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191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191A
KR20140107191A KR1020147012644A KR20147012644A KR20140107191A KR 20140107191 A KR20140107191 A KR 20140107191A KR 1020147012644 A KR1020147012644 A KR 1020147012644A KR 20147012644 A KR20147012644 A KR 20147012644A KR 20140107191 A KR20140107191 A KR 2014010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ortion
handle
cross
toothbrush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310B1 (ko
Inventor
히로코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네크부를 가늘게 하여도, 청소 효과가 높은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설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단면 윤곽이 변화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상기한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상기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12월 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1-267939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인 칫솔은,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 사용시에 파지되는 핸들부, 및 헤드부와 핸들부를 접속하는 네크부를 구비한 핸들체와, 헤드부의 식모면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식모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구강 내 청소 기구인 칫솔에서는, 가장 필요한 기능인 청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 가지의 발명이 이루어져 왔다. 청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당접(當接)시켜, 청소 대상 부위를 적절한 브러싱압으로 찰소(擦掃)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모부가, 청소 대상 부위에 적절하게 당접하지 않으면, 치면, 어금니의 교합면, 이사이, 치경부 등에 부착한 플라그를 충분히 제거할 수가 없다. 또한, 구강 내를 청소할 때에, 브러싱압이 너무 작으면, 플라그, 특히 치간부나 치경부 등의 협소부의 플라그를 떨어뜨리기 어렵고, 브러싱압이 너무 크면 잇몸이나 치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칫솔에는, 식모부가 청소 대상 부위에 적절하게 당접하도록, 모속의 배열, 용모의 형상, 모속의 모절(毛切) 형상 등에 궁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 위생 지향이 높아짐에 따라, 칫솔에는, 보다 한층의 청소 효과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이와 같은 요망에 대해, 다른 지름의 모속을 조합시킨 칫솔이나, 다른 모장(毛丈)의 모속을 조합시킨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핸들체의 궁리에 의해, 청소 효과를 높이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목부(首部)의 전체에 걸쳐서, 브러시부의 식모 방향의 두께를 다른쪽에 대해, 수치가 작은 환장방형(丸長方形) 또는 타원형으로 한 브러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의 발명에 의하면, 목부를 낭창낭창하게 구부러지도록 가늘게 함으로써, 브러싱압의 완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는, 파악부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가장 굵은 부분의 윤곽이, 특정한 형상의 6각형상으로 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2의 발명에 의하면, 쥔 손의 엄지손가락의, 상기한 6각형상에 닿는 면을 바꾸어서, 치아와 잇몸의 경계목이나 치면과 칫솔의 모선이 이루는 각도를 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구강 내를 청소하는 것이 도모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1-36628호 공보 일본 실공평1-41306호 공보
그런데, 어금니의 치면, 교합면, 치간부, 치경부 등의 모든 청소 대상 부위에 대해 식모부를 적절하게 당접시키려면, 네크부를 가늘게 하고,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 유효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단지 네크부를 가늘게 하고 구강 내에서의 칫솔의 조작성을 높이려고 하면, 핸들체의 강도가 부족하거나, 네크부의 휨량이 너무 커져서, 청소 효과가 저하되기 쉽다. 고강도(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를 사용하여 핸들체을 성형함으로써, 핸들체가 꺾어지거나 갈라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네크부의 휘는 량을 완전히 제어할 수가 없어서, 적절한 브러싱압으로 청소 대상 부위를 찰소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네크부를 가늘게 하여도, 청소 효과가 높은 칫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네크부의 단면 윤곽을 헤드부측부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특정한 형상으로 변화시켜, 네크부의 휘는 방향을 단계적으로 규제함으로써,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적절하게 당접시켜, 적절한 브러싱압으로 청소하고,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양태는,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설(延設)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단면 윤곽이 변화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 근처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상기한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상기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頂部)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은, 임의의 한 변이 상기 네크부의 표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임의의 한 변에 대향하는 변이 상기 네크부의 이면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설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단면 윤곽이 변화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상기한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상기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상기한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은, 임의의 한 변이 상기 네크부의 표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임의의 한 변에 대향하는 변이 상기 네크부의 이면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칫솔.
(3)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칫솔.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양태에 의하면, 네크부는, 헤드부측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상기한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상기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되기 때문에, 네크부를 가늘게 하여도,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한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은, 임의의 한 변이 상기 네크부의 표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임의의 한 변에 대향하는 변이 상기 네크부의 이면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싱압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기 때문에, 보다 낭창낭창하게 네크부가 휘어, 브러싱압을 보다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측면도.
도 2a는 도 1b의 A-A 단면도.
도 2b는 도 1b의 B-B 단면도.
도 2c는 도 1b의 C-C 단면도.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의 칫솔(1)은, 평면시(平面視) 개략 4각형의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에 연설된 네크부(4)와 상기 네크부(4)에 연설된 핸들부(6)가 일체 성형된 개략 장척형상의 핸들체(10)와, 헤드부(2)에 설치된 식모부(부도시)를 구비하는 것이다.
핸들체(10)의 재질은, 핸들체(10)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굽힘탄성률(JIS K7203) 500㎫ 이상의 수지(이하, 경질 수지라고 말하는 일이 있다)가 바람직하고,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핸들체(10)에 사용되는 수지의 굽힘탄성률의 상한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00㎫가 된다. 굽힘탄성률 500㎫ 이상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인 POM, PEN, PBT 등이 바람직하다.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헤드부(2)를 얇게 하고, 네크부(4)를 가늘게 하여,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핸들체(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체(10)는, 핸들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핸들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핸들부(6)를 쥐었을 때의 손의 피트감이 향상하고, 또한 파지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쇼어 A90 이하의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쇼어 A10 내지 40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등의 일래스토머 수지,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핸들체(10)의 길이(L1)는, 조작성 등을 관련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50 내지 200㎜가 된다.
헤드부(2)는, 핸들체(10)의 길이 방향이 긴쪽이 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네크부(4)측의 정부(頂部)가 곡선으로 모서리가 잘려진(隅切) 개략 4각형의 평판형상으로 되고, 한쪽의 면(식모면)(20)에, 식모 구멍(22)이 복수 형성된 것이다. 이 식모 구멍(22)에, 용모가 묶여진 모속이 식설되어, 복수의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식모부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식모면(20)과 평행하며 또한 핸들체(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으로 하고, 식모면(20)에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라고 한다. 더하여, 식모면(20)이 면하는 측을 표면, 식모면(20)이 면하는 측의 반대측을 이면이라고 한다.
헤드부(2)의 크기는,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헤드부(2)의 폭(W1)은, 너무 크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되고, 너무 작으면 식모된 모속의 수가 너무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폭(W1)은, 예를 들면, 5 내지 13㎜가 된다.
헤드부(2)의 두께(T1)는, 얇을수록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지만, 너무 얇으면 헤드부(2)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두께(T1)는, 핸들체(10)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5 내지 5㎜가 바람직하고, 2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헤드부(2)의 길이(L3)는, 너무 길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손상되기 쉽고, 너무 짧으면 식모된 모속의 수가 너무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길이(L3)는, 10 내지 26㎜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된다.
식모 구멍(22)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 또는 타원 등의 원형, 3각형이나 4각형 등의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식모 구멍(22)의 수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 내지 60이 된다.
식모 구멍(22)의 직경은, 요구되는 모속의 두께에 응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1 내지 3㎜가 된다.
식모 구멍(22)의 배열 패턴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이른바 바둑판무늬형상이나 지그재그형상 등, 어떠한 배열 패턴이라도 좋다.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모선의 둥근부를 제외하고 외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를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용모는, 심부(芯部)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껍질부[sheath]를 갖는 다중심(多重芯) 구조라도 좋다.
용모의 단면 윤곽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다각형, 성형, 3엽의 클로버형, 4엽의 클로버형 등을 들 수 있다.
용모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단면 윤곽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면, 3 내지 11mil(1mil=1/1000inch=0.025㎜)이 된다. 모속은, 전부가 동일한 굵기의 용모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다른 굵기의 용모가 조합되어 있어도 좋다.
용모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6 내지 12㎜가 된다.
핸들부(6)는, 네크부(4)와 핸들부(6)와의 경계(즉, 네크부 후단)(P2)로부터 핸들체 후단(7)을 향하여, 점차 축경하고, 뒤이어 임의의 지름을 유지한 채로 핸들체 후단(7)에 이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핸들부(6)의 단면 윤곽은, 후술하는 네크부 후단(P2)의 단면 윤곽과 개략 상사형(相似形)으로 되어 있다.
네크부(4)는, 헤드부(2)와 핸들부(6)를 접속하는 것이고, 헤드부(2)측부터 핸들부(6)측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네크부(4)는, 헤드부(2)와 네크부(4)의 경계(즉, 네크부 선단)(P1)가 가장 작은 단면적으로 되고, 네크부 후단(P2)이 가장 큰 면적으로 되어 있다. 네크부 선단(P1)에서의 단면적은,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질이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인 경우, 7 내지 12.6㎟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네크부(4)의 강도가 충분한 것으로 되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네크부 후단(P2)의 단면적은,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질이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인 경우, 6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라면 네크부(4)의 휘는 량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고, 적절한 브러싱압으로 청소 대상 부위를 청소할 수 있다.
네크부 선단(P1)은, 헤드부(2)의 평면시 형상의 모서리 잘려짐을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즉, 모서리 잘려짐을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지는 방향이 변화하는 위치)이다 또한, 네크부 후단(P2)은, 평면시에 있어서, 네크부(4)의 확폭이 종료되는 위치이다.
네크부(4)는, 헤드부(2)측부터 핸들부(6)측을 향함에 따라, 단면 윤곽이 변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면 윤곽이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윤곽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네크부(4)는, 네크부 선단(P1)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네크부 선단(P1)을 포함하여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된 부분을 원형부(40)라고 한다), 이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핸들부(6)측을 향함에 따라,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단면 윤곽이 개략 4각형으로 된 부분을 4각형부(42)라고 한다), 또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핸들부(6)측을 향함에 따라, 개략 6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는(네크부 후단(P2)를 포함하여 단면 윤곽이 개략 6각형으로 되는 부분을 다각형부(44)라고 한다) 것으로 되어 있다. 다각형부(44)로부터 핸들체 후단(7)에 걸쳐서, 핸들체(10)의 양측면에는 능선(46, 46)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부(40)와 4각형부(42)와 다각형부(44)는, 네크부(4)의 단면 윤곽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략 4각형이란, 정부가 곡선으로 모서리가 잘려진 형상을 포함하고, 개략 6각형이란, 정부가 곡선으로 모서리가 잘려진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 중의 부호 Q는, 원형부(40)의 단면 윤곽의 중심선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부(40)는, 단면 윤곽이 개략 진원형으로 되어 있다. 개략 진원형이란, 두께(t1)/폭(w1)으로 표시되는 비가, 0.95 내지 1.05인 것을 말한다. 상기 개략 원형은, 개략 진원형과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원형부(40)는, 단면 윤곽이 개략 진원형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휘는 방향이 규제되기 어려워지고, 식모면(20) 방향이 청소 대상 부위에 따라 변동하여, 청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두께(t1)는,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질이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인 경우, 3.0 내지 4.0㎜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3.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휘는 량을 적당하게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폭(w1)은, 두께(t1)와 마찬가지이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각형부(42)는, 단면 윤곽이 개략 정방형으로 되고, 이 개략 정방형은, 네크부(4)의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것이다. 개략 정방형이란, 두께(t2)/폭(w2)으로 표시되는 비가, 0.95 내지 1.05인 것 말한다. 4각형부(42)는, 단면 윤곽이 개략 정방형으로 되고, 또한 각 변이 네크부(4)의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휘는 방향이 네크부(4)의 두께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규제된다.
두께(t2)는,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질이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인 경우, 3.0 내지 6.0㎜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휘는 방향을 충분히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폭(w2)은, 두께(t2)와 마찬가지이다.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각형부(44)는, 단면 윤곽이 개략 6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 개략 6각형은, 네크부(4)의 양측면에 정부(50, 50)가 위치하는 형상으로 되고, 이 정부(50)가 이어져서, 능선(46)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개략 6각형은, 상변(52)이 네크부(4)의 표면에서 형성되고, 상변(52)에 대향하는 하변(54)이 네크부(4)의 이면에서 형성된 형상이고, 폭(w3)보다도 두께(t3)가 짧다, 즉,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각형부(44)는, 이와 같은 단면 윤곽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측면에 형성된 능선(46)에 의해 폭방향으로 휘기 어려운 것으로 되고, 두께방향으로 편평하기 때문에 두께방향으로 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각형부(44)는, 표면 및 이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방향이 휨이 규제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두께(t3)/폭(w3)으로 표시된 비는,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50 내지 0.95가 바람직하고, 0.70 내지 0.90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t3)는,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질이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인 경우, 6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8 내지 1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휘는 방향을 충분히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네크부(4)가 보다 낭창낭창하게 휘어, 브러싱압을 보다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폭(w3)은, 핸들체(10)의 재질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재질이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인 경우, 8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폭방향의 휨을 충분히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네크부(4)의 길이는, 헤드부의 길이(L3)를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핸들체 선단(9)부터 네크부 후단(P2)까지의 길이(L2)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가 되는 길이가 된다. 길이(L2)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네크부(4)의 휘는 량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핸들체 선단(9)부터 능선(46)의 선단(능선 선단)(47)까지의 길이(L4)는, 60㎜ 이상이 바람직하고, 6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길이(L4)의 상한은, 예를 들면 90㎜가 된다. 길이(L4)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능선(46)이 구강 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청소시에 생기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길이(L4)가 상기 상한치 이하면, 네크부(4)의 휘는 량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종래 공지의 칫솔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금형에 경질 수지를 사출하여, 핸들체(10)를 성형한다. 뒤이어, 얻어진 핸들체(10)의 식모면(20)에 모속을 식설함으로써, 칫솔(1)이 얻어진다. 모속을 식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 구멍(22)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을 식설하는 평선식 식모, 모속의 하단을 식모부가 되는 용융 수지중에 압입하고 고정하는 열융착법, 모속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괴를 형성한 후에 금형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핸들부(6)를 파지한다. 핸들부(6)를 파지하는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팜-그립식이라도 좋고, 펜-립식이라도 좋다. 통상, 대상 부위에 대해 압력을 걸면서 청소하기 때문에, 어느 파지 형태에서도, 엄지손가락 등을 네크부 후단(P2) 근방에 대여서, 핸들부(6)를 파지한다.
다음에, 구강 내에 헤드부(2)를 삽입하고, 다각형부(44) 근방에 댄 엄지손가락 등으로 핸들부(6)를 가압하면서,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활주시킨다. 핸들부(6)에 가하여진 힘이, 네크부(4)를 통하여 헤드부(2)에 전하여지고, 또한 헤드부(2)로부터 식모부에 전하여짐으로써, 식모부는 청소 대상 부위에 압력을 걸면서 청소한다. 이 때, 원형부(40)는, 단면 윤곽이 개략 진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휘는 방향이 규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원형부(40)는, 청소 대상 부위의 형상에 응하여 휘어,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대해 적절하게 당접시킨다.
여기서, 네크부(4) 전체에서 휘는 방향이 규제되어 있지 않다면, 핸들부(6)로부터 네크부(4)에 전해진 힘이 손실되거나, 네크부(4)가 과잉으로 휘어, 적절한 브러싱압으로 청소할 수가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각형부(44)가, 양측면에 형성된 능선(46)과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단면 윤곽에 의해, 폭방향으로 휘기 어렵고 두께방향으로 휘기 쉽도록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부(6)에 걸려진 힘은, 다각형부(44)에 의해, 두께방향의 힘으로 규제되어, 4각형부(42)에 전해진다. 4각형부(42)는, 단면 윤곽이 개략 정방형으로 되고, 이 개략 정방형의 각 변이 네크부(4)의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형성되고, 휘는 방향이 두께방향 및 폭방향으로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4각형부(42)에 전해진 힘은, 과도하게 손실되는 일 없이 원형부(40)에 전해진다.
더하여, 네크부(4)는, 네크부 선단(P1)부터 네크부 후단(P2)을 향함에 따라, 그 단면 윤곽이 개략 진원형, 개략 정방형,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6각형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네크부 선단(P1)부터 네크부 후단(P2)을 향하여 서서히 휘는 방향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네크부(4)를 가늘게 하여도, 네크부(4) 전체가 과도하게 연약하게 되지 않고, 식모부를 적절한 상태로 청소 대상 부위에 당접시키고, 또한 적절한 브러싱압이 되도록 힘을 헤드부(2)에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네크부(4)가 네크부 후단(P2)부터 네크부 선단(P1)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네크부(4) 전체가 낭창낭창하게 휘어, 청소 대상 부위에 걸리는 압력을 보다 적절하게 완화하여, 브러싱압을 보다 적절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에 의하면, 네크부는, 헤드부측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네크부를 가늘게 하여도, 높은 청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부의 단면 윤곽이 개략 진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부의 단면 윤곽이 타원형이라도 좋다. 원형부의 단면 윤곽은, 칫솔의 기능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다 부드러운 닿는 느낌의 칫솔을 얻기 위해서는, 원형부의 단면 윤곽을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브러싱압을 보다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4각형부의 단면 윤곽이 개략 정방형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4각형부의 단면 윤곽이 장방형이라도 좋다. 4각형부의 단면 윤곽은, 칫솔의 기능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다 부드러운 닿는 느낌의 칫솔을 얻기 위해서는, 4각형부의 단면 윤곽을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브러싱압을 보다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4각형부의 단면 윤곽은, 정부에 곡선의 모서리 잘려짐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정부에 모서리 잘려짐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단, 청소시에 4각형부가 진 등에 있어서 생기는 위화감을 완화한 관점에서, 정부에 곡선의 모서리 잘려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각형부의 단면 윤곽이 개략 6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부의 단면 윤곽이 개략 5각형, 개략 8각형 등, 개략 6각형 이외의 개략 다각형이라도 좋다. 개략 5각형, 개략 8각형 등의 개략 다각형이란, 개략 4각형 및 개략 6각형과 마찬가지, 정부가 곡선으로 모서리가 잘려진 형상을 포함한 개념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각형부의 단면 윤곽은, 표면 및 이면에 정부가 위치하지 않고, 능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즉, 표면 및 이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표면 및 이면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능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다각형부를 두께방향으로만 휘기 쉬워지도록 하는 관점에서, 다각형부의 표면 및 이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네크부 선단의 단면 윤곽이 개략 진원형으로 되고, 네크부 선단을 포함하는 영역에 원형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네크부 선단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되고, 네크부 선단부터 이간한 위치에 원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대해 보다 적절하게 당접시키는 관점에서는, 네크부 선단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네크부 후단의 단면 윤곽이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6각형으로 되고, 네크부 후단을 포함하는 영역에 다각형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부가 네크부 후단부터 이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네크부의 휘는 량을 보다 적절하게 규제하는 관점에서는, 네크부 후단의 단면 윤곽이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6각형이라고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네크부가 네크부 선단부터 네크부 후단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네크부가 네크부 선단부터 네크부 후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는 것이라도 좋고, 네크부 선단부터 네크부 후단에 걸쳐서 개략 동등한 지름이라도 좋다. 거의 동등한 지름이란, 지름이 -15% 내지 15% 정도의 벗어남을 허용한 표현이고, 그 벗어남은 -1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브러싱압을 보다 적절하게 완화하는 관점에서, 네크부는 네크부 선단부터 네크부 후단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부는, 네크부 후단보다도 가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핸들부가 네크부 후단에 대해 확경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부의 단면 윤곽은, 네크부 후단의 단면 윤곽과 개략 상사형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핸들부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식모부가 모속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연질 수지로 형성된 원주형상, 각주형상 등의 부재가 입설(立說)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례
이하, 실험례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험례 1 내지 6)
표 1의 사양에 따라, 도 1a 및 도 1b와 마찬가지의 칫솔을 제작하였다. 각 예의 칫솔은, 핸들체의 길이(L1) : 185㎜, 핸들체 선단부터 네크부 후단까지의 길이(L2) : 75㎜, 헤드부의 길이(L3) : 29㎜, 헤드부의 폭(W1) : 9.7㎜였다. 헤드부에는, 굵기 7.5mil의 용모(PBT제) 23개를 묶어 모속으로 하고, 이 모속을 도 1a에 도시하는 식모 패턴으로 식설하여, 식모부를 마련하였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꺾임 강도, 구강 내 조작성 및 피트감(感)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중의 A-A 단면은, 도 1b의 A-A 단면과 마찬가지로 네크부 선단의 단면이고, 표 중의 C-C 단면은, 도 1b의 C-C 단면과 마찬가지로 네크부 후단의 단면이다. 표 중 B-B 단면은, 핸들체 선단부터 핸들체 후단을 향하는 60㎜의 위치에서의 단면이다.
(평가 방법)
<꺾임 강도>
식모면을 연직 상방으로 하고, 네크부 후단을 고정구로 파지하고, 식모면에 대해 2㎏의 하중을 연직하방으로 걸어, 네크부 및 헤드부에 균열, 갈라짐, 백화(白化) 등의 손상이 보여지지 않는 경우를 「A」, 네크부 또는 헤드부에 균열, 갈라짐 또는 백화 등의 손상이 보여진 경우를 「C」로 하였다.
<구강 내 조작성>
10인의 모니터가 구강 내를 청소하고, 각 예의 칫솔의 조작성에 관해 평가하였다. 조작성의 평가는, 1점 내지 7점의 7단계로 되고, 조작성이 양호하다고 느낀 것일수록, 높은 점수로 되어 있다. 10인의 모니터의 평균점을 하기 판정 기준으로 분류하고, 구강 내 조작성을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S : 평균점이 5점 이상.
A : 평균점이 4점 이상 5점 미만.
B : 평균점이 3점 이상 4점 미만.
C : 평균점이 3점 미만.
<피트감>
10인의 모니터가 구강 내를 청소하고, 각 예의 칫솔의 피트감에 관해,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10인의 모니터의 평균점을 하기 판정 기준으로 분류하고, 피트감을 판정하였다. 피트감의 평가가 높을수록, 식모부가 청소 대상 부위에 적절한 상태로 당접하고, 또한 브러싱압이 적절하고, 청소 효과가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평가 기준≫
3점 : 구강 내의 요철에 맞추고, 모속이 적당한 탄력으로 당접하는 감촉을 매우 느낀다.
2점 : 구강 내의 요철에 맞추고, 모속이 적당한 탄력으로 당접하는 감촉을 느낀다.
1점 : 구강 내의 요철에 맞추고, 모속이 적당한 탄력으로 당접하는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0점 : 구강 내의 요철에 맞추고, 모속이 적당한 탄력으로 당접하는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판정 기준≫
S : 평균점이 2.5점 이상.
A : 평균점이 2점 이상 2.5점 미만.
B : 평균점이 1.5점 이상 2점 미만.
C : 평균점이 1.5점 미만.
[표 1]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와 같이, A-A 단면을 직경 3 내지 3.5㎜의 개략 진원형으로 한 실험례 1 내지 2는, 모두 피트감이 양호하였었다.
실험례 1 내지 2와 실험례 4 내지 5와의 비교로부터, 굽힘탄성률 2000㎫ 이상의 수지로 핸들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A-A 단면을 직경 3.0 내지 4.0㎜로 함으로써, 피트감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알았다.
한편, 네크부의 형상을 네크부 선단부터 차례로 개략 진원형으로부터 타원형으로 변화시킨 실험례 3은, 피트감이 「C」이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네크부를 가늘게 하여도, 피트감을 높이고,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알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네크부는, 헤드부측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상기한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상기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되기 때문에, 네크부를 가늘게 하여도,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상기한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은, 임의의 한 변이 상기 네크부의 표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임의의 한 변에 대향하는 변이 상기 네크부의 이면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싱압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기 때문에, 보다 낭창낭창하게 네크부가 휘어, 브러싱압을 보다 적절하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1 : 칫솔
2 : 헤드부
4 : 네크부
6 : 핸들부
10 : 핸들체
40 : 원형부
42 : 4각형부
44 : 다각형부
50 : 정부
52 : 상변
54 : 하변

Claims (3)

  1.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설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단면 윤곽이 변화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의 단면 윤곽이 개략 원형으로 되고, 상기한 개략 원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 이면 및 측면에서 각 변이 형성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으로 되고, 또한 상기한 개략 4각형의 단면 윤곽이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양측면에 정부가 위치하여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두께방향으로 편평한 개략 다각형은, 임의의 한 변이 상기 네크부의 표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임의의 한 변에 대향하는 변이 상기 네크부의 이면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헤드부측부터 상기 핸들부측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47012644A 2011-12-07 2012-12-06 칫솔 KR101971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7939 2011-12-07
JP2011267939A JP5806922B2 (ja) 2011-12-07 2011-12-07 歯ブラシ
PCT/JP2012/081695 WO2013085006A1 (ja) 2011-12-07 2012-12-06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191A true KR20140107191A (ko) 2014-09-04
KR101971310B1 KR101971310B1 (ko) 2019-04-22

Family

ID=4857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644A KR101971310B1 (ko) 2011-12-07 2012-12-06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06922B2 (ko)
KR (1) KR101971310B1 (ko)
CN (1) CN103957744B (ko)
TW (1) TWI520696B (ko)
WO (1) WO20130850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550A (ko) * 2016-03-09 2018-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KR20200106227A (ko) * 2016-03-09 2020-09-1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643A (ko) 2014-03-14 2016-11-2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용 핸들체, 칫솔, 및 칫솔용 핸들체의 제조방법
JP2016010511A (ja) * 2014-06-27 2016-01-21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1449408B (zh) * 2014-09-01 2023-09-08 狮王株式会社 牙刷
SG10202008599VA (en) * 2016-03-09 2020-10-29 Lion Corp Toothbrush
JP6691423B2 (ja) * 2016-04-08 2020-04-28 利弘 岩▲崎▼ あやつり歯ブラシ
JP6970491B2 (ja) * 2016-06-02 2021-11-2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914024B2 (ja) * 2016-10-28 2021-08-0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および歯ブラシ製造方法
WO2018079115A1 (ja) * 2016-10-28 2018-05-0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09890247B (zh) * 2016-10-28 2021-11-26 狮王株式会社 牙刷
EP3387946B1 (en) * 2017-04-10 2023-05-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EP3387947B1 (en) 2017-04-10 2019-12-11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JP7050427B2 (ja) * 2017-05-26 2022-04-08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6983568B2 (ja) * 2017-07-31 2021-12-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9030583A (ja) * 2017-08-09 2019-0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190872B2 (ja) * 2018-11-08 2022-12-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0185447A (ja) * 2020-08-07 2020-11-19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306A (en) 1987-08-06 1989-02-13 Rion Co Vibration controller
JPH0515411A (ja) * 1991-07-12 1993-01-26 Lion Corp 歯ブラシ
KR19990077141A (ko) * 1996-01-10 1999-10-25 만프레트 쉐스케 칫솔
JP2002028028A (ja) * 2000-07-14 2002-01-29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JP2008005967A (ja) * 2006-06-28 2008-01-17 Univ Nihon 歯ブラシ
JP2011036628A (ja) 2009-08-17 2011-02-24 Tokio Nakata 歯ブラシの首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87430Y (zh) * 1997-01-23 1998-08-12 王诚实 牙刷
FR2768908A1 (fr) * 1997-10-01 1999-04-02 David Ohnona Brosse a dents circulai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306A (en) 1987-08-06 1989-02-13 Rion Co Vibration controller
JPH0515411A (ja) * 1991-07-12 1993-01-26 Lion Corp 歯ブラシ
KR19990077141A (ko) * 1996-01-10 1999-10-25 만프레트 쉐스케 칫솔
JP2002028028A (ja) * 2000-07-14 2002-01-29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JP2008005967A (ja) * 2006-06-28 2008-01-17 Univ Nihon 歯ブラシ
JP2011036628A (ja) 2009-08-17 2011-02-24 Tokio Nakata 歯ブラシの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550A (ko) * 2016-03-09 2018-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KR20200106227A (ko) * 2016-03-09 2020-09-1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8632A (zh) 2013-07-16
JP5806922B2 (ja) 2015-11-10
TWI520696B (zh) 2016-02-11
JP2013118944A (ja) 2013-06-17
CN103957744A (zh) 2014-07-30
WO2013085006A1 (ja) 2013-06-13
CN103957744B (zh) 2016-01-27
KR101971310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310B1 (ko) 칫솔
JP5785820B2 (ja) 歯ブラシ
JP5415293B2 (ja) ヘアケア装置
WO2017155039A1 (ja) 歯ブラシ
KR102183114B1 (ko) 칫솔
KR102237310B1 (ko) 칫솔
CN109890249B (zh) 牙刷
JP7086002B2 (ja) 歯ブラシ
KR20150014912A (ko) 칫솔
WO2017155045A1 (ja) 歯ブラシ
KR101477326B1 (ko) 칫솔
JP7433310B2 (ja) 歯ブラシ
KR20190011712A (ko) 칫솔
KR102658490B1 (ko) 칫솔
TWI840807B (zh) 牙刷
JP7285832B2 (ja) 歯ブラシ
CN111093430B (zh) 牙刷
JP6452220B2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