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048A -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048A
KR20140098048A KR20147001485A KR20147001485A KR20140098048A KR 20140098048 A KR20140098048 A KR 20140098048A KR 20147001485 A KR20147001485 A KR 20147001485A KR 20147001485 A KR20147001485 A KR 20147001485A KR 20140098048 A KR20140098048 A KR 20140098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tablet
peripheral edge
lower open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307B1 (ko
Inventor
마사유키 히로나가
유 가게야마
나오야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07Pill breaking or cru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공급 스퀘어를 구비한 정제 공급부 본체와, 바닥판과, 바닥판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에 지지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공급 스퀘어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규제 가능하며,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와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와는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며, 이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측 개구부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와 개방 상태와의 사이를 회동하고,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이 아래쪽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DRUG SUPPLY DEVICE}
본원은, 일본 특원 2011―26358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제(錠劑) 및 정제와 유사한 제형(劑形)의 약제(이하, 「정제 등」)를 소량으로 나누어 공급을 행하기 위한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제 분포기(分包機) 등은, 정제 등을 소량으로 나누어 공급을 행하기 위한 약제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약제 공급 장치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 타블렛 카세트(101), 상기 탑 타블렛 카세트(10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 그리고, 상기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이동 플레이트(107) 및 고정 플레이트(108)를 구비한다.
탑 타블렛 카세트(101)는, 도시 좌우 방향 및 안길이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배열된 복수의 분배 스퀘어(square)(102…102)를 구비한다. 그리고, 탑 타블렛 카세트(101)는, 각 분배 스퀘어(102…102)의 각각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103)를 구비한다.
또한,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는, 상기 탑 타블렛 카세트(101)에 대응하는 공급 스퀘어(105…105)를 구비한다. 그리고,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는, 공급 스퀘어(105…105)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평판형의 바닥판(106)을 구비한다. 이 바닥판(106)은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에 축을 사용하여 지지되었으므로, 회동(回動) 가능하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106)이 이동 플레이트(107) 및 고정 플레이트(108)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바닥판(106)은 공급 스퀘어(105)의 하측 개구부를 덮는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공급 스퀘어(105…105)에 정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약제 분포기 등을 조작하는 작업자는, 먼저, 탑 타블렛 카세트(101)의 각 분배 스퀘어(102…102)에, 처방에 따른 필요량의 정제를 수작업으로 분배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약제 공급 장치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탑 타블렛 카세트(101)의 셔터(103)가 개방된다. 따라서, 정제가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의 각각의 공급 스퀘어(105…105)에 낙하한다.
그리고,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에 대하여 이동 플레이트(107)가 수평 방향(도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바닥판(106)이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됨으로써 개방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제가 각각의 공급 스퀘어(105…105)로부터 호퍼(109)에 낙하한다. 낙하한 정제는 분포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량으로 나눈 상태로 분포지(分包紙)에 싸인다.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공개 평5―71101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106)은 이동 플레이트(107) 및 고정 플레이트(108)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그런데, 약제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의 치수 정밀도 및 상기 각 부품의 조립 정밀도에 따라서는, 언더 타블렛 카세트(104)와 이동 플레이트(107) 및 고정 플레이트(108)와의 위치 관계에 불균일이 생긴다. 그러므로,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106)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107) 및 고정 플레이트(108)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바닥판(106)이 아래쪽으로 수하(垂下)되어 버린다. 이로써, 공급 스퀘어(105)와 바닥판(106)과의 사이에 간극(Z)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두께가 얇은 정제가 존재한다(예를 들면, 두께 1㎜ 정도). 이 두께가 얇은 정제를 공급하는 경우,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스퀘어(105)와 바닥판(106)과의 사이에 간극(Z)이 존재하면, 하측 개구부가 바닥판(106)에 의해 덮혀져 있어야 할 공급 스퀘어(105)로부터, 정제가 간극(Z)을 통해 빠짐으로써 낙하되어 버린다. 이 낙하는 뜻하지 않은 것이므로, 약제 분포기 등의 내부에 정제가 잔류하거나, 상이한 양(예를 들면, 처방보다 많은 양, 또는 적은 양)의 정제가 분포(分包)되어 버리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문제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간극(Z)을 없애려고 하여, 상기 부품의 치수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높이는 것은, 약제 공급 장치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정제 등의 뜻하지 않은 낙하를 억제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제 및 정제와 유사한 제형의 약제를 소량으로 나누어 공급을 행하기 위한 약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정제 등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정제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공급부는, 정제 공급부 본체와 바닥판과 바닥판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는 공급 스퀘어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스퀘어는, 위쪽이 개구된 상측 개구부와 아래쪽이 개구된 하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상측 개구부와 상기 하측 개구부와의 사이에 정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공급 스퀘어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바닥판 상면과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타단부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판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규제 가능하며,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측 개구부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와 개방 상태와의 사이를 회동하고,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약제 공급 장치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바닥판 하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판 하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과의 거리는, 같은 상태에서의 상기 바닥판 하면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의 상면과의 거리 이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는,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판의 수평 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판의 수평 방향에서의 타단부 측의 위쪽으로의 돌출량이 상기 일단부 측의 위쪽으로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상기 돌출부에서의 상면이 상기 기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스퀘어에서의 상기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는, 내측 주위 에지부와 외측 주위 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은, 상기 외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에 대하여 상기 바닥판이 맞닿을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구비한 약제 분포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언더 타블렛 카세트를 나타낸, 바닥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바닥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초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탑 타블렛 카세트로부터 언더 타블렛 카세트에 정제를 낙하시킬 때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공급 개시 직전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b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공급 중인 위치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의 언더 타블렛 카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바닥판이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가상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7b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하측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c는, 본 실시형태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바닥판이 아래쪽으로 어긋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는, 바닥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바닥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c는, 바닥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d는, 바닥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공급 스퀘어과 바닥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10a는, 종래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b는, 종래의 정제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c는, 종래의 정제 공급부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斷面)에서 볼 때의 개략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일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의 공급 대상물로 되는 약제의 제형은 정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캡슐제 등, 작업자가 손으로 집는 등 하여 탑 타블렛 카세트 상에서 손으로 분배할 수 있는, 정제와 유사한 제형의 약제 전반을 공급 대상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하기에 있어서는, 편의 상, 공급 대상물을 정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제(散劑) 및 정제를 분포할 수 있는 약제 분포기에 내장된다. 이 약제 공급 장치는, 정제를 소량으로 나누어 공급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약제 공급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 타블렛 카세트(1)와,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정제 공급부로서의 언더 타블렛 카세트(2), 그리고,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바닥판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플레이트(3)를 구비한다.
탑 타블렛 카세트(1)는, 좌우 및 안길이 방향에 대하여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분배 스퀘어(12…12)가 형성된 본체(11)를 구비한다. 분배 스퀘어(12)는, 평면에서 볼 때 및 바닥면에서 볼 때가 대략 정사각형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개구되어 이루어진다. 이 탑 타블렛 카세트(1)는, 정제의 공급 시에는 약제 분포기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탑 타블렛 카세트(1)는, 분배 스퀘어(12…12)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13)를 구비한다. 이 셔터(1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셔터(131)와 하부 셔터(132)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셔터(131, 132)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구할 수 있다. 셔터(13)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배 스퀘어(12…12)에 정제(M)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셔터(13)가 개방되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배 스퀘어(12…12)에 유지되고 있었던 정제(M)를 언더 타블렛 카세트(2)에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언더 타블렛 카세트(2)는, 상기 탑 타블렛 카세트(1)에 대응하여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급 스퀘어(22…22)가 형성된 본체(21)를 구비한다. 공급 스퀘어(22)도 상기 분배 스퀘어(12)와 동일하게, 평면에서 볼 때 및 바닥면에서 볼 때가 대략 정사각형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개구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개구부 사이에 정제 수용 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정제 수용 공간(22a)이란, 공급 스퀘어(22) 내의 공간 중,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도 7a 참조)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면보다 위쪽의 영역이다. 이 언더 타블렛 카세트(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 타블렛 카세트(1)에 대하여 길이 방향(도시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언더 타블렛 카세트(2)는, 지지 플레이트(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면 되고, 언더 타블렛 카세트(2)가 탑 타블렛 카세트(1)에 대하여 고정된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 언더 타블렛 카세트(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스퀘어(22…22)의 하측 개구부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바닥판(23)을 구비한다[그리고, 도 3에서는 바닥판(23)의 폐쇄 상태를 가상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지지 플레이트(3)에 의한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가 없는 경우, 실제로는 바닥판(23)은 개방 상태로 된다]. 이 바닥판(23)은, 각각의 공급 스퀘어(22…22)에서의 하측 개구부를 덮음으로써 폐쇄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 바닥판(23)은, 본체(21)에 축을 사용하여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수평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며, 바닥판(23)이 회동 범위의 상단에 있는 경우에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다. 바닥판(23)의 지지는, 수평 방향에서의 일단부(23X)[도 3에서의 좌단부(동 우단부에 대해서는 「타단부(23Y)」라고 함]에 있어서 이루어진다. 이로써, 지지된 측인 일단부(23X)를 중심으로 하여, 바닥판(23)이 본체(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바닥판(23)은, 스프링 등에 의한 가압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바닥판(23)의 개방은 상기 바닥판(23)의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행해진다.
바닥판(23)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3)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상하 방향(수평축 주위)의 회동이 규제되어, 개방이 저지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은, 정제(M)가 지나고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가지고 근접하고 있다. 그리고, 탑 타블렛 카세트(1)의 셔터(13)를 개방함으로써, 탑 타블렛 카세트(1)의 분배 스퀘어(12…12)로부터 낙하시킨 정제(M)를, 공급 스퀘어(22…22)에서의 각 정제 수용 공간(22a…22a)에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 바닥판(23)은, 도 4에 나타낸 형상이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닥판(23)은, 스테인레스강이 프레스 가공된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각종 재료(합성 수지 등) 및 제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바닥판(23)은, 기부(231), 축지지부(232), 돌출부(233)를 구비한다.
기부(231)는 평판형이며, 상면이 공급 스퀘어(22)에서의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에 접촉 가능하다(도 7a 참조). 축지지부(232)는 바닥판(23)의 일단부(23X)에 설치되고,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軸部)(24)(도 7a∼도 7c 참조)가 관통하는 관형 부분이다.
돌출부(233)는, 바닥판(23)이 공급 스퀘어(22)아래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기부(23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즉, 같은 상태에서, 바닥판(23)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같은 상태에서,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은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 돌출부(233)는, 공급 스퀘어(22)에서의 하측 개구부의 형상으로 거의 일치한(약간 작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233)는, 바닥판(23)의 일단부(23X)로부터 타단부(23Y)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급 스퀘어(22)의 전체에서, 바닥판(23)과의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돌출부(233)의 상면(233a)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233)에서의 타단부(23Y) 측의 돌출량이 일단부(23X) 측의 돌출량보다 크게 형성된 것에 의해, 돌출부(233)에서의 상면(233a)이 평판형의 기부(231)에 대하여 편 구배(勾配)에 의해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23)이 돌출부(233)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7a에 가상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231)가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과 맞닿아,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돌출부(233)에서의 상면(233a)은, 도시한 높이 H1만큼,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부가하자면, 돌출부(233)가 상기 높이 H1만큼, 정제 수용 공간(22a)에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33)가 정제 수용 공간(22a)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바닥판(23)과 지지 플레이트(3)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에 의해, 회동 선단측인 타단부(23Y)가 약간 수하 상태였다고 해도(도 7c 참조), 이 수하의 높이 치수가 상기 높이 H1에 도달할 때까지는, 돌출부(233)의 일부가 정제 수용 공간(22a)에 들어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가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특히, 바닥판(23) 중 회동 선단측인 타단부(23Y)에서는, 축을 사용하여 지지된 측인 일단부(23X)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크다. 따라서,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 경우에는, 상기 수하에 의해 간극이 가장 커진다. 그러므로, 바닥판(23) 중에서, 특히 이 타단부(23Y) 가까이의 위치로 돌출부(233)를 형성하는 것, 또는 이 타단부(23Y) 가까이의 위치에 다른 위치보다 돌출량의 큰 돌출부(233)를 형성하는 것이, 정제(M)가 이탈 방지를 위해 유효하다.
또한, 돌출부(233)의 상면(233a)이 경사면이다. 그러므로, 돌출부(233)에서의 일단부(23X) 쪽 부분의 기부(231)로부터의 돌출량이 다른 부분의 기부(231)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다. 그러므로, 기부(231)로부터 돌출량이 전체면에서 같은 돌출부(233)에 비하여, 바닥판(23)의 회동에 따라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대한 걸림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바닥판(23)이 원활하게 회동한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23)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233)에 정제(M)가 걸려 잔류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33)가 정제 수용 공간(22a)에 들어가기 위한, 바닥판(23)과 지지 플레이트(3)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는, 돌출부(233)에서의 상면(233a) 중에서, 바닥판(23)이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과의 상하 방향에서의 거리가, 같은 상태에서의 바닥판(23)의 하면과 지지 플레이트(3)의 상면과의 상하 방향에서의 거리 이상이 되도록 한 위치 관계이다.
다음에 지지 플레이트(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31)와 고정 플레이트(32)를 구비한다. 고정 플레이트(32)는 부동(不動)이다. 한편, 이동 플레이트(31)는 길이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로써, 이동 플레이트(31)는 언더 타블렛 카세트(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각 플레이트(31, 32)는, 바닥판(23)의 하면에 대하여 이격되는 위치에 있다. 단, 지지 플레이트(3)는, 언더 타블렛 카세트(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각 플레이트(31, 32) 모두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플레이트(31, 32)가 설치되는 상기 「이격되는 위치」란, 언더 타블렛 카세트(2)에 대한 상기 상대적인 이동이 저해되지 않도록 거리를 둔 위치를 의미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23)은, 스프링 등에 의한 가압이 행해져 있지 않고, 자중에 의해 수하된다. 그러므로, 바닥판(23)의 타단부(23Y)와 각 플레이트(31, 32)의 상면[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판(311, 321)]은 맞닿는다. 즉, 엄밀하게 말하면, 바닥판(23)이 지지 플레이트(3)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 경우라도, 바닥판(23)의 기부(231)는 공급 스퀘어(22)의 개구 에지에서의 하면(22b)에는 맞닿지 않으므로, 하측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이동 플레이트(3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바닥판(23)이, 지지 플레이트(3)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개방이 저지된 상태(도 7a 참조)와, 지지가 해제된 개방 상태(도 7b 참조)와의 사이를 상하 방향(수평축 주위)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31)와 고정 플레이트(32)와의 사이의 아래쪽에는 정제 호퍼(4)가 설치되어 있고(도 6b 참조), 낙하한 정제(M)를 이 정제 호퍼(4)를 통하여 분포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보낼 수가 있다.
이동 플레이트(31)와 고정 플레이트(32)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플레이트(31)의 상면보다 고정 플레이트(32)의 상면 쪽이 낮은 위치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23)의 언더 타블렛 카세트(2)에서의 본체(21)에 대한 지지가 일단부(23X)에 있어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바닥판(23)의 타단부(23Y)는, 자유 상태에서는 바닥판(23)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수하된다. 그러므로, 언더 타블렛 카세트(2)가 도 5b에 나타낸 상태 내지 도 6a에 나타낸 상태까지 우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 플레이트(31)의 상면보다 고정 플레이트(32)의 상면 쪽이 높은 위치에 있었다고 하면, 고정 플레이트(32)의 도시 좌단 부분에 바닥판(23)의 타단부(23Y)가 걸려,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이동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동 플레이트(31)의 상면보다 고정 플레이트(32)의 상면 쪽이 낮은 위치에 있다.
이동 플레이트(31) 및 고정 플레이트(32)의 각각의 상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지제의 슬라이딩판(311, 321)이 각각 복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31, 32)에서의 슬라이딩판(311, 321)의 안길이 방향의 간격은,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공급 스퀘어(22…22)의 안길이 방향의 간격과 일치하고 있다. 언더 타블렛 카세트(2)가 지지 플레이트(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는, 이 슬라이딩판(311, 321)에 대하여 바닥판(23)의 타단부(23Y)가 맞닿는다. 그러므로, 지지 플레이트(3)와 바닥판(23)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에 의한 금속분(金屬粉)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31)와 고정 플레이트(32)는 길이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을 메우기 위해, 이동 플레이트(31)는 도시 우측단 쪽 부분에 지지암(312)을 구비한다. 이 지지암(312)은 수지제이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基端部)(312a)가 이동 플레이트(31)에 위치하고, 선단부(312b)가 이동 플레이트(31)와 고정 플레이트(32)와의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지암(312)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것에 의해, 선단부(312b)가 위쪽으로 돌출한다. 이 지지암(312)은,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31)와 고정 플레이트(32)와의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는 바닥판(23)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바닥판(23)이 개방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정제(M)의 손 분배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다. 이 이외의 동작은 약제 공급 장치(약제 분포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5a는 약제 공급 장치의 각각의 구성 부품의 초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때, 탑 타블렛 카세트(1)의 셔터(13)는 폐쇄되어 있다. 약제 분포기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먼저, 탑 타블렛 카세트(1)의 각 분배 스퀘어(12…12)에 처방에 따른 필요량의 정제(M)를 손 분배한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 타블렛 카세트(1)의 각 분배 스퀘어(12…12)와,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각각의 공급 스퀘어(22…22)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언더 타블렛 카세트(2)가 도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탑 타블렛 카세트(1)의 셔터(13)가 개방되면, 탑 타블렛 카세트(1)로부터 언더 타블렛 카세트(2)로 정제(M)가 낙하한다.
다음에 언더 타블렛 카세트(2)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6a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그 후,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 타블렛 카세트(2) 및 이동 플레이트(31)가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간다. 이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31)에 의한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된 바닥판(23)[도시한 예에서는, 가장 좌측 방향에 있는 공급 스퀘어(22)의 바닥판(23)]이 회동하여, 개방 상태로 된다. 이로써, 상기 개방 상태된 공급 스퀘어(22)로부터, 지지 플레이트(3)의 아래쪽에 설치된 정제 호퍼(4)에 정제(M)가 낙하한다. 그리고, 정제 호퍼(4)에 낙하한 정제(M)는, 약제 공급 장치의 아래쪽에 설치된 분포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분포지에 싸인다.
여기서, 도 6b에 나타낸, 이동 플레이트(31)의 상기 좌측으로의 수평 이동은,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각각의 공급 스퀘어(22…22)에서의 좌우 방향의 간격에 대응한 이동 거리에 의해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31)의 우측단 및 고정 플레이트(32)의 좌측단의 위치는, 안쪽을 향할수록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각 플레이트(31, 32)의 대향하는 측의 단면(端面) 형상이 「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이동 플레이트(31)의 상기 간헐적인 이동에 따라, 공급 스퀘어(22)의 1개마다가 개방되고, 정제(M)가 낙하해 간다.
이상,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는, 도 7a,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23)의 돌출부(233)가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돌출부(233)의 기부(231)로부터의 돌출 높이(도 7a에 나타낸 높이 H1)가, 지지 플레이트(3)와 언더 타블렛 카세트(2)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흡수대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흡수대의 범위 내에서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23)의 타단부(23Y)가 수하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돌출부(23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가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31)의 상면보다 고정 플레이트(32)의 상면 쪽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6a,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 타블렛 카세트(2)가 고정 플레이트(32)의 위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이동 플레이트(31)의 위쪽에 위치한 경우에 비하여,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과의 사이의 간극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라도, 바닥판(23)의 돌출부(233)가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보다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간극이 생기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가 얇은 정제(M)를 공급하는 경우라도, 정제(M)가 빠질 정도의 간극이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낙하한 정제(M)가 약제 분포기 등의 내부에 잔류하거나, 상이한 양(예를 들면, 처방보다 많은 양, 또는 적은 양)의 정제(M)가 분포되어 버리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제(M)가 빠질 정도의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약제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의 치수 정밀도 및 각 부품의 조립 정밀도를 특별 높일 필요 도 없다. 그러므로, 약제 공급 장치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23)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바닥판(23)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낸 것은, 일정 높이의 돌출부(233)를 구비한다. 도 8b에 나타낸 것은, 기부(231) 중 일단부(23X) 측의 변을 제외한 3변을 따르도록 하여, 일정 높이의 돌출부(233)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기부(231) 중 타단부(23Y) 측의 한 변에만 따르도록 하여 일정 높이의 돌출부(233)를 구비해도 된다. 도 8c에 나타낸 것은, 기부(231) 중 언더 타블렛 카세트(2)의 길이 방향을 따른 2변을 따르도록 하여 일정 높이의 돌출부(233, 233)를 평행하게 구비한다.
또한, 도 8d에 나타낸 것은, 기부(231) 및 축지지부(232)를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별도로 형성한 수지제의 돌출부(233)를 장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33)의 일부인 하면 돌출부(233a)가 기부(231)의 하면측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이 하면 돌출부(233a)는, 바닥판(23)이 지지 플레이트(3)에 대하여 이동할 때 마찰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3)에서의 슬라이딩판(311, 321)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형태는,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즉, 바닥판(23)은 종래와 마찬가지의 평판형이며, 공급 스퀘어(22)의 형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형태의 공급 스퀘어(22)는,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 부분에 내측 주위 에지부(221)와 외측 주위 에지부(222)를 구비한다. 내측 주위 에지부(221)의 하면(221a)은, 외측 주위 에지부(222)의 하면(222a)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형태에서는,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은, 외측 주위 에지부(222)의 하면(222a)에 일치한다. 그리고, 바닥판(23)은, 내측 주위 에지부(221)의 하면(221a)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다. 즉, 내측 주위 에지부(221)와 외측 주위 에지부(222)에 의해, 공급 스퀘어(22)에서의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차에, 지지 플레이트(3)에 의해 개방이 저지된 상태의 바닥판(23)이 위치한다.
도 9에 나타낸 형태에 있어서는,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바닥판(23)의 상면이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구부[외측 주위 에지부(222)의 하면(222a)의 위치에서의 개구]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외측 주위 에지부(222)의 하면(222a)으로부터 바닥판(23)의 상면까지의 높이 H2가, 지지 플레이트(3)와 언더 타블렛 카세트(2)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흡수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공급 스퀘어(22)와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가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이 도 9에 나타낸 형태의 바닥판(23)에,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와 같은 돌출부(233)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여 기재한다. 본 실시형태는, 정제(M) 및 정제와 유사한 제형의 약제를 소량으로 나누어 공급을 행하기 위한 약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정제(M) 등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정제 공급부(2)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공급부(2)는, 정제 공급부 본체(21)와 바닥판(23)과 바닥판 지지 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21)는 공급 스퀘어(22)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스퀘어(22)는, 위쪽이 개구된 상측 개구부와 아래쪽이 개구된 하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상측 개구부와 상기 하측 개구부와의 사이에 정제 수용 공간(22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3)은, 상기 공급 스퀘어(22)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바닥판 상면과 일단부(23X)와 타단부(23Y)를 가지고, 상기 타단부(23Y)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일단부(23X)가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21)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는, 상기 바닥판(23)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상기 바닥판(23)의 회동을 규제 가능하며,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2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23)은, 상기 하측 개구부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와 개방 상태와의 사이를 회동하고,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약제 공급 장치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이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만큼의 높이 치수가, 상기 바닥판(23)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상기 바닥판(23)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흡수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에 의해 상기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스퀘어(22)와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 등이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또한, 상기 바닥판(23)은 바닥판 하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는, 상기 바닥판 하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과의 거리는, 같은 상태에서의 상기 바닥판 하면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의 상면과의 거리 이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과의 거리는, 같은 상태에서의 상기 바닥판 하면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의 상면과의 거리 이상이다. 그러므로,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22b)보다 상기 바닥판 상면 중, 같은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 쪽이 위쪽, 또는 같은 높이로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에 의해 상기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스퀘어(22)와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 등이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또한, 상기 바닥판(23)은,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23)은,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하는 부분의 높이 치수가, 상기 바닥판(23)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상기 바닥판(23)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흡수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에 의해 상기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스퀘어(22)와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 등이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또한, 상기 바닥판(23)은, 기부(231)와 상기 기부(23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33)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231)는,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233)는,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233)는,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돌출부(233)가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하는 만큼의 높이 치수가, 상기 바닥판(23)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상기 바닥판(23)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흡수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에 의해 상기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스퀘어(22)와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 등이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또한, 상기 돌출부(233)는, 상기 바닥판(23)의 수평 방향에서의 일단부(23X)로부터 타단부(23Y)에 걸쳐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233)가 일단부(23X)로부터 타단부(23Y)에 걸쳐 상기 정제 수용 공간(22a)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급 스퀘어(22)의 전체에서,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33)는, 상기 바닥판(23)의 수평 방향에서의 타단부(23Y) 측의 위쪽으로의 돌출량이 상기 일단부(23X) 측의 위쪽으로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상기 돌출부(233)에서의 상면이 상기 기부(231)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23)이 돌출부(233)를 구비하고 있어도, 상기 바닥판(23)의 회동에 따라 돌출부(233)가 상기 공급 스퀘어(22)의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대하여 걸리지 않아, 상기 바닥판(23)이 원활하게 회동한다.
또한, 상기 공급 스퀘어(22)에서의 상기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는, 내측 주위 에지부(221)와 외측 주위 에지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221a)은, 상기 외측 주위 에지부(222)의 하면(222a)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221)의 하면(221a)에 대하여 상기 바닥판(23)이 맞닿을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221)와 외측 주위 에지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상기 바닥판(23)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바닥판 상면이 상기 외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222a)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만큼의 높이 치수가, 상기 바닥판(23)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한 상기 바닥판(23)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흡수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에 의해 상기 바닥판(23)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스퀘어(22)와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 등이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이상, 본 실시형태는, 상기 바닥판(23)이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3)에 의해 지지되어 개방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스퀘어(22)와 상기 바닥판(23)과의 사이에, 정제(M) 등이 뜻하지 않게 빠져 버릴 간극은 없다. 그러므로, 약제 공급 장치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정제(M) 등의 뜻하지 않은 낙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2: 정제 공급부, 언더 타블렛 카세트
21: 정제 공급부 본체, 언더 타블렛 카세트의 본체
22: 공급 스퀘어
22a: 정제 수용 공간
22b: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
221: 내측 주위 에지부
221a: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
222: 외측 주위 에지부
222a: 외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
23: 바닥판
23X: 바닥판의 일단부
23Y: 바닥판의 타단부
231: 바닥판의 기부
233: 바닥판의 돌출부
3: 바닥판 지지 부재, 지지 플레이트
31: 바닥판 지지 부재의 일부, 이동 플레이트
M: 정제

Claims (8)

  1. 정제(錠劑) 및 상기 정제와 유사한 제형(劑形)의 약제를 소량으로 나누어 공급을 행하기 위한 약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정제 등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정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 공급부는, 정제 공급부 본체와 바닥판과 바닥판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는 공급 스퀘어(square)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스퀘어는, 위쪽이 개구된 상측 개구부와 아래쪽이 개구된 하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상측 개구부와 상기 하측 개구부 사이에 정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공급 스퀘어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바닥판 상면과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타단부가 회동(回動)함으로써 상기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판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규제 가능하며, 상기 정제 공급부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측 개구부의 개방이 저지된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를 회동하고,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약제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바닥판 하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판 하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 상면 중,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하측 개구부에서의 주위 에지의 하면과의 거리는, 같은 상태에서의 상기 바닥판 하면과 상기 바닥판 지지 부재의 상면과의 거리 이상인, 약제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약제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는,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제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약제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판의 수평 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구비되는, 약제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판의 수평 방향에서의 타단부 측의 위쪽으로의 돌출량이 상기 일단부 측의 위쪽으로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상기 돌출부에서의 상면이 상기 기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약제 공급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퀘어에서의 상기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는, 내측 주위 에지부와 외측 주위 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은, 상기 외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에 대하여 상기 바닥판이 접촉 가능한, 약제 공급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퀘어에서의 상기 하측 개구부의 주위 에지는, 내측 주위 에지부와 외측 주위 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은, 상기 외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주위 에지부의 하면에 대하여 상기 바닥판이 접촉 가능한, 약제 공급 장치.
KR1020147001485A 2011-12-01 2012-11-29 약제 공급 장치 KR101975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3588 2011-12-01
JP2011263588A JP5857285B2 (ja) 2011-12-01 2011-12-01 薬剤供給装置
PCT/JP2012/080812 WO2013081025A1 (ja) 2011-12-01 2012-11-29 薬剤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048A true KR20140098048A (ko) 2014-08-07
KR101975307B1 KR101975307B1 (ko) 2019-05-07

Family

ID=4853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485A KR101975307B1 (ko) 2011-12-01 2012-11-29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393178B2 (ko)
EP (2) EP3028945B1 (ko)
JP (1) JP5857285B2 (ko)
KR (1) KR101975307B1 (ko)
CN (3) CN105083601B (ko)
AU (2) AU2012344752B2 (ko)
CA (1) CA2857455A1 (ko)
HK (3) HK1193588A1 (ko)
WO (1) WO2013081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3060A1 (en) * 2012-10-17 2014-04-17 Jvm Co., Ltd. Box for dispensing blister-packaged drug
KR102532175B1 (ko) * 2015-09-08 2023-05-1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 분배포장 장치
DK3199463T3 (en) * 2016-01-29 2018-07-23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filling a transport tray for transferring drug portions and filling station for such a transport tray
NL2025568B1 (en) 2020-05-12 2021-11-25 Vmi Holland Bv Docking station and method for loading a medicine transport pla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101U (ja) 1992-03-02 1993-09-24 正二 湯山 錠剤の供給装置
JP2007008586A (ja) * 2005-05-31 2007-01-1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分包装置
JP2008272461A (ja) * 2007-04-02 2008-11-13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JP2010018335A (ja) * 2008-07-14 2010-01-2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JP2010083573A (ja) * 2008-10-02 2010-04-1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EP2216249A1 (en) * 2007-11-02 2010-08-11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5164A (en) * 1968-08-22 1970-12-08 Warna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packaging receptacles
DE3541672A1 (de) * 1985-11-26 1987-05-27 Uhlmann Maschf Josef Vorrichtung an verpackungsmaschinen zum geordneten zufuehren und ablegen zu verpackender kleinteile, wie tabletten, kapseln, dragees oder dergl.
JPH0637202B2 (ja) * 1989-12-21 1994-05-18 正二 湯山 薬剤分配装置
JPH059503A (ja) 1991-06-28 1993-01-19 Mitsubishi Materials Corp Fe−Co系軟磁性粉末の製造法
JPH0571101A (ja) 1991-09-12 1993-03-23 Sanyo Electric Co Ltd 鉄道線路用融雪装置
DE4319609C1 (de) * 1993-06-14 1995-05-24 Boehringer Ingelheim Kg Spender für feste Arzneimittel
US6385505B1 (en) * 1993-07-21 2002-05-07 Omnicell.Com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items
US5720154A (en) * 1994-05-27 1998-02-24 Medco Containment Services, Inc. Enhanced drug dispensing system
JP3366823B2 (ja) * 1996-03-21 2003-01-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割包装装置
US6581356B2 (en) * 2001-09-24 2003-06-24 Jun H. Kim Tablet dispensing and packaging system
US6779663B1 (en) * 2002-02-06 2004-08-24 Powell John Pocsi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pills into a pillbox
JP2003237702A (ja) * 2002-02-20 2003-08-27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US7021492B2 (en) * 2002-03-01 2006-04-04 Apothecary Products, Inc. Pill and capsule counter and dispenser
JP4206237B2 (ja) * 2002-08-28 2009-01-07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割装置
JP4319384B2 (ja) 2002-09-26 2009-08-26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割装置
JP4093856B2 (ja) * 2002-12-25 2008-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
CN100473583C (zh) * 2004-02-26 2009-04-0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包装装置
JP4634823B2 (ja) * 2005-02-25 2011-02-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4973073B2 (ja) * 2006-09-05 2012-07-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包装方法
WO2008035701A1 (en) * 2006-09-20 2008-03-27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JP4220568B2 (ja) * 2007-04-02 2009-02-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BRPI0916194A2 (pt) * 2008-07-15 2019-08-27 Qualcomm Inc sistemas de comunicação sem fio com femto célula
CN102001491A (zh) * 2010-12-28 2011-04-06 李�杰 中成药丸定量取用盒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101U (ja) 1992-03-02 1993-09-24 正二 湯山 錠剤の供給装置
JP2007008586A (ja) * 2005-05-31 2007-01-1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分包装置
JP2008272461A (ja) * 2007-04-02 2008-11-13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EP2216249A1 (en) * 2007-11-02 2010-08-11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aging device
JP2010018335A (ja) * 2008-07-14 2010-01-2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JP2010083573A (ja) * 2008-10-02 2010-04-1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09717B (zh) 2018-01-12
HK1214799A1 (zh) 2016-08-05
EP2786938B1 (en) 2016-08-31
EP3028945A1 (en) 2016-06-08
US9393178B2 (en) 2016-07-19
US9314406B2 (en) 2016-04-19
AU2016231583A1 (en) 2016-10-13
CN105109717A (zh) 2015-12-02
CN103842255A (zh) 2014-06-04
KR101975307B1 (ko) 2019-05-07
JP5857285B2 (ja) 2016-02-10
EP3028945B1 (en) 2017-05-10
HK1215423A1 (zh) 2016-08-26
EP2786938A1 (en) 2014-10-08
CA2857455A1 (en) 2013-06-06
CN105083601A (zh) 2015-11-25
AU2012344752B2 (en) 2016-10-20
HK1193588A1 (en) 2014-09-26
US20140312052A1 (en) 2014-10-23
EP2786938A4 (en) 2015-04-29
CN103842255B (zh) 2015-10-14
US20160045397A1 (en) 2016-02-18
AU2012344752A1 (en) 2014-07-03
CN105083601B (zh) 2017-03-29
JP2013116743A (ja) 2013-06-13
WO2013081025A1 (ja)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07B1 (ko) 약제 공급 장치
US9582956B2 (en) Tablet feeder
US9238545B2 (en) Cartridge for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roll-rotating drum
US7669733B2 (en) Cassette device for automatic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KR20170034383A (ko) 약제 카세트
KR102423995B1 (ko) 의약품을 낱개로 자동 분배하는 장치의 저장 용기
KR20160060043A (ko) 약제 공급 유닛
WO2009121983A1 (es) Maquina dispensadora de envases de tipo blister
KR20180055584A (ko) 복용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
KR101556511B1 (ko)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KR20160058106A (ko) 약제 공급체 및 약제 공급 유닛
JP5998346B2 (ja) 薬剤供給装置
KR20180123667A (ko) 약제 공급 장치
US10888501B2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CN112545202B (zh) 存储盒及具有其的药品存储柜
KR20240036962A (ko) 캡슐 충진기
JP6431317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ヘッド
JPH0141549Y2 (ko)
ITBO990003A1 (it) Macchina dosatrice ed alimentatrice di un prodotto in microcompresse ad una successione di contenitori .
KR20100006771A (ko) 약제 카세트 장치용 모터의 기어 유닛 및 상기 기어 유닛을가지는 약제 카세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