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593A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593A
KR20140098593A KR1020130011449A KR20130011449A KR20140098593A KR 20140098593 A KR20140098593 A KR 20140098593A KR 1020130011449 A KR1020130011449 A KR 1020130011449A KR 20130011449 A KR20130011449 A KR 20130011449A KR 20140098593 A KR20140098593 A KR 20140098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ouch screen
mobile terminal
displaye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855B1 (ko
Inventor
임채성
고유리나
김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855B1/ko
Priority to EP19174702.1A priority patent/EP3561654A1/en
Priority to EP19174706.2A priority patent/EP3561655A1/en
Priority to EP14152608.7A priority patent/EP2770417A3/en
Priority to US14/168,870 priority patent/US9405455B2/en
Publication of KR2014009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593A/ko
Priority to US15/199,101 priority patent/US10318151B2/en
Priority to US16/407,904 priority patent/US108243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이용하여 손쉽게 데이터 공유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가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이용하여 손쉽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 확장으로 인하여, 최근 이동 단말기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다른 상대방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장치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과정은 간단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i) 다른 이동 단말기가 수신 목적지로 설정된 대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ii) 파일 첨부를 위한 사용자 입력, iii) 첨부하고자 하는 파일의 속성을 이미지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iv) 이미지 목록 중 첨부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등과 같이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여야 한다.
나아가, 상기 열거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를 잠시 중단한 뒤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동안에는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이용하여 손쉽게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가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을 이용하여 손쉽게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이동 단말기가 세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로 소정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었을 때,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이벤트 발생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의 얼굴 인식을 통해 소정 인물 검출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터치스크린에 가상 키패드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이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복수의 상대방 중 어느 하나의 상대방에게만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가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일정이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알람이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 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 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 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 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을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10),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가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121)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1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 호칭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2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은 그것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지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지, 양자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 1 영역에서 출력되는 경우라면,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고, 제 2 영역에서 출력되는 경우라면,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51)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이 아닌 경우, 이동 단말기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부(예컨대, 도 1에서 설명한 사용자 입력부(130))가 더욱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을 '사용자'라 호칭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 혹은 그의 이동 단말기를 '상대방'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대방과의 문자 메시지(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장문 메시지(Long Message Service, L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 및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IM) 를 '메시지'라 호칭하고, 문자 메시지 및 인스턴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및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가지의 동작과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이후 소정 상대방과 손쉽게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까지의 동작 및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이후 소정 상대방과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을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혹은 소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401),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S402).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의 출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들에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의 출력 영상은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520) 및 제 2 영역(530)으로 분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Display Agent Bar)를 예시하였다. 도 5에 예시된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는 터치스크린을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써,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를 경계로, 제 1 영역(520) 및 제 2 영역(5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일단(도 5a에서는 오른쪽 끝으로 예시됨)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가 터치된 경우 혹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가 터치스크린의 중앙부로 터치 드래그 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를 터치스크린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510)를 경계로 터치스크린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제 1 영역(520) 및 제 2 영역(530)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520) 및 제 2 영역(530)으로 분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520)에서는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의 출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홈 스크린이 출력되고 있었다면,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이후에도 제 1 영역(520)에서는 홈 스크린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고 있었다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면서 제 1 영역(520)에는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부터 실행되었던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 영역(530)은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혹은 자동으로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최초 제 2 영역(530)에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영역(530)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것의 실행 화면이 제 2 영역(53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영역(530)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최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현재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및 실행 빈도가 높은 소정 개수 이내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열거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동시에 제 2 영역(5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 및 실행 빈도가 높은 소정 개수 이내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자동으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520) 및 제 2 영역(530)으로 분할되면, 곧바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터치스크린의 제 2 영역(53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어플리케이션 및 제 1 영역(520)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가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동 단말기가 세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도 터치스크린은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가 세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일단(도 6a에서는 터치스크린의 하단부로 예시)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610)를 터치하거나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610)가 터치스크린의 중앙부로 터치 드래그 하면, 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610)를 화면의 중단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610)를 경계로, 터치스크린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제 1 영역(620) 및 제 2 영역(630)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610)를 터치 혹은 터치 드래그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610)로 신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혹은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나 소정 상대방과의 연락처 등의 소정 오브젝트를 드래그하는 경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로 소정 오브젝트가 드래그되었을 때,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720) 및 제 2 영역(730)으로 분할하면서, 제 1 영역(720)에는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의 출력 영상이, 제 2 영역(730)에는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720) 및 제 2 영역(730)으로 분할 하면서, 제 1 영역(720)에는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부터 출력되던 홈 스크린 화면이, 제 2 영역(730)에는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b는 소정 상대방의 연락처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의 연락처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720) 및 제 2 영역(730)으로 분할하면서, 제 1 영역(720)에는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의 출력 영상이, 제 2 영역(730)에는 소정 상대방에게 연락을 취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상대방에게 연락을 취하기 위한 화면이란, 소정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러 화면, 소정 상대방과의 문자 메시지(SMS, LMS 및 MMS 등)를 이용한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 소정 상대방에게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이메일 작성 화면 및 소정 상대방과의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IM)를 이용한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 화면 등일 수 있다.
도 7c는 복수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도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의 프로파일 오브젝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도중, 소정 상대방의 프로파일 오브젝트 또는 소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720) 및 제 2 영역(730)으로 분할 하면서, 제 1 영역(720)에는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의 출력 영상인 복수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제 2 영역(730)에는 복수의 상대방 중 어느 하나의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오브젝트란 대화 상대방의 프로파일 이미지 및 대화 상대방의 대화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서는 Tom 및 Jane과 그룹 대화 중, Tom의 프로파일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로 드래그 되었으므로, 제 1 영역(720)에서는 Tom 및 Jane과의 그룹 대화를 위한 대화 창이, 제 2 영역(730)에서는 Tom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720) 및 제 2 영역(730)으로 분할됨에 따라, 제 1 영역(720)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는 복수의 대화 상대방 모두에게 전송되고, 제 2 영역(730)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는 소정 상대방에게만 전송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제 2 영역(730)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면서, 제 1 영역(7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 중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화 내용이 제 2 영역(73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소정 상대방의 연락처, 소정 상대방의 프로파일 아이콘 및 소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등의 소정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710)에 드래그 되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720) 및 제 2 영역(730)으로 분할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에 터치 입력이 가하여지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에 소정 컨텐트가 드래그되는 경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소정 이벤트는 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을 수신한 경우 및 소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도중 호 신호(Call Signal)를 수신한 경우 등과 같이 타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이벤트 및 카메라(121)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얼굴이 검출된 경우 등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이벤트 발생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이전 이동 단말기는 제 1 상대방과의 대화를 위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 1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가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8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하고, 제 1 영역(810)에서는 터치스크린이 분할되기 전부터 출력되었던 출력 화면이, 제 2 영역(820)에서는 통화 연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 1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 1 상대방과는 다른 제 2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8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하고, 제 1 영역(810)에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되기 전부터 출력되던 제 1 상대방과의 대화 창을, 제 2 영역(820)에는 제 2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고,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제 2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제 1 상대방과의 대화 도중 제 2 상대방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는 그룹 대화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3 상대방으로부터 신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하고,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의 그룹 대화 창이,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제 3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 그룹 대화할 수 있고,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제 3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Tom 및 Jane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도중 John으로부터 신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80)는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Tom 및 Jane과의 그룹 대화를 위한 대화 창이,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John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 중 어느 하나로부터 그룹 대화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하고,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의 그룹 대화 내용이,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 그룹 대화할 수 있고,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 중 어느 한명과 그룹 대화가 아닌 개인적으로 대화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Tom 및 Jane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도중 Tom으로부터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80)는 제 1 영역(810)을 통해서는 Tom 및 John과의 그룹 대화를 위한 대화 창이, 제 2 영역(820)을 통해서는 Tom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8d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 중 어느 하나로부터 그룹 대화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810) 및 제 2 영역(820)으로 분할하지 않고,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의 그룹 대화 창에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란 그룹 대화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가 수신인으로 지정되지 않고, 그룹 대화에 참가하는 참가자 중 일부만이 수신인으로 지정된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와 그룹 대화를 위해 수신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서체, 글자 크기 및 하이라이트 유무 등을 기초로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와 그룹 대화용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Tom 및 John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도중 Tom으로부터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180)는 Tom 및 John과의 대화 창에 Tom으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Tom으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다른 메시지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Tom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John은 볼 수 없는 Tom과의 개인적인 메시지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8e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을 통해 복수의 상대방과의 그룹 대화를 위한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복수의 상대방 중 어느 한명으로부터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면서,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와 그룹 대화를 위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에 수행하던 작업을 계속 진행하면서, 신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의 얼굴 인식을 통해 소정 인물 검출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도 9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121)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리뷰 영상에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소정 인물이 검출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910) 및 제 2 영역(920)으로 분할하고, 제 1 영역(910)을 통해서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910) 및 제 2 영역(920)으로 분할되기 이전부터 출력되던 프리뷰 영상이, 제 2 영역(920)을 통해서는 검출된 인물과 관련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인물과 관련된 데이터라 함은 검출된 인물이 촬영된 사진 및 검출된 인물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영역(910)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소정 인물이 검출되면, 제어부(180)는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모리(160)(160)에 저장된 이미지 중 소정 인물이 촬영된 사진들이 제 2 영역(9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영역(910)의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소정 인물이 검출되면, 제어부(180)는 도 9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인물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연락처가 제 2 영역(9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도,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연계된 문자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연계된 문자열, 전화번호가 연계된 문자열 및 원본 이미지가 연계된 미리보기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1010) 및 제 2 영역(1020)으로 분할되기 이전 이동 단말기에서는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이고,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는 URL 주소가 연계된 문자열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0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터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0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1010) 및 제 2 영역(1020)으로 분할하면서, 제 1 영역(1010)에서는 터치스크린이 분할되기 전부터 출력되었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 2 영역(1020)에서는 선택된 객체와 연계된 하이퍼 링크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터치된 문자열이 URL 주소와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제 2 영역(1020)을 통해서는 연계된 URL 주소로의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이메일 주소가 연계된 문자열인 경우, 제 2 영역에서는 링크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전화번호가 연계된 문자열이라면, 제 2 영역에서는 링크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러 화면이나 링크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이퍼 링크가 연계된 객체가 원본 이미지와 연계된 미리보기 이미지인 경우, 제 2 영역에서는 링크된 원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경계에 놓인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크기도 수동 조절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b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를 제 1 영역 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영역의 면적은 감소하고 제 2 영역의 면적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를 제 2 영역 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영역의 면적은 증가하고 제 2 영역의 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분할 방법은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사항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터치스크린이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가상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인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화면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른 가상 키패드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터치스크린에 가상 키패드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에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주소 입력 창,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어 입력 창 및 소정 상대방에게 전달할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 창 등의 문자 입력 창이 터치된 경우와 같이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에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가상 키패드(1130)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중 어느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전반에 걸쳐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만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한다면,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문자 입력을 위해 선택된 문자 입력 창이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가상 키패드(1130)로 입력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는 문자 입력 창이 가상 키패드(113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가상 키패드(1130)를 출력하면서, 문자 입력 창이 가상 키패드(1130) 위로 스크롤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입력 창에 제대로 문자가 입력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것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화면일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과 가장 마지막으로 송신 혹은 수신한 메시지가 가상 키패드(1130) 위로 스크롤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정 상대방에게 가장 마지막으로 송신 혹은 수신한 메시지를 보면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중 입력된 문자가 표시될 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 이외의 영역이 음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영역(1110)에서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에 걸쳐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2 영역(1120)은 음영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키패드(1130)를 이용하여 입력된 문자는 제 1 영역(1110)에서 표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b 및 도 11c는 이동 단말기가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된 경우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의 상단부를 제 1 영역(1110)으로, 터치스크린의 하단부를 제 2 영역(1120)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가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예에서와는 달리, 제 1 영역(1110) 및 제 2 영역(1120) 중 어느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먼저, 터치스크린 상단부의 제 1 영역(1110)에서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1110)의 출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 2 영역(1120) 중 적어도 일부에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스크린 하단부의 제 2 영역(1120)에서 가상 키패드(113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120)의 출력 화면을 제 1 영역(1110)으로 이동 시키면서 제 2 영역(1120)의 적어도 일부에 가상 키패드(113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영역이 가상 키보드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에 상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이후 소정 상대방과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소정 상대방과의 데이터 공유 >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통해서는 각각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 및 도 6의 예에서는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홈 스크린 화면의 조작을 통해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통해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홈 스크린 화면의 조작을 통해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고,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에 터치 드래그된 오브젝트에 의해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예에서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부터 실행되고 있었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나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이 제 1 영역에서 실행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이되고,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 및 하이퍼 링크 객체의 속성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된 이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소정 오브젝트를 다른 영역으로 터치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 제 1 어플리케이션 혹은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제 2 영역으로 드래그된다면, 앞서 도 7a를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의 연락처가 제 2 영역으로 드래그된다면, 앞서 도 7b를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소정 상대방에게 연락을 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영역을 통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 1 영역을 통해 복수 상대방과의 그룹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복수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의 프로파일 아이콘 혹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제 2 영역으로 드래그된다면, 앞서 도 7c를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제 2 영역에는 선택된 상대방과의 대화 창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제 2 영역을 통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통해 실행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일 수도 있지만, 서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1210)을 통해서는 제 1 동영상을 재생하고 제 2 영역(1220)을 통해서는 제 2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복수의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편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b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웹 브라우저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웹 브라우저인 경우, 사용자는 제 1 영역(1210)을 통해서는 제 1 웹 페이지를 조회하고, 제 2 영역(1220)을 통해서는 제 2 웹 페이지를 조회함으로써, 복수의 웹 페이지를 동시에 조회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2c는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는 제 1 영역(1210)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과의 대화를 진행하고, 제 2 영역(1220)을 통해서는 제 2 상대방과의 대화를 진행함으로써, 복수의 상대방과 동시에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소정 상대방과 손쉽게 데이터 공유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제 1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이 터치되면(S1301), 제어부(180)는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2). 여기서,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는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파일 및 제 2 영역을 통해 구동 중인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에 대한 터치는 제 1 지점으로부터 제 2 지점으로의 드래그 입력, 제 2 지점으로부터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입력 및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터치하는 터치 입력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소정 상대방과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도면들에서는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터치를 제 2 지점으로부터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입력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4 및 도 15는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의 제 2 영역(1420,1520)에서는 이미지 및 텍스트로 구성된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4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4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1430)가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제 1 영역(1410)으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에게 드래그된 이미지(1430)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5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5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텍스트(1530)가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제 1 영역(1510)으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5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에게 드래그된 텍스트(1530)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2 영역(1420,15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제 1 영역(1410,1510)으로 드래그된 경우, 드래그된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복사한 뒤, 제 1 영역에 붙여넣기 하는 과정을 생략한 채,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제 1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것만으로도 소정 상대방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 2 영역에서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제 2 영역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다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다른 상대방에게 송신한 메시지, 수신한 이메일 등 다양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웹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를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대방에게 메타 정보(meta information)가 더욱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타 정보란 웹 페이지의 URL 주소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에 접근하기 위한 URL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상대방에게 메타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웹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와 메타 정보가 별개의 메시지(1440)로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방은 메타 정보를 기록한 메시지를 터치함으로써, 메타 정보가 가리키는 URL로의 접근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메타 정보가 하이퍼 링크 객체로 설정된 컨텐트를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5b에서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텍스트에 웹 페이지의 URL이 하이퍼 링크 객체로 설정되어 있다면,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방은 텍스트를 터치함으로써, 웹 페이지 URL로의 접근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의 제 2 영역에서는 지도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620)으로부터 제 2 영역(1610)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도 1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620)의 적어도 일부를 캡처한 캡처 이미지(1630)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6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의 캡처 이미지(1630)를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상대방과 손쉽게 위치 공유가 가능하다.
도 16에서는 제 2 영역(1620)에서 지도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문서 파일, 음악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파일 역시 소정 상대방과 공유될 수 있다.
다만, 지도의 캡처 이미지를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주소 정보 및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1640)가 소정 상대방에게 더욱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이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영역에서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7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7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파일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 파일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제 1 영역(1710)으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7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에게 드래그된 이미지 파일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2 영역(1720)에 표시되는 데이터 파일이 제 1 영역(1710)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데이터 파일이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파일 첨부 과정 없이 데이터 파일을 공유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제 2 영역(1720)을 통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8은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영역(1820)에서는 카메라(121)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8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820)의 제 2 지점으로부터 제 1 영역(1810)의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도 18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촬영된 사진이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820)으로부터 제 1 영역(1810)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자동으로 사진 촬영을 수행함과 동시에 촬영된 사진이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대방과 대화하면서 손쉽게 촬영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180)는 제 2 영역(1820)으로부터 제 1 영역(1810)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 즉, 포인터가 제 1 영역(1810)에서 접촉 해제되는 경우에 카메라(121)가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 2 영역(1820)으로부터 제 1 영역(1810)으로의 드래그 입력을 위한 포인터가 제 2 영역(1820)을 벗어나는 경우에 카메라(121)가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8에 예시된 도면에서는 제 1 영역을 통해 한명의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만약,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을 통해 복수의 상대방과의 그룹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의 터치에 반응하여, 복수의 상대방 전부를 대상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상대방 중 제 1 지점의 터치에 의해 특정된 어느 하나의 상대방에게만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9는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복수의 상대방 중 어느 하나의 상대방에게만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영역을 통해서는 제 1 상대방 및 제 2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 중인 것으로 가정하고, 제 2 영역을 통해서는 제 3 상대방과의 대화를 진행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9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2 영역(1920) 내측의 제 2 지점 및 제 1 영역(1910) 내측의 제 1 지점이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제 2 지점의 터치로 인해 특정된 제 3 상대방과의 메시지가 제 1 지점의 터치로 인해 특정된 상대방에게 개인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a의 예에서는 제 1 지점이 Jane의 프로파일 이미지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제 2 지점의 터치로 인해 특정된 John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Jane에게 개인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적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란 그룹 대화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를 수신인으로 지정하지 않고, 그룹 대화에 참가하는 참가자 중 일부만이 수신인으로 지정된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상대방 중 어느 하나의 상대방으로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180)는 개인적으로 전송한 메시지와 그룹 대화를 위해 전송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서체, 글자 크기 및 하이라이트 유무 등을 기초로 개인적으로 전송한 메시지와 그룹 대화용으로 전송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Tom 및 Jane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도중 Jane에게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였다면, 제어부(180)는 Tom 및 Jane 모두를 수신인으로 설정한 그룹 대화용 메시지와 Jane에게 개인적으로 전송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소정 상대방과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로 다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예시하였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정 상대방과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8을 통해 설명한 다양한 데이터 역시 도 19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서는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이 터치된 경우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제 2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및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영역에서 대화 중인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반대로,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서의 데이터, 즉, 소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 혹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한 메시지를 기초로 신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소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 혹은 소정 상대방에게 전송한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규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a의 예에서 제 2 영역(2020)에는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메모 작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20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20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제 2 영역(2020)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도 20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드래그된 메시지가 메모 작성 화면에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a의 예에서는 제 2 영역(2120)을 통해 사용자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일정 관리 화면이 디스플레되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21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21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제 2 영역(2120)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메시지로부터, 약속 일시 또는 약속 장소를 추출한 뒤, 추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일정이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추가된 일정이, 제 1 영역(2110)에서 대화를 진행 중인 소정 상대방과의 일정임을 알리기 위해, 도 21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일정 제목에 소정 상대방의 이름이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의 예에서는 금요일 오후 3시라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가오는 금요일 오후 3시에 사용자 일정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2a의 예에서는 제 2 영역(2220)을 통해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알람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22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22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제 2 영역(2220)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메시지로부터, 일시를 추출한 뒤, 추출된 일시에 알람이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2의 예에서는 금요일 오후 3시라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가오는 금요일 오후 3시에 알람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에 메모, 일정 및 알람 등의 신규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도 23는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영역(2320)에서는 카메라(121)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고, 제 1 지점의 터치로 인해 특정된 메시지에는 QR(Quick Response) 코드가 포함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23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QR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제 2 영역(2320)으로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메시지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 1 영역(2310) 및 제 2 영역(232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 QR 코드 스캔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QR 코드로부터 소정 웹 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URL 주소가 독출되었다면, 제어부(180)는 도 23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 영역(2310) 및 제 2 영역(232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독출된 URL 주소로의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영역(23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상대방과의 메시지를 기초로, QR 코드 등의 스마트 코드의 스캔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1 : 카메라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0)

  1.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가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카메라가 사진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드래그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인터가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접촉 해제되어 상기 드래그 입력이 종료될 때, 상기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웹 페이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공유 데이터는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와 함께 상기 컨텐트의 메타 정보가 상기 상대방에게 더욱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및 상기 컨텐트에 접근하기 위한 URL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컨텐트의 하이퍼 링크 객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가 터치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앙부로 상기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에이전트 바를 경계로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분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부터 출력되던 출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최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목록,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 및 사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반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 인스턴트 메시지의 수신, 이메일의 수신 및 호 신호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뷰 영상에 얼굴 인식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 소정 인물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 분할되기 전부터 출력되던 상기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상기 검출된 인물의 사진, 상기 검출된 인물의 연락처, 상기 검출된 인물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 및 상기 검출된 인물과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 연결 화면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상대방을 그룹원으로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원들과의 그룹 대화 창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그룹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그룹 대화를 통해 수신한 메시지와 상기 개인적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상대방을 그룹원으로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원들과의 그룹 대화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영역 내측의 상기 제 1 지점의 터치로 인해 상기 복수의 그룹원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원이 특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원들 전체가 아닌 상기 특정된 그룹원에게 개인적으로 상기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소정 상대방과의 대화 창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 내측의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영역 내측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공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11449A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49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49A KR102049855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19174702.1A EP3561654A1 (en) 2013-01-31 2014-01-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174706.2A EP3561655A1 (en) 2013-01-31 2014-01-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4152608.7A EP2770417A3 (en) 2013-01-31 2014-01-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168,870 US9405455B2 (en) 2013-01-31 2014-01-30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199,101 US10318151B2 (en) 2013-01-31 2016-06-30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6/407,904 US10824334B2 (en) 2013-01-31 2019-05-09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49A KR102049855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593A true KR20140098593A (ko) 2014-08-08
KR102049855B1 KR102049855B1 (ko) 2019-11-28

Family

ID=5002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449A KR102049855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405455B2 (ko)
EP (3) EP3561655A1 (ko)
KR (1) KR1020498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44B1 (ko) * 2015-10-13 2017-02-16 이재혁 컨텐츠 생성 및 전송 방법
WO2017043690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화면에 표시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입력가능영역이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8088619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747623B2 (en) 2014-12-24 2020-08-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210073966A (ko) * 2019-12-11 2021-06-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ip 모드에서 대화방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048379B2 (en) 2016-08-03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10025458B2 (en) 2010-04-07 2018-07-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KR102049855B1 (ko) * 2013-01-31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20660A (ko) * 2013-04-04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파일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38515B1 (ko) 2013-10-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928B1 (ko) 2013-10-30 2019-02-27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JP2015156209A (ja) * 2014-01-17 2015-08-2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22510A (ko) * 2014-04-23 201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87640A (ko) * 2015-01-14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152908A (zh) 2015-02-16 2020-12-29 钉钉控股(开曼)有限公司 通讯方法
KR102377277B1 (ko) * 2015-02-27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커뮤니케이션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5677229B (zh) * 2015-03-26 2019-08-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触控操作方法
KR20160133781A (ko) * 2015-05-13 201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2391B1 (ko) * 2015-05-14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834437B (zh) * 2015-05-28 2018-09-14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分屏操作方法及终端
CN105162982A (zh) * 2015-09-17 2015-12-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接听扩展功能显示方法及装置
KR20180081746A (ko) * 2015-10-27 2018-07-17 디센트럴라이즈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스 엘티디 보안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US10296190B2 (en) * 2015-12-11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atially organizing communications
CN105681056B (zh) 2016-01-13 2019-03-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对象分配方法及装置
US20170237986A1 (en)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CN107305459A (zh) 2016-04-25 2017-10-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语音和多媒体消息的发送方法及装置
CN107368995A (zh) 2016-05-13 2017-11-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任务处理方法及装置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CN106406788A (zh) * 2016-07-29 2017-02-15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扩展屏幕界面的方法和系统
KR102532478B1 (ko) * 2016-08-12 202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7800609B (zh) * 2016-09-05 2021-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通讯方法及装置
DK179978B1 (en) 2016-09-23 2019-11-27 Apple Inc.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KR102587138B1 (ko) * 2016-10-17 202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07015734B (zh) * 2016-11-07 2020-06-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查看方法和装置
JP6109397B1 (ja) * 2016-11-14 2017-04-05 株式会社FiNC 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KR20180058476A (ko) * 2016-11-24 2018-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입력 처리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서버
JP2018081664A (ja) * 2017-02-10 2018-05-24 株式会社FiNC 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DK179867B1 (en) * 2017-05-16 2019-08-06 Apple Inc. RECORDING AND SENDING EMOJI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DK180007B1 (en) 2017-05-16 2020-01-16 Apple Inc. RECORDING AND SENDING EMOJI
EP3617861A4 (en) * 2017-06-30 2020-05-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10572783B2 (en) * 2017-12-26 2020-02-25 Paypal, Inc. Contextual machine readable codes
CN108334395B (zh) * 2018-03-21 2023-11-10 光禹莱特数字科技(上海)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DK180078B1 (en) 2018-05-07 2020-03-3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VATAR CREATION
DK201870378A1 (en) 2018-05-07 2020-01-1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CN109005275A (zh) * 2018-08-31 2018-12-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联系人信息管理系统及方法
US11199944B2 (en) * 2018-09-24 2021-12-14 Salesforce.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within widget-sized browser panels
US11107261B2 (en) 2019-01-18 2021-08-31 Apple Inc. Virtual avatar animation based on facial feature movement
CN111836093B (zh) * 2019-04-16 2022-05-3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1675476B2 (en) *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DK201970531A1 (en) 2019-05-06 2021-07-09 Apple Inc Avatar integration with multiple applications
CN110333818A (zh) * 2019-05-24 2019-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830645B (zh) * 2019-09-2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和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147661B (zh) 2019-12-10 2021-09-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474674B2 (en) 2020-03-10 2022-10-1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KR102345242B1 (ko) * 2020-04-22 2021-12-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 기반 통화 중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U2021290132C1 (en) 2020-06-08 2024-04-18 Apple Inc. Presenting avatars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CN115407909A (zh) * 2021-05-27 2022-1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分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5495003A (zh) * 2021-09-18 2022-12-20 荣耀终端有限公司 键盘显示方法、折叠屏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EP4273678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5402A1 (en) * 2008-07-01 201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Whispering in Group Chats
EP2207342A2 (en) * 2009-01-07 2010-07-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75930A1 (en) * 2010-01-19 2011-07-21 Hwang Iny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33878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7395B1 (en) * 2000-01-04 2005-10-18 Apple Computer, Inc. Computer interface having a single window mode of operation
WO2003049424A1 (fr) * 2001-12-03 2003-06-12 Nikon Corporation Appareil electronique, camera electronique, dispositif electronique, appareil d'affichage d'image et systeme de transmission d'image
US8648825B2 (en) * 2010-10-01 2014-02-11 Z124 Off-screen gesture dismissable keyboard
US20050054352A1 (en) * 2003-09-08 2005-03-10 Gyora Karaizman Introduc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obile communicators
US7872669B2 (en) * 2004-01-22 2011-01-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hoto-based mobile deixis system and related techniques
US20060009243A1 (en) * 2004-07-07 2006-01-12 At&T Wireless Services, Inc. Always-on mobile instant messaging of a messaging centric wireless device
US20060041627A1 (en) * 2004-08-20 2006-02-2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exchanging photo data in an instant messaging environment
DE602005020456D1 (de) * 2005-10-11 2010-05-20 Research In Motion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Organisation von Anwendungsindikatoren auf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US9304675B2 (en) * 2006-09-06 2016-04-0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US8549429B2 (en) * 2007-01-25 2013-10-01 Sharp Kabushiki Kaisha Multi-window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90158212A1 (en) * 2007-02-06 2009-06-18 Access Systems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recently-used and in-use applications for ease of navig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KR100913962B1 (ko) * 2007-05-1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485458B1 (ko) * 2007-07-02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체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US8725712B2 (en) * 2007-07-16 2014-05-13 Nokia Corporation Context based media content presentation
US8205157B2 (en) * 2008-03-04 2012-06-19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ducting searche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KR20100054369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00293501A1 (en) * 2009-05-18 2010-11-18 Microsoft Corporation Grid Windows
KR101574117B1 (ko) * 2009-05-22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콜 기능 수행 방법
KR101651128B1 (ko) * 2009-10-05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EP2360665A3 (en) 2009-11-26 2012-03-28 LG Electronic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38741B2 (en) * 2009-12-15 2013-09-17 Ati Technologies Ulc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 display surface into a plurality of virtual display areas
US20110242138A1 (en) * 2010-03-31 2011-10-06 Tribble Guy L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oncurrent Virtual Keyboards
US8447070B1 (en) * 2010-04-19 2013-05-21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device location and communication
WO2011134078A1 (en) * 2010-04-26 2011-1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572892B1 (ko) * 2010-05-06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9001103B2 (en) * 2010-10-01 2015-04-07 Z124 Smart pad operation of display elements with differing display parameters
EP2492789A1 (en) * 2011-02-28 2012-08-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8451344B1 (en) * 2011-03-24 2013-05-28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 viewing capability
US8941601B2 (en) * 2011-04-21 2015-01-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289290A1 (en) * 2011-05-12 2012-11-15 KT Corporation, KT TECH INC.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application windows displayed on mobile terminal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KR20130005321A (ko) * 2011-07-05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9100B1 (ko) * 2011-07-19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842057B2 (en) * 2011-09-27 2014-09-23 Z124 Detail on triggers: transitional states
US9032292B2 (en) * 2012-01-19 2015-05-12 Blackberry Limited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maximized applications o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s
US9035883B2 (en) * 2012-03-07 2015-05-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20130298071A1 (en) * 2012-05-02 2013-11-07 Jonathan WINE Finger text-entry overlay
US9588674B2 (en) * 2012-11-30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utomated split-screen user interface on a device
KR102049855B1 (ko) * 2013-01-31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977413B2 (en) * 2013-03-11 2018-05-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open windows in a graphical display for a representation of a process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5402A1 (en) * 2008-07-01 201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Whispering in Group Chats
EP2207342A2 (en) * 2009-01-07 2010-07-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75930A1 (en) * 2010-01-19 2011-07-21 Hwang Iny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33878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7623B2 (en) 2014-12-24 2020-08-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7043690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화면에 표시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입력가능영역이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707444B1 (ko) * 2015-10-13 2017-02-16 이재혁 컨텐츠 생성 및 전송 방법
US11048379B2 (en) 2016-08-03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18088619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73966A (ko) * 2019-12-11 2021-06-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ip 모드에서 대화방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24334B2 (en) 2020-11-03
US9405455B2 (en) 2016-08-02
KR102049855B1 (ko) 2019-11-28
US20190272095A1 (en) 2019-09-05
EP3561654A1 (en) 2019-10-30
US10318151B2 (en) 2019-06-11
US20160313913A1 (en) 2016-10-27
EP3561655A1 (en) 2019-10-30
US20140213318A1 (en) 2014-07-31
EP2770417A3 (en) 2015-01-28
EP2770417A2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85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199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48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372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20461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58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8603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883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738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57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425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643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92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2015002908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934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990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574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89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01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차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400523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0830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4414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08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5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의 기록 매체
KR101564015B1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콘텐츠 전송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