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602B1 -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602B1
KR101179602B1 KR1020060028222A KR20060028222A KR101179602B1 KR 101179602 B1 KR101179602 B1 KR 101179602B1 KR 1020060028222 A KR1020060028222 A KR 1020060028222A KR 20060028222 A KR20060028222 A KR 20060028222A KR 101179602 B1 KR101179602 B1 KR 10117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ash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259A (ko
Inventor
류승섭
이은경
장성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영렌즈와 플래시가 장착된 전면부와 화면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후면부를 갖는 제 1 본체, 및 제 1본체와 상호 직선 운동에 의한 슬라이딩을 하며 소정의 위치에 플래시 도피홀이 형성된 전면부와 조작 버튼부가 장착된 후면부를 갖는 제 2 본체를 구비하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닫힌 상태가 된 경우, 촬영 렌즈를 포함하여 제 1 본체 전면부가 제 2 본체 내측에서 은폐되고, 조작 버튼부를 포함하여 제 2 본체 후면부가 제 1 본체 내측에서 은폐되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촬영 렌즈가 포함된 제 1 본체 전면부의 일부가 제 2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플래시는 제 2 본체의 플래시 도피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조작 버튼부가 포함된 제 2 본체 후면부의 일부가 제 1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이루어져 슬라이딩에 의해 디지털 촬영 장치의 파지면적을 확보하고 휴대하기 간편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Digital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sliding}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평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2의 A-A`의 단면도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 촬영 장치는 그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구조적으로 복잡해지고 장치 자체의 부피도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이 미지나 동영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과 디지털 촬영 장치의 조작을 위한 각종 기능 버튼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될 수가 있다. 그러나 디지털 촬영 장치가 대형화 되는 경우에는 휴대가 용이한 것을 찾는 소비자들의 소비성향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디지털 촬영 장치가 소형화, 슬림화 되는 경향이 있지만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과 각종 기능 버튼이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할 때 소형화, 슬림화에 구조적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한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경우 촬영 기능이 주된 목적의 하나이기 때문에 촬영시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파지 면적의 확보도 중요하다.
종래에 디지털 촬영 장치가 슬라이딩 구조로 된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단지 촬영 렌즈 등의 커버 수단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이루어지고 휴대하기 간편하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보가 가능하며 촬영시 파지면적의 확장을 통해 촬영이 용이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영렌즈와 플래시가 장착된 전면부와 화면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후면부를 갖는 제 1 본체, 및 제 1본체와 상호 직선 운동에 의한 슬라이딩을 하며 소정의 위치에 플래시 도피홀이 형성된 전면부와 조작 버튼부가 장착된 후면부를 갖는 제 2 본체를 구비하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닫힌 상태가 된 경우, 촬영 렌즈를 포함하여 제 1 본체 전면부가 제 2 본체 내측에서 은폐되고, 조작 버튼부를 포함하여 제 2 본체 후면부가 제 1 본체 내측에서 은폐되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촬영 렌즈가 포함된 제 1 본체 전면부의 일부가 제 2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플래시는 제 2 본체의 플래시 도피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조작 버튼부가 포함된 제 2 본체 후면부의 일부가 제 1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 도피홀에 상기 플래시광을 확산하기 위한 프레넬(fresnel) 렌즈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상호 닫힌 상태인 경우, 재생 기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 념을 설명하기 위해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20)로 구비되어 있다. 제 1 본체(110)는 촬영 렌즈(112)와 플래시(114)가 장착된 전면부(117)와 디스플레이부(118)가 장착된 후면부(119)를 가지며 제 2 본체(120)는 플래시 도피홀(122)이 형성된 전면부(127)와 조작 버튼부(126)가 장착된 후면부(도 2의 129)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20)의 슬라이딩에 의해 닫힌 상태(도 1)와 열린 상태(도 2)로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 상태인 경우의 평단면도이다. 즉 제 1 본체(110)와 제 2 본체(120)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됨으로서 닫힌 상태가 되면, 제 1 본체(110)의 전면부(117)는 제 2 본체(120)에 의해 은폐가 되고, 제 2 본체(120)의 후면부(도 2의 129)는 제 1 본체(110)에 의해 은폐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닫힌 상태에서는 촬영 렌즈(112)와 플래시(114) 및 버튼 조작부(126)가 은폐되므로 촬영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부적합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제 1 본체(110)의 후면부(119)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18)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닫힌 상태에 의해서도 은폐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 상태인 경우의 평단면도이다. 즉, 제 1 본체(110)와 제 2 본 체(120)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로 되면, 제 1 본체(110) 전면부(117)에 장착된 촬영 렌즈(112)는 제 2 본체(120)의 외부로 노출되고 플래시(114)는 플래시 도피홀(122)을 통하여 노출된다. 또한 제 2 본체(120) 후면부(129)에 장착된 조작 버튼부(126)는 제 1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디지털 촬영을 위한 조작 명령을 기다리게 된다. 따라서, 제 1본체(110)에 장착된 촬영 렌즈(112)와 플래시(114) 및 제 2 본체(120)에 장착된 버튼 조작부(126)는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상태 내에 있게 된다.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영 렌즈(112)에 충분한 광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 1 본체(110)의 전면부(117)에 촬영 렌즈(112)와 플래시(114)가 근접하게 위치하여 장착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닫힌 상태에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전방 사시도이다.
제 1 본체(210)의 중심부와 제 2 본체(220)의 중심부가 근접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200)는 닫힌 상태가 되어 촬영 렌즈(도 5의 212)와 플래시(도 5의 214)를 포함하여 제 1 본체(210)의 전면부는 제 2 본체(220) 의 내측에서 은폐된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전면부 우측의 상단에 플래시 도피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 버튼부의 일 기능 버튼으로 셔터(224)가 제 2 본체(220)의 상면 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닫힌 상태에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본체(210)의 후면부에는 디스플레이부(218)가 장착되어 있고, 조작 버튼부(도6의 226)를 포함하여 제 2 본체(220) 후면부는 제 1 본체(210)의 내측에서 은폐된다.
디지털 촬영 장치(20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촬영을 위한 적합한 상태에 놓이게 되지만, 도 3, 도 4의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촬영을 위한 촬영 렌즈(도 5의 212), 플래시(도 5의 214) 및 조작 버튼부(도 6의 226)가 은폐되어 촬영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부적합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200)는 닫힌 상태인 경우에도 재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8)는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의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한 영역의 크기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 기능 및 기타 촬영 기능 이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닫힌 상태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8)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악 재생 등 기타 촬영 기능 이외의 기능을 위해 디지털 촬영(200)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200)에 있어 디스플레이부(218)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있다. 따라서 닫힌 상태에서 재생 기능 기타 촬영 기능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 버튼부의 은폐에도 불구하고 터치스크린에 접촉함으로 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 모니터에 나타난 메뉴를 손으로 접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튼 조작부의 추가적 조작 수단으로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8) 화면상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상의 재생 기능 버튼들(211, 213, 215, 217)을 사용하여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200)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디지털 촬영 장치의(200) 부피가 줄어드는 잇점이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디지털 촬영 장치(200)가 열린 상태로 된 경우의 전방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제 1 본체(210)와 제 2 본체(220)를 화살표 B, B'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디지털 촬영 장치(200)가 열린 상태가 된다. 도 5의 열린 상태가 되면 촬영 렌즈(212)를 포함한 제 1 본체(210) 전면부의 일부가 제 2 본체(220)의 외부로 노출되고, 플래시(214)와 AF 보조광(225)은 제 2 본체(220)의 전면부에 형성된 플래시 도피홀(222)을 통하여 노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디지털 촬영 장치(200)가 열린 상태로 된 경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의 열린 상태가 되면 제 2 본체(220)에 장착된 버튼 조작부(226)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5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해 디지털 촬영 장치(200)가 열린 상태로 되는 경우, 제 1 본체(210)에 장착되어 있는 촬영 렌즈(212)와 플래시(214)가 노출되고 제 2 본체(220)에 장착되어 있는 버튼 조작부(226)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 장치(200)를 이용하여 필요한 촬영을 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소형화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의 하나로 디지털 촬영시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파지되는 장치의 영역이 줄어듦으로 인해 생겨 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파지 영역이 줄어드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는 세밀한 촬영을 할 수 없고 특히 손떨림으로 인한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평소 디지털 촬영 장치(200)를 휴대하거나, 촬영 기능 이외의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소형화 목적에 부합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 렌즈(212), 플래시(214) 및 조작 버튼부(226)를 노출시킴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촬영 기능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소형화된 디지털 촬영 장치(200)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동시에 디지털 촬영 장치(200)의 소형화로 인해 유발되는 불편함은 해소가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114)가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측단면이다.
통상적으로 프레넬 렌즈(115)가 플래시광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프레넬 렌즈(115)는 플래시(114)가 장착된 제 1 본체(11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제 1 본체(11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8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115)가 제 1 본체(110)의 전면부에 장착된 플레시광을 감싸며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제 2본체(120)의 전면부의 플래시 도피홀(도 7의 122 부분)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넬 렌즈(115)는 제 2 본체(1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제 2 본체(1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이루어져 닫힌 상태로 휴대하기 간편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보가 가능함과 동시에 열린 상태로의 전환을 통해 원활한 촬영을 위한 조작 버튼의 조작이 가능하며 충분한 파지면적의 확보가 가능한 디 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편리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을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촬영렌즈와 플래시가 장착된 전면부와 화면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후면부를 갖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본체와 상호 직선 운동에 의한 슬라이딩을 하며 소정의 위치에 플래시 도피홀이 형성된 전면부와 조작 버튼부가 장착된 후면부를 갖는 제 2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닫힌 상태가 된 경우, 상기 촬영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본체 전면부가 상기 제 2 본체 내측에서 은폐되고, 상기 조작 버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본체 후면부가 상기 제 1 본체 내측에서 은폐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가 된 경우, 상기 촬영 렌즈가 포함된 상기 제 1 본체 전면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플래시는 상기 제 2 본체의 상기 플래시 도피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조작 버튼부가 포함된 상기 제 2 본체 후면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도피홀에 상기 플래시에서 방출된 플래시광을 확산하기 위한 프레넬(fresnel) 렌즈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상호 닫힌 상태인 경우, 재생 기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60028222A 2006-03-29 2006-03-29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7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222A KR101179602B1 (ko) 2006-03-29 2006-03-29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222A KR101179602B1 (ko) 2006-03-29 2006-03-29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59A KR20070097259A (ko) 2007-10-04
KR101179602B1 true KR101179602B1 (ko) 2012-09-04

Family

ID=3880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222A KR101179602B1 (ko) 2006-03-29 2006-03-29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6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702A (ja) 1999-03-04 2000-09-22 Ricoh Co Ltd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702A (ja) 1999-03-04 2000-09-22 Ricoh Co Ltd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59A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0215B1 (ja) 撮像装置
US9489129B2 (en) Mobile terminal setting first and second control commands to user divided first and second areas of a backside touch screen
JP3671883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H0822343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278411A (ja) 携帯装置
US20070284373A1 (en) Swing lid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271370A (ja) 撮像装置
JP200611317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179602B1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TWM581713U (zh) 具有遮蔽影像擷取模組功能的電子裝置
JP2009045160A (ja) 撮像装置用ケース
JP2010136265A (ja) 電子機器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3846327B2 (ja) 撮像装置
JP2009111798A (ja) 小型電子機器
JP4327737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7033996A (ja) カメラ
JP2007081557A (ja) 撮像装置
JP2001091982A (ja) バリア付きカメラ
JP2009175282A (ja) 撮像装置
JP2004349809A (ja) 携帯端末装置
JP2020005008A (ja) 電子機器
JP2004233682A (ja) カメラ
JP2008098763A (ja) ペン型入力装置付き撮像装置
JP2003250075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177362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