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57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578A
KR20140103578A KR1020130017118A KR20130017118A KR20140103578A KR 20140103578 A KR20140103578 A KR 20140103578A KR 1020130017118 A KR1020130017118 A KR 1020130017118A KR 20130017118 A KR20130017118 A KR 20130017118A KR 20140103578 A KR20140103578 A KR 2014010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casing
unit
photograph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184B1 (ko
Inventor
김학영
김고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84B1/ko
Priority to BR112015016419-6A priority patent/BR112015016419B1/pt
Priority to PCT/KR2013/011513 priority patent/WO2014126330A1/en
Priority to MX2015010624A priority patent/MX345939B/es
Priority to US14/135,786 priority patent/US9529441B2/en
Priority to EP19166156.0A priority patent/EP3525454A1/en
Priority to EP14152348.0A priority patent/EP2768219B1/en
Priority to EP21171705.3A priority patent/EP3879818A1/en
Priority to JP2014024113A priority patent/JP6362346B2/ja
Priority to CN201910207475.0A priority patent/CN109996103B/zh
Priority to CN201410053004.6A priority patent/CN103997667B/zh
Publication of KR2014010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표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본체 및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으로서,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제2 위치에 있을 때,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인터렉티브 기능의 확대에 따라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이란 사용자의 동작이나 음성 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촬영 유닛이나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감지 유닛 등이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촬영 유닛이나 음성 감지 유닛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 고정되어 장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단부가 촬영 유닛이나 음성 감지 유닛으로 인해 항상 돌출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출된 촬영 유닛이나 음성 감지 유닛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일상을 감시하는 느낌을 줄 수 있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촬영 유닛 및 음성 감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촬영 유닛 및 음성 감지 유닛을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상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예가 있다. 촬영 유닛을 예로써 설명하면, 촬영 유닛의 촬영시에는 촬영 유닛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상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며, 촬영 유닛의 비촬영시에는 돌출된 촬영 유닛이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촬영 유닛 및 음성 감지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두께만큼 뒤에 위치한다. 따라서,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촬영 유닛이 더 위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요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 표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본체 및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으로서,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방을 바라보게 배치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곡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곡선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가진 카메라 케이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메인 케이싱 및 상기 메인 케이싱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 유닛을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 케이싱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가진 보조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에 연결된 래치 유닛 및 상기 보조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래치 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촬영 유닛을 로킹시키는 로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유닛은, 래치 하우징 및 상기 래치 하우징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와 상기 래치 하우징 안으로 부분 삽입되는 부분 삽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후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는 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 부재를 후킹 결합하고,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는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노출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 부재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보조 케이싱으로부터 수직 연장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는, 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 이동시 상기 결합부와 후킹되도록 탄성적으로 서로 좁혀지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노출 위치로 이동시 상기 결합부와 분리되도록 탄성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이 형성된 베이스 케이싱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을 커버하는 커버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래치 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촬영 유닛과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로킹 부재를 상기 후크 부재와 후킹 결합시키고, 상기 후크 부재와 상기 로킹 부재가 분리되면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후크 부재와 상기 로킹 부재의 분리가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더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부재는 회전 댐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된 댐퍼 레일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틸트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감지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면에 인접하게 장착되며 상기 촬영 유닛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보조 케이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보조 케이싱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보조 케이싱에 구비되는 촬영 유닛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보조 케이싱 및 촬영 유닛의 베이스 케이싱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보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촬영 유닛 및 슬라이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촬영 유닛의 로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촬영 유닛의 로킹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보조 케이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제스처나 음성 등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동작은 예를 들어, 채널의 변경, 볼륨 업이나 다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LCD 텔레비젼, LED 텔레비젼이나 OLED 텔레비젼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고, 평판 디스플레이가 아닌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이 아닌 컴퓨터 모니터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본체(120) 및 촬영 유닛(5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제스처나 음성 등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동작은 예를 들어, 채널의 변경, 볼륨 업이나 다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LCD 텔레비젼, LED 텔레비젼이나 OLED 텔레비젼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고, 평판 디스플레이가 아닌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120)는 메인 케이싱(200),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제어 보드(미도시), 파워 보드(미도시), 및 보조 케이싱(300)을 포함한다.
메인 케이싱(200)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제어 보드(미도시) 및 파워 보드(미도시)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부품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면(220)을 갖는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면(2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시청할 수 있다.
제어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른 코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파워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케이싱(300)은 전술한 메인 케이싱(200)의 후면 상부에 장착되며, 촬영 유닛(500)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케이싱(300)이 메인 케이싱(200)의 후면에 따로 장착되는데, 보조 케이싱(300)이 메인 케이싱(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케이싱(300)은 전면 케이싱(320) 및 후면 케이싱(340)을 포함한다.
전면 케이싱(3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인 케이싱(200)의 후면 상부에 결합된다. 전면 케이싱(320)은 상면(321)에 촬영 유닛(500)이 통과되는 개구(322)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322)를 통해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되거나 보조 케이싱(300) 안으로 수용된다.
후면 케이싱(340)은 전면 케이싱(320)과 결합되어 보조 케이싱(300)의 후면을 형성한다. 전면 케이싱(320)과 후면 케이싱(340) 사이의 공간에 촬영 유닛(500), 음성 감지 유닛(400)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조 케이싱(300)에 장착된다.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되어 메인 케이싱(200)의 상면(202) 높이를 넘지 않게 배치된다.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시 보호창(502)이 메인 케이싱(200)의 상면(202)과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은 카메라 케이싱(510), 카메라 모듈(600) 및 틸트 레버(580)를 포함한다.
카메라 케이싱(510)은 베이스 케이싱(520) 및 커버 케이싱(560)을 포함한다.
베이스 케이싱(520)은 내부에 카메라 모듈(600) 및 틸트 레버(580)가 장착되며 전면에 보호창(502)이 장착된다. 베이스 케이싱(520)은 카메라 모듈(6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케이싱(560)은 베이스 케이싱(520)과 결합되며 촬영 유닛(5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케이싱(560)에는 보호창(502)이 끼워지는 전면 개구(562) 및 틸트 레버(560)를 노출시키는 틸트 레버 개구(564)가 형성된다. 한편, 커버 케이싱(560)은 베이스 케이싱(520)과 달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촬영 유닛(500) 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촬영 유닛(600)은 이러한 카메라 모듈(600)을 내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0)은 영상의 빛을 모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미도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렌즈를 움직여 포커스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비촬영시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촬영 유닛(500)은 영상 표시면(220)으로부터 메인 케이싱(200)의 두께(d)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이때, 촬영 유닛(500)과 영상 표시면(220) 사이의 거리(d)는 메인 케이싱(200)의 두께(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때, 카메라 모듈(600)은 위쪽 방향(+Z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보이지 않게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유닛(500)에 의해 느낄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깔끔히 할 수 있어,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촬영 유닛(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X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 케이싱(200)의 상면(202) 위에 배치된다. 이때, 촬영 유닛(500)은 영상 표시면(220)까지 소정 거리(d') 이격되어 배치되며, 촬영 유닛(500)의 보호창(502)은 영상 표시면(220)보다 약간 뒤에 배치된다. 즉, 촬영 유닛(500)과 영상 표시면(220) 사이의 거리(d')는 메인 케이싱(200)의 두께(d)보다 짧다. 전술한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와 비교하면, 촬영 유닛(500)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제2 위치에 있을 때, 영상 표시면(22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보다 큰 카메라 화각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방(+Z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틸트 레버(580)는 카메라의 틸트 조절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틸트란 카메라의 위치는 고정되고 앵글만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틸트 레버(580) 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듈(600)은 촬영 유닛(500) 내에서 Y축 방향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회전된다. 틸트 레버(580)는 커버 케이싱(560)의 틸트 레버 개구(56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틸트 레버(580)의 조작을 통해 카메라의 틸트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보조 케이싱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감지 유닛(400) 및 피시비 기판(700)을 또한 포함한다.
음성 감지 유닛(400)은 보조 케이싱(300) 내에 수용될 수 있게 장착되며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음성 감지 유닛(400)이 촬영 유닛(50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므로, 촬영 유닛(500)에 음성 감지 유닛(400)을 위한 추가 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없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촬영 유닛(5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음성 감지 유닛(400)은 마이크(420) 및 마이크 홀(450)을 포함한다.
마이크(42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마이크(42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의 경우 두 개의 마이크(420)가 구비된다. 두 개의 마이크(420)는 촬영 유닛(500)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며, 전면 케이싱(320)의 상면(321)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마이크 홀(450)은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420)로 전달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네 개의 마이크 홀(450)이 구비되며, 마이크(420)의 상측에 두 개의 마이크 홀(450)이 구비되며, 다른 두 개의 마이크 홀(450)은 마이크(420)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후면 케이싱(340)에 구비된다.
피시비 기판(700)은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 및 음성 감지 유닛(4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렉션을 판단한다. 피시비 기판(7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보드(미도시)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보드(미도시)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한다.
한편, 피시비 기판(700)은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 및 음성 감지 유닛(4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렉션을 판단하지 않고,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 및 음성 감지 유닛(4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곧바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보드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보드는 수신한 촬영 유닛(5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 및 음성 감지 유닛(400)이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렉션을 판단한 후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와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킹 유닛(900), 슬라이더(1000), 가이드 레일(1200), 탄성 부재(1400) 및 댐핑 부재(1600)를 또한 포함한다.
로킹 유닛(900)은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 유닛(500)을 보조 케이싱(300)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킹 유닛(900)은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로킹이 해제된다.
이러한 로킹 유닛(900)은 래치 유닛(920) 및 로킹 부재(960)를 포함한다.
래치 유닛(920)은 슬라이더(1000)에 장착되며, 슬라이더(1000)는 촬영 유닛(5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래치 유닛(920)은 슬라이더(1000)를 통해 촬영 유닛(500)에 연결된다. 래치 유닛(920)은 로킹 부재(960)와 결합되고 로킹 부재(960)와 분리됨으로써, 촬영 유닛(500)의 로킹 및 언로킹을 수행한다.
이러한 래치 유닛(920)은 래치 하우징(930) 및 후크 부재(940)를 포함한다.
래치 하우징(930)은 슬라이더(1000)에 장착된다. 래치 하우징(930)에는 로킹 해제시 후크 부재(940)를 래치 하우징(930) 밖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후크 부재(940)는 한 쌍 구비되며, 래치 하우징(930)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와 래치 하우징(930) 안으로 부분 삽입되는 부분 삽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래치 하우징(930)에 장착된다.
로킹 부재(960)는 보조 케이싱(300)의 후면 케이싱(340)에 구비된다. 로킹 부재(960)는 후면 케이싱(340)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위쪽 방향(+Z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로킹 부재(960)는 후면 케이싱(34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킹 부재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후면 케이싱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로킹 부재(960)는 몸체부(962) 및 결합부(966)를 포함한다.
몸체부(962)는 후면 케이싱(340)으로부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966)는 몸체부(962)의 선단에 구비되며 래치 유닛(920)의 후크 부재(94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킹 부재(960)는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래치 유닛(920)의 후크 부재(940)과 결합되며,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래치 유닛(920)의 후크 부재(940)와 결합이 해제된다.
슬라이더(1000)는 촬영 유닛(500)과 결합되며 보조 케이싱(300) 내에서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1200)은 슬라이더(100)의 상하 방향(Z 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더(100)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1200)에는 슬라이더(100)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1220)이 형성된다.
탄성 부재(1400)는 촬영 유닛(500)의 로킹이 해제될 때 슬라이더(1000)가 상측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탄성 부재(1400)의 일단은 슬라이더(1000)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1400)의 타단은 가이드 레일(120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1400)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으로 구비된다.
댐핑 부재(1600)는 슬라이더(100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댐핑 부재(1600)는 회전 댐퍼로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1200)에 구비된 댐퍼 레일(1260)에 맞물리게 장착된다. 댐핑 부재(1600)는 슬라이더(1000)의 슬라이딩시 가이드 레일(1200)의 레일(1260)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슬라이더(100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댐핑 부재(1600)는 슬라이더(1000)에 한 개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1200)의 댐퍼 레일(1260) 또한 댐핑 부재(1600)와 인접한 가이드 레일(1200)에만 구비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촬영 유닛(5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5의 보조 케이싱에 구비되는 촬영 유닛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보조 케이싱 및 촬영 유닛의 베이스 케이싱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5의 보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촬영 유닛 및 슬라이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의 베이스 케이싱(520)에는 양측면에 각각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이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은 아래 방향(-Z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구부러지는 곡선 형상을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싱(320)의 개구(320) 아래 부분에는 베이스 케이싱(520)의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26)가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6)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6)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에 삽입되어 촬영 유닛(500)의 이동시 베이스 케이싱(5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케이싱(560)에는 양측단부에 각각 이동돌기(568)가 형성된다. 슬라이더(1000)에는 한 쌍의 이동돌기(568)가 삽입되는 한 쌍의 커버 가이드홈(1020)이 형성된다. 한 쌍의 커버 가이드홈(1020)은 촬영 유닛(500)의 이동시 커버 케이싱(56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와 제2 위치(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때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촬영 유닛의 로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촬영시 사용자는 촬영 유닛(500)을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
도 11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비촬영시 촬영 유닛(500)의 전면을 가압한다.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의 전면 가압에 따라 아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가 전면을 가압하면 곡선 궤적(C)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된다. 여기서, 곡선 궤적(C)은 촬영 유닛(500)의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의 형상에 대응한다. 즉, 촬영 유닛(500)은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 궤적(C)을 그리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촬영 유닛(500)의 임의의 포인트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위치(P1)에서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위치(P2)까지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 궤적(C)을 따라 이동한다. 촬영 유닛(500)의 다른 포인트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후, 사용자는 도 11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의 개구(321)의 약간 아래에 눌릴 때까지 촬영 유닛(500)을 더 가압한다. 이는 촬영 유닛(500)의 로킹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 1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의 이동시, 촬영 유닛(500)과 결합된 슬라이더(1000)는 보조 케이싱(300) 내에서 아래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댐핑 부재(1600)는 가이드 레일(1200)의 댐퍼 레일(1260)에 맞물려 돌아가면서 슬라이더(1000)가 급격히 아래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 유닛(920)은 슬라이더(100)가 이동할 때, 보조 케이싱(300)의 아래 방향(-Z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래치 유닛(920)과 로킹 부재(960)가 결합함으로써, 촬영 유닛(500)은 제1 위치에 로킹된다.
래치 유닛(920)과 로킹 부재(960)의 결합을 살펴 보면, 래치 유닛(920)은 전술한 보조 케이싱(300)의 아래 방향(-Z 방향)의 이동으로 인해 한 쌍의 후크 부재(940)가 로킹 부재(960)의 결합부(966)와 맞닿는다. 이후, 한 쌍의 후크 부재(940)는 래치 하우징(930)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로부터 래치 하우징(930)으로 안으로 부분 삽입되는 삽입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사용자가 촬영 유닛(5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래치 유닛(920) 내부의 스프링으로 인해 슬라이더(1000)는 다시 보조 케이싱(300)의 윗방향(+Z 방향)으로 살짝 이동된다. 이때, 래치 유닛(920)의 한 쌍의 후크 부재(940)는 탄성적으로 서로 좁혀지면서 로킹 부재(960)의 결합부(966)와 후킹 결합된다.
사용자의 전면 가압 해제시, 촬영 유닛(500)은 슬라이더(1000)의 보조 케이싱(300) 윗방향(+Z 방향) 이동으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케이싱(300)의 상면(321) 높이까지 좀더 올라간다.
한편, 탄성 부재(1400)는 슬라이더(1000)의 아래 방향(-Z 방향)으로의 이동시 아래 방향(-Z 방향)으로 늘어나 슬라이더(1000)의 윗방향(+Z 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 가압력이 생긴다. 이러한 탄성 가압력은 촬영 유닛(500)의 로킹이 해제될 때 슬라이더(1000)를 윗방향(+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촬영 유닛의 로킹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촬영 유닛의 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촬영 유닛(500)의 촬영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밖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유닛(5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4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촬영시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의 개구(321)의 약간 아래에 눌릴 때까지 촬영 유닛(500)의 전면을 가압한다. 이는 촬영 유닛(500)의 로킹 해제를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의 개구(321)의 약간 아래로 눌려지면, 슬라이더(1000)는 보조 케이싱(300)의 아래 방향(-Z 방향)으로 살짝 이동된다. 이때, 래치 유닛(920)의 한 쌍의 후크 부재(940)는 내부 스프링으로 인해 래치 하우징(930)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로 밀려난다. 한 쌍의 후크 부재(940)는 래치 하우징(930) 밖으로 노출되면 탄성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로킹 부재(960)의 결합부(966)와 분리된다. 이를 통해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내에서 로킹이 해제된다.
촬영 유닛(500)의 로킹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1400)는 슬라이더(1000)가 보조 케이싱(300)의 윗방향(+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보조 케이싱(300)의 윗방향(+Z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한다. 슬라이더(1000)는 탄성 부재(1400)가 제공하는 탄성 가압력으로 인해 보조 케이싱(300)의 윗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댐핑 부재(1600)는 가이드 레일(1200)의 레일(1260)에 맞물려 돌아가면서 슬라이더(1000)가 급격히 윗방향(+Z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더(1000)가 윗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촬영 유닛(500)도 함께 슬라이딩되어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촬영 유닛(500)의 슬라이딩에 대해서는 하기 도 1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00)은 곡선 궤적(C)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보조 케이싱(300) 밖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곡선 궤적(C)은 앞선 도 12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촬영 유닛(500)의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의 형상에 대응한다. 즉, 촬영 유닛(500)은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 궤적(C)을 그리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촬영 유닛(500)의 임의의 포인트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위치(P2)에서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위치(P1)까지 슬라이드 가이드홈(5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 궤적(C)을 따라 이동한다. 촬영 유닛(500)의 다른 포인트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20: 디스플레이 본체
200: 메인 케이싱 220: 영상 표시면
300: 보조 케이싱 400: 음성 감지 유닛
500: 촬영 유닛 600: 카메라 모듈

Claims (20)

  1.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 표시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본체; 및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으로서,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영상 표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방을 바라보게 배치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곡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곡선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을 가진 카메라 케이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메인 케이싱; 및
    상기 메인 케이싱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 유닛을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 케이싱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가진 보조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에 연결된 래치 유닛; 및
    상기 보조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래치 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촬영 유닛을 로킹시키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은,
    래치 하우징; 및
    상기 래치 하우징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와 상기 래치 하우징 안으로 부분 삽입되는 부분 삽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후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는 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 부재를 후킹 결합하고,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는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노출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 부재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보조 케이싱으로부터 수직 연장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크 부재는, 상기 노출 위치로부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 이동시 상기 결합부와 후킹되도록 탄성적으로 서로 좁혀지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노출 위치로 이동시 상기 결합부와 분리되도록 탄성적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케이싱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홈이 형성된 베이스 케이싱;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을 커버하는 커버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촬영 유닛과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로킹 부재를 상기 후크 부재와 후킹 결합시키고, 상기 후크 부재와 상기 로킹 부재가 분리되면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와 상기 로킹 부재의 분리가 분리될 때 상기 슬라이더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는 회전 댐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된 댐퍼 레일에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틸트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감지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면에 인접하게 장착되며 상기 촬영 유닛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17118A 2013-02-18 2013-02-1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18A KR102100184B1 (ko) 2013-02-18 2013-02-18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3/011513 WO2014126330A1 (en) 2013-02-18 2013-12-12 Display apparatus
MX2015010624A MX345939B (es) 2013-02-18 2013-12-12 Aparato de despliegue.
BR112015016419-6A BR112015016419B1 (pt) 2013-02-18 2013-12-12 Aparelho de exibição que fornece interações com usuário
US14/135,786 US9529441B2 (en) 2013-02-18 2013-12-20 Display apparatus
EP19166156.0A EP3525454A1 (en) 2013-02-18 2014-01-23 Display apparatus
EP14152348.0A EP2768219B1 (en) 2013-02-18 2014-01-23 Display apparatus
EP21171705.3A EP3879818A1 (en) 2013-02-18 2014-01-23 Display appratus
JP2014024113A JP6362346B2 (ja) 2013-02-18 2014-02-12 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910207475.0A CN109996103B (zh) 2013-02-18 2014-02-17 显示设备
CN201410053004.6A CN103997667B (zh) 2013-02-18 2014-02-17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18A KR102100184B1 (ko) 2013-02-18 2013-02-1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78A true KR20140103578A (ko) 2014-08-27
KR102100184B1 KR102100184B1 (ko) 2020-04-13

Family

ID=5009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118A KR102100184B1 (ko) 2013-02-18 2013-02-1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29441B2 (ko)
EP (3) EP3879818A1 (ko)
JP (1) JP6362346B2 (ko)
KR (1) KR102100184B1 (ko)
CN (2) CN103997667B (ko)
BR (1) BR112015016419B1 (ko)
MX (1) MX345939B (ko)
WO (1) WO20141263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10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288B1 (ko) 2013-02-2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D735155S1 (en) * 2013-05-22 2015-07-2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735156S1 (en) * 2013-05-22 2015-07-2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KR20150102489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44195A (ja) * 2015-02-05 2016-08-08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6773971B2 (ja) * 2016-09-20 2020-10-21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CN209105221U (zh) * 2018-09-07 2019-07-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TWI734329B (zh) * 2019-12-31 2021-07-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利用外部輸入信號的按鍵巨集之觸發方法
CN210781088U (zh) * 2020-01-15 2020-06-16 赣州市牧士电子有限公司 一种电视机全面屏
CN111511143A (zh) * 2020-05-18 2020-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集成模组和显示设备
CN116045174A (zh) 2021-10-28 2023-05-02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显示装置、电子装置与伸缩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702A (ko) * 1996-08-29 1998-06-05 구자홍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KR19990000117U (ko) * 1997-06-03 1999-01-15 윤종용 슬라이드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US20070001071A1 (en) * 2005-06-03 2007-01-04 Chao-Chin Yeh Support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s
KR20100064552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002066B1 (ko) * 2010-02-01 2010-12-21 주식회사 영국전자 추적감시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314A (ja) * 1992-08-21 1994-03-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0844490A (ja) * 1994-07-28 199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JPH09205626A (ja) * 1996-01-25 1997-08-05 Hitachi Ltd 対面型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ビデオカメラ
JPH1093937A (ja) * 1996-09-12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ユニット装置
KR20000020511A (ko) * 1998-09-19 2000-04-15 구자홍 카메라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390887B2 (ja) * 1999-01-25 2009-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機器
JP2002062569A (ja) * 2000-08-22 2002-02-2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2073207A (ja) * 2000-08-29 2002-03-12 Sony Corp カメラ搭載の携帯型情報端末
JP4275304B2 (ja) * 2000-11-09 2009-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596494B2 (ja) * 2001-08-16 2004-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ハンディ型電話端末装置
JP2004147307A (ja) * 2002-09-30 2004-05-20 Sumitomo Electric Ind Ltd 表示装置、端末装置及び双方向対話型システム
JP4199576B2 (ja) * 2003-03-31 2008-12-17 京セラ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2702659Y (zh) * 2004-05-28 2005-06-01 李鑫 带阻尼器的滑轨
CN2717138Y (zh) * 2004-07-27 2005-08-10 上海迪比特实业有限公司 一种移动电话上的摄像头装置
KR20070080063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
TWI316167B (en) * 2006-05-01 2009-10-21 Quanta Comp Inc Built-in webcam device
US7435018B2 (en) * 2006-06-28 2008-10-14 Inventec Corporation Hidden image capturing device
CN101145809A (zh) * 2006-09-13 2008-03-19 泰金宝电通股份有限公司 滑动式蓝牙耳机装置
KR100843584B1 (ko) * 2007-04-10 2008-07-03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US20080266401A1 (en) 2007-04-24 2008-10-30 Fry Walter G Electronic device with variably positionable imaging device
KR100788865B1 (ko) * 2007-06-21 2007-12-27 장혜순 접속구를 갖는 회전판이 푸시록 출몰되게 한 매립형 커넥터고정장치
CN201252575Y (zh) * 2008-08-21 2009-06-03 英华达(西安)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拍照摄像功能的移动通讯装置
KR20110076458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IL203283A (en) 2010-01-13 2014-02-27 Iscar Ltd Cutting put
TW201205469A (en) * 2010-07-23 2012-02-01 Hon Hai Prec Ind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orientation thereof
US8542264B2 (en) 2010-11-18 2013-09-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tics in a video environment
TWI408490B (zh) * 2010-11-18 2013-09-11 Wistron Corp 影像擷取裝置及具有該影像擷取裝置的電子設備
KR101896947B1 (ko) * 2011-02-23 2018-10-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
CN202309797U (zh) * 2011-10-26 2012-07-0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便携电子设备终端上摄像头的弹出装置
KR101947572B1 (ko) * 2012-07-06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702A (ko) * 1996-08-29 1998-06-05 구자홍 멀티미디어용 컴퓨터 모니터의 비디오 카메라장치
KR19990000117U (ko) * 1997-06-03 1999-01-15 윤종용 슬라이드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US20070001071A1 (en) * 2005-06-03 2007-01-04 Chao-Chin Yeh Support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s
KR20100064552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002066B1 (ko) * 2010-02-01 2010-12-21 주식회사 영국전자 추적감시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110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02878B2 (en) 2018-11-01 2022-08-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5454A1 (en) 2019-08-14
CN103997667A (zh) 2014-08-20
EP2768219A3 (en) 2014-11-05
US9529441B2 (en) 2016-12-27
KR102100184B1 (ko) 2020-04-13
EP3879818A1 (en) 2021-09-15
BR112015016419A2 (ko) 2017-10-03
EP2768219B1 (en) 2019-05-29
JP2014157352A (ja) 2014-08-28
CN109996103A (zh) 2019-07-09
MX2015010624A (es) 2015-12-15
MX345939B (es) 2017-02-27
CN109996103B (zh) 2021-12-21
EP2768219A2 (en) 2014-08-20
JP6362346B2 (ja) 2018-07-25
CN103997667B (zh) 2019-04-12
WO2014126330A1 (en) 2014-08-21
US20140232865A1 (en) 2014-08-21
BR112015016419B1 (pt)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35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0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23052163A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793627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EP2722836B1 (en) Optical sensor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143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3461945U (zh) 电子设备
CN107884933B (zh) 一种头戴式虚拟现实设备
KR202100032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98415A (ja) 電子機器
KR2016003474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582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24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79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25009A (ja) 撮像装置
WO2014119010A1 (ja) 電子機器
GB2335752A (en) Camera with movable viewfinder
KR101179602B1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9066105A (ja) 貯蔵庫
JP2009098413A (ja) 電子機器
KR20000004215U (ko) 머리 장착 영상 표시 장치의 씨 쓰루 구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