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012A -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012A
KR20140105012A KR1020147019653A KR20147019653A KR20140105012A KR 20140105012 A KR20140105012 A KR 20140105012A KR 1020147019653 A KR1020147019653 A KR 1020147019653A KR 20147019653 A KR20147019653 A KR 20147019653A KR 20140105012 A KR20140105012 A KR 2014010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section
groove
vehicle
pant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무카이
도시아키 아사노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5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이 절연 섹션은, 차량의 측방에 연장설치되며, 차량과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차량의 팬터그래프와 접촉하는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절연 섹션에 있어서, 접촉면은,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까지 형성된 홈을 갖고, 홈은, 상하 방향의 단면이, 주행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접촉면의 상하 방향의 일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INSULATED SECTION, POWER SUPPLY RAIL, AND TRACK SYSTEM TRAFFIC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하여 측방의 전차선으로 급전을 실행하는 급전 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2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021171 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버스나 철도를 대신하는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서, 차량이 고무 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주행륜이며 궤도 상을 주행하는 동시에, 이 차량의 양 측부 또는 차량 하부에 마련된 안내 고리가, 궤도의 양 측부 또는 중앙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안내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신교통 시스템이나 APM(Automated People Mover)이라 불리고 있다.
그리고, 상술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궤도의 측부에는 급전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급전 레일에 대하여, 차량의 측부에 마련된 팬터그래프가 대향하여 접촉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차량에 급전을 실행한다.
여기서, 급전 레일에 있어서는, 배전선에 도통하는 전차선 사이에, 급전 구간의 구획으로 하여 절연 상태가 된 절연 섹션이 수백 미터마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 섹션에는 일반적으로 강화목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절연 섹션에는, 전차선과 마찬가지로 팬터그래프가 접촉 미끄럼 운동하기 때문에, 마모나 오목하게 패이는 등의 열화가 빠르며, 교환 빈도가 많아지고 있어서, 강화목을 대신하는 재질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강화목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인 FRP를 절연 섹션에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FRP는 강화목과 비교하여 팬터그래프의 카본이 접촉면에 부착하기 쉽다. 그러나, 이 접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결되며, 차량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궤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절연 섹션에 형성함으로써, 카본 부착에 의해 주행 방향으로 도통 상태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노구치 쥰야, 아베 야스히사, 「FRP 섹션 인슐레이터 절삭기의 개발」, 철도와 전기 기술/일본 철도 전기 기술 협회[편], 1999년 6월, 10(6)(통호 614), p. 44-47
그렇지만,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절연 섹션은, 가선이 차량의 상방에 마련되며, 하방으로부터 집전자(팬터그래프)가 가선에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용된다.
여기서, 비특허문헌 1에 있는 상방의 가선으로부터 급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측부의 급전 레일로부터 차량에 급전이 실행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서는, 급전 레일에 휨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집전자가 급전 레일의 형상에 추종하여 접촉 미끄럼 운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차량이 주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 때문에, 궤도계 교통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집전자는, 차량의 주행 방향 및 궤도 폭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축선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급전 레일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접촉 미끄럼 운동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전자(51)가 축선(P) 주위를 회전하며 급전 레일(50)의 선형에 대응함으로써, 접촉 미끄럼 운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집전자(51)에 회동하는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비특허문헌 1과 같은 홈이 형성된 절연 섹션을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했을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52)에 집전자(51)의 가장자리부가 걸려 버려서, 충격이 발생하여 승차감이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확실히 절연을 실행하는 동시에, 승차감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절연 섹션은, 차량의 측방에 연장설치되며, 상기 차량과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상기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절연 섹션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절연 섹션의 연장설치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까지 형성된 홈을 갖고, 상기 홈은, 상기 상하 방향의 단면이, 상기 연장설치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접촉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일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절연 섹션에 의하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집전자가 접촉면에 접촉한 상태로 차량이 주행했을 때에, 만일 카본 등이 부착하여도, 이 홈에 의해서 접촉면의 연속성이 중단되기 때문에, 도통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홈이 형성된 연장설치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집전자는 접촉면의 일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집전자의 가장자리부의 상하 방향 전체가 홈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도통 상태를 확실히 회피할 수 있도록 홈의 연장설치 방향의 폭 치수를 크게 취했다고 하여도, 집전자가 홈에 대하여 걸려서, 충격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절연 섹션에 있어서는, 상기 홈은, 상기 연장설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홈이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도통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집전자의 가장자리부의 상하 방향 전체가 홈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으며, 집전자의 걸림에 의한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의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3) 상기 (1)에 기재된 절연 섹션에 있어서는, 상기 홈은, 상기 연장설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홈에 의해서, 확실히 도통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집전자의 걸림에 의한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의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4)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절연 섹션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면은, 상기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제 1 접촉면과 제 2 접촉면을 갖고, 상기 홈은, 이들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 각각에, 상기 연장설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홈에 의해서, 확실히 도통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집전자의 걸림에 의한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의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5)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급전 레일은,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전차선과, 상기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급전 레일에 의하면, 절연 섹션에 의해서 확실히 도통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집전자의 걸림에 의한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의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6)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 섹션 또는 상기 (5)에 기재된 급전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의하면, 절연 섹션에 의해서 확실히 도통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집전자의 걸림에 의한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의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각 태양의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의하면, 홈에 의해서 확실히 절연을 실행하는 동시에, 승차감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도계 교통 시스템을,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부터 본 전체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관하여, 급전 레일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전 레일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전 레일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의 팬터그래프의 동작의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의 팬터그래프의 동작의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의 팬터그래프의 동작의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계 교통 시스템(1)은, 차량(2)이 측방으로 안내되면서, 궤도(3) 상을 주행하는 사이드 가이드 방식의 신교통 시스템이다.
차량(2)은 궤도(3) 상을 전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행륜(10)과, 주행륜(10)보다 주행 방향(D1)에 직교하는 폭 방향(D2)의 외측에 배치되며, 주행 방향(D1) 및 폭 방향(D2)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D3)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 안내륜(11)과, 안내륜(11)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D3)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2개의 팬터그래프(집전자)(12)를 구비하고 있다.
궤도(3)는 안내륜(11)에 대향하여 차량(2)을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3)과, 가이드 레일(13)의 상방에서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상하 방향(D3)에 간격을 두고, 2개의 팬터그래프(12) 각각에 대하여 접촉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2개의 급전 레일(14)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급전 레일(14)에 대해 설명한다.
급전 레일(14)은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궤도(3)의 측부에서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서로 상하 방향(D3)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급전 레일(14)은 배전선(도시하지 않음)에 도통하며 주행 방향(D1)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차선(20)과, 이들 전차선(20)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차선(20)에 접속판(21)에 의해서 접속되는 절연 섹션(22)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레일(14)의 상하 방향(D3)의 단면 형상은, 코너부가 면취되어, 면취부(14a)가 된 팔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차선(20)은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배치되며, 급전 구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배전선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전차선(20)은 팬터그래프(12)와 접촉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차량(2)에 전력 공급을 실행한다.
절연 섹션(22)은 FRP 등의 비도전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주행 방향(D1)에 인접하는 전차선(20)끼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절연 섹션(22)은 팬터그래프(12)와 접촉하는 접촉면(22a)으로부터 폭 방향(D2) 외측을 향하여 절결된 홈(23)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홈(23)은 주행 방향(D1)의 양 단부에 있어서, 주행 방향(D1)에 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홈(23)은, 접촉면(22a)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주행 방향(연장설치 방향)(D1)의 전방측(한쪽측)으로부터 후방측(다른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D3)의 하방측(다른쪽측)으로부터 상방측(다른쪽측)을 향하여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홈(23)은, 절연 섹션(22)을 상하 방향(D3)으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주행 방향(D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D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며, 폭 방향(D2)의 중도 위치인 면취부(14a)를 초과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접속판(21)은, 주행 방향(D1)에 인접하는 전차선(20)과 이들 전차선(20)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섹션(22)을 상하 방향(D3)으로부터 끼워넣어 볼트(24) 및 너트(25)에 의해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있어서는, 차량(2)의 팬터그래프(12)가 급전 레일(14)에 접촉 미끄럼 운동한 상태로 궤도(3) 상을 차량(2)이 주행한다. 그리고, 절연 섹션(22)에는 FRP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강화목 등에 비하여, 반복 미끄럼 운동에 대해서도 마모에 의한 열화가 적어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끄럼 운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절연 섹션(22)의 접촉면(22a)에, 팬터그래프(12)의 카본이 부착했을 경우, 이 접촉면(22a)에 형성된 홈(23)에 의해서, 전차선(20)과 절연 섹션(22) 사이의 연속성이 분단되어, 인접하는 전차선(20)끼리의 사이가 도통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23)에 카본이 인입되어 버려 홈(23)을 막아서 도통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홈(23)의 주행 방향(D1)의 폭 치수를 어느 정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점, 홈(23)의 주행 방향(D1)의 폭 치수가 크게 설정되었다고 하여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23)은 경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23)이 형성된 주행 방향(D1)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팬터그래프(12)는 반드시 접촉면(22a)의 일부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즉, 팬터그래프(12)의 주행 방향(D1)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D3)의 전체에서, 동시에 홈(23)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팬터그래프(12)가 홈(23)에 걸려, 충격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팬터그래프(12)의 마모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23)은 절연 섹션(22)의 주행 방향(D1)의 양 단부에 2개씩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하나가 카본에 의해서 막히며, 도통 상태가 되어 버려도, 또 다른 하나가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즉 용장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의하면, 절연 섹션(22)의 홈(23)에 의해서 팬터그래프(12)의 카본에 의한 전차선(20)끼리의 도통을 회피할 수 있어서, 확실히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팬터그래프(12)의 가장자리부가 홈(23)에 위치했을 때의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의하면, 또한 팬터그래프(12)의 마모나, 절연 섹션(22)의 용장성의 확보에 의한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23)은, 주행 방향(D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D3)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지만, 반대로 주행 방향(D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D3)의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홈(23)이 각각 다른 방향에 경사져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절연 섹션(22)을 상하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의 홈(23)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폭 방향(D2)의 외측을 향하여 선단이 가늘게 되어 있어도 좋고, 주행 방향(D1)으로 경사지지 않으며 폭 방향(D2)의 외측에 곧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급전 레일(3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전 레일(14)에 있어서, 절연 섹션(22)을 대신하여 절연 섹션(32)을 설치한 구성이다. 즉, 급전 레일(31)의 절연 섹션 이외의 구성은 급전 레일(14)과 동일하다. 급전 레일(31)에 있어서의 절연 섹션(32)은 홈(33)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며, 그 이외는 절연 섹션(22)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33)은, 접촉면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주행 방향(연장설치 방향)(D1)의 전방측(한쪽측)으로부터 후방측(다른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D3)의 하방측(한쪽측)으로부터 상방측(다른쪽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홈(33)은, 절연 섹션(32)에 있어서의 주행 방향(D1)의 양 단부에, 주행 방향(D1)에 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D3)으로부터 본 홈(33)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절연 섹션(22)의 홈(23)과 동일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급전 레일(31)을 사용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있어서는, 절연 섹션(32)의 접촉면(32a)에, 팬터그래프(12)의 카본이 부착하여도, 이 접촉면(32a)에 형성된 홈(33)에 의해서, 전차선(20)과 절연 섹션(32) 사이의 연속성이 분단되어, 인접하는 전차선(20)끼리의 사이가 도통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팬터그래프(12)는 반드시 접촉면(32a)의 일부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즉, 팬터그래프(12)의 주행 방향(D1)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D3)의 전체에서, 동시에 홈(33)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으며, 팬터그래프(12)가 홈(33)에 걸려, 충격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팬터그래프(12)의 마모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급전 레일(31)을 사용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의하면, 절연 섹션(32)의 홈(33)에 의해서, 확실히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팬터그래프(12)에의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33)은, 주행 방향(D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D3)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반대로 주행 방향(D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D3)의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홈(33)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만곡되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팬터그래프(12)로의 충격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전 레일(41)에 있어서의 절연 섹션(42)의 구성이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급전 레일(4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전 레일(14)에 있어서, 절연 섹션(22) 대신에 절연 섹션(42)을 설치한 구성이다. 즉, 급전 레일(31)의 절연 섹션 이외의 구성은 급전 레일(14)과 동일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섹션(42)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FRP 등의 비도전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절연 섹션(42)은, 주행 방향(D1)을 따라서, 주행 방향(D1)에 인접하는 전차선(20)끼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절연 섹션(42)은, 각 급전 레일(41) 마다, 서로 상하 방향(D3)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절연부(44)와 제 2 절연부(45)를 갖고 있다.
제 1 절연부(44)는, 주행 방향(D1)의 양 단부에 있어서, 팬터그래프(12)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44a)으로부터 폭 방향(D2)의 외측을 향하여, 제 1 접촉면(44a)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까지 상하 방향(D3)으로 절결되며, 주행 방향(D1)에 간격을 두고 2개씩 마련된 홈(43)을 갖고 있다.
제 2 절연부(45)는, 제 1 절연부(44)와 마찬가지로, 주행 방향(D1)의 양 단부에 있어서, 팬터그래프(12)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44a)으로부터 폭 방향(D2)의 외측을 향하여, 제 1 접촉면(45b)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까지 상하 방향(D3)으로 절결되며, 주행 방향(D1)에 간격을 두고 2개씩 마련된 홈(43)을 갖고 있다. 상하 방향(D3)에서 본 홈(33)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절연 섹션(22)의 홈(23)과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절연부(44)의 홈(43)과 제 2 절연부(45)의 홈(43)은 주행 방향(D1)에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도록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전 레일(41)을 사용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는, 절연 섹션(42)의 제 1 접촉면(44a)과 제 2 접촉면(45b)에, 팬터그래프(12)의 카본이 부착하여도, 이들 제 1 접촉면(44a) 및 제 2 접촉면(45b)에 형성된 홈(43)에 의해서, 전차선(20)과 절연 섹션(42) 사이의 연속성이 분단되어, 인접하는 전차선(20)끼리의 사이가 도통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절연부(44)와 제 2 절연부(45)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고, 또한 상하 방향(D3)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며, 제 1 접촉면(44a) 및 제 2 접촉면(45b) 각각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팬터그래프(12)는 반드시 제 1 접촉면(44a) 및 제 2 접촉면(45b)의 일부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즉, 팬터그래프(12)의 주행 방향(D1)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D3)의 전체에서, 동시에 홈(43)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이 없으며, 팬터그래프(12)가 홈(43)에 걸려, 충격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팬터그래프(12)의 마모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1)에 의하면, 절연 섹션(42)의 홈(43)에 의해서, 확실히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팬터그래프(12)로의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승차감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절연부(44)와 제 2 절연부(45)를 동일한 부재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절연부(44)를 포함한 부분과 제 2 절연부(45)를 포함하는 부분을 다른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 1 절연부(44)와 제 2 절연부(45)가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교환 작업의 용이화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촉면(44a) 및 제 2 접촉면(45b)에 형성된 홈(43)은 각각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경사져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또한 팬터그래프(12)로의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승차감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 설명을 실행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소의 설계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홈(23, 33, 43)의 주행 방향(D1)의 가장자리부는, 면취 등이 실시되며 접촉면(22a, 32a), 제 1 접촉면(44a), 제 2 접촉면(45b)으로부터 연속하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홈(23, 33, 43)은 절연 섹션(22, 32, 42)에 있어서의 주행 방향(D1)의 양 단부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지만, 절연 섹션(22)에 있어서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각 홈(23, 33, 43)을 복수 형성하는 경우에는, 1개가 카본에 의해서 막혀 도통 상태가 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다른 것이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용장성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섹션(22, 32, 42)에 FRP를 이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가이드 방식의 신교통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센터 가이드 방식이나, 가이드가 없는 자동 조타 방식이어도 좋다.
상술한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차량에 대하여 측방의 전차선보다 급전을 실행하는 급전 레일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확실히 절연을 실행하는 동시에, 승차감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적절하다.
1 : 궤도계 교통 시스템
2 : 차량
3 : 궤도
10 : 주행륜
11 : 안내륜
12 : 팬터그래프(집전자)
13 : 가이드 레일
14 : 급전 레일
14a : 면취부
20 : 전차선
21 : 접속판
22 : 절연 섹션
22a : 접촉면
23 : 홈
24 : 볼트
25 : 너트
31 : 급전 레일
32 : 절연 섹션
32a : 접촉면
33 : 홈
41 : 급전 레일
42 : 절연 섹션
43 : 홈
44 : 제 1 절연부
44a : 제 1 접촉면
45 : 제 2 절연부
45a : 제 2 접촉면
50 : 급전 레일
51 : 팬터그래프
52 : 홈
D1 : 주행 방향
D2 : 폭 방향
D3 : 상하 방향
P : 축선

Claims (6)

  1. 차량의 측방에 연장설치되며, 상기 차량과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상기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절연 섹션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절연 섹션의 연장설치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까지 형성된 홈을 갖고,
    상기 홈은, 상기 상하 방향의 단면이, 상기 연장설치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접촉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일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섹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연장설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섹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연장설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섹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제 1 접촉면과 제 2 접촉면을 갖고,
    상기 홈은, 이들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 각각에, 상기 연장설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섹션.
  5.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전차선과,
    상기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연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레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연 섹션 또는 급전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
KR1020147019653A 2012-02-02 2013-02-01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KR20140105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1171A JP2013159181A (ja) 2012-02-02 2012-02-02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JP-P-2012-021171 2012-02-02
PCT/JP2013/052361 WO2013115369A1 (ja) 2012-02-02 2013-02-01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012A true KR20140105012A (ko) 2014-08-29

Family

ID=4890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653A KR20140105012A (ko) 2012-02-02 2013-02-01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39040A1 (ko)
JP (1) JP2013159181A (ko)
KR (1) KR20140105012A (ko)
CN (1) CN104053573B (ko)
HK (1) HK1199232A1 (ko)
SG (1) SG11201403871YA (ko)
WO (1) WO2013115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1478B2 (ja) 2012-08-24 2015-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CN104875630B (zh) * 2015-05-04 2017-04-12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双源无轨电车用电控制方法
KR102032429B1 (ko) * 2017-12-06 2019-10-16 궤도공영 주식회사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DE102018100893A1 (de) * 2018-01-16 2019-07-18 Furrer & Frey Ag Streckentrenner
KR102032431B1 (ko) * 2019-02-01 2019-11-08 궤도공영 주식회사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8132U (ja) * 1984-03-15 1985-10-01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電車線路用セクシヨンインシユレ−タ
JPS62241743A (ja) * 1986-04-11 1987-10-22 Mitsubishi Cable Ind Ltd トロリ線の区分絶縁装置
JPH0340229U (ko) * 1989-08-31 1991-04-18
JPH10278637A (ja) * 1997-04-02 1998-10-20 Hitachi Cable Ltd トロリー線用摩耗粉除去セクション
CN1718457A (zh) * 2005-07-28 2006-01-11 上海交通大学 动力道路电动轿车
JP4468459B2 (ja) * 2008-02-18 2010-05-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集電用接触部材
CN201301419Y (zh) * 2008-09-27 2009-09-02 成都交大铁路轨道设备工程有限公司 铁路钢轨全绝缘接头夹板
CN201339150Y (zh) * 2008-12-31 2009-11-04 瓦房店正通铁路器材制造有限公司 钢轨斜接热胶绝缘接头
US8157185B2 (en) * 2009-01-23 2012-04-17 Fastrax Industries, Inc. Strike attachment railroad signal line connector
CN102317104B (zh) * 2010-02-01 2013-05-01 新誉集团有限公司 一种导电轨接头
JP5781478B2 (ja) * 2012-08-24 2015-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369A1 (ja) 2013-08-08
CN104053573B (zh) 2016-12-07
SG11201403871YA (en) 2014-09-26
CN104053573A (zh) 2014-09-17
US20140339040A1 (en) 2014-11-20
JP2013159181A (ja) 2013-08-19
HK1199232A1 (zh)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1B1 (ko) 궤도계 차량의 안내 궤조 및 교통 시스템
KR20140105012A (ko) 절연 섹션, 급전 레일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RU2683213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на уровне грунта для ненаправля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40216878A1 (en) Non-contact power feeding apparatus using conductive fluid
KR101649065B1 (ko)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
US9199540B2 (en) Current collector strip for a sliding contact device
US9030163B2 (en) Energy re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US9517738B2 (en) Grounding shoe and vehicle
CN111231679B (zh) 轨道车辆的充电装置及轨道交通系统
KR101980943B1 (ko) 집전 장치 및 차량
CN209037434U (zh) 一种用于侧接触导电轨系统分段绝缘器
US11532444B2 (en) Contact unit for supplying vehicles with power and related method
JPH045384Y2 (ko)
CN102501784B (zh) 一种轮式三轨绝缘接头
KR20150067462A (ko) 판토그라프
CN107444130A (zh) 一种多相滑动馈电装置
US11059496B2 (en) Ground-based power supply and associated reinforcing method
KR101246930B1 (ko)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
CN208897079U (zh) 接地刷总成、转向架和轨道车辆
EP4157671B1 (en) Electric road track
CN207173313U (zh) 一种多相滑动馈电装置
KR20170039432A (ko) 강체전차선
KR101494295B1 (ko) 강체 전차선로용 접속금구
KR20170045849A (ko) 역구배 강체전차선
GB189505936A (en) A Current Collector for Electrically Propelled Railway or Tramway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