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435Y1 -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서핑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435Y1
KR200242435Y1 KR2020010014352U KR20010014352U KR200242435Y1 KR 200242435 Y1 KR200242435 Y1 KR 200242435Y1 KR 2020010014352 U KR2020010014352 U KR 2020010014352U KR 20010014352 U KR20010014352 U KR 20010014352U KR 200242435 Y1 KR200242435 Y1 KR 200242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engine unit
surfboard
user
f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훈 filed Critical 장훈
Priority to KR2020010014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435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핑보드에 있어서, 수면에 대해 미끌림 이동 가능한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보드판의 후미에 설치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탱크를 갖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동력장치가 설치된 서핑보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서핑보드{SURFING BOARD}
본 고안은,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장치가 마련된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새로운 스포츠 및 단순 오락의 한 형태로 서핑보드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추세에 있다. 서핑보드는 유선형의 넓은 보드판위에 양 발을 집고 올라서거나 혹은, 보드판에 가슴을 대고 엎드린 후, 밀려오는 파도를 이용하여 즐기게 된다.
서핑보드는 대부분이 무동력으로 파도의 진행방향에 대해 자신이 이동하고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서핑보드의 운전에 대한 기술을 많이 습득해야 한다. 따라서 기술의 습득 정도에 따라 유희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를 수밖에 없으며, 낮은 파도에서 즐기거나 높은 파도를 이용하는 것은 역시 기술 습득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서핑보드는 대부분이 무동력이므로 파도가 낮게 치는 바다라든지, 혹은 강 및 풀장 등에서는 서핑보드를 즐길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장치가 설치된 서핑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핑보드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서핑보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핑보드 20 : 보드판
30 : 동력장치 21 : 발판부
23 : 센서부재 27 : 속도조절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서핑보드에 있어서, 수면에 대해 미끌림 이동 가능한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보드판의 후미에 설치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탱크를 갖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드판의 판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각 발판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상기 각 발판부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재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재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양 발이 상기 각 발판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엔진부를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한 발이 상기 발판부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엔진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엔진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보드판에는 상기 엔진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서핑보드(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대해 미끌림 이동 가능하도록 거의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보드판(20)과, 보드판(20)에 마련된 동력장치(30)를 갖는다.
보드판(20)은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보드판(20)은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절곡된 선두부(20a)와, 동력장치(30)가 설치된 선미부(20b)와, 선두부(20a) 및 선미부(20b)를 연결하는 중앙판부(20c)를 갖는다. 선두부(20a)의 하부에는 중앙판부(20c)에 비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낮은 파도에 저항하여 선두부(20a)를 소정 각도 상향 이동시키는 돌출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선미부(20b)에는 동력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동력장치(30)는 엔진부(31)와, 엔진부(3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탱크(33)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탱크(33)는 서핑보드(10)의 전반적인 무게중심을 보상하기 위해 엔진부(3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다.
중앙판부(20c)에는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발판부(21)는 양 발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판부(20c)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패드를 부착할 수도 있다.
각 발판부(21)에는 센서부재(23)가 마련된다. 센서부재(23)는 도시 않은 제어부에 의해 엔진부(31)와 연결되어 엔진부(31)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사용자의 양 발이 각 발판부(21)에 안착되면, 센서부재(23)로부터의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엔진부(31)로 전달됨으로써 엔진부(31)는 작동된다.
반대로, 사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한 발이 발판부(21)로부터 이탈되었을 경우에는, 센서부재(23)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부(31)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중앙판부(20c)에는 엔진부(31)의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25)와, 엔진부(31)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기(27)가 더 설치되어 있다. 속도조절기(27)는 엔진부(31)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높이거나 낮추어 서핑보드(10)의 속도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서핑보드(10)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양 발을 한 쌍의 발판부(2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온오프스위치(25)를 작동시킨다. 엔진부(31)의 작동에 의해 서핑보드(10)를 즐기는 상태에서 속도조절기(27)를 통해 서핑보드(10)의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서핑보드(10)의 진행시, 돌발상황이 발생하거나 혹은 서핑보드(10)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사용자의 발이 발판부(21)로부터 이탈될 경우, 센서부재(23)로부터의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엔진부(31)로 전달됨으로써, 엔진부(31)는 정지된다. 따라서 서핑보드(10)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서핑보드(10)에 동력장치(30)를 설치함으로써, 파도가 낮게 치는 바다라든지, 혹은 강 및 풀장 등에서도 서핑보드(10)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서핑보드의 하면에 소정의 방향키를 더 설치하여 방향을 조절하면서 서핑보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속도조절기 및 온오프스위치는 리모트콘트롤에 의한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동력장치가 설치된 서핑보드가 제공된다.

Claims (4)

  1. 서핑보드에 있어서,
    수면에 대해 미끌림 이동 가능한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보드판의 후미에 설치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탱크를 갖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의 판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각 발판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상기 각 발판부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양 발이 상기 각 발판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엔진부를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한 발이 상기 발판부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엔진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에는 상기 엔진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기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핑보드.
KR2020010014352U 2001-05-16 2001-05-16 서핑보드 KR200242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52U KR200242435Y1 (ko) 2001-05-16 2001-05-16 서핑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352U KR200242435Y1 (ko) 2001-05-16 2001-05-16 서핑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435Y1 true KR200242435Y1 (ko) 2001-10-15

Family

ID=7310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352U KR200242435Y1 (ko) 2001-05-16 2001-05-16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4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941B1 (ko) * 2003-08-22 2005-05-24 서대수 수상써핑장치
KR200454353Y1 (ko) 2010-11-11 2011-06-29 이남진 조작이 용이하며 매끄럽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웨이크 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941B1 (ko) * 2003-08-22 2005-05-24 서대수 수상써핑장치
KR200454353Y1 (ko) 2010-11-11 2011-06-29 이남진 조작이 용이하며 매끄럽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웨이크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136B2 (en) Surf wake system for a watercraft
US7434531B1 (en) Device for adjusting boat wake
CA2354798C (en) Boat activated wake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CA2749502C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10118677B2 (en)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8845382B2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133778B1 (ko) 자동 모션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서프보드
NZ570974A (en) Water sports equipment with a bidirectional hydrofoil
KR200242435Y1 (ko) 서핑보드
US9714070B2 (en) Floa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US5605111A (en) Submersible aquatic sled
JP3183445U (ja) 水上ボード
US5425321A (en) Sailboard and the like
US12006004B2 (en) Water ski
US4768453A (en) Watercraft
US20220274674A1 (en) Water ski
KR200233002Y1 (ko) 자체추진력을 갖는 방향타 연동 동력 수상스키
JPS6133756B2 (ko)
TWI773275B (zh) 水上運動載具改良結構
EP3028938A1 (en) Flotation device for use in water recreation
JP2827316B2 (ja) 小型水上ビークル
AU662983B2 (en) Towable board
JP2003200885A (ja) スポーツボード
KR100657170B1 (ko) 수상스키용 출발대
KR200284891Y1 (ko) 서핑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