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199A -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199A
KR20140104199A KR1020130018086A KR20130018086A KR20140104199A KR 20140104199 A KR20140104199 A KR 20140104199A KR 1020130018086 A KR1020130018086 A KR 1020130018086A KR 20130018086 A KR20130018086 A KR 20130018086A KR 20140104199 A KR20140104199 A KR 20140104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ice
color
color material
glutinou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덕
Original Assignee
양주시
신양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주시, 신양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양주시
Priority to KR102013001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199A/ko
Publication of KR2014010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1Retaining or modifying natural colour by use of additives, e.g.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43Cereal granules or flakes to be cooked and eaten hot, e.g. oatmeal; Reformed rice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찹쌀가루와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2가지의 색감재료를 이용하여 투톤 칼라떡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찹쌀가루를 준비하는 제1과정(11)과; 상기 찹쌀가루 중에서 일부에 제 1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1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2과정(12)과; 상기 찹쌀가루 중에서 나머지에 제 2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2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3과정(13)과; 찜기 내에 상기 제 1 칼라재료와 제 2 칼라재료를 차례로 적층하여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2개의 층을 형성하여 쪄내는 제4과정(1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쇠머리찰떡을 투톤의 칼라층을 가진 퓨전스타일의 영양 찰떡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양 섭취가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맛과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출 수 있으면서도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Two-tone Color Rice Ca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찰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전통적인 쇠머리찰떡을 투톤의 칼라층을 가진 퓨전스타일의 영양 찰떡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양 섭취가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맛과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출 수 있으면서도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쇠머리찰떡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외관을 가지며, 전통적으로 충청도 지방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떡이다. 이는 콩, 밤, 대추, 팥 등을 찹쌀가루에 섞어 찐 떡이며, 약간 굳었을 때 쇠머리편육처럼 썰어 구워 먹으면 맛이 좋고, 또 썰어 놓은 모양이 쇠머리편육을 썬 것과 같아서 쇠머리찰떡이라 불리웠다(윤숙자 1998).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 떡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고,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추기 위한 식품으로서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퓨전 스타일의 떡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공개번호 10-2012-0066860 (2012년 6월 25일 공개)에는 시루떡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서 생일케익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가 제안되어 있으며, 국내 특허공개번호 특2000-0050625 (2000년 8월 5일 공개)에는 멥쌀이나 찹쌀가루에 각종의 부재료를 혼합하고 일정한 형태의 케익형으로 제조한 떡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케익 형태의 떡은 활용도가 한정되어 있음에 불과하고, 전통적인 떡의 활용 분야는 아직 개발하여야 할 분야가 많다. 예를 들어, 찹쌀가루에 각종의 과일이나 견과류와 같은 부재료를 혼합한 찰떡은, 현대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각종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찰떡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색감이 다양하며 영양이 높은 웰빙 식품으로서 제공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에 맞춘 새로운 떡을 제공한다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러 가지 다른 장점들을 추가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통적인 쇠머리찰떡을 투톤의 칼라층을 가진 퓨전스타일의 영양 찰떡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양 섭취가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맛과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출 수 있으면서도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은, 찹쌀가루와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2가지의 색감재료를 이용하여 투톤 칼라떡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찹쌀가루를 준비하는 제1과정과; 상기 찹쌀가루 중에서 일부에 제 1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1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2과정과; 상기 찹쌀가루 중에서 나머지에 제 2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2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3과정과; 찜기 내에 상기 제 1 칼라재료와 제 2 칼라재료를 차례로 적층하여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2개의 층을 형성하여 쪄내는 제4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 이후, 쪄낸 것의 표면에 또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제 3 색감재료로 이루어지는 표면재료를 묻히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 및 제3과정에서, 호박씨, 대추, 호두, 땅콩, 검정콩, 해바라기씨, 아몬드를 포함하는 견과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알갱이재료를 더 혼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찹쌀가루는 현미찹쌀가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색감재료는 호박가루, 대추가루, 아로니아가루, 딸기가루, 부추가루, 녹차가루, 청태가루, 경단가루, 인절미콩가루, 흑임자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위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이 제공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통적인 쇠머리찰떡을 투톤의 칼라층을 가진 퓨전스타일의 영양 찰떡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양 섭취가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맛과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출 수 있으면서도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의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투톤 칼라떡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외관을 예시하는 사진.
도 3은 도 1의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투톤 칼라떡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전통적인 쇠머리찰떡을 예시하는 사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은, 도 1에 그 제조과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데, 찹쌀가루와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2가지의 색감재료를 이용하여, 각각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진 2개의 층을 가진 투톤 칼라떡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10)은, 찹쌀가루를 준비하는 제1과정(11)과; 준비된 찹쌀가루 중에서 일부에 제 1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1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2과정(12)과; 준비된 찹쌀가루 중에서 나머지에 제 2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2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3과정(13)과; 찜기 내에 상기 제 1 칼라재료와 제 2 칼라재료를 차례로 적층하여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2개의 층을 형성하여 쪄내는 제4과정(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과정(14) 이후, 쪄낸 것의 표면에 또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제 3 색감재료로 이루어지는 표면재료를 묻히는 제5과정(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투톤 칼라떡이 도 2 및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재료를 보면, 찹쌀가루는 일반적인 찹쌀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현미찹쌀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영양적인 면에서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색감재료는 색깔을 가진 먹을 수 있는 천연 재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색감재료는 가루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재료인 찹쌀가루 또는 현미찹쌀가루와 전체적으로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색감재료에는 호박가루, 대추가루, 아로니아가루, 딸기가루, 부추가루, 녹차가루, 청태가루, 경단가루, 인절미콩가루, 흑임자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색감재료는 또한 쪄낸 후 표면에 묻히는 색감재료인 표면재료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색감재료는 위에서 예시한 재료 이외에도 먹을 수 있는 재료로서 고유의 색을 가진 재료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현미찹쌀가루 자체가 색감재료로서 사용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한편, 위의 제 1 칼라재료 및 제 2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2과정(12) 및 제3과정에서, 호박씨, 대추, 호두, 땅콩, 검정콩, 해바라기씨, 아몬드를 포함하는 견과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알갱이재료를 더 혼합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각각의 칼라재료에는 물과 설탕이 혼합될 수 있다.
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투톤 칼라떡의 몇가지 실시예의 외관이 도 2에 예시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톤 칼라떡(20)은 그 단면이 2개의 층(21, 23)을 가지며, 표면에도 특정 색깔을 나타내는 재료가 묻혀져 형성된 표면층(25)을 가질 수 있다. 단면을 이루는 2개의 층(21, 23)의 각각의 높이(H1, H2)는 임의의 비율로 제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 : 2 정도의 비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미찹쌀가루에 2가지 색깔을 가진 서로 다른 색감재료를 혼합하고, 알갱이재료로서 여러가지 견과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투톤 칼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정규 식사의 대용식품 또는 간식 식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쁜 현대인들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하루하루 필요한 영양소들을 단번의 식사로서 섭취할 수 있는 건강 웰빙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투톤 칼라떡의 여러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사용하는 재료 중, 현미찹쌀은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서 재배된 현미찹쌀을 사용하였고, 설탕은 제일제당사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색감재료인 각종 가루와 알갱이재료인 견과류는 모두 마트 또는 도매상 등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현미찹쌀가루로만 만든 '현미찰떡'의 제조
실시예 1의 현미찰떡은, 별도의 색감재료나 알갱이재료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색깔이 단순하고 기본적인 영양찰떡이며, 이후에서 설명될 실시예2 내지 실시예5의 투톤 칼라떡과 함께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은 현미찹쌀가루가 가지고 있는 1가지 색깔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현미찰떡은 도 2에서 1번으로 표시되어 있는 떡으로서 예시되어 있다.아래 표 1에는 실시예 1의 성분비가 그램(g) 중량과 중량%로서 예시되어 있다.
재료 중량(g) 중량%
현미찹쌀가루 500 80.78
설탕 74 11.95
45 7.27
619 100
실시예 1의 현미찰떡은 현미찹쌀가루 500g, 설탕 74g, 물 45g을 혼합하여 찜기에 채워 넣고 쪄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현미찹쌀가루에 2가지 색감재료를 포함한 2개의 층을 가지도록 제조한 투톤 칼라떡의 일종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춘하추동 중 '춘(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편의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실시예 2의 투톤 칼라떡은 호박가루와 대추가루를 사용하고, 견과류로서 호박씨와 대추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에 묻히는 색감재료로는 청태가루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는 도 2에서 2번으로 표시되어 있는 떡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아래 표 2에는 실시예 2의 성분비가 그램(g) 중량과 중량%로서 예시되어 있다.
구분 재료 중량(g) 중량%


제1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350 48.35
설탕 52 7.19
30 4.14
호박가루 10 1.38
호박씨 30 4.14


제2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150 20.72
설탕 22 3.04
15 2.07
대추가루 5 0.69
대추 30 4.14
표면재료 청태가루 30 4.14
724 100
실시예 2는 표 2에 예시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1) 먼저 준비된 현미찹쌀을 5시간 정도 물에 불려 체에 거르고 물기를 제거하고, 제분기로 2회 분쇄하면서 약간의 소금을 넣어 현미찹쌀가루를 제조한다.
(2) (1)의 분쇄된 현미찹쌀가루는 체에 걸러 사용한다.
(3) (2)의 현미찹쌀가루 500g을 350g과 150g으로 분할한다.
(4) 현미찹쌀가루 350g에는 호박가루 10g, 물 2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52g, 호박씨 10g을 혼합하여 제1칼라재료를 제조한다.
(5) 현미찹쌀가루 150g에는 대추가루 5g, 물 1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22g, 대추 썰은 것 30g을 혼합하여 제2칼라재료를 제조한다.
(6) 대체로 직사각형의 찜기 바닥에 물기를 짠 면보를 깔고 (4)를 편편하게 깔고, 그 위에 (5)를 편편하게 깔아 적층한다. 이것을 찜통에 올리고 찐다. 찜기에서 김이 나면 그때부터 20분간 찌고 불을 끈 다음 5분간 뜸을 들인다.
(7) 사각 그릇에 비닐을 깔고 청태가루 30g을 뿌린 후, (6)을 넣고 그 표면에 청태가루를 묻힌다.
(8) (7)에 비닐을 덮어 실온에서 방치하여 굳힌다.
(9) (8)을 약 1cm 두께로 썰어 낸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현미찹쌀가루에 2가지 색감재료를 포함한 2개의 층을 가지도록 제조한 투톤 칼라떡의 일종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춘하추동 중 '하(여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편의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실시예 3의 투톤 칼라떡은 아로니아가루와 딸기가루를 사용하고, 견과류로서 호두와 땅콩을 사용하였으며, 표면에 묻히는 색감재료로는 경단가루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은 도 2에서 3번으로 표시되어 있는 떡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아래 표 3에는 실시예 3의 성분비가 그램(g) 중량과 중량%로서 예시되어 있다.
구분 재료 중량(g) 중량%


제1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350 49.16
설탕 52 7.30
30 4.21
아로니아가루 3 0.42
호박 30 4.21


제2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150 21.07
설탕 22 3.09
15 2.11
딸기가루 10 1.41
땅콩 20 2.81
표면재료 경단가루 30 4.21
712 100
실시예 3은 표 3에 예시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1) 먼저 준비된 현미찹쌀을 5시간 정도 물에 불려 체에 거르고 물기를 제거하고, 제분기로 2회 분쇄하면서 약간의 소금을 넣어 현미찹쌀가루를 제조한다.
(2) (1)의 분쇄된 현미찹쌀가루는 체에 걸러 사용한다.
(3) (2)의 현미찹쌀가루 500g을 350g과 150g으로 분할한다.
(4) 현미찹쌀가루 350g에는 아로니아가루 3g, 물 2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52g, 호두 30g을 혼합하여 제1칼라재료를 제조한다.
(5) 현미찹쌀가루 150g에는 딸기가루 10g, 물 1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22g, 땅콩 20g을 혼합하여 제2칼라재료를 제조한다.
(6) 대체로 직사각형의 찜기 바닥에 물기를 짠 면보를 깔고 (4)를 편편하게 깔고, 그 위에 (5)를 편편하게 깔아 적층한다. 이것을 찜통에 올리고 찐다. 찜기에서 김이 나면 그때부터 20분간 찌고 불을 끈 다음 5분간 뜸을 들인다.
(7) 사각 그릇에 비닐을 깔고 경단가루 30g을 뿌린 후, (6)을 넣고 그 표면에 경단가루를 묻힌다.
(8) (7)에 비닐을 덮어 실온에서 방치하여 굳힌다.
(9) (8)을 약 1cm 두께로 썰어 낸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현미찹쌀가루에 2가지 색감재료를 포함한 2개의 층을 가지도록 제조한 투톤 칼라떡의 일종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춘하추동 중 '추(가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편의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실시예 4의 투톤 칼라떡은 대추가루와 현미찹쌀가루를 사용하고, 견과류로서 검정콩과 대추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에 묻히는 색감재료로는 인절미콩가루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는 도 2에서 4번으로 표시되어 있는 떡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아래 표 4에는 실시예 4의 성분비가 그램(g) 중량과 중량%로서 예시되어 있다.
구분 재료 중량(g) 중량%


제1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350 48.68
설탕 52 7.24
30 4.17
대추가루 10 1.39
검정콩 30 4.17


제2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150 20.86
설탕 22 3.06
15 2.09
- - -
대추 30 4.17
표면재료 인절미콩가루 30 4.17
719 100
실시예 4는 표 4에 예시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1) 먼저 준비된 현미찹쌀을 5시간 정도 물에 불려 체에 거르고 물기를 제거하고, 제분기로 2회 분쇄하면서 약간의 소금을 넣어 현미찹쌀가루를 제조한다.
(2) (1)의 분쇄된 현미찹쌀가루는 체에 걸러 사용한다.
(3) (2)의 현미찹쌀가루 500g을 350g과 150g으로 분할한다.
(4) 현미찹쌀가루 350g에는 대추가루 10g, 물 2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52g, 검정콩(삶은 것) 30g을 혼합하여 제1칼라재료를 제조한다.
(5) 현미찹쌀가루 150g에는 물 1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22g, 대추 썰은 것 30g을 혼합하여 제2칼라재료를 제조한다.
(6) 대체로 직사각형의 찜기 바닥에 물기를 짠 면보를 깔고 (4)를 편편하게 깔고, 그 위에 (5)를 편편하게 깔아 적층한다. 이것을 찜통에 올리고 찐다. 찜기에서 김이 나면 그때부터 20분간 찌고 불을 끈 다음 5분간 뜸을 들인다.
(7) 사각 그릇에 비닐을 깔고 인절미콩가루 30g을 뿌린 후, (6)을 넣고 그 표면에 인절미콩가루를 묻힌다.
(8) (7)에 비닐을 덮어 실온에서 방치하여 굳힌다.
(9) (8)을 약 1cm 두께로 썰어 낸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현미찹쌀가루에 2가지 색감재료를 포함한 2개의 층을 가지도록 제조한 투톤 칼라떡의 일종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춘하추동 중 '동(겨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편의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실시예 5의 투톤 칼라떡은 부추가루와 녹차가루를 사용하고, 견과류로서 해바라기씨와 아몬드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에 묻히는 색감재료로는 흑임자가루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는 도 2에서 5번으로 표시되어 있는 떡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아래 표 5에는 실시예 5의 성분비가 그램(g) 중량과 중량%로서 예시되어 있다.
구분 재료 중량(g) 중량%


제1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350 50.07
설탕 52 7.44
30 4.29
부추가루 5 0.72
해바라기씨 30 4.29


제2칼라재료
현미찹쌀가루 150 21.46
설탕 22 3.15
15 2.15
녹차가루 5 0.71
아몬드 10 1.43
표면재료 흑임자가루 30 4.29
699 100
실시예 5는 표 5에 예시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1) 먼저 준비된 현미찹쌀을 5시간 정도 물에 불려 체에 거르고 물기를 제거하고, 제분기로 2회 분쇄하면서 약간의 소금을 넣어 현미찹쌀가루를 제조한다.
(2) (1)의 분쇄된 현미찹쌀가루는 체에 걸러 사용한다.
(3) (2)의 현미찹쌀가루 500g을 350g과 150g으로 분할한다.
(4) 현미찹쌀가루 350g에는 부추가루 5g, 물 2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52g, 해바라기씨 30g을 혼합하여 제1칼라재료를 제조한다.
(5) 현미찹쌀가루 150g에는 녹차가루 5g, 물 1큰술을 넣고 비벼 체에 내린 후 설탕 22g, 아몬드 슬라이스 10g을 혼합하여 제2칼라재료를 제조한다.
(6) 대체로 직사각형의 찜기 바닥에 물기를 짠 면보를 깔고 (4)를 편편하게 깔고, 그 위에 (5)를 편편하게 깔아 적층한다. 이것을 찜통에 올리고 찐다. 찜기에서 김이 나면 그때부터 20분간 찌고 불을 끈 다음 5분간 뜸을 들인다.
(7) 사각 그릇에 비닐을 깔고 흑임자가루 30g을 뿌린 후, (6)을 넣고 그 표면에 흑임자가루를 묻힌다.
(8) (7)에 비닐을 덮어 실온에서 방치하여 굳힌다.
(9) (8)을 약 1cm 두께로 썰어 낸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영양찰떡과 투톤 칼라떡(춘, 하, 추, 동)에 대해 영향가를 분석하였다. 대조구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2012년에 발표한 외식영양성분표에 포함된 모듬찰떡 및 인절미를 사용하였다. 영양가분석 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100g당 함량
식품의약품안전청
2012, 영양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들
모듬찰떡 인절미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열량(kcal) 223 242.24 242.24 267.20 270.08 265.49 284.75
탄수화물(g) 47.4 55.72 55.72 52.52 44.51 48.80 48.30
당류(g) 4.6 5.14 5.14 8.19 9.67 10.10 6.94
단백질(g) 5.7 4.21 4.21 7.71 16.17 12.15 8.78
지방(g) 1.2 0.285 0.285 2.92 3.04 2.41 6.27
콜레스테롤(mg) 0.00 0.00 0.00 0.00 0.00 0.00 0.00
나트륨(mg) 237.09 341.37 257.16 337.69 342.60 298.35 303.12
포화지방(g) 0.3 0.6 0.01 0.48 0.44 0.36 0.79
트랜스지방(g) 0.0 0.0 0.00 0.00 0.00 0.00 0.00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톤 칼라떡은 대조구인 모듬찰떡과 인절미에 비하여 열량이 높지만, 탄수화물이 낮고 단백질 성분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의 투톤 칼라떡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구로 경기도 양주시 남면의 마트에서 판매하고 있는 모듬찰떡과 인절미를 준비하였다. 관능검사는 맛, 향, 기호도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
구분 색감 기호도 종합
실시예2 8.9 8.9 8.6 8.7
실시예3 9.0 9.0 8.9 8.9
실시예4 8.7 8.8 8.6 8.7
실시예5 9.0 9.0 8.9 8.9
대조구1(모듬찰떡) 6.5 6.0 5.9 6.1
대조구2(인절미) 6.0 6.0 5.8 5.9
* 관능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0 : 아주 나쁨)
상기 표 7의 결과로 볼 때, 대조구 1 및 2의 통상적인 모듬찰떡 및 인절미의 맛과 색감을 다소 좋아하지 않는 소비자도 있어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의 투톤 칼라떡에서는 2가지 칼라의 신선함과 다양한 부재료의 맛이 어우러져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좋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찹쌀가루와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2가지의 색감재료를 이용하여 투톤 칼라떡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찹쌀가루를 준비하는 제1과정(11)과;
    상기 찹쌀가루 중에서 일부에 제 1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1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2과정(12)과;
    상기 찹쌀가루 중에서 나머지에 제 2 색감재료를 혼합하여 제 2 칼라재료를 제조하는 제3과정(13)과;
    찜기 내에 상기 제 1 칼라재료와 제 2 칼라재료를 차례로 적층하여 서로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2개의 층을 형성하여 쪄내는 제4과정(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14) 이후, 쪄낸 것의 표면에 또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제 3 색감재료로 이루어지는 표면재료를 묻히는 제5과정(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12) 및 제3과정에서, 호박씨, 대추, 호두, 땅콩, 검정콩, 해바라기씨, 아몬드를 포함하는 견과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알갱이재료를 더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찹쌀가루는 현미찹쌀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감재료는 호박가루, 대추가루, 아로니아가루, 딸기가루, 부추가루, 녹차가루, 청태가루, 경단가루, 인절미콩가루, 흑임자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 칼라떡.
KR1020130018086A 2013-02-20 2013-02-20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4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86A KR20140104199A (ko) 2013-02-20 2013-02-20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86A KR20140104199A (ko) 2013-02-20 2013-02-20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99A true KR20140104199A (ko) 2014-08-28

Family

ID=517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86A KR20140104199A (ko) 2013-02-20 2013-02-20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1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5A (ko) * 2017-06-26 2019-01-04 김은영 아로니아 순대 및 그 제조방법
CN114081128A (zh) * 2021-11-26 2022-02-25 河南豫粮集团凯利来食品有限公司 一种双色米饼及其制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5A (ko) * 2017-06-26 2019-01-04 김은영 아로니아 순대 및 그 제조방법
CN114081128A (zh) * 2021-11-26 2022-02-25 河南豫粮集团凯利来食品有限公司 一种双色米饼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3242A (zh) 一种新型保健豆糕及其制造工艺
KR20150074532A (ko) 인삼 월병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4123A (ko) 해초 빵 및 그 제조방법
CN103005363B (zh) 一种糊涂面调味料以及方便糊涂面
KR102144299B1 (ko) 떡볶이 소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6986B1 (ko) 어묵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04199A (ko) 투톤 칼라떡 및 그 제조방법
JP2008035755A (ja) 和菓子
KR101973670B1 (ko) 국내산 식자재와 튀기지 않은 여섯 가지의 통곡물을 첨가한 건강식 통곡물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 통곡물 강정
KR102023684B1 (ko) 쌀눈 찹쌀떡의 제조방법
CN106234507A (zh) 用马铃薯制作的吐司面包及其加工方法
CN102334527A (zh) 用鲜果粒食品为馅料制作的月饼及其制造方法
KR100881433B1 (ko) 두부 스낵 제조방법
KR101884375B1 (ko) 제주톳보리장의 제조방법
KR102668547B1 (ko) 명란을 이용한 페스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명란 페스토
KR20200083074A (ko) 귀리 영양바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귀리 영양바
KR102172033B1 (ko) 맑은 팥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4196A (ko) 잡곡 피자 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잡곡 피자 도우
KR101580963B1 (ko) 영양 쌈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4193A (ko) 검은깨 피자 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검은깨 피자 도우
KR20160146252A (ko)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갈비모양을 가지는 인삼 함유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인삼 함유 떡갈비
DE202007017373U1 (de) Snack auf Basis von Hülsenfrüchten
KR20170072494A (ko) 흑미 및 오징어먹물 함유 피자 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흑미 및 오징어먹물 함유 피자 도우
KR20100097277A (ko) 미꾸라지 어묵
KR101538277B1 (ko) 곡물고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