659B2 (en) * 2013-10-10 2017-03-07 Jacob Willem Langelaan Powered hydrofoil board
KR20180065445A (ko) * 2016-12-08 2018-06-18 석현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서핑보드용 대거보드
KR20180138552A (ko) * 2017-06-21 2018-12-31 엘레르곤 안트리에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전기로 구동되는 하이드로포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83B1 (ko) * 2008-12-24 2009-09-11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레져용 선박의 선체복원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US9586659B2 (en) * 2013-10-10 2017-03-07 Jacob Willem Langelaan Powered hydrofoil board
KR20180065445A (ko) * 2016-12-08 2018-06-18 석현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서핑보드용 대거보드
KR20180138552A (ko) * 2017-06-21 2018-12-31 엘레르곤 안트리에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전기로 구동되는 하이드로포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0917B2 (en) 2016-09-12 2021-03-09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479324B2 (en) 2016-09-12 2022-10-25 Kai Concepts, LLP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919608B2 (en) 2016-09-12 2024-03-05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20210107602A1 (en) * 2019-10-09 2021-04-15 Ricky Karr Foil Board
FR3133048A1 (fr) * 2022-02-25 2023-09-01 Aymeric François ALANDRY Mât rabattable et ensemble comprenant une planche de surf, ledit mât rabattable et une aile d’eau
CN116080834A (zh) * 2023-02-06 2023-05-09 惠州奥视通电子有限公司 一种可定位适应深浅水多功能水翼板
CN116080834B (zh) * 2023-02-06 2023-11-03 惠州奥视通电子有限公司 一种可定位适应深浅水多功能水翼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778B1 (ko)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US11572136B2 (en) Surf wake system for a watercraft
US10358194B1 (en) Self-balancing surfboard
US10994815B2 (en) Self-balancing surfboard
US10118677B2 (en)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4852507A (en) Sail-wing and controls for a sail craft
KR101522667B1 (ko) 동력식 서핑보드
US4886476A (en) Body surfing board
US4649847A (en) Hull construction
US20210323637A1 (en) Foiling watercraft
JPH10314366A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KR101816136B1 (ko) 자율균형이 유지되는 세그웨이형 수상 레저보드
US20110275255A1 (en) Personal marine transporter capable of offering the rider the exhilarating feeling of steering a very maneuverable water craft by the direction of his body motion
KR20050012293A (ko) 모터를 장착한 자동 서핑보드
JP2897071B2 (ja) 小型ジェット推進艇
JPH0741675Y2 (ja) 自走式サーフボード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12006004B2 (en) Water ski
US20220274674A1 (en) Water ski
US3225367A (en) Coaster-craft
US5211123A (en) Sailboard
WO1993001974A1 (en) Sailboard
EA041685B1 (ru) Водные лыжи
KR200242435Y1 (ko) 서핑보드
JP2620080B2 (ja) 小型水上帆走具
KR200284891Y1 (ko) 서핑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