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708A -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708A
KR20140105708A KR1020147000585A KR20147000585A KR20140105708A KR 20140105708 A KR20140105708 A KR 20140105708A KR 1020147000585 A KR1020147000585 A KR 1020147000585A KR 20147000585 A KR20147000585 A KR 20147000585A KR 20140105708 A KR20140105708 A KR 2014010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iper
pair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204B1 (ko
Inventor
신이치로우 아마노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91Additional elements being fixed on wipers or parts of wip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vers, antennae o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6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or holes in, the side walls to create a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Ink Jet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요크 레버(23)는, 상벽(23a)과 상벽(23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3b)을 갖는다. 상벽(23a)에는 긴 구멍(23d)이 형성되며, 측벽(23b)에는 회동 피연결부(23e)가 형성된다. 세컨더리 레버(22)는, 그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긴 구멍(23d)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조립되는 삽입 연결부(22b)를 갖는다. 삽입 연결부(22b)는, 요크 레버(23)의 측벽(23b)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그들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의 삽입 통부(22e)와,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돌출하여 회동 피연결부(23e)에 회동이 허용되어 걸어맞춰지는 회동 연결부(22f)을 갖는다.

Description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WIPER, WIPER LEVER ASSEMBLY, AND WIPER BLADE}
본 발명은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로서는, 상위의 레버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에 대하여 하위의 레버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토너먼트표 형상으로 구성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 그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파지되는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로서는, 상위의 레버의 단면(斷面)이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립 시에는, 상위의 레버의 양단 개방측을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시켜서 하위의 레버를 끼우도록 하여 조립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소59-213547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조립 시에, 상위의 레버의 양단 개방측을 크게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위의 레버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커져 버려 있었다. 또한, 이것은,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외견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와이퍼 암(arm)으로부터의 압압력(押壓力)은, 상위의 레버로부터 하위의 레버에 대하여 서로 회동 연결되는 회동 축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회동 축에 압압력이 작용하면서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가 서로 회동한다. 그 때문에 회동 축이 마모되기 쉬워 내구성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높이를 억제하여 외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한 와이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와이퍼는, 복수의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와이퍼로서,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레버는 조립측 단부(端部)와 한 쌍의 측벽을 갖는다. 상기 조립측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의 양 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각각 상기 양 측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측 단부는 연결 부위를 갖고 있고, 당해 연결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각각에는 회동 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레버는 상하 방향의 상기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긴 구멍에 조립된다. 상기 삽입 연결부는 삽입 통부와 회동 연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삽입 통부는 상기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과 그들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부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대응하는 상기 회동 피연결부에 걸어맞춰진다.
동 구성에 따르면, 제 1 레버의 삽입 연결부는, 제 2 레버의 한 쌍의 측벽의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과 그들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제 1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의 삽입 통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삽입 연결부의 한 쌍의 대향 측벽은 자신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하여 그 길이 방향 중앙부가 크게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한 쌍의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크게 휘게 하여 당해 부분으로부터 돌출한 회동 연결부를 돌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시키면서, 삽입 연결부를 제 2 레버의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하여, 회동 연결부를 제 2 레버의 회동 피연결부에 걸어맞춤시킴(상기 휘게 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 연결부의 한 쌍의 대향 측벽은 자신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하여 그 길이 방향 중앙부(회동 연결부)가 크게 휘기 쉬워지므로, 크게 휘게 하여 조립하기 위하여 높이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와이퍼의 높이를 억제하여, 예를 들면, 외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삽입 연결부(삽입 통부)의 한 쌍의 대향 측벽은 자신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하여 제 2 레버의 한 쌍의 측벽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범위가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레버에 대한 제 2 레버의 불식(拂拭)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레버와 제 2 레버 사이에 불식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한 쌍의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회동 연결부)에 국소적으로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당해 길이 방향 중앙부가 크게 휘어져 버려 제 1 레버로부터 제 2 레버가 빠져 버리는 것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대향 측벽의 각각에서의 상기 회동 연결부의 양 외측에,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박육부(薄肉部)가 형성된다.
동 구성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에 있어서의 회동 연결부의 양 외측에,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박육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당해 부위가 작은 힘에 의해 휘기 쉬워짐과 함께, 휨량(휨 여유), 즉, 회동 연결부가 돌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한 쌍의 대향 측벽에 있어서의 회동 연결부와 대응한 길이 방향 중앙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했을 경우에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응력이 집중해 버리지만, 그 경우에 비하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파손되기 어렵고 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연결부가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연결부의 상기 삽입 통부 내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가 끼워 넣어진다.
동 구성에 따르면, 삽입 연결부가 긴 구멍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 연결부의 삽입 통부 내에는 한 쌍의 대향 측벽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가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대향 측벽이 휘어져서 회동 연결부가 하위의 레버의 회동 피연결부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휨 규제 부재는,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의 적어도 한쪽을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에 설치된다.
동 구성에 따르면, 휨 규제 부재는,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의 적어도 한쪽을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에 설치되기 때문에, 휨 규제 부재를 케이스와 별체로 한 경우에 비하여,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휨 규제 부재가, 상기 회동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 통부 내에 끼워 넣어진다.
동 구성에 따르면, 휨 규제 부재가, 회동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삽입 통부 내에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회동 연결부와 대응한 위치의 한 쌍의 대향 측벽이 휘는 것이 방지되어, 회동 연결부가 회동 피연결부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보다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상위의 레버는 원호 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원호 지지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해 있고, 상기 원호 지지부는 상기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하위의 레버에 부가하면서 당해 하위의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동 구성에 따르면,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상위의 레버에는,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을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하위의 레버에 부가하면서 당해 하위의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호 지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회동 연결부에 의존하지 않고) 하위의 레버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위의 레버는, 항상, 상위의 레버로부터 아래쪽(불식면 방향)으로 힘(압압력)을 받지만, 그 힘을 회동 연결부에 의해 압압하는 것이 아닌,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형성된 원호 지지부에 의해 압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의 회동 연결로서 기능하는 회동 연결부 및 회동 피연결부와,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이 하위의 레버에 작용하는 부위로서 기능하는 원호 지지부가 다른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위의 레버로부터 하위의 레버에 충분한 압압력을 작용시키면서도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의 확실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의 회동 연결 부위에 있어서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레버에 대한 상기 제 2 레버의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레버에서 상기 회동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보다도 먼 위치에 폭 방향 지지부를 설치하며, 당해 폭 방향 지지부는 상기 제 2 레버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한다.
동 구성에 따르면, 제 1 레버에 있어서 상기 회동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보다도 먼 위치에는 폭 방향 지지부가 설치되며, 당해 폭 방향 지지부는 제 2 레버와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걸어맞춤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1 레버에 대한 제 2 레버의 폭 방향(불식 방향)의 헐거워짐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레버와 제 2 레버 사이에 불식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회동 연결부가 형성된 대향 측벽을 포함하는 삽입 연결부에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제 1 레버로부터 제 2 레버가 빠져 버리는 것 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레버 또는 상기 제 2 레버의 한쪽은, 다른 쪽에 맞닿아서 상기 제 1 레버에 대한 상기 제 2 레버의 회동 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를 갖는다.
동 구성에 따르면, 제 1 레버 또는 제 2 레버는, 제 1 레버에 대한 제 2 레버의 회동 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위의 레버에 대하여 하위의 레버가 필요 이상으로 회동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로크백의 해제 시(와이퍼 스트립을 불식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부터 불식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돌릴 때)에 하위의 레버가 크게 휘둘러짐으로써, 와이퍼 스트립이 불식면에 맞닿을 때의 충격이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레버는, 상위의 레버임과 함께 수지제이며, 상기 제 2 레버는, 하위의 레버임과 함께,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진 금속제이다.
동 구성에 따르면, 제 1 레버는, 상위의 레버임과 함께 수지제이기 때문에, 대향 측벽의 양호한 가요성을 확보하면서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 연결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레버는, 하위의 레버임과 함께,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진 금속제이기 때문에, 소형화(파지부의 육박화(肉薄化))를 도모하면서,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을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에는 차량 주행 시의 주행풍을 불식면(拂拭面)측에의 압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핀부가 설치된다.
동 구성에 따르면, 차량 주행 시에는, 핀부에 의해 주행풍이 불식면측에의 압압력으로 변환되어, 와이퍼 스트립이 불식면에 압압 접촉된다. 따라서, 양호한 불식 동작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연결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상기 회동 연결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삽입 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벽에서부터 상기 회동 연결부까지의 치수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다.
동 구성에 따르면, 와이퍼의 높이 방향의 치수에 영향을 주는 삽입 연결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회동 연결부까지의 치수(h)가, 와이퍼의 길이 방향의 치수에 영향을 주는 삽입 통부에 있어서의 단부벽에서부터 회동 연결부까지의 치수(w)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조립 시의 한 쌍의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휘어지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치수(w)를 크게 해도, 와이퍼의 높이 치수가 높아지는 것은 방지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는, 복수의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로서,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레버는 조립측 단부와 한 쌍의 측벽을 갖는다. 상기 조립측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각각 상기 양 측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측 단부는 연결 부위를 갖고 있고, 당해 연결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각각에는 회동 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레버는 상하 방향의 상기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긴 구멍에 조립된다. 상기 삽입 연결부는 삽입 통부와 회동 연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삽입 통부는 상기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과 그들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부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회동 축심으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상기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대응하는 상기 회동 피연결부에 걸어맞춰진다.
동 구성에 따르면,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태양의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태양에 따른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파지되는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동 구성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 2 태양의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와이퍼는, 복수의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와이퍼로서,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레버는 조립측 단부와 한 쌍의 측벽을 갖는다. 상기 조립측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의 양 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각각 상기 양 측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측 단부는 연결 부위를 갖고 있고, 당해 연결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각각에는 회동 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레버는, 상하 방향의 상기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긴 구멍에 조립됨과 함께 상기 제 2 레버의 상기 회동 피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회동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상위의 레버는 원호 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원호 지지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해 있고, 상기 원호 지지부는 상기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하위의 레버에 부가하면서 당해 하위의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동 구성에 따르면,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상위의 레버에는,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을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하위의 레버에 부가하면서 당해 하위의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호 지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회동 연결부에 의존하지 않고) 하위의 레버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위의 레버는, 항상, 상위의 레버로부터 아래쪽(불식면 방향)으로 힘(압압력)을 받지만, 그 힘을 회동 연결부에 의해 압압하는 것이 아닌,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형성된 원호 지지부에 의해 압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의 회동 연결로서 기능하는 회동 연결부 및 회동 피연결부와,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이 하위의 레버에 작용하는 부위로서 기능하는 원호 지지부가 다른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위의 레버로부터 하위의 레버에 충분한 압압력을 작용시키면서도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의 확실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위의 레버와 하위의 레버의 회동 연결 부위에 있어서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를 억제하여 외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와이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와이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 단면도. 도 3의 (b)는 도 3의 (a)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a)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의 (d)는 도 3의 (a)에 있어서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의 (e)는 도 3의 (a)에 있어서의 E-E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분해 확대도.
도 5의 (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저면도.
도 6의 (a)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a)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저면도.
도 7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저면도.
도 8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와이퍼의 사시도.
도 9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와이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0의 (a)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암 레버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10의 (b)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암 레버의 일부 확대 저면도.
도 11의 (a)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와이퍼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있어서의 F-F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도 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의 와이퍼(1)는, 자동차의 불식면(wiping surface)으로서의 프런트글래스에 부착된 빗방울 등을 불식(wiping)하기 위한 것이며, 와이퍼 암(2)과, 당해 와이퍼 암(2)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 암(2)은, 그 기단부가 와이퍼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왕복 회동되는 피벗 축(도시 생략)에 고정되며, 당해 피벗 축의 왕복 회동에 수반하여 왕복 요동(搖動) 운동을 행한다. 또한, 이 와이퍼 암(2)은, 도시하지 않은 가압 기구에 의해, 그 선단부가 프런트글래스(불식면)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와이퍼 암(2)의 선단부에는, 와이퍼 블레이드(3)가 연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3)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와,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에 의해 파지되는 배킹(12)(backing)(예를 들면 도 3의 (d) 참조) 및 와이퍼 스트립(13)을 구비한다.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는, 상위의 레버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하여 하위의 레버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토너먼트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로서의 센터 커버 레버(21)와, 제 1 레버로서의 2개의 세컨더리 레버(22)와, 제 2 레버로서의 4개의 요크 레버(23, 24)를 갖고 있다.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는, 2개의 케이스(25)를 더 갖고 있다.
센터 커버 레버(21)는, 수지제이며, 길이 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 대략 전역(중앙부를 제외함)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주행풍을 불식면측에의 압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핀부(21a)(도 2 및 도 3의 (e)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커버 레버(2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클립 연결용 구멍(21b)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퍼 암(2)의 선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립(26)이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 중심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센터 커버 레버(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센터 연결부(21c)(도 3의 (a), (e)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터 연결부(21c)는, 도 3의 (a),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커버 레버(21)의 내부에서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판상부(21d)와, 당해 판상부(21d)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하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한 센터 축부(21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터 커버 레버(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센터 연결부(21c))에는, 각각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세컨더리 레버(22)는, 수지제이며, 길이 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의 (c) 참조).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도 2 및 도 3의 (a),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홈(22a)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센터 연결부(21c)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센터 축부(21e)를 축 중심으로 해서 상기 센터 커버 레버(21)에 대하여 세컨더리 레버(2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요크 레버(23, 24)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요크 레버(23, 24)는, 금속제이며,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이고, 조립측 단부로서의 상벽(上壁)(23a, 24a)과 당해 상벽(23a, 24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3b, 24b)을 갖는다. 또한, 요크 레버(23, 24)는, 그 길이 방향 양단부에 배킹(12) 및 와이퍼 스트립(13)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3c, 24c)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벽(23a, 24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요크 레버(23, 24)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긴 구멍(23d, 24d)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23d, 24d)은, 상벽(23a, 24a)과 동일 폭이며, 상벽(23a, 24a)을 길이 방향 양측으로 분단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23b, 24b)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회동 피연결부로서의 회동 연결 구멍(23e, 24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벽(23a, 24a)에 있어서 길이 방향 중앙부(긴 구멍(23d, 24d))보다도 내측(세컨더리 레버(22)에 덮이는 측)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긴 지지 구멍(23f, 24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의 부분 중의 상벽만이 연설(延設)되고, 그 상벽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긴 구멍(23d, 24d)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조립되는 삽입 연결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연결부(22b)는, 도 4 및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벽(23b(24b))의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그들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도 5의 (c) 참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통(筒) 형상의 삽입 통부(22e)를 갖는다. 또한, 삽입 연결부(22b)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동 연결 구멍(23e(24e))에 걸어맞춰지는 회동 연결부로서의 회동 연결 축부(22f)를 가지며, 회동 연결 구멍(23e(24e))과 협동하여 요크 레버(23(24))와 세컨더리 레버(22)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서로의 회동을 허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회동 연결 축부(22f)는, 그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반부가 아래쪽을 향할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2g)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회동 연결 축부(22f)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연결부(22b)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의 치수(h)가, 삽입 통부(22e)에 있어서의 단부벽(22d)으로부터의 치수(w)보다도 작아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동 연결 축부(22f)는, 그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했지만, 회동 연결 구멍(23e(24e))과 협동하여 요크 레버(23(24))와 세컨더리 레버(22)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서로의 회동을 허용 가능하면, 다른 형상, 예를 들면, 타원이나 장원(長圓)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그 상기 연설된 상벽)에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연결 축부(22f)의 위쪽에서 당해 회동 연결 축부(22f)와 대략 동심인 원호 형상, 상세하게는 원호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크 레버(23(24))의 긴 구멍(23d(24d))과 대응한 위치의 한 쌍의 측벽(23b(24b)) 상측 가장자리에 맞닿아서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의 압압력을 요크 레버(23(24))에 부가하면서 당해 요크 레버(23(2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호 지지부(22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단부측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두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이 그 길이 방향 중앙부들에서 휘어져, 상기 회동 연결 축부(22f)가 돌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자신의 돌출량 이상의 변위가 가능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의 두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끼리의 간격이 회동 연결 축부(22f)의 돌출량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는, 상기 삽입 연결부(22b)를 상기 긴 구멍(23d, 24d)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삽입 연결부(22b)를 긴 구멍(23d, 24d)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하면, 상기 경사면(22g)의 부분이 삽입되어감에 따라서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어, 최종적으로 회동 연결 축부(22f)가 회동 연결 구멍(23e, 24e)에 끼워짐(상기 휜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조립(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연결)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의 원호 지지부(22h)가 요크 레버(23(24))의 한 쌍의 측벽(23b(24b)) 상측 가장자리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회동 연결 축부(22f)는 요크 레버(23(24))의 회동 연결 구멍(23e(24e))의 하부에 맞닿지 않는 형상(맞닿는 면이 거의 없어 아래쪽으로 압압력을 전달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의 압압력은, 원호 지지부(22h)로부터 주로 부가되고, 회동 연결 축부(22f)로부터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그 상기 연설된 상벽)에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상기 요크 레버(23(24))의 회동 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하기 위한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22i)는,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외측(도 5의 (b) 중, 시계 회전 방향)에의 회동 범위가, 상기 파지부(23c, 24c)에 파지된 배킹(12) 및 와이퍼 스트립(13)이 일직선 형상으로 되는 범위로(그 상태에서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요크 레버(23(24))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에는, 도 3의 (c) 및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 레버(23, 24)의 상기 지지 구멍(23f(24f))에 삽입되어 요크 레버(23(24))와 폭 방향으로 대향(맞닿음)하여,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한 폭 방향 지지부로서의 지지벽(22j)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벽(22j)의 각 치수는, 지지 구멍(23f(24f))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에는, 도 1 및 도 3의 (a), (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세컨더리 레버(22)의 상기 센터 커버 레버(21)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덮는 케이스(25)가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25)는, 수지제이며, 길이 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 대략 전역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주행풍을 불식면측에의 압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핀부(25a)(도 3의 (b)∼(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핀부(25a)는, 상기 센터 커버 레버(21)의 핀부(21a)와 대략 연속한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스(25)는, 요크 레버(23)의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돌출한 부분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25)에는, 도 3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에 끼워 넣음 가능한 휨 규제 부재 및 휨 규제부로서의 휨 규제 판상부(25b)가 케이스(25)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5)에는, 도 3의 (a),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세컨더리 레버(22)의 상벽에 형성된 감삽(嵌揷) 구멍(22k)에 끼워 넣음 가능한 감삽 판상부(25c)가 케이스(25)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5)는, 도 3의 (a), (b),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 내)에 휨 규제 판상부(25b)가 끼워 넣어짐과 함께, 감삽 구멍(22k)에 감삽 판상부(25c)가 끼워 넣어져 세컨더리 레버(22)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휨 규제 판상부(25b)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회동 연결 축부(22f)의 상하 방향의 범위, 환언하면, 회동 연결 구멍(23e)의 상하 방향의 범위에 배치되도록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회동 연결 축부(22f)의 상하 방향의 범위 중의 모든 범위에 배치되도록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 내)에 휨 규제 판상부(25b)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 즉, 회동 연결 축부(22f)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의 와이퍼(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차량용의 와이퍼(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기구에 의해 와이퍼 암(2)의 선단부가 프런트글래스(불식면)측에 가압되고, 그 가압력이 클립(26), 센터 커버 레버(21), 세컨더리 레버(22), 요크 레버(23, 24)를 통하여 와이퍼 스트립(13)에 전달되어, 와이퍼 스트립(13)이 길이 방향 전장(全長)에 걸쳐서 프런트글래스에 압압 접촉된다. 또한, 차량 주행 시에는, 핀부(21a, 25a)에 의해 주행풍이 프런트글래스(불식면)측에의 압압력으로 변환되어, 와이퍼 스트립(13)이 프런트글래스에 압압 접촉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와이퍼 암(2)이 피벗 축 중심으로 왕복 회동되면, 양호한 불식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효과를 이하에 기재한다.
(1) 세컨더리 레버(22)의 삽입 연결부(22b)는, 요크 레버(23, 24)의 한 쌍의 측벽(23b, 24b)의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그들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의 삽입 통부(22e)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삽입 연결부(22b)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은 자신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하여 그 길이 방향 중앙부가 크게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크게 휘게 하여 당해 부분으로부터 돌출한 회동 연결 축부(22f)를 돌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시키면서, 삽입 연결부(22b)를 요크 레버(23, 24)의 긴 구멍(23d, 24d)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 연결 축부(22f)를 요크 레버(23, 24)의 회동 연결 구멍(23e, 24e)에 걸어맞춤(상기 휘어진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를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 연결부(22b)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은 자신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 길이 방향 중앙부(회동 연결 축부(22f))가 충분한 휨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크게 휘게 해서 조립하기 위하여 높이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 나아가서는 와이퍼 블레이드(3)의 높이를 억제하여, 예를 들면, 외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은 자신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하여 요크 레버(23, 24)의 한 쌍의 측벽(23b, 24b)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범위가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불식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헐거워짐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 사이에 불식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회동 연결 축부(22f))에 국소적으로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당해 길이 방향 중앙부가 크게 휘어져 버려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 24)가 빠져 버리는 것 등을 저감할 수 있다.
(2)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는, 길이 방향 단부측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작은 힘에 의해 휘기 쉬워짐과 함께, 휨량(휨 여유), 즉, 회동 연결 축부(22f)가 돌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단부측은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 전체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3) 삽입 연결부(22b)가 긴 구멍(23d)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 연결부(22b)의 삽입 통부(22e) 내에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을 규제할 수 있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이 휘어져 회동 연결 축부(22f)가 회동 연결 구멍(23e)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가 빠져 버리는 것 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4) 삽입 통부(22e) 내에 끼워 넣어져서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를, 세컨더리 레버(22)를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25)에 설치된 휨 규제 판상부(25b)(휨 규제부)로 했기 때문에, 휨 규제 부재를 케이스(25)와 별체로 한 경우에 비하여,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5) 휨 규제 판상부(25b)는, 그 선단부가 회동 연결 축부(22f)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범위에 배치되도록 삽입 통부(22e) 내에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회동 연결 축부(22f)와 대응한 위치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이 휘는 것이 방지되어, 회동 연결 축부(22f)가 회동 연결 구멍(23e)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보다 방지된다.
(6) 세컨더리 레버(22)에는, 회동 연결 축부(22f)의 위쪽에서 당해 회동 연결 축부(22f)와 대략 동심인 원호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의 압압력을 요크 레버(23, 24)에 부가하면서 당해 요크 레버(23, 2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호 지지부(22h)가 형성되기 때문에, (회동 연결 축부(22f)에 의존하지 않고) 요크 레버(23, 24)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요크 레버(23, 24)는, 항상,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아래쪽(불식면 방향)으로 힘(압압력)을 받지만, 그 힘을 회동 연결 축부(22f)에 의해 압압하는 것이 아닌, 회동 연결 축부(22f)의 위쪽에 형성된 원호 지지부(22h)에 의해 압압하는 구성, 즉,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회동 연결로서 기능하는 회동 연결 축부(22f) 및 회동 연결 구멍(23e)과,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의 압압력이 요크 레버(23, 24)에 작용하는 부위로서 기능하는 원호 지지부(22h)가 다른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 24)에 충분한 압압력을 작용시키면서도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확실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회동 연결 부위(회동 연결 축부(22f) 및 회동 연결 구멍(23e))에 있어서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회동 연결 축부(22f)의 하반부를 경사면(22g)으로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면, 필연적으로 상기 힘(압압력)을 회동 연결 축부(22f)에 의해 압압(부가)할 수 없는 구성이 되지만, 원호 지지부(22h)에 의해 압압(부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7) 세컨더리 레버(22)에는, 상기 회동 축 중심(회동 연결 축부(22f))로부터의 거리가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단부보다도 먼 위치에서 요크 레버(23, 24)(지지 구멍(23f, 24f)의 내측면)와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한 지지벽(22j)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폭 방향(불식 방향)의 헐거워짐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 사이에 폭 방향(불식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회동 연결 축부(22f)가 형성된 대향 측벽(22c)을 포함하는 삽입 연결부(22b)에 힘이 가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 24)가 빠져 버리는 것 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8) 세컨더리 레버(22)는, 요크 레버(23, 24)에 맞닿아서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 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22i)를 갖기 때문에,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하여 요크 레버(23, 24)가 필요 이상으로 회동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로크백(lock back)의 해제 시(와이퍼 스트립(13)을 불식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 불식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돌릴 때)에 요크 레버(23, 24)가 크게 휘둘러짐으로써, 와이퍼 스트립(13)이 불식면에 맞닿을 때의 충격이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9) 세컨더리 레버(22)는, 수지제이기 때문에, 대향 측벽(22c)의 양호한 가요성을 확보하면서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 연결부(22b)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요크 레버(23, 24)는, 배킹(12) 및 와이퍼 스트립(13)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3c, 24c)를 가진 금속제이기 때문에, 소형화(파지부(23c, 24c)의 육박화(肉薄化))를 도모하면서, 배킹(12) 및 와이퍼 스트립(13)을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10) 회동 연결 축부(22f)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연결부(22b)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의 치수(h)가, 삽입 통부(22e)에 있어서의 단부벽(22d)으로부터의 치수(w)보다도 작아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와이퍼(1)의 높이 방향의 치수에 영향을 주는 삽입 연결부(22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회동 연결 축부(22f)까지의 치수(h)가, 와이퍼(1)의 길이 방향의 치수에 영향을 주는 삽입 통부(22e)에 있어서의 단부벽(22d)에서부터 회동 연결 축부(22f)까지의 치수(w)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조립 시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휘게 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치수(w)를 크게 해도, 와이퍼(1)의 높이 치수가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요크 레버(23, 24)에 지지 구멍(23f, 24f)을 형성하고, 세컨더리 레버(22)에 폭 방향 지지부로서의 지지벽(22j)을 형성했지만, 상기 폭 방향 지지부의 구성은 변경해도 된다. 즉, 세컨더리 레버(22)에는, 요크 레버(23, 24)의 회동 축 중심(회동 연결 축부(22f))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단부보다도 먼 위치에서 요크 레버(23, 24)와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한 다른 폭 방향 지지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우선, 이 예의 요크 레버(23(24))의 상벽(23a)에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긴 구멍(23d)보다 좁은 폭을 가짐과 함께 상기 긴 구멍(23d)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가는 구멍(23g, 23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가는 구멍(23g, 23h)이 긴 구멍(23d)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상기 가는 구멍(23g)에 삽입되어 요크 레버(23)(가는 구멍(23g)의 내측면)와 폭 방향으로 대향(맞닿음)하여,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한 폭 방향 지지부로서의 선단 지지벽(22l)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삽입 연결부(22b)의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 상기 지지벽(22j)과 선단 지지벽(22l)에 의하여, 세컨더리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폭 방향(불식 방향)의 헐거워짐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24)) 사이에 폭 방향(불식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회동 연결 축부(22f)가 형성된 대향 측벽(22c)을 포함하는 삽입 연결부(22b)에 힘이 가해지기 더 어렵게 할 수 있어, 세컨더리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24))가 빠져 버리는 것 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세컨더리 레버(22)에는, 도 6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가는 구멍(23h)과 대응한 위치에 세컨더리 레버(22)의 상벽과 삽입 연결부(22b)의 상기 단부벽(22d)을 잇는 보강 리브(22m)가 형성되어, 세컨더리 레버(22)의 당해 부분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예(도 6 참조)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지지벽(22j)을 남겨둔 채로 상기 선단 지지벽(22l)을 추가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지지벽(22j)(및 지지 구멍(23f, 24f))을 삭제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그 경우, 상기 보강 리브(22m)를 폭 방향 지지부로서 기능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른 예(도 6 참조)와 같이,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의 단부벽(22d)에 선단 지지벽(22l)을 설치함으로써, 특히 삽입 연결부(22b)(삽입 통부(22e))의 강성이 높아진다. 특히, 세컨더리 레버(22)의 제조 시에, 예를 들면 도 6의 (c)의 우측으로부터 흘러온 용융 수지가 삽입 통부(22e)의 좌측의 단부벽(22d)에서 합류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당해 단부벽(22d)에 웰드(weld)가 발생하여 파손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지만, 선단 지지벽(22l)에 의하여 당해 부분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선단 지지벽(22l)은,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한 폭 방향 지지부로서 설치했지만, 단순히 파손을 저감할 목적으로 (가는 구멍(23g)의 내측면과 맞닿지 않는 강성 보조부로서) 형성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길이 방향 단부측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두께를 균일하게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이 예(도 7 참조)는, 상기 다른 예(도 6 참조)의 대향 측벽(22c)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며, 상하 방향(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대향 측벽(22c)에 있어서의 상기 회동 연결 축부(22f)의 양 외측에,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박육부(22n)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예의 박육부(22n)는, 상하 방향(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대향 측벽(22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회동 연결 축부(22f)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양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며, 한쪽의 박육부(22n)의 범위와 회동 연결 축부(22f)의 범위와 다른 쪽의 박육부(22n)의 범위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의 박육부(22n)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내면측(대향측)이 매끄럽게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보다 깊은) 오목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박육부(22n)의 부위가 작은 힘에 의해 휘기 쉬워짐과 함께, 휨량(휨 여유), 즉, 회동 연결 축부(22f)가 돌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대향 측벽(22c)에 있어서의 회동 연결 축부(22f)와 대응한 길이 방향 중앙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했을 경우(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도 5의 (c) 참조)나 상기 다른 예(도 6의 (c) 참조))에서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응력이 집중해 버리지만, 그 경우에 비하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파손되기 어렵고 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연결부(22b)의 삽입 통부(22e) 내에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을 규제하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휨 규제 판상부(25b)가 끼워 넣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휨 규제 판상부(25b)(휨 규제 부재)는 케이스(25)에 형성된 것으로 했지만, 끼워 넣어져서 휨을 규제하는 휨 규제 부재를 케이스(25)와 별체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그 선단부가 회동 연결 축부(22f)의 상하 방향의 범위에 배치되도록 삽입 통부(22e) 내에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선단부가 회동 연결 축부(22f)의 상하 방향의 범위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까지밖에 끼워 넣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회동 연결 축부(22f)의 상하 방향의 범위 중의 모든 범위에 배치되도록 삽입 통부(22e) 내에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동 연결 축부(22f)의 상하 방향의 범위 중의 도중의 위치까지 밖에 끼워 넣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더리 레버(22)에는 원호 지지부(22h)가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호 지지부(22h)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회동 연결 축부(22f)에 경사면(22g)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경사면(22g)에 의한 조립성의 향상은 얻어지지 않지만, 회동 연결 축부에서 힘(불식면측에의 압압력에 대한 요크 레버로부터의 반력)을 받을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통부(22e)가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대향 측벽(22c)과 단부벽(22d)에 의해 둘러싸인 구멍이,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상벽을 관통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삽입 연결부(22b)에 있어서의 삽입 통부(22e)에 구멍이 있으면 되며, 예를 들면, 세컨더리 레버(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상벽 부분은 폐색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삽입 통부(22e)는, 삽입 연결부(22b)에 있어서 일부에 존재하면 되며, 예를 들면, 삽입 연결부(22b)의 단부벽(22d)의 하단측에 일부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피연결부로서의 회동 연결 구멍(23e, 24e)을 주위가 폐쇄된 대략 원형의 열림 구멍으로써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동 연결부로서의 회동 연결 축부(22f)와 협동하여 요크 레버(23(24))와 세컨더리 레버(22)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서로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걸어맞춰지면 되며, 예를 들면, 요크 레버(23, 24)의 측벽의 하측 가장자리에 개구하는 슬릿 형상, 혹은 요크 레버(23, 24)의 측벽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 팽출 형성시켜서 내면측이 오목한 오목부로 형성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더리 레버(22)에는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크 레버(23, 24)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더리 레버(22)는 수지제이며, 요크 레버(23, 24)는 금속제인 것으로 했지만, 각각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변경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커버 레버(21)와 케이스(25)에, 각각 핀부(21a, 25a)가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핀부(21a, 25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더리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연결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레버 어셈블리의 최상위의 레버(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커버 레버(21))와 그 하위의 레버(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컨더리 레버(22))의 연결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위의 레버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하여 하위의 레버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토너먼트표 형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와이퍼(1))로 본 발명을 구체화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버를 구비하며, 그들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른 타입의 와이퍼로 구체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와이퍼(51)로 구체화해도 된다. 이 예(도 8∼도 11 참조)의 와이퍼(51)는, 리어글래스에 부착된 빗방울 등을 불식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와이퍼(51)는, 암 헤드(52)와, 제 1 레버로서의 상위의 레버인 암 레버(53)와, 제 2 레버로서의 하위의 레버인 회동 레버(54)(도 9 참조)와, 배킹(55)(도 11의 (b) 참조)과, 와이퍼 스트립(56)과, 유지 케이스(57)와, 캡(58)을 구비한다.
암 헤드(52)에 연결되는 암 레버(53)는, 수지제이며, 길이 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측에는 회동 레버(54)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회동 레버(54)는, 금속제이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측 단부로서의 상벽(54a)과, 당해 상벽(54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54b)과, 상벽(54a)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측벽(54b)과 함께 통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길이 방향 단벽(端壁)(54c)을 갖는다. 또한, 회동 레버(54)는, 측벽(54b)의 하단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연부(外延部)(54d)와, 외연부(54d)의 선단으로부터 뻗어서 배킹(55) 및 와이퍼 스트립(56)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54e)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벽(54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긴 긴 구멍(54f)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54b)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회동 연결 구멍(54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 레버(53)의 선단측에는, 도 10의 (a), (b) 및 도 11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레버(53)의 상벽의 내부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긴 구멍(54f)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조립되는 삽입 연결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연결부(53a)는,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벽(54b)의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측벽(53b)과 그들 대향 측벽(53b)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53c)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도 10의 (b) 참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의 삽입 통부(53d)를 갖는다. 또한, 삽입 연결부(53a)는,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53b)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동 연결 구멍(54g)에 회동을 허용하여 걸어맞춰지는 회동 연결 축부(53e)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회동 연결 축부(53e)는, 그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반부가 아래쪽을 향할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53f)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암 레버(53)에는,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연결 축부(53e)의 아래쪽이며, 암 레버(53)의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회동 연결 축부(53e)와 대략 동심인 원호 형상, 상세하게는 원호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 지지부(53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 지지부(53g)는, 회동 레버(54)의 외연부(54d)의 상면에 형성된 원호 오목면(54h)에 맞닿아서 암 레버(53)로부터의 압압력을 회동 레버(54)에 부가하면서 당해 회동 레버(5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53b)의 길이 방향 중앙부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단부측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암 레버(53)와 회동 레버(54)는, 상기 삽입 연결부(53a)를 상기 긴 구멍(54f)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암 레버(53)의 원호 지지부(53g)가 회동 레버(54)의 외연부(54d)의 원호 오목면(54h)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회동 연결 축부(53e)는 회동 레버(54)의 회동 연결 구멍(54g)의 하부에 맞닿지 않는 형상(맞닿는 면이 거의 없어 아래쪽에 압압력을 전달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암 레버(53)로부터의 압압력은, 원호 지지부(53g)로부터 주로 부가되고, 회동 연결 축부(53e)로부터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케이스(57)는, 상기 파지부(54e)에 길이 방향 중앙부가 파지된 배킹(55) 및 와이퍼 스트립(56)의 길이 방향 양 측부를 덮어서 파지하도록 장착되며, 배킹(55) 및 와이퍼 스트립(56)의 양단부에는 캡(58)이 더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해도, 와이퍼(51)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레버(54)는, 금속제로 했지만 수지제이어도 된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 제 1 레버가 상위의 레버이고, 삽입 연결부가 삽입되는 긴 구멍이 형성된 제 2 레버가 하위의 레버인 것으로 했지만, 반대로, 삽입 연결부를 갖는 제 1 레버를 하위의 레버로 하고, 삽입 연결부가 삽입되는 긴 구멍이 형성된 제 2 레버를 상위의 레버로 해도 된다.
11 :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12, 55 : 배킹
13, 56 : 와이퍼 스트립
22 : 세컨더리 레버(제 1 레버)
22b, 53a : 삽입 연결부
22c, 53b : 대향 측벽
22d, 53c : 단부벽
22e, 53d : 삽입 통부
22f, 53e : 회동 연결 축부(회동 연결부)
22h, 53g : 원호 지지부
22i :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
22j : 지지벽(폭 방향 지지부)
22n : 박육부
23, 24 : 요크 레버(제 2 레버)
23a, 24a, 54a : 상벽(조립측 단부)
23b, 24b, 54b : 측벽
23c, 24c, 54e : 파지부
23d, 24d, 54f : 긴 구멍
23e, 24e, 54g : 회동 연결 구멍(회동 피연결부)
25 : 케이스
25b : 휨 규제 판상부(휨 규제 부재 및 휨 규제부)
53 : 암 레버(제 1 레버)
54 : 회동 레버(제 2 레버)

Claims (14)

  1. 복수의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와이퍼로서,
    조립측 단부(端部)와 한 쌍의 측벽을 갖는 제 2 레버로서, 상기 조립측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의 양 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각각 상기 양 측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측 단부는 연결 부위를 갖고 있고, 당해 연결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각각에는 회동 피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레버와,
    상하 방향의 상기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 제 1 레버로서,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긴 구멍에 조립되는, 상기 제 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연결부는 삽입 통부와 회동 연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삽입 통부는 상기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과 그들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부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 통(筒)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대응하는 상기 회동 피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와이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대향 측벽의 각각에서의 상기 회동 연결부의 양 외측에,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박육부(薄肉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연결부가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연결부의 상기 삽입 통부 내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가 끼워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휨 규제 부재는,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의 적어도 한쪽을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휨 규제 부재는, 상기 회동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 통부 내에 끼워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상위의 레버는 원호 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원호 지지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해 있고, 상기 원호 지지부는 상기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押壓力)을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하위의 레버에 부가하면서 당해 하위의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에 대한 상기 제 2 레버의 폭 방향의 헐거워짐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레버에서 상기 회동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보다도 먼 위치에 폭 방향 지지부를 설치하며, 당해 폭 방향 지지부는 상기 제 2 레버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 또는 상기 제 2 레버의 한쪽은, 다른 쪽에 맞닿아서 상기 제 1 레버에 대한 상기 제 2 레버의 회동 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회동 범위 설정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상위의 레버임과 함께 수지제이며,
    상기 제 2 레버는, 하위의 레버임과 함께,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진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차량 주행 시의 주행풍을 불식면(拂拭面)측에의 압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연결부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상기 회동 연결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삽입 통부에서의 상기 단부벽에서부터 상기 회동 연결부까지의 치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12. 복수의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로서,
    조립측 단부와 한 쌍의 측벽을 갖는 제 2 레버로서, 상기 조립측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의 양 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각각 상기 양 측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측 단부는 연결 부위를 갖고 있고, 당해 연결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각각에는 회동 피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레버와,
    상하 방향의 상기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 제 1 레버로서,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긴 구멍에 조립되는, 상기 제 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연결부는 삽입 통부와 회동 연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삽입 통부는 상기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과 그들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를 잇는 한 쌍의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부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 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대향 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대응하는 상기 회동 피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기재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파지되는 배킹 및 와이퍼 스트립
    을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복수의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와이퍼로서,
    조립측 단부와 한 쌍의 측벽을 갖는 제 2 레버로서, 상기 조립측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서의 양 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각각 상기 양 측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측 단부는 연결 부위를 갖고 있고, 당해 연결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각각에는 회동 피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레버와,
    상하 방향의 상기 제 1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삽입 연결부를 갖는 제 1 레버로서,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긴 구멍에 상하 방향의 제 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긴 구멍에 조립됨과 함께 상기 제 2 레버의 상기 회동 피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회동 연결부를 갖는, 상기 제 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상위의 레버는 원호 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원호 지지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연결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해 있고, 상기 원호 지지부는 상기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 1 레버 및 제 2 레버 중의 하위의 레버에 부가하면서 당해 하위의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KR1020147000585A 2011-11-30 2012-10-19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15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2413 2011-11-30
JP2011262413 2011-11-30
PCT/JP2012/077049 WO2013080694A1 (ja) 2011-11-30 2012-10-19 ワイパ、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708A true KR20140105708A (ko) 2014-09-02
KR101715204B1 KR101715204B1 (ko) 2017-03-22

Family

ID=4853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585A KR101715204B1 (ko) 2011-11-30 2012-10-19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3334B2 (ko)
JP (1) JP6006233B2 (ko)
KR (1) KR101715204B1 (ko)
CN (1) CN103764457B (ko)
DE (1) DE112012004969B4 (ko)
WO (1) WO20130806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779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2276B2 (ja) * 2011-12-14 2019-03-13 テネ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nneco Inc. フロントガラスのワイパー装置
JP5781960B2 (ja) 2012-02-24 2015-09-24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5886118B2 (ja) 2012-04-24 2016-03-16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101511612B1 (ko) 2014-03-12 2015-04-1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10196045B2 (en) 2014-06-16 2019-02-05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KR101790510B1 (ko) * 2014-06-16 2017-10-27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675891B1 (ko) * 2014-12-11 2016-11-14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FR3037898A1 (fr) * 2015-06-29 2016-12-30 Valeo Systemes Dessuyage Organe pour un systeme de connexion d'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ssuie-glace
USD821954S1 (en) * 2015-11-16 2018-07-03 Cap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FR3043619B1 (fr) * 2015-11-17 2019-05-2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connecteur et ensemble forme d'un tel connecteur et d'un tel adaptateur pour un balai d'essuy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547A (ja) 1983-05-12 1984-12-03 トリコ・フオルバ−ス・リミテツド ワイパ−ブレ−ド組立体に適するトラニオン結合の組立て方法
US4794664A (en) * 1987-03-23 1989-01-03 Nippon Wiper Blade Co., Ltd. Wiperblade of windshield wiper
KR920002488Y1 (ko) * 1990-04-03 1992-04-22 이규환 연발식 호신용 가스분사기
FR2693418A1 (fr) * 1992-07-07 1994-01-14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JP2008213749A (ja) * 2007-03-07 2008-09-18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9528B (en) 1983-05-12 1986-04-09 Trico Folberth Ltd Method of assembling a trunnion joint for a wiper blade harness
US4953251A (en) * 1987-01-28 1990-09-04 Tridon Limited Wiper joint structure
JPH084369Y2 (ja) * 1988-07-19 1996-02-07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IT223205Z2 (it) 1991-06-11 1995-06-13 Rgb Spa Spazzola tergicristallo, in particolare per autoveicoli
US5289608A (en) 1991-10-29 1994-03-01 Alberee Product Inc. Windshield wiper frame connector which accomodates different size wiper arms
US5606766A (en) 1995-10-02 1997-03-04 Lee; Albert Joint bush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frame
JP2000203391A (ja) * 1999-01-11 2000-07-25 Asmo Co Ltd 部材の支持構造
JP2003127840A (ja) 2001-10-30 2003-05-08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7055589A (ja) * 2005-07-29 2007-03-08 Piaa Corp ワイパ装置
WO2007088780A1 (ja) 2006-01-31 2007-08-09 Mitsuba Corporation ワイパブレードにおける連結部材
JP2008168796A (ja) 2007-01-12 2008-07-24 Mitsuba Corp 車両用ワイパ装置
US8286298B2 (en) 2008-07-11 2012-10-16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KR101386917B1 (ko) 2008-09-29 2014-04-18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블레이드
KR101690621B1 (ko) * 2010-05-31 2016-12-28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블레이드
CN102582583B (zh) * 2011-01-14 2014-08-27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547A (ja) 1983-05-12 1984-12-03 トリコ・フオルバ−ス・リミテツド ワイパ−ブレ−ド組立体に適するトラニオン結合の組立て方法
US4794664A (en) * 1987-03-23 1989-01-03 Nippon Wiper Blade Co., Ltd. Wiperblade of windshield wiper
KR920002488Y1 (ko) * 1990-04-03 1992-04-22 이규환 연발식 호신용 가스분사기
FR2693418A1 (fr) * 1992-07-07 1994-01-14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JP2008213749A (ja) * 2007-03-07 2008-09-18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779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US11577701B2 (en) 2019-07-09 2023-02-14 Cap Corporation Wip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4969T8 (de) 2014-12-24
JP6006233B2 (ja) 2016-10-12
CN103764457A (zh) 2014-04-30
KR101715204B1 (ko) 2017-03-22
CN103764457B (zh) 2016-04-20
DE112012004969T5 (de) 2014-10-02
US20140053361A1 (en) 2014-02-27
DE112012004969B4 (de) 2020-01-23
JPWO2013080694A1 (ja) 2015-04-27
WO2013080694A1 (ja) 2013-06-06
US9193334B2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204B1 (ko)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JP5367701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4131865B2 (ja) ワイパー装置
US20130305478A1 (en) Wiper blade
US20110113581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862356B2 (en) Wiper blade
JP5833389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
JP5870466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装置
JP2015051654A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JP2007216736A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1439002B1 (ko)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JPWO2004054859A1 (ja) ワイパブレード
JP6081116B2 (ja) 車両用ワイパ
JP5940927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WO2004054860A1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08238868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6104343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08213553A (ja) ワイパ装置
JP7131226B2 (ja)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KR20150084877A (ko) 와이퍼 블레이드
JP7131238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7044021B2 (ja)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7131257B2 (ja)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6605102B1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6117105A (ja) ワイパ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