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954A - 동력제초기 - Google Patents
동력제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6954A KR20140106954A KR1020130021304A KR20130021304A KR20140106954A KR 20140106954 A KR20140106954 A KR 20140106954A KR 1020130021304 A KR1020130021304 A KR 1020130021304A KR 20130021304 A KR20130021304 A KR 20130021304A KR 20140106954 A KR20140106954 A KR 201401069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everse
- shaft
- power
- backw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제초기를 전,후진시키는 동작을 전진변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진과 후진작동을 한번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장애물을 만난 상태에서 전,후진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전달받아 구동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초작업 할 수 있도록 제초기미션으로 연결되고 하방에 제초날을 가지고 설치되는 제초프레임과, 상기 제초프레임의 상방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바퀴프레임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동력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는 핸들에 장착되는 동력절환부와, 상기 트랜스미션 내부에서 동력절환부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변속부를 개선하여 동력절환부의 선택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작동이 변속레버의 조작 없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전달받아 구동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초작업 할 수 있도록 제초기미션으로 연결되고 하방에 제초날을 가지고 설치되는 제초프레임과, 상기 제초프레임의 상방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바퀴프레임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동력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는 핸들에 장착되는 동력절환부와, 상기 트랜스미션 내부에서 동력절환부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변속부를 개선하여 동력절환부의 선택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작동이 변속레버의 조작 없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력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동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초기의 회전 관성력이 바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선한 클러치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제초장치는 전,답지에 자라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배하는 작물이나 과수와 함께 성장하면서 작물 또는 과수목이 섭취하여야 할 영양분을 빼앗아가고, 작물보다 크게 성장한 경우에는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잡초를 제거하게 된다.
물론, 잡초에 작물의 성장에 유해한 병,해충이 서식함으로써 작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잡초로 인하여 전,답지의 환경이 좋지 않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통상적인 보행형 제초장치는 종래에도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특허(제 823426 호)를 받은 바 있으며 이의 기술내용을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행형 제초장치(30)는 엔진(31)을 장착한 프레임(32)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취출되는 동력은 바퀴(33)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트랜스미션(34)과 제초기(35)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초기미션(36)으로 전달된다.
상기 프레임(32)의 후방에는 관리기 조작을 위한 레버를 가지는 핸들(37)이 연결되고, 상기 핸들(37)의 전방에는 엔진(31)의 동력을 제어하여 트랜스미션(34)과 제초기미션(36)으로 전달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메인클러치(38)가 구비된다.
상기 제초기미션(36)의 상부에는 제초기(35)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의 전달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제초클러치(4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행형 제조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핸들에 구비되는 메인클러치와 연결된 제초기미션을 조작하여 전진과 후진을 선택하여 작업지의 위치에 맞게 제초장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제초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제초장치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장애물이 없는 평지에서의 작업도 있으나 제방이나 논둑과 밭둑 또는 과수원의 경우에는 과수목이 심어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장애물을 만나게 될 경우에는 제초장치를 조작시켜 전진 또는 후진을 반복하여 장애물에 근접한 초목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초장치가 장애물과 근접하게 되면 정지시키고 다시 장애물을 벗어나기 위하여 후진시키는 동작을 취하여야 하는 데, 정지동작을 위한 조작을 먼저 수행한 후 다시 후진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제초장치를 제어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특히 제초장치의 전진과 후진을 위한 조작은 핸들에 설치되는 메인클러치를 이용하면서 속도도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제초장치의 동력절환은 제초기미션에 별도로 구비되는 제초클러치를 이용하여 조작하여야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핸들이 있는 위치에서 제초장치의 전방 근처에 있는 제초클러치를 바로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핸들에 설치되는 메인클러치를 조작한 후 이동하여 제초클러치를 조작하고, 다시 핸들 방향으로 이동한 후 메인클러치를 조작하여 제초장치를 움직이도록 하기 때문에 장애물을 만났을 경우 신속하게 제초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짧은 거리에서 제초장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작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제초과정에서 장애물을 만난 상태에서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제초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고령자가 제초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미처 대응하지 못하고 제초장치와 부딪쳐 넘어지거나 제초장치에 의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전달받아 구동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초작업 할 수 있도록 제초기미션으로 연결되고 하방에 제초날을 가지고 설치되는 제초프레임과, 상기 제초프레임의 상방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바퀴프레임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동력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는 핸들에 장착되는 동력절환부와, 상기 트랜스미션 내부에서 동력절환부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변속부를 개선하여 동력절환부의 선택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작동이 변속레버의 조작 없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동력제초기를 전,후진시키는 동작을 전진변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진과 후진작동을 한번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장애물을 만난 상태에서 전,후진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초장치의 핸들에 설치되는 동력절환부와 변속부를 개선하여 한번의 조작으로 전진작동과 후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이용자들이 제초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전하게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초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동력제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중립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전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후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변속부를 발췌한 전진상태의 동력전달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변속부를 발췌한 후진상태의 동력전달 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중립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전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후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변속부를 발췌한 전진상태의 동력전달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변속부를 발췌한 후진상태의 동력전달 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동력제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중립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전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동력절환부를 발췌한 후진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변속부를 발췌한 전진상태의 동력전달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용 변속부를 발췌한 후진상태의 동력전달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동력제초기(100)는, 엔진(101)을 장착한 프레임(102)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101)으로부터 취출되는 동력은 트랜스미션(103)을 통하여 바퀴(104)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2)의 전방에는 엔진(101)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초기미션(105)으로 연결되는 제초프레임(106)이 설치되고, 상기 제초프레임(106)의 하방에는 제초작업을 위한 제초날이 장착된다.
상기 제초프레임(106)의 상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보조바퀴프레임(107)을 돌출시키고, 상기 보조바퀴프레임(107)의 끝단에는 지면과 연접되어 제초날이 지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바퀴(108)를 장착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2)의 후방에 설치되는 핸들(109)에 장착되는 동력절환부(110)와 상기 트랜스미션(103) 내부에서 동력절환부(110)와 연결되어 엔진(101)의 동력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변속부(111)를 개선하여 동력절환부(110)의 선택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절환부(110)는, 핸들(109)에 고정되는 절환커버(112)의 전방에 회전 자유롭게 절환축(113)을 고정하고, 상기 절환축(113)에는 절환축(113)에 대하여 축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절환하우징(114)의 상방으로는 엔진(101)의 동력을 중립상태, 전진상태 또는 후진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절환손잡이(115)를 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한다.
상기 절환하우징(114)에 고정된 절환손잡이(115)의 좌측(동력제추기의 핸들을 후방, 제초프레임을 전방으로 보았을 때)에는 전방으로 만곡된 원호형상의 전진작동레버(116)의 상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절환손잡이(115)와 전진작동레버(116) 사이에는 후진작동레버(117)를 고정한다.
상기 절환축(113)의 후방 하측 위치의 절환커버(112)에 고정되는 작동축(118)에는 작동하우징(119)을 결합하고, 상기 작동하우징(119)의 중앙에는 변속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 경우 급발진하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손잡이(120)에 의하여 시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엔진에 구비되는 안전스위치와 상측 전방에 형성되는 와이어홀(121)과 안전와이어(122)로 연결되는 안전레버(123)를 고정한다.
상기 안전레버(122)의 하방 중앙에는 전진작동레버(116)의 하단에 고정되는 전진작동핀(124)과 결합되어 전진작동레버(116)에 의하여 안전레버(123)가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전진작동홈(125)을 형성하고, 상기 전진작동홈(125)의 하방으로는 전진작동핀(124)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진입유도면(126)을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전진작동홈(125)의 후방에는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벨트클러치레버(127)의 후단부를 힌지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벨트클러치레버(127)의 선단에 형성되는 와이어홀(128)에는 벨트클러치와이어(129)를 연결하여 벨트클러치를 전진 또는 후진작동시 작동시켜 제초프레임(10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안전레버(123)의 우측에는 후진작동캠(130)을 구비하여 후진작동레버(117)에 의하여 변속부(111)를 후진상태로 전환하면서 벨트클러치레버(126)를 동시에 작동시켜 동력제초기(100)가 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진작동레버(117)는, 후미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끝단에 작동핀(131)을 가지는 1후진레버(132)와, 후미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2후진레버(133)로 구성한다.
상기 후진작동캠(130)은, 변속부(111)의 후진포크를 작동시키는 변속캠(135)과, 안전레버(12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벨트클러치레버(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러치캠(136)으로 구성한다.
상기 변속캠(135)은, 개략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캠바디(137)의 전방 상측에는 1후진레버(132)의 작동핀(131)에 의하여 눌러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압유도암(138)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유도암(138)의 후방에는 하향 요입된 가압홈(139)을 형성하여 작동핀(131)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눌어지도록 한다.
상기 캠바디(137)의 하방에는 변속부(111)의 후진포크와 후진와이어(140)로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홀(141)을 형성하여 1후진레버(132)에 의하여 변속캠(135)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변속부(111)를 후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 등을 개재하여 복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클러치캠(136)은, 안전레버(123)의 우측위치에 작동하우징(119)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클러치캠바디(145)를 돌출시키고, 상기 클러치캠바디(145)의 전방에는 2후진레버(133)에 의하여 눌러져 안전레버(123)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핀(146)을 고정하고, 상기 클러치캠바디(145)의 후방에는 2후진레버(133)에 의하여 밀어져 안전레버(123)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핀(147)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속부(111)는, 엔진(101)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50)을 후진축(151)과 전진축(152)으로 분리하여 후진축(151)과 전진축(152)의 외면에는 스플라인(153)을 형성한다.
상기 전진축(152)에는 입력축(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속축(154)에 결합되고 변속레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진포크(155)에 의하여 전진기어(156)를 전진1속, 중립 또는 전진2속으로 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진축(151)에는 후진기어(157)를 결합하여 변속축(154)에 결합되고 변속캠(135)과 후진와이어(140)로 연결되는 후진포크(160)에 의하여 전진과 중림시에는 후진축(151)과 전진축(152) 중간에 위치하여 입력축(150) 전체를 회전시키고 후진작동시에는 후진축(151)으로 이동하여 전진축(152)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력제초기(100)의 동력절환부(110)와 변속부(111)에 의하여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립상태에서는, 절환손잡이(115)를 절환커버(112)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전진작동레버(116)와 안전레버(123)는 하향된 상태를 유지하고, 변속캠(135)은 가압유도암(138)은 전방으로 캠바디(137)는 하향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안전레버(123)의 하방과 연결된 벨트클러치레버(127)는 하방으로 내려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벨트클러치레버(127)가 하향되어 벨트클러치레버(127)와 연결된 벨트클러지와이어(129)가 이완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변속부(111)의 전진포크(154)가 1속 또는 2속 결합 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조기미션(105)으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물론 동력제초기(10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변속레버를 조작함으로서 전진포크(154)가 전진기어(151)를 접속시켜 전진 1단 또는 전진 2단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전진상태에서 제초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지로 이동한 후 제초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진기어(151)가 접속된 상태에서 절환손잡이(115)를 전진위치로 전환하면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절환손잡이(115)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절환축(113)을 기점으로 절환하우징(114)이 함께 절환손잡이(115)를 따라 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환하우징(114)에 결합된 전진작동레버(116)는 절환축(113)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전진작동레버(116)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진작동핀(124)이 안전레버(123)의 하방 중앙에 형성되는 전진작동홈(125)으로 진입한 후 전진작동레버(116)가 회동하는 힘에 의하여 안전레버(123)를 작동축(118)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안전레버(123)의 회동으로 전진작동핀(124)의 후방에 힌지핀으로 연결된 벨트클러치레버(127)가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벨트클러치레버(127)의 선단에 형성된 와이어홀(128)과 벨트클러치와이어(129)로 연결된 벨트클러치가 당겨져 제조기미션(105)을 구성하는 벨트를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므로 제초프레임(106)으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속레버에 의하여 전진상태에 있으면서 벨트클러치레버(127)를 통하여 엔진(101)의 동력이 제초기미션(105)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동력제초기(100)는 전진하면서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진하면서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을 만날 경우에는 후진작동시켜 동력제초기(100)를 후진시키면서 제초기미션(105)으로 동력은 계속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된다.
후진상태에서 제초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환손잡이(115)를 전진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이동시키면, 절환손잡이(115)와 연결된 전진작동레버(116)는 전방으로 회동하고, 후진작동레버(117)가 후방으로 하향되게 회동하여 변속캠(135)을 작동시켜 변속부(111)를 후진변속하게 하고, 클러치캠(136)을 작동시켜 안전레버(123)를 움직여 벨트클러치레버(127)를 움직여 후진하면서 제초기미션(105)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절환손잡이(115)를 전진시키면 후진작동레버(117)를 구성하는 1후진레버(132)가 먼저 변속캠(135)을 가압하여 회동시키고 그 후에는 2후진레버(133)가 클러치캠(136)을 가압하여 클러치캠(136)과 연결된 안전레버(123)를 전진시와 마찬가지로 작동축(118)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변속캠(135)이 후방으로 회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1후진레버(132)의 하단에 고정된 작동핀(131)이 1후진레버(132)의 회동으로 변속캠(135)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가압유도암(138)에 형성되는 가업홈(139)과 연접되면서 변속캠(135)을 물러 회동시키게 되고, 변속캠(135)을 구성하는 캠바디(147)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홀(141)에 연결된 후진와이어(140)가 당겨지게 된다.
그러면 후진와이어(140)는 변속부(111)의 후진포크(160)와 연결된 상태에서 후진포크(160)를 중립위치에서 후진축(151)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후진포크(160)와 연결된 후진기어(157)는 중립위치에 있지 않고 후진축(151) 방향으로 완전하게 이동하게 되므로 입력축(150)을 구성하는 후진축(151)은 회전하고 후진축(151)의 후방에 결합된 전진축(152)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전진기어(156)가 접속된 상태에 있더라도 후진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후진작동이 됨과 동시에 클러치캠(136)의 상부 전방에 고정된 회동핀(146)을 클러치캠(136)이 가압하여 회동시키므로 이와 연결된 안전레버(123)가 작동축(118)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안전레버(123)가 회동하면 안전레버(123)의 하방에 연결된 벨트클러치레버(127)가 상승되면서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제초기미션(105)의 벨트클러치를 긴장되게 하므로 제초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환손잡이(115)를 중립 또는 전진위치로 전환할 경우에는 2후진레버(133)가 클러치캠(136)의 상방 후미에 고정된 복귀핀(147)을 밀어주게 되므로 클러치캠(136)과 이와 연결된 안전레버(123)가 복귀하게 되고, 안전레버(123)와 연결된 벨트클러치레버(127)도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동력제초기를 전,후진시키는 동작을 전진변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진과 후진작동을 한번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장애물을 만난 상태에서 전,후진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동력제초기 101; 엔진 110; 동력절환부
111; 변속부 113; 절환축 115; 절환손잡이
116; 전진작동레버 117; 후진작동레버
123; 안전레버 124; 전진작동핀 125; 전진작동롬
126; 진입유도면 127; 벨트클러치레버
130; 후진작동캠 132; 1후진레버 133; 2후진레버
135; 변속캠 136; 클러치캠 138; 가압유도암
139; 가압홈 146; 회동핀 147; 복귀핀
150; 입력축 15l; 후진축 152; 전진축
153; 스플라인 155; 전진포크 160; 후진포크
111; 변속부 113; 절환축 115; 절환손잡이
116; 전진작동레버 117; 후진작동레버
123; 안전레버 124; 전진작동핀 125; 전진작동롬
126; 진입유도면 127; 벨트클러치레버
130; 후진작동캠 132; 1후진레버 133; 2후진레버
135; 변속캠 136; 클러치캠 138; 가압유도암
139; 가압홈 146; 회동핀 147; 복귀핀
150; 입력축 15l; 후진축 152; 전진축
153; 스플라인 155; 전진포크 160; 후진포크
Claims (6)
- 프레임에 장착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전달받아 구동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초작업 할 수 있도록 제초기미션으로 연결되고 하방에 제초날을 가지고 설치되는 제초프레임과;
상기 제초프레임의 상방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바퀴프레임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동력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는 핸들에 장착되는 동력절환부와;
상기 트랜스미션 내부에서 동력절환부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변속부를 개선하여 동력절환부의 선택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작동이 변속레버의 조작 없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제초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환부는, 핸들에 고정되는 절환커버의 전방에 고정되는 절환축에 축회전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방으로 중립, 전진 및 후진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절환손잡이를 고정하는 절환하우징과;
상기 절환손잡이의 좌측에 고정하는 원호형상의 전진작동레버와;
상기 절환손잡이와 전진작동레버 사이에 고정하는 후진작동레버와;
상기 절환축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작동축에 결합되는 작동하우징과;
상기 작동하우징의 중앙에 변속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 경우 급발진하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손잡이에 의하여 시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엔진의 안전스위치와 안전와이어로 연결되는 안전레버와;
상기 안전레버의 하방 중앙에 형성하여 전진작동레버의 하단에 고정되는 전진작동핀과 결합되어 전진작동레버에 의하여 안전레버가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진작동홈과;
상기 전진작동홈의 하방에 전진작동핀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진입유도면과;
상기 전진작동홈의 후방에 하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단부가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벨트클러치레버와;
상기 벨트클러치레버의 선단에 형성되는 와이어홀과 제초기미션의 벨트클러치를 연결하여 벨트클러치를 긴장 또는 이완시켜 동력전달 여부를 선택하는 벨트클러치와이어와;
상기 안전레버의 우측에 설치하여 후진작동레버에 의하여 변속부를 후진상태로 전환하면서 벨트클러치레버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후진작동캠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제초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후진축과 전진축으로 분리하고 후진축과 전진축의 외면세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입력축과;
상기 전진축에 결합되어 입력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속축에 결합되고 변속레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진포크에 의하여 전진1속, 중립 또는 전진2속으로 변속하는 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에 결합하여 변속축에 결합되고 변속캠과 후진와이어로 연결되는 후진포크에 의하여 전진과 중림시에는 후진축과 전진축 중간에 위치하여 입력축 전체를 회전시키고 후진작동시에는 후진축으로 이동하여 후진축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후진기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제초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작동레버(117)는, 후미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끝단에 작동핀(131)을 가지는 1후진레버(132)와, 후미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2후진레버(133)로 구성한다.
상기 후진작동캠(130)은, 변속부(111)의 후진포크를 작동시키는 변속캠(135)과, 안전레버(12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벨트클러치레버(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러치캠(136)으로 구성한다 동력제초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캠은,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캠바디의 전방 상측에는 1후진레버의 작동핀에 의하여 눌러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압유도암과;
상기 가압유도암의 후방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작동핀에 의하여 눌려지는 가압홈과;
상기 캠바디의 하방에 변속부의 후진포크와 후진와이어로 연결하여 1후진레버에 의하여 변속캠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변속부를 후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제초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캠은, 안전레버의 우측위치에 작동하우징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클러치캠바디와;
상기 클러치캠바디의 전방에 고정하여 2후진레버에 의하여 눌러져 안전레버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핀과;
상기 클러치캠바디의 후방에 고정하여 2후진레버에 의하여 밀어져 안전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제초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304A KR101457343B1 (ko) | 2013-02-27 | 2013-02-27 | 동력제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304A KR101457343B1 (ko) | 2013-02-27 | 2013-02-27 | 동력제초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6954A true KR20140106954A (ko) | 2014-09-04 |
KR101457343B1 KR101457343B1 (ko) | 2014-11-03 |
Family
ID=5175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1304A KR101457343B1 (ko) | 2013-02-27 | 2013-02-27 | 동력제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734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51775A (zh) * | 2018-01-24 | 2018-09-21 | 中国农业大学 | 一种双边立式自动避障株间除草机 |
CN108770389A (zh) * | 2018-07-24 | 2018-11-09 | 宁夏农林科学院枸杞工程技术研究所 | 枸杞专用液电避让锄草系统 |
KR20200038932A (ko) | 2017-08-09 | 2020-04-14 |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19290B2 (ja) | 1999-06-07 | 2009-08-26 |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 小型乗用作業機 |
KR20060074914A (ko) * | 2006-03-06 | 2006-07-03 | 이석중 | 예초기 |
-
2013
- 2013-02-27 KR KR1020130021304A patent/KR10145734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8932A (ko) | 2017-08-09 | 2020-04-14 |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
CN108551775A (zh) * | 2018-01-24 | 2018-09-21 | 中国农业大学 | 一种双边立式自动避障株间除草机 |
CN108551775B (zh) * | 2018-01-24 | 2023-11-10 | 中国农业大学 | 一种双边立式自动避障株间除草机 |
CN108770389A (zh) * | 2018-07-24 | 2018-11-09 | 宁夏农林科学院枸杞工程技术研究所 | 枸杞专用液电避让锄草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7343B1 (ko) | 2014-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3751B2 (ja) | 作業機 | |
KR101457343B1 (ko) | 동력제초기 | |
US20030230416A1 (en) | Hand control mechanism to produce a selectively changeable effect on a continously variable input shaft | |
KR200381996Y1 (ko) |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 |
CN103477737A (zh) | 轴传动除草松土机 | |
JP5681821B2 (ja) | コンバイン | |
US5002519A (en) | Dual tension clutch | |
KR102573116B1 (ko) | 작업기 | |
JP2004105021A (ja) | コンバインの操作構造 | |
JP2017175984A (ja) | 歩行型草刈機 | |
JP6992963B2 (ja) | 農作業機用制御装置および草刈り機 | |
JP7012370B2 (ja) | 管理機及び圃場管理方法 | |
KR200333588Y1 (ko) | 콩작물의 절단기능 및 유도기능을 갖는 예취기 | |
JP3667450B2 (ja) | 走行式芋蔓処理機の芋蔓切断装置 | |
JP3549459B2 (ja) | 根菜類収穫機 | |
JP2002125427A (ja) | フィルム巻取機構付作物収穫機 | |
JP5648585B2 (ja) | 移植機 | |
JP2007202410A (ja) | 除草機 | |
JP2006191861A (ja) | トラクター牽引式芝生はぎ取り機 | |
KR0130401Y1 (ko) | 비닐제거 기능을 갖는 감자 수확용 예취장치 | |
JP2004073115A (ja) | 収穫機などの縦向き茎葉引起こし装置 | |
JP3667438B2 (ja) | 走行式芋蔓処理機 | |
JP2022175928A (ja) | 収穫機 | |
JP4340594B2 (ja) | 歩行型作業車両 | |
JPH11196644A (ja) | 根菜作物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