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379A - 축열기 - Google Patents

축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379A
KR20140101379A KR1020147016573A KR20147016573A KR20140101379A KR 20140101379 A KR20140101379 A KR 20140101379A KR 1020147016573 A KR1020147016573 A KR 1020147016573A KR 20147016573 A KR20147016573 A KR 20147016573A KR 20140101379 A KR20140101379 A KR 2014010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eat storage
tank
axis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아일레만
스파소예 이근야토빅
뤼디거 쾰블린
Original Assignee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10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8Arrangements of lubricant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2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 F01M5/021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2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 F01M5/021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by heating
    • F01M2005/023Oil sump with partition for facilitating heating of oil during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16Oilsumps with therm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2011/205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using heat-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0/00Thermal insulation; Thermal de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1)에 관한 것으로, 모터 오일 회로 내로 일체화될 수 있는 축열기 컨테이너(2)를 포함하며, 모터(4)가 작동 중일 때 축열기 컨테이너를 통하여 모터 오일(8)이 유동하며, 모터(4)가 스위칭 오프될 때 축열기 컨테이너는 상기 회로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모터(4)의 오일 팬(3), 특히 오일 팬의 하부 부분(5)에는 축열기 컨테이너(2)가 제공되고 오일 팬에는 단열 컨테이너 벽(6)들이 제공된다. 특히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축열기 {HEAT ACCUMULATOR}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축열기 및 청구항 3 및 4에 따른 축열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축열기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다.
또한 자동차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되고 실현되는 종래의 축열기 타입은 예를 들면 잠열 축열기이며, 잠열 축열기는 내부 탱크, 내부에 열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저장 염(salt)이 위치되는, 저장 코어, 및 외부 탱크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단열부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축열기 타입들은 모터 오일 또는 냉각수의 단열을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재료(주로 스테인리스 강)의 선택 때문에, 축열기들이 동시에 증가된 제조 비용들을 갖는 큰 건조 노력과 관련되며 비용이 많이 드는 작동 프로세스들이 이들의 기술적 설계 때문에 필요한, 종래의 축열기들의 경우 불리하다.
이들의 구성적 및 기술적 설계에 대해, 이 같은 축열기들은 이에 따라 소망되는 것들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축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축열기 그리고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특징들을 갖는 축열기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형성예는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에는 열 저장 탱크가 제공되며, 열 저장 탱크는 모터 오일 회로 내로 통합될 수 있으며 엔진이 작동될 때 열 저장 탱크를 통하여 모터 오일이 유동하고, 엔진이 턴 오프될 때 상기 회로로부터 커플링 해제되어 특히 이의 하부 섹션에서 엔진 오일 팬이 열 저장 탱크로서 제공되며 단열 탱크 벽들이 제공되며 특히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제공된다.
오일 팬의 부분 또는 영역은 이에 따라 축열기로서 기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엔진이 턴 오프(turn off)될 때 고온 오일이 축열기에 저장될 수 있다. 엔진이 다시 시동되거나 차량이 개방되는 경우, 고온의 저장된 모터 오일은 펌핑될 수 있거나 엔진으로 다시 이송된다. 열 저장 탱크 내의 뜨거운 모터 오일은 하나 이상의 밸브 등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 냉간-작동 단계(따듯한 모터 오일에 의한 엔진에서의 마찰이 작음)의 적은 연료 소모 및 모터 오일의 더욱 급속한 가열에 의해 내부의 더 급속한 가열은 열 저장 탱크의 도움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오일 팬은 실질적으로 단일 피스로서 실질적으로 여기에 형성되며 하부 섹션에 열 저장 탱크를 포함한다.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에 의한 열 용량 증가에 의해, 이러한 효과는 추가로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축열기 내에 존재하는 유체의 재가열이 이에 의한 교환 동안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는 오일-충전식 기어박스, 특히 자동 기어박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어박스는 열 저장 탱크로서 공동-활용되고 이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오일 팬 및 기어박스는 두 개의 개별 층들로 분리된다. 엔진이 턴 오프되는 경우, 밸브들은 오일 팬의 절연 영역을 폐쇄하여, 오일 팬의 절연 영역에 공급되는 오일이 추가로 냉각될 수 없거나 단지 약간 냉각된다. 여기서 또한, 열 전달 오일의 저장은 냉간-작동 단계에서의 엔진의 급속하고 완만한 가열 및 별개의 전달 구성요소들의 더욱 급속한 정점 부하 한계들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는 특히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가 제공되며, 이 축열기는 엔진이 작동 중 일때 모터 오일에 의해 횡단되는 모터 오일 회로 내로 통합될 수 있고 엔진이 턴 오프될 때 상기 회로로부터 커플링 해제되는 열 저장 탱크를 구비하여, 열 저장 탱크가 개별 단열 부가 탱크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부가 탱크가 오일 팬의 영역 내에 또는 상기 팬 상에 배치되고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팬에 연결되고, 오일 팬으로부터 부가 탱크 내로 또는 부가 탱크로부터 오일 팬 내로의 뜨거운 오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설치 공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부가 탱크를 오일 팬의 섹션으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는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를 제공하며, 이 축열기는 모터 오일 회로 내로 통합될 수 있는 열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엔진이 작동 중 일 때 축열기를 통하여 유동이 일어나고 엔진이 턴 오프될 때 축열기는 상기 회로로부터 커플링 해제되어 입구 개구 및 출구 개구를 구비한 부가 탱크가 열 저장 탱크로서 제공되고 단열 탱크 벽들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특히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제공된다.
열 저장 탱크는 엔진의 보다 더 급속한 가열에 의해 내부의 보다 더 급속한 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엔진은 냉각수 내에 저장되고 방열기에 의해 방출되는 열을 발생시킨다. 장 기간 동안 턴 오프되는 엔진이 재시동 후 가능한 급속하게 작동 온도로 될 수 있도록 이러한 열이 저장되어야 한다.
냉각 유체는 증가된 열 용량에 의해 교체 동안 재가열된다. 축열기는 엔진에 뜨거운 냉각 유체를 전달하고 차가운 냉각 유체는 축열기 내로 유동하고 축열기에서 뜨거운 축열기에 의해 더 높은 온도로 재가열된다. 결과적으로, 냉각 유체 회로에는 차가운 냉각 유체뿐만 아니라 사전에 따뜻해진 냉각 유체가 공급되며, 이는 냉각 유체가 사전에 따뜻해지지 않은 경우보다 작동 동안 더 높은 냉매 온도를 강조하지 않는다.
추가 실시예에서, 열 저장 탱크는 또한 엔진 냉각 유체 회로의 팽창 탱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량을 절감하여, 자동차의 후속적인 연료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저장 탱크는 특히 서로에 대해 원통형 내부 탱크 또는 외부 탱크의 단열 탱크 벽들을 가지며 내부 탱크 및 외부 탱크는 각각 중간 단열 층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재료들로 제조된 두 개의 원통 폐쇄형 탱크들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하나의 탱크는 더 클 수 있으며 하나의 탱크는 더 작을 수 있어 더 큰 탱크가 더 작은 탱크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이에 의해 중간 단열 층이 작은 탱크의 외부 탱크 벽과 더 큰 탱크 벽의 내부 탱크 사이에 제공된다(보온병 원리). 설명된 실시예에서, 더 작은 탱크는 더 큰 탱크 내에 위치된다. 단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의 공간이 비워진다. 열 방사선의 반사에 의한 열 손실은 예를 들면 저장 매체와 대면하는 측부의 코팅 또는 미러(mirror) 코팅에 의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열 전도, 열 방사 및 대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 균등화는 이러한 설계에 의해 감소된다.
예를 들면, 엔진이 작동 중일 때 특별한 열 저장 매체가 내부 탱크를 통하여 유동하고 엔진이 턴 오프될 때 내부 탱크가 단열식으로 저장가능한 열 저장부의 면에서(in terms of) 커플링 해제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탱크는 냉매 회로에 연결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연결 피스들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탱크의 적절한 개구들을 통하여 외측으로 지향될 수 있다. 연결부들 자체는 열 손실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로부터 또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또는 폐쇄 목적을 위해, 밸브들, 특히 체크 밸브들, 또는 플로트(float)들 등이 제공될 수 있어, 축열기에 의해 완전히 절연되고 열적으로 폐쇄된 시스템을 초래한다.
단열 층이 플라스틱 절연 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일 실시예가 제공된다. 단열 층이 공기 절연 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포옴, 스티로폼, 실리카 또는, 예를 들면 진공 플레이트들이 또한 단열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저장 탱크의 패널형 구조가 제공될 수 있어, 열 저장 탱크가 이를 통하여 또는 이 둘레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별개의 절연 패널들(진공 패널들)을 갖는다.
내부 탱크 및 외부 탱크 둘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일 실시예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필수적이진 않지만 진공 단열 몸체로서 두 개의 탱크들 사이에 단열 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단열 몸체들은 예를 들면 압축형 실리카 분말의 코어를 가지며, 이 코어는 높은-배리어 필름 내로 감싸지거나 진공 타이트 포장된다. 이러한 단열 몸체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이지만 적용에 따라 거의 임의의 원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같은 진공형 단열 몸체들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내부 탱크와 외부 탱크 사이의 공간의 진공이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효율적인 축열기가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구 개구가 입구 연결 피스로서 그리고 출구 개구가 출구 연결 피스로서 형성되며,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입구 연결 피스 및/또는 출구 연결 피스가 내부 탱크와 외부 탱크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축열기는 복수의 챔버들을 포함하며 이 챔버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개구를 경유하여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개구의 크기에 의해 방출 거동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능하다.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내부 탱크에 연결되거나 내부 탱크와 일체로 형성된 요소일 수 있는 것이 추가로 유용하다. 유용한 열적 연결이 실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급속한 충전 또는 배출을 초래하고 예를 들면 가열된 축열기 내로 유동하는 냉각 유체의 급속한 가열을 허용한다.
요소가 증가된 벽 두께를 가지거나 생산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요소가 되는 것이 추가로 편리하다.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내부 탱크의 벽을 강화하는 경우, 또는 특히 내부 탱크 가능하게는 또한 외부 탱크의 벽에 증가된 벽 두께가 제공되는 경우 또한 편리하다. 유용한 활용은 축열기 자체의 벽에 의해 축열기의 열 용량에서의 적어도 실질적인 전체 증가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직접 열 전달이 벽으로부터 유체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축열기는 단지 내연기관들의 열 에너지만을 저장하기에 적절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기 드라이브 또는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를 구비한 차량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이에 관해, 또한 예를 들면 차량의 배터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유체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온도 제어가 이에 의해 가속화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적용가능성의 추가 범위는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이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의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된 도면들 및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축열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축열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축열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축열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축열기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축열기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7은 열 용량이 증가되는 요소를 구비한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1은 자동차에서 이용하기 위한 축열기(1)를 도시하며 이에 의해 엔진(4)의 오일 팬(3)이 특히 축열기의 하부 부분(5)에 열 저장 탱크(2)로서 제공되며 단열 탱크 벽(6)들이 제공된다.
열 저장 탱크(2)는 엔진 하우징(7)과 일체로 생산된다. 오일(8)의 양은 엔진 하우징(7)에 존재한다.
오일(8)은 엔진 하우징(7) 내에 위치되고 엔진 하우징(7) 내에 배치되는 구동 요소(9)들을 둘러싼다. 여기서 도시된 개략적인 예시에서 엔진(4)은 사용을 위한 위치에 있거나 실제 작동 중에 있다.
엔진이 턴 오프되면, 엔진 하우징(7) 내에 존재하는 오일(8)은 두 개의 밸브(12, 13)들에 의해 폐쇄 및 개방되는, 입구 개구(10 및 11)들을 통해 열 저장 탱크(2) 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탱크의 단열 특성들에 의해 따듯하게 유지된다. 자동차가 재시동되거나 도어들이 개방되면, 따듯한 오일(8)이 도시되지 않은 메커니즘, 특히 펌프를 사용하여 엔진 하우징(7) 내로 다시 펌핑될 수 있다.
특히, 열 저장 탱크(2)의 내부 구역(14)은 이에 따라 단열된다. 상기 내부 구역(14)을 통한 유동은 (개방된 밸브(12, 13)들의 경우) 계속될 수 있고 상기 구역은 단지 엔진(4)이 턴오프될 때만 폐쇄될 수 있거나 엔진(4)이 턴 오프될 때만 개방되는 특별한 저장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열 용량에서의 선택적 증가는 탱크의 내부 벽의 특정 설계에 의해 성취될 수 있고, 상기 벽은 상기 오일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재료, 벽 두께의 선택에 의해 또는 부가 구성요소의 제공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도 2는 열 저장 탱크(16)를 구비한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15)를 도시하며 이 열 저장 탱크는 엔진 냉각 유체 회로 내로 통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열 저장 탱크(16)로서 부가 탱크가 제공되며, 열 저장 탱크는 단열 탱크 벽(18, 19)들과 함께 특히 서로에 대해 원통형 내부 또는 외부 탱크(20, 21)들로 형성되며 원통형 내부 또는 외부 탱크들은 각각 중간 단열 층(22)을 구비한다.
탱크(20, 21)들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각각 제거가능한 커버 요소(23, 24)를 갖는다. 내부 탱크(20)는 고정 핀(25, 26)들에 의해 외부 탱크(2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요소(24)는 커버 요소(23) 내의 개구(30, 31)들을 통하여 지나가는 두 개의 연결 피스(27, 28)들을 가지며; 내부 탱크(20)는 상기 피스들을 통해 엔진-냉매 회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피스(27, 28)들은 밸브들(도시 안됨)에 의해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냉각수(29)는 탱크(20) 내에 저장되어 단열되고; 요구될 때,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되면, 도시되지 않은 메커니즘, 특히 펌프에 의해 엔진 냉각 유체 회로 내로 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층(22)이 스티로폼일 수 있다.
열 용량에서의 선택적 증가는 탱크(20)의 벽의 특정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벽은 냉각 유체와 접촉된다. 이는 재료, 벽 두께의 선택에 의해 또는 부가 구성요소의 제공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 두께는 벽 재료로서 플라스틱의 선택으로 선택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어, 증가된 용량이 초래된다. 플라스틱의 선택은 또한 증가하는 용량의 면에서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내부 및/또는 외부 절연 패널(33)들로 형성된 축열기(32)를 가지며, 복수의 내부 및/또는 외부 절연 패널을 통하여 따듯하게 유지될 매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4는 축열기(32)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두 개의 연결 피스(35 및 36)들은 가시적이며 이 연결 피스들을 통해 축열기(32)가 예를 들면 도 2 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엔진 냉각 유체 회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본 발명의 축열기를 도시하며,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서 단지 내부 탱크(20)만이 명료성을 위해 도시된다. 도 5에서, 특히 복수의 개구(37)들이 도시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개구들을 통하여 냉각 유체가 별개의 챔버(38)들을 통하여 구불구불하게 유동할 수 있다. 총 8개의 챔버들 각각은 이에 따라 이웃하는 챔버와 개구를 통하여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개별 개구들의 크기에 따라, 이에 따라 냉각 유체의 방출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축열기를 측면도로 도시된다. 입구 연결 피스(27) 또는 출구 연결 피스(28)가 인정될 수 있으며, 입구 연결 피스 또는 출구 연결 피스는 내부 탱크(20)와 도시되지 않은 외부 탱크 사이에 배치된다. 입구 또는 출구 연결 피스들은 각각 입구 채널(40a) 또는 출구 채널(40b) 내로 개방되어, 입구 또는 출구 채널은 자유 공간(39)들이 내부 탱크(20)와 두 개의 연결 피스들 사이에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유 공간(39)들은 도시되지 않은 단열 층을 위해 제공되어, 연결 피스들로부터 내부 탱크(20)를 열적으로 커플링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온 냉각 유체와 냉각 연결 피스들 사이의 온도 계층화(temperature stratification)가 열사이펀(thermosiphon)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유체가 정지되어 있을 때 열 방출 전체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열 저장 탱크(16)를 구비한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15)를 도시하며, 열 저장 탱크(16)는 엔진 냉각 유체 회로 내로 통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열 저장 탱크(16)로서 부가 탱크가 제공되며, 이 열 저장 탱크는 단열 탱크 벽(18, 19)들과 함께 서로에 대해 원통형 내부 또는 외부 탱크(20, 21)들을 가지며, 내부 또는 외부 탱크들은 각각 중간 단열 층(22)을 구비한다. 축열기는 도 2의 축열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내부 탱크의 벽은 이중 층으로서 형성된다. 탱크에는 벽 코팅(50)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커버에는 코팅(51)이 제공된다. 열 용량에서의 선택적 증가는 탱크(20)의 벽의 특정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벽은 냉각 유체와 접촉된다. 이는 재료, 벽 두께의 선택에 의해, 또는 부가 구성요소의 제공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 두께는 벽 두께로서 플라스틱의 선택시 선택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어, 증가된 용량을 초래한다. 플라스틱의 선택은 용량의 증가의 면에서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1)로서,
    모터 오일 회로 내로 통합되는 열 저장 탱크(2)로서, 엔진(4)이 작동 중일 때 상기 열 저장 탱크를 통하여 모터 오일(8)이 유동하며, 상기 엔진(4)이 턴 오프될 때 상기 열 저장 탱크(2)가 상기 모터 오일 회로로부터 커플링 해제되며, 상기 엔진(4)의 오일 팬(3)이 상기 열 저장 탱크(2)로서, 특히 엔진의 하부(5)에 제공되며, 단열 탱크 벽(6)들이 제공되는, 열 저장 탱크; 및
    특히 상기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를 포함하는,
    축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충전식 기어 박스, 특히 자동 기어 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일 충전식 기어 박스가 열 저장 탱크로서 공동-활용되고 상응하게 형성되는,
    축열기.
  3.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로서,
    모터 오일 회로 내로 통합되는 열 저장 탱크로서, 엔진이 작동 중일 때 상기 열 저장 탱크를 통하여 상기 모터 오일이 유동하며, 상기 엔진이 턴 오프될 때 상기 열 저장 탱크는 상기 모터 오일 회로로부터 커플링 해제되며, 상기 열 저장 탱크는 개별 단열 탱크로서 형성되며, 상기 열 저장 탱크는 상기 오일 팬의 영역에 배열되며 상응하는 수단을 통해 상기 오일 팬에 연결되어 오일 팬으로부터 상기 탱크 내로 또는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오일 팬 내로 오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 저장 탱크, 및
    특히, 상기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를 포함하는,
    축열기.
  4.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축열기(15, 32)로서,
    엔진 냉각 유체 회로 내로 통합되는 열 저장 탱크(16)로서, 엔진이 작동 중일 때 상기 열 저장 탱크(16)를 통한 유동이 발생하고, 엔진이 턴 오프될 때 상기 열 저장 탱크는 상기 엔진 냉각 회로로부터 커플링 해제되며, 입구 개구 및 출구 개구를 구비한 부가 탱크는 열 저장 탱크로서 제공되고, 단열 탱크 벽(18, 19)들이 제공되는, 열 저장 탱크; 및
    상기 축열기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를 포함하는,
    축열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특히 원통형인 내부 탱크(20) 또는 외부 탱크(21)의 단열 탱크 벽(18, 19)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탱크 벽들은 각각 중간 단열 층(22)을 가지는,
    축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열 저장 매체는 엔진이 작동될 때 내부 탱크(20)를 통하여 유동하고 엔진이 턴 오프될 때 상기 내부 탱크는 단열식으로 저장가능한 열 저장부의 면에서(in terms of) 커플링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축열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탱크(20) 및 상기 외부 탱크(2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축열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층(22)은 진공식 단열 몸체로서 설계되는,
    축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몸체는 압축형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축열기.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절연 층(plastic insulation layer; 33)의 형태의 단열 층(thermal insulation layer)을 더 포함하는,
    축열기.
  11.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절연 층의 형태의 단열 층을 더 포함하는,
    축열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는 입구 연결 피스(27, 35)로서 형성되고 상기 출구 개구는 출구 연결 피스(28, 36)로서 형성되는,
    축열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 4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연결 피스 및/또는 출구 연결 피스는 상기 내부 탱크와 상기 외부 탱크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축열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기는 복수의 챔버(38)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챔버들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37)를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축열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상기 내부 탱크에 연결되거나 상기 내부 탱크와 일체로 설계되는 요소인,
    축열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증가된 벽 두께를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요소인,
    축열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상기 내부 탱크의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강화하거나 상기 내부 탱크의 벽에는 증가된 벽 두께가 제공되는,
    축열기.
KR1020147016573A 2011-11-17 2011-11-17 축열기 KR20140101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70408 WO2013071976A1 (de) 2011-11-17 2011-11-17 Wärmespeic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379A true KR20140101379A (ko) 2014-08-19

Family

ID=4498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573A KR20140101379A (ko) 2011-11-17 2011-11-17 축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38798B2 (ko)
EP (1) EP2780651A1 (ko)
JP (1) JP6021931B2 (ko)
KR (1) KR20140101379A (ko)
CN (1) CN103988045B (ko)
WO (1) WO2013071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9907A1 (fr) * 2014-01-30 2016-12-07 Hutchinson Reservoir pour liquide de refroidissement de moteur thermique et pour lubrifiant moteur et/ou de transmission, et circuit l'incorporant.
FR3040148A1 (fr) * 2015-08-20 2017-02-24 Hutchinson Circuit et procede de refroidissement sur un vehicule
FR3040208B1 (fr) * 2015-08-20 2020-10-23 Hutchinson Dispositif thermique pour un fluide, avec chicanes, et circuits associes
GB201522732D0 (en) * 2015-12-23 2016-02-03 Castrol Ltd Apparatus
DE102016201609A1 (de) * 2016-02-03 2017-08-03 Mahle International Gmbh Brennkraftmaschinensystem
FR3055952B1 (fr) * 2016-09-09 2020-03-06 Valeo Systemes Thermiques Batterie thermique de stockage
DE102019112370A1 (de) * 2019-05-13 2020-11-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chmiermittelkreislauf
DE102019112368A1 (de) * 2019-05-13 2020-11-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chmiermittelkreislauf
DE102019112369A1 (de) * 2019-05-13 2020-11-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chmiermittelkreislauf
US20220411064A1 (en) * 2019-12-04 2022-12-29 Conopco, Inc., D/B/A Unilever Container for storing and serving frozen confectionery items
DE102020123111A1 (de) 2020-09-04 2022-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ärmeisolierte Ölauffangeinrichtung, Verbrennungskraftmaschine und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8605A (en) * 1929-03-05 1931-01-13 William F Walters Insulator for crank cases and oil pans
US4038152A (en) * 1975-04-11 1977-07-26 Wallace-Atkins Oil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destructive distillation of waste material
JPS5365536A (en) * 1976-11-22 1978-06-12 Toyota Motor Corp Oil pan
DE3032090A1 (de) * 1980-08-26 1982-04-01 Günter Prof. Dr. Dr.-Ing. 7300 Esslingen Wößner Verfahren zur senkung des kraftstoffverbrauchs und der schadstoffemissionen durch verminderung der reibleistung eines verbrennungsmotors waehrend des warmlaufes (verkuerzung der warmlaufzeit) sowie ein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969652A (en) * 1989-04-03 1990-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oled shaft seal
JPH0459314U (ko) * 1990-09-29 1992-05-21
JPH0459313U (ko) * 1990-09-29 1992-05-21
JPH0630674A (ja) * 1992-07-15 1994-02-08 Asahi Denka Kogyo Kk 食物アレルギー動物
JPH0630674U (ja) * 1992-09-22 1994-04-2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蓄熱装置
JP3598662B2 (ja) * 1996-06-25 2004-12-0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冷却液および潤滑油の保温装置
JP2000199416A (ja) * 1998-11-02 2000-07-18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パン
JP4239417B2 (ja) * 2000-07-10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熱装置付き内燃機関
JP2002188422A (ja) * 2000-12-19 2002-07-0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4267256B2 (ja) * 2001-07-25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構造及びオイルパンセパレータ
JP2004020027A (ja) * 2002-06-14 2004-01-22 Denso Corp 蓄熱器
JP2004075188A (ja) 2002-08-20 2004-03-11 Yasuda:Kk 保温、保冷の蓄熱源用断熱二重容器
JP4239658B2 (ja) * 2003-04-17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熱タンク
JP2006183943A (ja) * 2004-12-27 2006-07-13 Toyota Motor Corp 蓄熱装置
JP4196950B2 (ja) * 2005-01-18 2008-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装置
JP4420111B2 (ja) * 2005-03-08 2010-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槽式オイルパン及びこれを備えたエンジン
DE102005052632A1 (de) * 2005-11-04 2007-05-1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Erwärmen einer Kraftmaschine
CN2881507Y (zh) * 2006-03-08 2007-03-21 珠海黑马医学仪器有限公司 一种大热容量的换热器及使用该换热器的冷冻离心机
US7509935B2 (en) * 2006-10-31 2009-03-31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ngine cover and method
JP4733619B2 (ja) * 2006-11-21 2011-07-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蓄熱システム
JP2008256241A (ja) * 2007-04-03 2008-10-23 Denso Corp 蓄熱タンク
JP4960801B2 (ja) * 2007-08-10 2012-06-27 ニチアス株式会社 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45164A1 (de) * 2007-09-20 2009-04-02 Daimler Ag Latentwärmespeicher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CN201149453Y (zh) * 2007-11-06 2008-11-12 江苏大学 太阳房潜热储热系统
JP5102667B2 (ja) * 2008-03-19 2012-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暖機システム
DE102008059619A1 (de) 2008-11-28 2010-02-25 Audi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einen Sammelbehälter aufweisenden Schmiermittelkreislauf,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 Brennkraftmaschine
US8978515B2 (en) * 2010-03-22 2015-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ransmission heating and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1931B2 (ja) 2016-11-09
CN103988045B (zh) 2016-11-16
JP2015503049A (ja) 2015-01-29
EP2780651A1 (de) 2014-09-24
US20140331946A1 (en) 2014-11-13
US10138798B2 (en) 2018-11-27
CN103988045A (zh) 2014-08-13
WO2013071976A1 (de)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1379A (ko) 축열기
US9556782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9255748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6059016A (en) Thermal energy storage and delivery system
US9759498B2 (en) Can-type heat exchanger
US9074518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9234604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10309364B2 (en) Exhaust heat regenerator for vehicle
JP5102667B2 (ja) 車両用暖機システム
US9360262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JP4733619B2 (ja) 車両用蓄熱システム
US20160097600A1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WO1997047937A9 (en) Thermal energy storage and delivery system
JP4657226B2 (ja) 蓄熱装置
KR101756213B1 (ko) 축냉 열교환기
CN109564069A (zh) 用于热交换器的热交换和调节的方法
KR20140102492A (ko) 차량용 오일 열교환 시스템
JP5243281B2 (ja) 換気熱回収システム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874580B2 (ja) 蓄熱装置および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KR101198639B1 (ko) 차량용 냉방 및 난방 시스템
WO2023162548A1 (ja) 熱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CN210851945U (zh) 混合动力汽车及其热管理系统
JPH0616031A (ja) ヒートポンプ式エアコンシステム
US10378424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KR20140104299A (ko) 상변화 물질용 축열기, 이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