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891Y1 -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서핑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891Y1
KR200284891Y1 KR2020020014721U KR20020014721U KR200284891Y1 KR 200284891 Y1 KR200284891 Y1 KR 200284891Y1 KR 2020020014721 U KR2020020014721 U KR 2020020014721U KR 20020014721 U KR20020014721 U KR 20020014721U KR 200284891 Y1 KR200284891 Y1 KR 200284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urfboard
plate
rec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석환
Original Assignee
천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석환 filed Critical 천석환
Priority to KR2020020014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891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람이나 파도를 이용하여 수상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수면에 대해 미끌림 이동이 가능한 보드판의 저면에 상기 보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방에서부터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요홈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파도의 진행방향에 대해 이동 및 전진이 용이하고 상기 보드판이 쉽게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서핑보드(1)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내부에 중공부(12)를 갖는 평판 형상의 보드판(10)과, 상기 보드판(10)의 저면에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요홈부(13)와, 이 요홈부(13)에 의해 보드판(10)양측으로 형성되는 날개 형상의 보조지지부(14)와, 상기 요홈부(13)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방향키(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핑보드{surfing board}
본 고안은 바람이나 파도를 이용하여 수상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저렴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제작되며, 수면에 대해 미끌림 이동이 가능한 보드판의 저면에 상기 보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방에서부터 후방측으로 확장된 요홈부를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으로 보조지지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파도의 진행방향에 대해 이동 및 전진이 용이하고 상기 보드판이 어느 한쪽으로 쉽게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레저활동 및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인구수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레저스포츠의 종류도 점차적으로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무기력한 일상생활이나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는 보다 다양하고 스릴이 있는 레저스포츠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스포츠는 그 호응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수상 레저스포츠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파도와 바람을 이용하여 수면 위에서 즐길수 있는 서핑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서핑에 사용되는 장비와 사용방법은 주지된 바와 같이 유선형의 넓은 보드판을 이용하여 상기 보드판위에 양 발을 집고 올라서거나 혹은, 보드판에 가슴을 대고 업드린 후, 밀려오는 파도를 이용하여 서핑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는 있는 서핑보드들은 대부분 보드판이 고가의 재질로 된 유선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면이 하부측으로 완만하면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려오는 파도에 의해 상기 보드판이 쉽게 뒤집어 지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드판위에 탑승한 탑승자가 유동시에 상기 보드판의 바닥면 일부에 과대한 압력이 작용하여 보드판 전체가 균형을 잃고 뒤집어 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다.
따라서, 상기한 보드판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사용자들이 효과적인 서핑을 즐길 수 없게 될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경험에 의한 일정한 숙련 과정을 요함에 따라 서핑에 대한 즐거움을 만끽하는 데에는 오랜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밀려오는 파도에 의해 보드판이 쉽게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행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며, 안전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이 확보되는 서핑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드판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제조 원가 및 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자체 부력을 갖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저면에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개구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의해 보드판 저면의 양측으로 형성된 날개 형상의 보조지지부와, 상기 요홈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방향키로 구성된 서핑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핑보드 10 : 보드판
12 : 중공부 13 : 요홈부
14 : 보조지지부 15 : 방향키
16 : 선단부 17 : 발판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4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서핑보드(1)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내부에 중공부(12)를 갖는 평판 형상의 보드판(10)과, 상기 보드판(10)의 저면에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요홈부(13)와, 이 요홈부(13)에 의해 보드판(10)양측으로 형성되는 날개 형상의 보조지지부(14)와, 상기 요홈부(13)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방향키(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드판(10)은 앞부분의 선단부(16)가 통상적으로 삼각 또는 둥근 삼각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부분이 지면에 대해 상부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드판(1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13)는 상기 보드판(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드판(10)의 저면이 수면과 직접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측의 보조지지부(14)에 의해 수면에서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서핑보드(1)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상기 보드판(10)의 발판부(17)위에 양 발을 집고 올라서거나 혹은, 가슴을 대고 업드린 후, 밀려오는 파도를 이용하여 서핑을 즐기게 된다.
이때, 상기 보드(1)는 전진부양시 물살이 상기 보드판(1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13)를 통해 후방측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되어 신속한 전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요홈부(13)에 의해 보드판(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날개 형상의 보조지지부(14)에 의해 상기 보드판(10)이 어느 한쪽으로 쉽게 뒤집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서핑에 대한 즐거움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보드판(10)은 내부에 중공부(12)를 갖도록 비교적 저렴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고가품의 재질로 제작되던 종래의 서핑보드에 비해 제조 원가 및 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핑을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상기 서핑보드(1)를 손쉽게 구입하여 서핑을 즐길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정적인 균형상태를 오랜시간 유지하면서 서핑을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한 서핑보드에 따르면, 상기 보드판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제작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제조 원가 및 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보드판의 저면에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요홈부와이 요홈부에 의해 보드판 양측으로 보조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밀려오는 파도나 탑승자의 유동에 의해서 상기 보드판이 쉽게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행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유선형의 평판 형상으로 된 통상의 서핑보드(1)에 있어서,
    상기 서핑보드(1)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내부에 중공부(12)를 갖는 평판형상의 보드판(10)과, 상기 보드판(10)의 저면에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요홈부(13)와, 이 요홈부(13)에 의해 보드판(10)양측으로 형성되는 날개 형상의 보조지지부(14)와, 상기 요홈부(13)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방향키(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보드.
KR2020020014721U 2002-05-14 2002-05-14 서핑보드 KR200284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721U KR200284891Y1 (ko) 2002-05-14 2002-05-14 서핑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721U KR200284891Y1 (ko) 2002-05-14 2002-05-14 서핑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891Y1 true KR200284891Y1 (ko) 2002-08-07

Family

ID=7307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721U KR200284891Y1 (ko) 2002-05-14 2002-05-14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8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82B1 (ko) * 2012-01-31 2013-09-24 김태호 에어 서프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82B1 (ko) * 2012-01-31 2013-09-24 김태호 에어 서프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476A (en) Body surfing board
US4857025A (en) Towable modified deep vee surfboard
US20030151215A1 (en) Sliding device
US3782745A (en) Snow surfboard
US7347756B1 (en) Surfboard
US4439165A (en) Aquatic body board
US4437842A (en) Surfing device
US20130171907A1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4571195A (en) Recreational apparatus
KR102133778B1 (ko)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US3782744A (en) Snow surfboard with stepped stabilizing sides
US3276050A (en) Surfboard
US3528116A (en) Floatable swimming accessory
US6203389B1 (en) Bodyboard
US4932347A (en) Jet ski hull
KR200284891Y1 (ko) 서핑보드
US8246405B2 (en) Sports board
US9714070B2 (en) Floa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WO2012052741A1 (en) Board-type watercraft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7410399B2 (en) Body board for recreational use
KR200311011Y1 (ko) 서핑보드
CA2934821C (en) Fishing kayak
KR200305880Y1 (ko)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US5957742A (en) Surfboard side f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