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892B1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892B1
KR101572892B1 KR1020100042374A KR20100042374A KR101572892B1 KR 101572892 B1 KR101572892 B1 KR 101572892B1 KR 1020100042374 A KR1020100042374 A KR 1020100042374A KR 20100042374 A KR20100042374 A KR 20100042374A KR 101572892 B1 KR101572892 B1 KR 10157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ndicator
image
mobile terminal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981A (ko
Inventor
이춘식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892B1/ko
Priority to US13/014,626 priority patent/US9026947B2/en
Priority to EP11001862.9A priority patent/EP2385453B1/en
Priority to CN201110082582.9A priority patent/CN102238275B/zh
Publication of KR2011012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04N13/279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내에 표시된 관점 지시자를 어느 지점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이동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y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객체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증강 현실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에서 해당 지역에 속하는 객체들 각각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POI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실제 카메라(121)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에 대하여서는 객체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뷰 영상으로서 제공될 수 없는 지역에 대한 객체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직접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여 그 지역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입력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직접 특정 지역에 위치하지 않아도 가상으로 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여 가상 영상 및 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영상 또는 가상 영상 내에서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을 보여주는 관점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모듈;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입력된 영상 중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관점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관점 지시자의 이동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으로 상기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입력된 영상 중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관점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관점 지시자의 이동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으로 상기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으로 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여 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직접 위치하지 않아도 특정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실제 영상 또는 가상 영상 내에서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을 보여주는 관점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또는 가상으로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 및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서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는 화면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관점 지시자를 기준으로 바라본 가상 영상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관점 지시자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위치 정보 리스트 중 선택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는 화면 구성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a 및 도 11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관점 지시자를 확대/축소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복수의 관점 지시자 각각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위치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화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관점 지시자로부터 특정 객체 이미지로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 구성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단말기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 구성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특정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관점 지시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객체 관련 정보는, 관점 지시자(후술함)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은, 실제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 또는 가상으로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한 가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00) 및 이동 단말기(1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 서버(400)를 도시한다. 도 5는, 이동 단말기(100)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S510).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촬영 모드(또는 상태)에 진입한 경우 또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드(또는 상태)에 진입한 경우에,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촬영 모드 또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드는, 해당 메뉴 항목 또는 해당 키(또는 키 영역)가 선택된 경우에 진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증강 현실 구동 모드에 중복 진입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 현실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드에서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된 실제 환경을 나타내는 영상 위에 가상 사물 또는 가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가상 사물 또는 가상 이미지는, 위치 정보 또는 관점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되는 영상은, 프리뷰 영상일 수도 있고,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 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모듈(115)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520).
이동 단말기(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 정보에는,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지점의 경도, 위도, 좌표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지점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향해 있는 방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121)가 향해 있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가 향해 있는 방향은, 동, 서, 남, 북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 정보를 해당 객체 이미지와 연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객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지점에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가 "**전자"이고 해당 객체가 **전자 건물인 경우, 위치 정보 "**전자"는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전자 건물의 이미지와 연계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건물, 상가, 점포 등 그것의 주소 정보(또는 위치 정보)를 갖는 사물을 포함할 수 있고, 객체 이미지는,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위치 정보는, 객체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객체의 명칭{예를 들어, POI(Point of Interest)} 또는 객체의 대표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모든 객체들 중 일부 객체에 대해서만 위치 정보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 정보의 획득 과정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중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지점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중 카메라(121)가 향해 있는 방향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지점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먼저,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별 위치 정보를 메모리(160)에 기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객체별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60)는, 해당 위치 정보를 갖는 객체의 좌표 정보를 해당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속하면서 그것의 좌표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에 지정된 위치 정보를 메모리(160)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객체별 위치 정보를 검색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객체별 위치 정보 및 좌표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단말기 생산시 디폴트로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객체별 위치 정보 및 좌표 정보는,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 시점에 갱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에 송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요청 신호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좌표 정보가 포함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좌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일정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요청 신호에 포함된 좌표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전방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입력 단계(S510)에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입력된 영상 중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관점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한다(S530). 디스플레이 단계(S530)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스크린(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해당 지점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지점은, 해당 객체의 객체 이미지의 표시 지점 또는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해당 객체 이미지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의 획득 및 디스플레이에 관하여서는 앞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관점 지시자는,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지점 및 현재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점 및 현재 바라보고 있는 방향은,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점 지시자에는,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바라보고 있는 방향과 일치함}, 방향 설정자(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함), 지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주변 반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530)에서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실제 이미지인 상기 입력된 영상에 가상 이미지인 관점 지시자가 결합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단계(S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관점 지시자의 이동 명령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받는다(S540).
사용자 입력부(130)는, 관점 지시자의 이동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동작을 수신 또는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점 지시자의 이동 명령 신호는, 관점 지시자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관점 지시자 및 이동하고자 하는 지점 각각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이동하고자 하는 지점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내 임의 지점, 영상 내 포함된 특정 객체 이미지 또는 영상 내 포함된 특정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관점 지시자의 이동 명령 신호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임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기울임 동작에 의한 기울임 정도 또는 기울임 방향에 상응하도록 입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으로 이동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의 획득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객체 관련 정보를 가상 영상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에예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가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의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400)에 송신한다(S550).
여기에서,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은, 관점 지시자가 이동될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은, 관점 지시자의 방향 설정자를 이용하여 별도 설정된 방향이 있는 경우 상기 별도 설정된 방향을 의미하고, 별도 설정되지 않은 경우 현재 지시되고 있는 방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영상의 요청 신호에는,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 및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이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가상 영상의 요청 신호에는, 요청하고자 하는 가상 영상의 크기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가상 영상의 요청 신호를 송신한 결과 외부 서버(400)로부터 가상 영상을 수신한다(S560).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관점 지시자가 이동될 지점(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의 위치 정보로부터 파악 가능함)에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영상의 요청 신호에 가상 영상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포함된 크기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가상 영상의 수신과 함께, 가상 영상에 해당하는 지역 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모리(160)로부터 가상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가상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160)를 포함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복수의 가상 영상 중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을 검색한다(S570).
메모리(16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영상에는, 해당 가상 영상이 카메라(121)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이라고 가정할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가상 위치 정보 및 가상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바라보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이 함께 설정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복수의 가상 영상 중 상기 이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가상 위치 정보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영상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영상 중 상기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과 동일한 예상 방향이 설정된 가상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가상 영상에 해당하는 지역 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이동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으로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80). 디스플레이 단계(S580)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을 포함하는 가상 영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580)에서 가상의 이미지인 관점 지시자는, 실제 이미지인 입력 영상이 아니라 또 다른 가상 이미지인 가상 영상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580)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관점 지시자의 이동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가 뒤쪽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기울임 각도에 비례하여 관점 지시자(410)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가 오른쪽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기울임 각도에 비례하여 관점 지시자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②).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가 위쪽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기울임 각도에 비례하여 관점 지시자(41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가 왼쪽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기울임 각도에 비례하여 관점 지시자(410)를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410)로부터 화면상의 특정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를 특정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을 스크롤함에 따라, 관점 지시자(41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이 아래쪽으로 스크롤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관점 지시자(410)는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에 포함된 특정 위치 정보 "시청"(630)에 대한 사용자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를 "시청"(630)에 해당하는 객체 이미지(시청 건물 이미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 이미지(소방서 건물 이미지)(620)에 대한 사용자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를 특정 객체 이미지(소방서 건물 이미지)(6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객체 이미지(소방서 건물 이미지)(6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있다면, 특정 객체 이미지(소방서 건물 이미지)(620)에 대한 위치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명령하기 위한 터치 동작 패턴(전자)과 특정 객체 이미지(소방서 건물 이미지)(620)로의 관점 지시자(410) 이동을 명령하기 위한 터치 동작 패턴(후자)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는, 1회 터치, 제 1 시간 동안의 터치, 단일 터치이고, 후자는, 2회 터치, 제 2 시간 동안의 터치, 멀티 터치일 수 있다.
도 6e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의 제 1 영역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제 2 영역에 영상 내에 포함되지 않은 위치 정보들로 구성된 리스트(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내에서는 관점 지시자(410)로부터 반경 50미터 이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들이 표시되고, 위치 정보 리스트 내에서는 관점 지시자(410)로부터 50미터에서 200미터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리스트(610) 중 특정 위치 정보(소방서)(611)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위치 정보(소방서)(611)에 해당하는 객체 이미지(소방서 건물 이미지)로 관점 지시자(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이동된 관점 지시자를 기준으로 바라본 가상 영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410)를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이하 현재 지점)에서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지점(이하 가상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410)가 이동된 가상 지점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가상 지점에서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상 영상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7b 내지 도 7d). 즉, 가상 영상은, 실제로 가상 지점에서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이 아니라, 가상 지점에 위치한다고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상의 영상이다.
도 7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410)를 가상 지점에 위치시키고, 가상 지점에서 바라본 가상 영상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영상 내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의 제 1 영역에 관점 지시자(410)가 가상 지점에 위치한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제 2 영역에 현재 지점부터 가상 지점까지에 속하는 위치 정보들로 구성된 리스트(7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점 지시자(410)가 제 1 가상 지점에서 제 2 가상 지점으로 이동된 경우, 제 1 가상 지점에서 제 2 가상 지점에 속하는 위치 정보들로 구성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7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410)가 가상 지점에 위치한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현재 지점부터 가상 지점까지에 속하는 위치 정보들(721 내지 723)을 화면상 소정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지점부터 가상 지점까지에 속하는 위치 정보들 중 화면의 왼쪽에 배치되었던 위치 정보들(721 및 722)은 가상 영상의 하단 왼쪽에 배치되고, 화면의 오른쪽에 배치되었던 위치 정보(723)는 가상 영상의 하단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b 내지 도 7d에서는, 현재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 "가상"(701)을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제 영상 디스플레이로의 복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현재 지점에서 가상 지점으로 관점 지시자(410)가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지만, 제 1 가상 지점에서 제 2 가상 지점으로 관점 지시자(410)가 이동된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에 대하여 가상 지점으로의 이동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가상 지점에 위치한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이하 가상 위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화면의 일 영역에는 실제 입력 영상을 다른 영역에는 가상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체 화면에서 가상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관점 지시자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설명한다.
도 8a에 의하면, 관점 지시자(410)는, 가상 지점에 위치한 경우, 방향 설정자(411 내지 414),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영상의 반경(예를 들어, 50m 전방)을 나타내는 제 1 영역(415), 현재 지점으로부터 가상 지점까지 관점 지시자(410)가 이동된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동)를 나타내는 제 2 영역(416)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향 설정자(411 내지 414) 중 현재 이동된 지점에서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 설정자(414)가 식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b에 의하면, 관점 지시자(410)는, 현재 지점에 위치한 경우, 제 2 영역(416)에서 현재 지점에 관점 지시자가 위치함(예를 들어, 현재)을 나타낼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8a 및 도 8b에서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고 있는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방향 설정자(411 내지 414) 중 현재 지시되고 있는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 설정자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 설정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음에 따라, 상기 선택된 방향 설정자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변경된 방향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 리스트 중 선택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관점 지시자(410)가 가상 지점으로 이동된 경우, 관점 지시자(410)를 포함하는 가상 영상 및 현재 지점에서 가상 지점까지에 속하는 위치 정보들로 구성된 리스트(7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리스트(710)로부터 특정 위치 정보 "시청"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관점 지시자(410)를 "시청"에 해당하는 객체 이미지로 이동시키고, "시청"에 해당하는 객체 이미지로 이동된 관점 지시자(410)를 기준으로 전방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제 1 가상 지점에서 제 2 가상 지점으로 이동한 경우, 제 2 가상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현재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은 "북쪽"이고, "서쪽"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방향 설정자들 중 "서쪽"에 해당하는 방향 설정자(411)에 대한 사용자 선택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북쪽에서 서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왼쪽으로의 단말기 움직임 동작 또는 왼쪽 아래로의 단말기 기울임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②),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북쪽에서 서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왼쪽 방향으로의 단말기 흔들림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도 그러하다.
따라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서쪽"에 해당하는 방향 설정자(411)가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관점 지시자(41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점 지시자(4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은, 동/서/남/북뿐만 아니라 이들을 조합한 어느 방향으로도 설정 또는 변경 가능하면, 경우에 따라서 구체적인 각도까지도 설정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가상 영상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한 실시예는 실제 영상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11a 및 도 11c를 참조하여 관점 지시자의 확대/축소 디스플레이를 설명한다.
도 11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오른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의 확대 명령 신호를 발생하고,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의 축소 명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드래그 거리가 커질수록 확대 정도 또는 축소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한 동작뿐만 아니라 서로 상반되는 터치 패턴을 갖는 동작들은 각각 확대 명령 신호 및 축소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터치의 경우, 근접 터치 거리가 멀어질수록(>d_기준거리) 축소 명령 신호를, 근접 터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d_기준거리) 확대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b에 의하면, 관점 지시자(410)는, 확대 명령 신호의 발생에 따라, 오른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확대 정도로 확대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영상은 관점 지시자(410)의 확대 정도에 상응하도록 함께 확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확대 정도가 200%인 경우 가상 영상도 원래 크기보다 2배 더 확대될 수 있다.
도 11c에 의하면, 관점 지시자(410)는, 축소 명령 신호의 발생에 따라,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는 축소 정도로 축소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영상은 관점 지시자(410)의 축소 정도에 상응하도록 함께 축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확대 정도가 50%인 경우 가상 영상도 원래 크기보다 1/2배 축소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가상 영상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한 실시예는 실제 영상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복수의 관점 지시자 각각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지점에서 가상 지점으로 관점 지시자(410)가 이동된 경우, 화면을 복수로 분할하여 제 1 영역(1210)에 현재 지점에 해당하는 실제 영상을 제 2 영역(1220)에 가상 지점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지점에 해당하는 실제 영상에는 실제 영상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211)이, 가상 지점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에는 가상 영상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2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실제 영상 및 가상 영상에는, 각각의 관점 지시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가상 지점에서 제 2 가상 지점으로 이동된 경우 또는 복수의 가상 지점(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가상 지점)이 선택된 경우, 제 1 가상 지점에 해당하는 제 1 가상 영상을 제 1 영역(1210)에 제 2 가상 지점에 해당하는 제 2 가상 영상을 제 2 영역(1220)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상 영상에는, 각각의 관점 지시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2a에서 가상 영상(또는 실제 영상)의 전체 디스플레이를 사용자로부터 명령받는 경우, 전체 화면에서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영상은 백그라운드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가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디스플레이의 명령 동작은,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한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해당 메뉴 항목 또는 해당 키 영역의 선택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 디스플레이의 중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횟수의 단말기 흔들림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도 13a), 실제 영상 또는 가상 영상 내에 포함된 모든 위치 정보 또는 일부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도 13b). 이때, 일부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중단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동 단말기(100)는, 모든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도 13a)로 복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관점 지시자로부터 특정 객체 이미지로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객체 이미지가 선택되면, 가상 영상 또는 실제 영상 내에서 관점 지시자(410)로부터 특정 객체 이미지에 해당하는 객체로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경로를 모두 제공할 수 있고, 복수의 경로들 중 이용 빈도가 높은 경로(ⓛ) 및 이용 빈도가 낮은 경로(②)를 식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 디스플레이 방법에는, 경로 표시선의 굵기, 경로 표시선의 색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상 영상 또는 실제 영상 내에 복수의 객체 이미지들이 포함된 경우, 복수의 객체 이미지들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객체들 중 이용 빈도(또는 방문 빈도)가 높은 객체로의 경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거나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단말기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상부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여지거나 아래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여질 수 있다.
도 1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위쪽 기울임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관점 지시자(410)의 제 1 영역(410-1){또는 제 2 영역(410-2)}에서 현재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5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아래쪽 기울임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단말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지하철 노선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기울여지는 방향(위쪽, 아래쪽, 왼쪽 또는 오른쪽 등)에 따라 상이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동일한 방향으로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상이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쪽으로 10도~20도인 경우 뉴스 속보를, 위쪽으로 20도~30도인 경우 증권 정보를, 위쪽으로 30도 이상인 경우 날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특정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관점 지시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6a에 의하면, 사용자는, 실제 영상 또는 가상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 이미지(1610)에 대한 회전 명령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6a에서 특정 객체 이미지(161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명령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현재 화면상에 보이는 특정 객체 이미지(1610)의 제 1 부분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에 해당하는 제 2 부분으로 관점 지시자(410)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관점 지시자(410)를 기준으로 바라봐지는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가상 영상은, 가상 지점에서 상대방 단말기에서 촬영된 영상으로서 이동 단말기(100)로 수신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영상은,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때, 송신되는 가상 영상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특정 객체로의 경로 정보도 함께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1 카메라
151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400 외부 서버
410 관점 지시자

Claims (19)

  1.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화면상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 상에서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제 1 지점에 제 1 관점 지시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동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제 2 지점으로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의 표시를 이동시키고, 상기 화면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 1 영역 내에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가 포함된 상기 영상을 표시하고,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 내에 상기 이동된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된 제 1 관점 지시자에 해당하는 실제 지리적 위치에서 실제 촬영된 가상 영상 및 상기 가상 영상 상의 상기 제 2 지점에 표시되는 제 2 관점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점 지시자는, 상기 가상 영상의 반경을 나타내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지점까지 이동된 거리를 나타내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관련 정보는,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가상 영상 및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의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객체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객체 관련 정보 중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가 상기 제 1 지점에서 상기 제 2 지점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제 1 지점에서 상기 제 2 지점 사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관련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 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의 변경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을 상기 입력된 변경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객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의 크기 조절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가 줌인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 의해 표시되는 주변 반경을 축소하고, 상기 관점 지시자가 줌아웃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에 의해 표시되는 주변 반경을 확대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특정 객체에 해당하는 특정 객체 이미지로의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1. 화면상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 상에서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제 1 지점에 제 1 관점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이동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제 2 지점으로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의 표시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화면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 내에 상기 제 1 관점 지시자가 포함된 상기 영상을 표시하고, 동시에 상기 제 2 영역 내에 상기 이동된 제 1 관점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된 제 1 관점 지시자에 해당하는 실제 지리적 위치에서 실제 촬영된 가상 영상 및 상기 가상 영상 상의 상기 제 2 지점에 표시되는 제 2 관점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점 지시자는, 상기 가상 영상의 반경을 나타내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지점까지 이동된 거리를 나타내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00042374A 2010-05-06 2010-05-0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7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74A KR101572892B1 (ko) 2010-05-06 2010-05-0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13/014,626 US9026947B2 (en) 2010-05-06 2011-01-26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mobile terminal
EP11001862.9A EP2385453B1 (en) 2010-05-06 2011-03-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mobile terminal
CN201110082582.9A CN102238275B (zh) 2010-05-06 2011-04-01 移动终端和在移动终端中显示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74A KR101572892B1 (ko) 2010-05-06 2010-05-0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81A KR20110122981A (ko) 2011-11-14
KR101572892B1 true KR101572892B1 (ko) 2015-11-30

Family

ID=4416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374A KR101572892B1 (ko) 2010-05-06 2010-05-0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26947B2 (ko)
EP (1) EP2385453B1 (ko)
KR (1) KR101572892B1 (ko)
CN (1) CN1022382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336A (ko) * 2017-11-21 2019-05-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7342B1 (en) * 2009-01-07 2017-12-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amera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09037835B4 (de) 2009-08-18 2012-12-06 Metaio Gmbh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virtueller Information in einer realen Umgebung
KR101669521B1 (ko) * 2010-08-23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208244A (zh) * 2012-01-17 2013-07-17 冠捷投资有限公司 结合增强现实与无线识别技术的透明显示器
CN102662587B (zh) * 2012-04-09 2014-12-03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操作方法和装置
CN104204994B (zh) * 2012-04-26 2018-06-05 英特尔公司 增强现实计算装置、设备和系统
KR101919786B1 (ko) * 2012-05-02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971335B2 (ja) * 2012-06-12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131950B2 (ja) * 2012-06-12 2017-05-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99977B1 (ko) * 2012-07-10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E102012219924A1 (de) 2012-10-31 2014-04-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assistenzvorrichtung
KR102049855B1 (ko) 2013-01-31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589189B2 (en) * 2013-05-23 2017-03-07 Cellco Partnership Device for mapping physical world with virtual information
US10139623B2 (en) * 2013-06-18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object orientation and visualization
KR102089624B1 (ko) * 2013-09-02 2020-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742405A3 (en) 2013-09-24 2021-01-13 Apple Inc.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s of interest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CN104035948B (zh) * 2013-09-29 2016-04-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地理位置显示方法及装置
JP6314564B2 (ja) * 2014-03-17 2018-04-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02048A (ko) * 2015-06-29 2017-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사체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55867A (ko) * 2015-11-12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491365A (zh) * 2015-11-25 2016-04-13 罗军 基于移动终端的图像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5763865B (zh) * 2016-02-26 2017-10-27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透明液晶的裸眼3d增强现实的方法及装置
US11785161B1 (en) 2016-06-20 2023-10-10 Pipbin, Inc. System for user accessibility of tagged cura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10805696B1 (en) 2016-06-20 2020-10-13 Pipbin, Inc. System for recording and targeting tagged content of user interest
US10638256B1 (en) 2016-06-20 2020-04-28 Pipbin, Inc. System for distribution and display of mobile targe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11201981B1 (en) 2016-06-20 2021-12-14 Pipbin, Inc. System for notification of user accessibility of curated location-dependent content in an augmented estate
US10334134B1 (en) 2016-06-20 2019-06-25 Maximillian John Suiter Augmented real estate with location and chattel tagging system and apparatus for virtual diary, scrapbooking, game play, messaging, canvasing, advertising and social interaction
US11044393B1 (en) 2016-06-20 2021-06-22 Pipbin, Inc. System for curation and display of location-dependent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n augmented estate system
US11876941B1 (en) 2016-06-20 2024-01-16 Pipbin, Inc. Clickabl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nager, system, and network
KR102576654B1 (ko) * 2016-10-18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672367B2 (en) * 2017-07-03 2020-06-02 Arm Limited Providing data to a display in data processing systems
US10530997B2 (en) 2017-07-13 2020-01-07 Zillow Group, Inc. Connecting and using building interior data acquired from mobile devices
US10375306B2 (en) * 2017-07-13 2019-08-06 Zillow Group, Inc. Capture and use of building interior data from mobile devices
US10387487B1 (en) 2018-01-25 2019-08-20 Ikorongo Technology, LLC Determining images of interest based on a geographical location
JP7091133B2 (ja) * 2018-05-09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058602C (en) 2018-10-11 2023-01-24 Zillow Group, Inc. Automated mapping information generation from inter-connected images
US11321411B1 (en) * 2018-12-28 2022-05-03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US11164368B2 (en) 2019-10-07 2021-11-02 Zillow, Inc. Providing simulated lighting information for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s
US11164361B2 (en) 2019-10-28 2021-11-02 Zillow, Inc. Generating floor maps for buildings from automated analysis of visual data of the buildings' interiors
US11676344B2 (en) 2019-11-12 2023-06-13 MFTB Holdco, Inc. Presenting building information using building models
US11405549B2 (en) 2020-06-05 2022-08-02 Zillow, Inc. Automated generation on mobile devices of panorama images for building locations and subsequent use
US11481925B1 (en) 2020-11-23 2022-10-25 Zillow, Inc. Automated determination of image acquisition locations in building interiors using determined room shapes
US11252329B1 (en) 2021-01-08 2022-02-15 Zillow, Inc. Automated determination of image acquisition locations in building interiors using multiple data capture devices
CA3142154A1 (en) 2021-01-08 2022-07-08 Zillow, Inc. Automated determination of image acquisition locations in building interiors using multiple data capture devices
US11836973B2 (en) 2021-02-25 2023-12-05 MFTB Holdco, Inc. Automated direction of capturing in-room information for use in usability assessment of buildings
US11790648B2 (en) 2021-02-25 2023-10-17 MFTB Holdco, Inc. Automated usability assessment of buildings using visual data of captured in-room images
US11501492B1 (en) 2021-07-27 2022-11-15 Zillow, Inc. Automated room shape determination using visual data of multiple captured in-room images
US11842464B2 (en) 2021-09-22 2023-12-12 MFTB Holdco, Inc. Automated exchange and use of attribute information between building images of multiple types
US11830135B1 (en) 2022-07-13 2023-11-28 MFTB Holdco, Inc. Automated building identification using floor plans and acquired building im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142A (en) 1995-11-13 2000-01-11 Platinum Technology I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manipulation of point of view and object
US20010037163A1 (en) 2000-05-01 2001-11-01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US20070162942A1 (en) 2006-01-09 2007-07-12 Kimmo Hamynen Displaying network objects i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US20080291201A1 (en) 2007-05-25 2008-11-27 Google, Inc. Efficient rendering of panoramic images, and applicat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936A (en) * 1993-09-10 2000-03-14 Criticom Corp. Computer vision system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amera control
JPH1089976A (ja) * 1996-09-13 1998-04-10 Hitachi Ltd 情報表示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3644473B2 (ja) * 1997-08-07 2005-04-2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及び記録媒体
US6640185B2 (en) * 2001-07-21 2003-10-28 Alpine Electronics, Inc.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US7082365B2 (en) * 2001-08-16 2006-07-25 Networks In Motion, Inc. Point of interest spatial rating search method and system
US9607092B2 (en) * 2003-05-20 2017-03-28 Excalibur Ip, Llc Mapping method and system
WO2006099395A2 (en) * 2005-03-11 2006-09-21 Adob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a compass
US20070035563A1 (en) 2005-08-12 2007-02-15 The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Augmented reality spatial interaction and navigational system
JP4038529B1 (ja) 2006-12-05 2008-01-30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周辺画像表示方法
KR100891099B1 (ko) 2007-01-25 2009-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성 향상을 위한 방법
CN101078634B (zh) 2007-06-20 2010-05-19 江苏华科导航科技有限公司 导航装置的沿路径信息提示的导航方法
CN101109646A (zh) 2007-08-22 2008-01-23 广东瑞图万方科技有限公司 导航系统
US8070628B2 (en) * 2007-09-18 2011-12-06 Callaway Golf Company Golf GPS device
KR20090071076A (ko) 2007-12-27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의 관심 지점 정보 제공방법
US8239132B2 (en) 2008-01-22 2012-08-07 Maran Ma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US9200901B2 (en) * 2008-06-19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services for devices supporting dynamic direction information
US8244462B1 (en) * 2009-05-21 2012-08-1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distances between geographic positions
US8427508B2 (en) * 2009-06-25 2013-04-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US9851219B2 (en) * 2009-07-09 2017-12-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oute-based scrolling of a navigational map
US8566029B1 (en) * 2009-11-12 2013-10-22 Google Inc.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US8400548B2 (en) * 2010-01-05 2013-03-19 Apple Inc. Synchronized,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displays for multifunction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142A (en) 1995-11-13 2000-01-11 Platinum Technology I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manipulation of point of view and object
US20010037163A1 (en) 2000-05-01 2001-11-01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US20070162942A1 (en) 2006-01-09 2007-07-12 Kimmo Hamynen Displaying network objects i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US20080291201A1 (en) 2007-05-25 2008-11-27 Google, Inc. Efficient rendering of panoramic images, and application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336A (ko) * 2017-11-21 2019-05-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488930B1 (ko) * 2017-11-21 2023-01-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38275B (zh) 2014-03-19
KR20110122981A (ko) 2011-11-14
CN102238275A (zh) 2011-11-09
EP2385453B1 (en) 2019-05-22
EP2385453A2 (en) 2011-11-09
US9026947B2 (en) 2015-05-05
EP2385453A3 (en) 2015-03-18
US20110275415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8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571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511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80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80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17267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39822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 related information therein
KR1016087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581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2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20120032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KR201200611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60469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891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관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636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859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18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389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749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0432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1327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5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식별 이미지 생성 방법
KR1016068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